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원래 사주공부는 삼일이면 마스터하는거다. ㅇㅅㅇ. 그담부턴 남의꺼봐주면서

초긍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5.09.05 22:09:21
조회 16721 추천 33 댓글 3



사주는 개인이 태어난 시점에 따라 달라지는 바, 본인이 태어난 정확한 생년(生年), 월(月), 일(日), 시(時)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행여나 나이가 드신 분이 있어 본인의 태어난 시각을 정확히 모르시면 대충 어느 때에 태어나셨다는 말씀을 들은 시각을 유추해서 사주를 세우도록 한다. 차츰 공부를 진행하다 보면 본인의 성격이나 잠버릇에서 정확하게 태어난 시각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러면 2007년 6월 6일(陽曆) 오전 9시 21분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를 만들어 보자. 인터넷의 발달로 쉽게 사주를 알 수 있는데 각자 본인의 태어난 시점을 입력하여 사주를 뽑아 보도록 한다. 인터넷에서 만세력(萬歲曆)이란 단어로 검색을 하면 사주를 뽑아 주는 많은 프로그램이 있으니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본인의 생년월일을 입력하여 사주를 뽑아 보자.


時 日 月 年

壬 辛 乙 丁

辰 未 巳 亥


컴퓨터는 친절하게도 생년월일만 입력하면 위와 같이 8자를 보여 주는데 이것이 연월일시의 4기둥에 8개의 글자로 구성되어 있다하여 사주팔자(四柱八字)라고 한다. 여기서 다음에 언급할 것이지만 프로그램마다 친절하게도 그 밑에 다음과 같이 대운(大運)이라고 하는 것을 숫자와 간지를 적어서 표시해 주고 있다.


80 70 60 50 40 30 20 10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자 그럼 이제부터 본인의 사주와 대운이라고 하는 이것이 뽑아 졌으면 이것을 따로 적어서 항상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조금만 지나면 본인의 사주와 대운은 안 보고도 척척 적을 수 있게 된다.

다시한번 정리하면 2007년 6월 6일 오전 9시 21분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時 日 月 年 

壬 辛 乙 丁 

辰 未 巳 亥 


80 70 60 50 40 30 20 10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여기서 이 사람은 정해(丁亥)년, 을사(乙巳)월, 신미(辛未)일, 임진(壬辰)시에 태어났으며, 대운의 흐름은 10세 20세 30세 40세에 갑진(甲辰). 계묘(癸卯) 임인(壬寅) 신축(辛丑)등의 운을 맞으면서 흘러간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의 해석은 이제부터 연구해 보기로 하고 항상 사주를 뽑을 때는 이와 같이 사주팔자와 대운을 함께 적어 놓도록 한다.


그럼 이제부터 사주의 붙여진 각각의 명칭을 알아보도록 하자.

壬辛乙丁

辰未巳亥 


여기에서 보이는 글자들은 간지(干支)라고 부르는 60갑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의 글자를 천간(天干)이라 부르고 밑에 있는 글자를 지지(支持)라고 부른다.


그리고 4개의 기둥을 연월일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부른다.

년주(年柱) - 태어난 해를 나타낸다 정해(丁亥)년

월주(月柱) - 태어난 월을 나타낸다 을사(乙巳)월

일주(日柱) - 태어난 날을 나타낸다 신미(辛未)일

시주(時柱) - 태어난 시간을 나타낸다 임진(壬辰)시


년주에서도 위의 글자를 연간(年干) 밑의 글자를 연지(年支)라 하고,

월주에서도 위의 글자를 월간(月干) 밑의  글자를 월지(月支)라 하고,

일주에서도 위의 글자를 일간(日干) 밑의 글자를 일지(日支)라 하고,

시주에서도 위의 글자를 시간(時干) 밑의 글자를 시지(時支)라 한다.


이제 사주 여덟 글자의 이름을 대충 알았다. 근데 이것을 어떻게 하란 말인가? 

예전부터 사람들은 개인마다 다르게 갖고 있는 이 여덟 글자의 비밀을 풀어 볼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중국의 송나라의 서자평 이전까지는 연주를 기준으로 하여 개인의 길흉의 변화를 읽어 왔으나, 서자평이 여덟 글자 중에서 일간(日干)을 개인의 주체(주체)로 보아 일간을 중심으로 나머지 글자와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사주를 감명하는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는 바 이렇게 하여 오늘날에도 자평명리학이라고 하는 영광스런 이름을 남기고 있다.

그렇다면 여러분이 뽑은 사주의 명식에서 본인을 나타내는 글자가 무엇인지 한번 보도록 합시다. 우리가 뽑은 이 사람의 명식에서 일주는 신미(신미)이고 일간은 신(신)이니 이 사람의 주체는 신(신)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부터 일간과 나머지 글자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간지를 공부해야 하며, 각각의 간지가 가진 기본적인 성질을 이해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그 간지가 가지고 있는 음양과 오행의 배속관계를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 일간이 나 辛과 나머지 일곱 글자와의 관계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모든 사주 명리학의 책들이 언제나 시작하는게 음양오행인데 왜 음양오행부터 시작하는지를 잘 알아야 겠습니다. 즉 사주라는 것은 여덟 개의 간지로 구성되어 있고, 일간인 나와 나머지 일곱 자와의 관계를 규명하는것이 명리학인데 그 관계 규명의 열쇠가 되는 것이 그 간지가 가지고 있는 음양오행의 속성에 따라 해석을 달리 하니, 이제부터 간지와 음양오행의 기본 개념으로 들어 갑니다.











壬辛乙丁

辰未巳亥


이 사주에서 위에 있는 壬 辛 乙 丁을 위에 있다하여 天干이라 하고,

辰 未 巳 亥를 밑에 있다하여 地支라고 한다. 그러면 이 둘을 일러 干支라고 하는데, 干은 10개가 있어 10干이라 하고, 支는 12개가 있어 12支라고 한다. 

십간(十干)이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의 10가지를 일컫는다. 

십이지(十二支)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이다.

이 십간과 십이지를 결합하면 10과 12의 최소공배수인 60개의 가지를 만들 수 있는데 이를 육십갑자(六十甲子), 줄여서 육갑(六甲) 등으로 부른다.


60甲子의 배열

순서 ------------------- 60 甲子 -------------------- 空亡

갑자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戌亥


갑술 甲戌 乙亥 丙子 丁丑 戊寅 己卯 庚辰 辛巳 壬午 癸未

----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申酉


갑신 甲申 乙酉 丙戌 丁亥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午未


갑오 甲午 乙未 丙申 丁酉 戊戌 己亥 庚子 辛丑 壬寅 癸卯

----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辰巳


갑진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 壬子 癸丑

----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寅卯


갑인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

----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子丑




이 60개의 간지로써 태어난 해와 월, 일 그리고 시를 나타내며 이와 같이 년(年)을 표시하는 간지를 세차(歲次)라 하고, 월(月)을 표시하는 간지를 월건(月建)이라 하며, 일(日)을 표시하는 간지를 일진(日辰)이라 한다. 우리가 가끔씩 “오늘의 일진이 어떠하다”는 말은 오늘의 운수가 그렇다는 말이다


위의 표에서 갑자로 나아가는 60갑자의 순서에서 10개의 천간과 10개의 지지가 배합을 하고 나니 지지에서 戌과 亥가 천간과 결합할 수가 없어 비었다는 뜻의 공망(空亡)이라고 한다. 본인의 태어난 날을 기준으로 보는 것이니 위의 사주의 주인공은 신미 일에 태어났으므로 술해를 공망이라한다. 본인이 경자일에 태어났으면 진사가 공망이다. 가끔 명리학을 공부하다보면 공망이라는 말이 나오는데 이러한 의미라는 것만 알아두고 이 이후로는 쓰일 일이 전혀 없으므로 잊어 버려도 되겠다.


사주의 구성은 이렇게 간지의 8글자로만 되어 있는데 이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이 간지들의 음양오행의 배속 및 그 상호 작용에 따라 해석함이니 이제부터 저 간지들의 음양오행적 특성과 그리고 동양철학의 기본이며 명리학의 기초가 되는 음양오행에 대하여 알아 보기로 하자








음양오행의 깊이 있는 내용은 추후에 공부하거나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그 상관관계나 변화의 내용을 살펴보시길 바랍니다.

음양사상은 동양학의 기본으로서 음양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다.

1. 대립성 : 반대의 성질

2. 상대성 : 절대적 음양은 존재하지 않음

3. 의존성 : 대립속의 융화

4. 일원성 : 완전히 나눌 수 없음

5. 역동성 : 변화하려는 성질

6. 이중성 : 관점에 따라 달라짐

이의 구체적 내용은 스스로 체득하도록 한다. 여기서는 천간과 지지의 음양에의 배속을 나타내 드립니다.


陽의 천간 : 甲 丙 戊 庚 壬

陰의 천간 : 乙 丁 己 辛 癸


여기서 본인의 사주에서 본인을 나타내는 일간이 양의 천간인지 음의 천간인지를 보자. 그 천간이 무엇인지에 따라 본인이 성정이 양적인지 음적인지를 알 수 있다. 

본인의 일간이 양이면 음에 비하여 적극적, 미래지향적이며 이성적이라기 보다는 감정적인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반대로 본인의 일간이 음이면 양에 비하여 소극적, 과거집착적이며 감정적이라기 보다는 세심하고 이성적인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간하나만을 두고 관찰한 것으로서 일간 주위의 간지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그 성정이 판이하게 달라 질 수도 있으니 반드시 참고 하여야 한다. 


陽의 지지 : 子 寅 辰 午 申 戌

陰의 지지 : 丑 卯 巳 未 酉 亥


천간과 지지가 합쳐서 간지를 만드는데 여기서 보는것과 같이 양의 천간은 양의 지지와 합하고, 음의 천간은 음의 지지와 합하여 각각의 천간이 6개의 지지와 합하여 60개의 간지를 만들게 된다.


 






천간지지의 음양의 배속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으나 이제부터 배속되는 오행의 배속은 중요하면서도 음양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래서 항상 음양오행이라고 하는 말은 같이 따라 붙어 다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음양과 오행을 검색하시거나 음양오행을 검색하시어 사유의 깊이를 더하시기를 바랍니다.

오행이란 木 火 土 金 水의 다섯 가지의 우주의 구성 요소를 말함이나 명리학에서는 그 오행의 성정을 중시한다.

목의 기운은 뻗어 나가는 성정, 화의 기운은 폭발하는 성정, 토의 기운은 조화롭게 조절하는 성정, 금의 기운은 수렴하는 성정, 수의 기운은 응집하는 성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물질적 대입이나 기질 등은 다양하게 해석이 된다.


천간의 오행의 배속


양간 음간 오행 계절 --- 위치 

갑 -- 을 -- 목 - 봄 --- 동

병 -- 정 -- 화 - 여름 -- 남

무 -- 기 -- 토 - 사계절-중앙

경 -- 신 -- 금 - 가을 -- 서

임 -- 계 -- 수 - 겨울 -- 북


지지의 오행의 배속


지지 계절 - 오행 - 띠 음양

자 -- 겨울 - 수 - 쥐 -- 음

축 -- 환절기 토 - 소 --음

인 -- 봄 -- 목 -- 호랑이 양

묘 -- 봄 -- 목 -- 토끼 - 음

진 -- 환절기 토 - 용 -- 양

사 -- 여름 - 화 - 뱀 -- 양

오 -- 여름 - 화 - 말 -- 음

미 -- 환절기 토 - 양 -- 음

신 -- 가을 - 금 - 원숭이 양

유 -- 가을 - 금 - 닭 --- 음

술 -- 환절기 토 - 개 -- 양

해 -- 겨울 - 수 - 돼지 -- 양


여기서는 도표가 상당히 복잡해 졌다. 이 고비를 잘 넘겨야 명리학의 기본을 알 수 있게 된다. 보기에는 복잡해도 지지를 다시 인묘진,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으로 봄 여름 가을 겨울 별로 외우면 쉽게 파익이 되리라 믿는다. 마지막의 음양에 있어서는 앞장의 지지의 음양과 다른 것이 몇 개 있는데 이것은 水와 火에 해당하는 子와 亥, 巳와 午로서 體는 비록 양이나 음이라도 用은 그 반대이니 명리학에서는 그 쓰임을 보는 학문이라 체 보다도 용을 쓰는 것이다.


여기서는 마지막으로 천간 지지의 구성과 오행의 배속에 관해서 다시 한번 정리를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대충의 이해와 본인의 사주와의 대입에서 각각의 글자가 어느 오행이며 음인지 양인지를 확인해 보시는 것이 도음이 되겠습니다. 그리하여 본인의 사주에 양이 몇 개이며, 음이 몇 개인지 또는 오행의 각각이 몇 개씩 있는지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우리의 주인공의 사주에서 찾아 보겠습니다

주인공의 사주는 


壬辛乙丁

辰未巳亥


壬 : 양 수

辛 : 음 금

乙 : 음 목

丁 : 음 화

辰 : 양 토

未 : 음 토

巳 : 양 화

亥 : 양 수


따라서 이 사주는 양이 4개, 음이 4개로 거의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목이 1개, 화가 2개, 토가 2개, 금이 1개, 수가 2개 총 2개로 목화토금수가 골고루 모여 있는 사주입니다.

본인의 사주 구성은 어떤지 지금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地支와 支藏干


12개의 지지를 외울 때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로 일반적으로 외우나, 계절별로 인묘진 사오미 신유술 해자축 으로 외우는 방법도 있고, 앞계절의 4 글자만으로 인신사해, 중간의 4 글자만으로 자오묘유, 마지막 계절의 4 글자만으로 진술축미라고 외우는 여러 가지가 있다.

다음에 설명할 지지의 3합을 고려하여 인오술, 신자진, 사유축, 해묘미등 이러한 지지의 배합은 입에서 저절로 외워져야 한다.


그러나 사주의 구성에서 일간과 나머지 글자와의 관계를 해석하는 것이 사주의 풀이라고 할 때에, 지지와의 관계를 따질 때에는 우리는 지지 속에 숨어 있는 천간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12개의 지지 속에는 1개 또는 2개 또는 3개의 천간이 속에 숨어 있으니, 이를 일러 지장간이라고 한다. 지장간에 대하여도 따로 인터넷에서 검색하시어 공부하도록 권해 드립니다. 그러나 속 깊은 사정은 거기서 이해를 하시더라도 각지지속에 숨어 있는 지장간은 아래와 같다고 간단하게 생각하시길 바랍니다.


地支 地藏干

子 - 癸(1.0)

午 - 丁(1.0)

卯 - 乙(1.0)

酉 - 辛(1.0)


寅 - 甲(0.7)丙(0.3)

申 - 庚(0.7)壬(0.3)

巳 - 丙(0.7)庚(0.3)

亥 - 壬(0.7)甲(0.3)


辰 - 戊(0.5)乙(0.2)癸(0.3)

戌 - 戊(0.5)辛(0.2)丁(0.3)

丑 - 己(0.5)癸(0.2)辛(0.3)

未 - 己(0.5)丁(0.2)乙(0.3)


그러면 이제부터 본인의 사주에서 지지는 어떠한 지장간이 숨어 있는지를 살펴 봅시다. 우리의 주인공의 사주에서는 지지가 진미사해로 되어 있으므로 아래와 같이 지장간이 각각의 지지에 숨어 있습니다


壬-----辛-----乙-----丁

辰-----未-----巳-----亥

戊(0.5)己(0.5)丙(0.7)壬(0.7)

乙(0.2)丁(0.2)庚(0.3)甲(0.3)

癸(0.3)乙(0.3)












작성자

bupsung

[작성일 : 2007-06-17 22:22:24 ]   

홈페이지

http://bupsung.com

제 목

오행의 상생과 상극

사주 해석을 위한 거의 마지막 단계의 준비과정입니다. 이와 더불어 천간과 지지의 합과 충을 연구하고 나면 비로소 사주의 분석에 들어 갈수 있습니다. 오행의 상생과 상극은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계속 공부하시기를 바랍니다.

오행의 서로간의 관계는 상생과 상극으로 대표됩니다. 나아가 오행의 상승(相乘)이나 상모(相侮)등의 관계를 논하는 경우도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하고 크게 영향을 미치는 내용도 아니고 상생과 상극만 알아도 함께 유추가 되는 내용이라 논하지 않습니다.


오행의 상생은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金生水, 水生木으로 외우기 쉽게 물질적인 개념을 쓰기도 합니다. 나무는 불을 생하며, 불은 타고나면 재가되어 흙을 생하며, 흙은 그 속에 바위나 금속을 생하며, 바위 속에서 물을 생하며, 물은 나무를 생합니다. 어떤 비유를 쓰던지 간에 그 비유는 오행의 상생을 설명하는 비유이지 딱 맞아 떨어지는 비유나 설명은 보기 어렵습니다. 여기에서 생이라 하면 어머니가 자식을 낳는 것처럼 거의 무조건적인 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나를 나타내는 일간이 목인데 주위에 화가 많으면 내가 생하여줘야 하는 오행이 많으므로 나는 힘이 빠지게 됩니다. 반대로 일간인 내가 목인데 주위에 수가 많이 있으면 나를 도와주는 힘이 많아 내가 힘이 넘치게 됩니다.


그러면 우리의 주인공의 상황을 오행의 상생의 관점에서 보겠습니다


時 日 月 年

壬 辛 乙 丁

辰 未 巳 亥


일간 신금의 입장에서 보면 금생수로서 일간은 시간의 임수와 년지의 해수를 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지의 미토와 시지의 진토는 토생금으로 일간을 생해주고 있습니다. 

나머지의 간지를 살펴보면 월간의 을목은 월지의 사화와 연간의 정화를 생해주고 있으며, 연간의 정화와 월지의 사화는 화생토로서 일지와 시지인 미토와 진토를 생해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생의 관계는 다음의 극과 함께 일간의 강약을 저울질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오행의 상극은 목극토, 토극수, 수극화, 화극금, 금극목으로서 나무는 땅을 파고 들며, 흙은 제방으로 물을 가두며, 물은 불을 끄며, 불은 쇠를 녹이며, 쇠 도끼는 나무를 자릅니다. 이러한 비유 또한 오행의 상극을 설명하는 하나의 방편에 지나지 않습니다.

상극의 개념 속에는 비록 목이 토를 극하나 나무는 흙에 뿌리를 박고 있듯이 상극이라는 개념 자체에도 생의 의미가 들어 있어 오묘한 상생상극의 관계는 추후 깊이 공부하시기를 바란다.


본인의 사주에서의 극관계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살펴 보시기를 바랍니다. 우리의 주인공의 사주를 다시 극 관계에서 분석해 봅니다


時 日 月 年

壬 辛 乙 丁

辰 未 巳 亥


이 사주에서는 년간 정화와 월지의 사화는 일간 신금을 극하고 있으며, 일간 신금은 월간 을목을 극하고 있으며, 월간 을목은 일지 시지의 미토와 진토를 극하고 있으며, 미토와 진토는 시간의 임수와 년지의 해수를 극하고 있으며, 해수와 임수는 정화와 사화를 극하고 있습니다.


이로 미루어 종합하여 보면, 일간 신금은 미토와 진토의 생을 받으며, 임수와 해수를 생해주고 있으며, 을목을 극하면서 정화와 사화의 극을 받고 있습니다. 사주의 해석은 이것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니 이제부터 사주의 분석을 위한 문턱에 올라 왔습니다











작성자

bupsung

[작성일 : 2007-06-21 00:03:21 ]   

홈페이지

http://bupsung.com

제 목

천간의 합과 충


명리학을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천간지지도 어려운데 거기다가 음양오행이 나오고 지장간도 알아야 되고, 이건 또 무엇인지 천간의 합과 충이 나온다. 그러면 지지의 합과 충도 있을 터인데 언제까지 이러한 것과 씨름을 해야만 사주를 분석한다는 말인가? 

사주를 분석하는 명리학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겠다고 마음먹고는 책을 사서 공부를 시작하였으나 이러한 준비 단계가 너무 많아서 많은 초학자들이 중도에서 명리학 공부를 포기하는 게 아닌가 싶다. 처음 명리학을 배울 때에는 이러한 난관을 극복해야만 한다. 그 극복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이러한 기초 원리는 명리학을 공부하는 한 계속적으로 나오는 것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이러한 원리가 있다는 것만 알아 두고 천천히 외우던지 아니면 공부하는 중에 자연히 외워지게 되어 있으니 걱정말고 넘어 가기를 당부 드립니다. 중간 중간에 이러한 원리는 사주를 분석하면서 계속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천간의 합을 알아 봅니다.


甲己合土

乙庚合金

丙辛合水

丁壬合木

戊癸合火


여기서 합이란 말은 갑목이 기토를 만나면 합을 하여 토로 변한다는 말이며, 을목은 경을 만나면 금으로 변하고, 병화와 신금은 서로 만나서 물로 변하고, 정화와 임수가 만나면 목으로 변하고, 무토와 계수가 만나면 화로 변한다는 말입니다.

이러한 의미로만 일단 받아들이시고 합하여 무엇으로 변한다는 것에는 아직 큰 비중을 두지 마시고, 그냥 저런 두 개의 천간은 서로 만나면 좋아서 잘 뭉친다고만 이해를 하시기 바랍니다. 그리하여 저렇게 합을 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원만하거나 안정적일 수도 있고, 자기 본래의 천간의 역할을 잊어버린다거나, 서로 긴밀하게 접착한다거나, 본래 자기의 능력을 발휘하기가 어려워진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사주에서는


時 日 月 年 

甲 丁 壬 壬 

辰 卯 寅 戌 


일간 정화가 월간의 임수와 합을 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정화가 임수와 합을 하여 목으로 변하는 것은 아니고, 정화가 사주의 어느 간지보다도 우선적으로 월간의 임수로 마음이 움직이고 있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그것의 해석은 추후로 잠시 미룹니다.


다음으로 천간의 沖에 관하여 알아 봅니다. 천간의 甲乙丙丁은 자기의 천간에서 일곱 번째로 오는 천간과 沖을 합니다. 


甲庚相沖

乙辛相沖

丙壬相沖

丁癸相沖


여기서의 충은 극하는 관계입니다. 그러나 천간의 극관계에서 유독 위의 갑경, 을신, 병임, 정계는 서로 충을 하기 때문에 두 천간이 만나면 안정적이지 못하고 억압이 된다거나 때로는 사주의 배합에 따라 본래의 능력을 나타낼 수 있음을 나타냅니다.


우리가 분석하고 있는 사주의 주인공의 사주에서 천간의 충을 찾아 봅니다

時 日 月 年

壬 辛 乙 丁

辰 未 巳 亥


이 사주에서는 일간 辛金이 월간의 乙木과 서로 충을 하고 있습니다. 이로 미루어 이 사주의 주인공은 월간 을목이 바로 옆에서 충을 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안정적이지 않을 거라고 유추할 수가 있습니다.













bupsung

[작성일 : 2007-07-07 00:01:40 ]   

홈페이지

http://bupsung.com

제 목

지지의 합과 충



지지의 합은 천간의 합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천간은 10개라서 합이 5개 밖에 없지만 지지는 12개라서 합도 육합이 있으며 충도 6개가 있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지지의 3개가 모여 만드는 방합과 삼합이 있고, 삼합에서 두 개의 지지만으로 합이되는 반합이 있습니다.

지지에서는 서로 부딪히는 충 외에 형 파 해 등이 있으나 중요한 것만 한 두개 언급하고 중요성이 덜하거나 몰라도 사주를 분석하는데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은 추후 필요시에 다시 언급하도록 하겠습니다.


방합


먼저 지지의 방합이란 계절의 합을 말합니다.

인묘진(인묘진) 동방 목국

사오미(사오미) 남방 화국

신유술(신유술) 서방 금국

해자축(해자축) 북방 수국

사주의 지지에 이러한 계절의 기운이 3개가 모여 있으면 마지막에 있는 진미술축의 토는 자기의 본래 성질인 토의 기운을 망각하고 계절의 기운으로 변하여 아주 강한 목 화 금 수의 기운을 띄게 됩니다. 이 경우에도 앞에 있는 두 글자 중의 하나가 가급적 월지에 있어야 방합이 완벽하게 성립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삼합


삼합이란 계절의 처음 기운인 인신사해가 왕한 계절인 자오묘유와 합하여 그 기운을 모으고 저장하는 진술축미와 3개의 지지가 서로 합하여 목 화 금 수국을 이룬다 하여 삼합이라 합니다.

해묘미(해묘미) 목국

인오술(인오술) 화국

사유축(사유축) 금국

신자진(신자진) 수국

여기서 해는 목의 생지라고 하며, 묘는 목의 왕지, 미는 목의 고지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인은 화의 생지이며, 오는 화의 왕지, 술은 화의 고지라고 합니다. 여기서 고지는 창고의 의미로 목화금수의 기운을 창고에 모아둔다는 의미입니다.

삼합의 의미는 매우 중요합니다. 이러한 지지가 3개가 모여 삼합을 이루게 되면 생지와 고지에 있는 지지는 중간에 있는 왕지의 성격으로 변하기 때문에 사주의 해석에 있어서 아주 조심해야 됩니다. 

그리고 왕지와 생지 즉 묘와 해, 왕지와 고지 즉 묘와 미도 합을 이루어 목의 성질을 띄게 되니 삼합에 비하여 반합이라고 합니다.


반합


따라서 반합이란 왕지와 생지, 왕지와 고지의 합을 말합니다.

해묘 반합, 묘미 반합

인오 반합, 오슬 반합

사유 반합, 유축 반합

신자 반합, 자진 반합

위에서 보듯이 반합이 형성되려면 반드시 왕지는 포함이 되어야 합니다.


지지의 육합


12개의 지지가 두 개씩 짝을 이루어 합을 하니 이를 육합이라고 한다. 육합은 지구의 자전에서 나왔다고도 하나 근거는 미약하고 천간의 합처럼 지지에서 합이 일어난다고 보면 되겠다. 이것 역시 둘이 합한다고는 하나 다른 성질로 변하는 것이 아니고 그냥 두 개의 지지가 서로 묶인다고 보는 편이 나을 것이다. 어떤 분들은 이 육합 마져도 그리 신빙성 있게 보지 않는 명리학자들도 많다.


자축 합토

인해 합목

묘술 합화

진유 합금

사신 합수

오미 합무화

마지막의 오미는 합하더라도 화로 변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지지의 충


지지의 충에는 6가지가 있는데 생지인 인신사해의 충이 있고, 왕지인 자오묘유의 충이 있으며, 고지인 진술축미의 충이 있다.

인신충

사해충

자오충

묘유충

진술충

축미충

여기서 인신사해는 생지충으로서 어린애들의 싸움으로 비유가 되고, 자오묘유의 충은 왕지충으로서 둘의 싸움이 치열하며, 진술축미는 같은 토의 충으로서 친구들과의 싸움이라하여 붕충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충의 지지는 서로 같이 옆에 붙어 있을 때에만 성립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으며, 사주에 이러한 충이 있으면 그 본래의 지지의 성질이 현저히 감소되거나 거의 사라진다고 보아도 되겠다.


이로써 천간과 지지에서 일어나는 간지의 합과 충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당장 외우기가 힘드니 이러한 것들이 사주를 해석하는데 아주 중요한 단초가 된다는 것만이라도 인식하고, 또 이러한 간지의 합과 충이라는 것이 있다는 것을 알고 넘어 가면 되겠다. 어느 사주를 분석하던지 간에 이러한 천간과 지지의 합은 반드시 나오기 때문에 공부를 하다보면 자연적으로 외워지게 된다.


그러면 여러분들의 사주에서도 지지의 합과 충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우리의 주인공의 사주에서 지지의 합과 충을 알아 봅니다


時 日 月 年

壬 辛 乙 丁

辰 未 巳 亥

이 주인공의 사주에서는 눈에 띄는 게 년지 해와 월지 사의 충입니다.

이럴 경우 사주에서는 년지와 월지가 서로 충을 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지지에서의 눈에 띄는 합은 없으나 저번에 배운 지장간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의 지장간 : 임 갑

사의 지장간 : 병 경

미의 지장간 : 을 정 기

진의 지장간 : 을 계 무

위에서 보면 년간 정화는 해중의 임수와 합을 하고, 월간 을은 사중의 경금과 합을 하며, 일간 신은 월지 사중의 병화와 병신합을 합니다.

시간의 임수는 일지 미토중의 정화와 합을 하고, 년지 해중 갑목과 임수는 일지미토의 지장간 기토와 정화와 합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듯이 천간과 지장간, 또는 지장간 끼리의 합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지지의 지장간에 숨어 있는 간합이라 하여 일명 암합이라고 부릅니다.











작성자

bupsung

[작성일 : 2007-07-29 01:53:10 ]   

홈페이지

http://bupsung.com

제 목

십신(十神)이란?

- 십신(十神)이란?


사주를 분석하는 것이 일간(나)과 다른 일곱 개의 간지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며, 여태껏 우리는 그 간지들의 음양오행적 성격과 그 배속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하여 일간과 나머지 간지와의 관계를 고려하여 각각의 관계마다 그 이름을 붙인 것을 십신이라고 한다. 이는 그 관계에 따라 10가지의 형태로만 존재하기 때문이며, 십성 육신 또는 육친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일간은 천간의 10개 중의 하나일 것이며, 나머지는 어떠한 형태로든 일간을 생하든지, 일간이 생을 하든지, 일간이 극을 하든지, 일간을 극하든지 아니면 일간과 같은 오행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그 각각의 관계를 아래와 같은 10개의 이름으로 불리는바 이것은 명리학의 꽃이라고 할 만큼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비견(比肩) : 일주(日主)와 음양과 오행이 같은 것 

겁재(劫財) : 일주(日主)와 음양이 다르고 오행이 같은 것

식신(食神) : 일주(日主)가 생해주고 음양이 같은 것

상관(傷官) : 일주(日主)가 생해주고 음양이 다른 것

정재(正財) : 일주(日主)가 극하고 음양이 다른 것

편재(偏財) : 일주(日主)가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것

정관(正官) : 일주(日主)를 극하고 음양이 다른 것

편관(偏官) : 일주(日主)를 극하고 음양이 같은 것

정인(正印) : 일주(日主)를 생하고 음양이 다른 것

편인(偏印) : 일주(日主)를 생하고 음양이 같은 것


그러면 각 천간과의 십성관계를 도표로 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십성비견겁재식신상관편재정재편관정관편인정인

甲--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乙--乙--甲--丁--丙--己--戊--辛--庚--癸--壬

丙--丙--丁--戊--己--庚--辛--壬--癸--甲--乙

丁--丁--丙--己--戊--辛--庚--癸--壬--乙--甲

戊--戊--己--庚--辛--壬--癸--甲--乙--丙--丁

己--己--戊--辛--庚--癸--壬--乙--甲--丁--丙

庚--庚--辛--임--癸--甲--乙--丙--丁--戊--己

辛--辛--庚--癸--壬--乙--甲--丁--丙--己--무

壬--壬--癸--甲--乙--丙--丁--戊--己--庚--辛

癸--癸--壬--乙--甲--丁--丙--己--戊--辛--庚


다음에는 각각의 지지와의 십성관계를 도표로 표시해 보자.

십성비견겁재식신상관편재정재편관정관편인정인

甲--寅--卯--巳--午--辰戌丑未--申--酉--亥--子

乙--卯--寅--午--巳--丑未辰戌--酉--申--子--亥

丙--巳--午--辰戌丑未--申--酉--亥--子--寅--卯

丁--午--巳--丑未辰戌--酉--申--子--亥--卯--寅

戊--辰戌丑未--申--酉--亥--子--寅--卯--巳--午

己--丑未辰戌--酉--申--子--亥--卯--寅--午--巳

庚--申--酉--亥--子--寅--卯--巳--午--辰戌丑未

辛--酉--申--子--亥--卯--寅--午--巳--丑未辰戌

壬--亥--子--寅--卯--巳--午--辰戌丑未--申--酉

癸--子--亥--卯--寅--午--巳--丑未辰戌--酉--申


이러한 간지간의 관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눈에 그 속성이 들어오게 되니 지금은 걱정 말고 하나하나씩 대입해서 연습하도록한다.

그럼 우리의 주인공의 사주에서는 어떤 이름이 나타나는지 보자.

여러분도 본인의 사주를 펴 놓고 각각의 간지가 어떠한 이름을 갖는지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주인공의 사주는 일간이 신금입니다 

時 日 月 年

壬 辛 乙 丁

辰 未 巳 亥


그러면 연간의 정화는 위의 표에서 편관이며, 월간의 을목은 편재이며, 시간의 임수는 상관입니다.

지지를 보면 년지인 해수는 상관이며, 월간의 사화는 정관이며, 일지인 미토는 편인이며, 시지인 진토는 정인입니다.


한눈에 볼수 있도록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時 日 月 年

상관 나 편재 편관

壬 辛 乙 丁

辰 未 巳 亥

정인 편인 정관 상관


따라서 이 사주에서는 비견과 겁재는 없고, 식신도 없으며, 상관은 2개. 정재는 없고 편재가 1개, 정관과 편관이 1개씩, 그리고 정인과 편인이 1개씩 있어 전부 7개의 십신이 됩니다.

이러한 사주의 분석은 천천히 하도록 하고, 지금부터 이러한 사주가 갖는 형태에 대하여 명리학을 하시는 분들이 어떻게 말씀하시는 지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사주를 분석함에 있어서도 똑같이 응용이 되니 무슨 말인지를 알아야 이해가 되실 겁니다.

위의 사주에서는 위치에 따라서 년간에 편관이, 년지에 상관이 있다고 하고, 월간에 편재 그리고 중요한 월지에 정관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일지에는 편인이 있다고 하며, 시간에 상관, 시지에 정인이 있다고 합니다.

본인들의 사주에서는 위치에 따라 어떠한 십성이 있는지 찾아 보도록 합시다.







작성자

bupsung

[작성일 : 2007-08-18 20:47:01 ]   

홈페이지

http://bupsung.com

제 목

십신의 개념

이제부터는 이러한 십신의 특성과 개념을 공부합니다. 사주 여덟 자에 배치된 이러한 십신의 상호작용에 의한 의미나, 나열된 형상에 따른 십신의 의미는 조금씩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이러한 십신이 하나하나씩 그 나름대로 갖는 의미를 알아봅니다.

이것으로 말미암아 사주는 그 의미를 하나씩 드러내게 되며, 전체적인 사주의 윤각 및 심리상태, 주변 환경 그리고 인간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게 됩니다.

그러면 하나하나의 십신에 관하여 그것의 일간 본인과의 관계, 인간관계, 심리상태 그리고 상징되는 사물 등에 관하여 알아봅니다.


1) 정인(正印)


정인은 일간인 나를 생해주는 성분으로서 음양이 서로 다른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다르므로 유정(有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에게 힘을 준다, 일간을 교육시킨다, 일간을 도와준다, 일간이 받 아들인다.


0 인간관계

남녀 모두에게 어머니(모친)가 된다. 여성에게는 조부, 사위, 손자가 되며, 남성에게는 외손자등이 된다. 가족관계 이외의 인간관계로는 정 신적인 스승이나 신앙,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 윗사람 등이 되겠다


0 심리상태

수용성, 보수적, 직관력, 피동적, 긍정적, 유순함, 나태함, 자비심 등.


0 상징적 사물

살아가는데 필요한 의, 식, 주. 교육에 관련된 용품이나 학문등. 토지, 국가, 도장, 문서 등


이처럼 정인은 나를 생해주는 성분으로 모친을 의미하며, 위에서와 같은 사물이나 성정을 띄고 있으니, 사주에서 정인이 있어 좋은 역할을 한다면 성품이 온화하고 교육을 잘 받으며, 자비심등을 갖추는 등 좋은 작용을 한다. 그러나 사주에 정인이 하나도 없다거나 아니면 너무 많이 있으면 또 다른 의미가 있으며, 이때에도 그 외의 십신들이 어떻게 포진하고 있느냐에 따라 해석이나 통변이 달라진다.


2) 편인(偏印)


정인은 일간인 나를 생해주는 성분으로서 음양이 서로 같은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같으므로 무정(無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에게 힘을 준다, 일간을 교육시킨다, 일간을 도와준다, 일간이 받 아들인다 등과 같이 정인과 거의 대동소이한 관계이다. 그러나 편인은 받아들이 면서도 부정적인 의심을 내포한다. 


0 인간관계

남녀 모두에게 계모가 된다. 또는 양부모도 되겠다. 남자에게는 조부 나 외손, 여성에게는 손녀가 된다. 가족관계 이외에는 본인의 종교적 인 지도자나 점성술가 등이 되겠다.


0 심리상태

신비한 것의 수용성, 피동적, 괴팍함, 고독함, 표현하지 않음.


0 상징적 사물

종교와 관련된 용품 및 서적등, 의료에 관련된 용품이나 기관등, 

철학이나 오술에 관련된 것.


편인은 이처럼 나를 낳았으나 생모가 아니므로 계모나 처첩 등의 다른 이름으로 불리나 정인이 없으면 그대로 편인을 모친으로 본다.

편인도 위에서 보다시피 사주 내에서 좋은 역할을 할 때에는 신비한 것에 대한 수용성이 뛰어나 종교 지도자가 된다거나, 의사나 약사처럼 의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 또한 사주 내에 없다거나 아니면 사주 내에 너무 많아 나쁜 해석을 할 때도 다른 간지와의 관계를 살펴야 한다.


3) 비견(比肩) 


비견은 일간인 나와 같은 오행으로서 음양이 서로 같은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같으므로 무정(無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을 자극한다, 일간이 독립되게 한다, 일간이 굳건하게 한다, 일간 이 용맹하게 한다


0 인간관계

형제, 자매, 남성의 고모부, 동성의 친구, 동업자, 경쟁자 등.


0 심리상태

주체성, 독립성, 자존심, 독단적, 용맹성, 도량이 넓다, 


0 상징적 사물

일간을 키워 주는 것, 운동기구, 골격, 전신주등


비견은 나와 오행이 같고 음양도 같으므로 일반적으로 형제지간이나 가까운 관계를 나타낸다. 비견은 사주 상에서 주변의 도움이나 주체성 등을 의미하나 비견이 너무 많거나 나쁜 작용을 할 때에는 친구의 배신이나 파산 관재구설 등이 생길 수 있으니 잘 살펴야 한다.


4) 겁재(劫財)


겁재는 일간인 나와 같은 오행으로서 음양이 서로 다른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다르므로 유정(有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을 움직여 비교하게 한다, 일간의 재물을 해친다, 일간을 도와준 다, 


0 인간관계

형제, 자매, 시아버지, 며느리, 친구, 경쟁자등


0 심리상태

경쟁성, 질투심, 독립심, 용맹, 충동성, 재물 경시, 독선, 흉폭


0 상징적 사물

일간을 보조해 주는 것, 의수족, 건강관리기구 등


겁재란 나와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것이니 비견과 같이 형제 친구를 나타내나 이름에서 보듯이 재물을 겁탈해 가는 성정이 있으니 예부터 흉신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사주에서 좋은 역할을 할 경우 주체성과 경쟁심을 갖추어 주나 흉한 작용을 할 경우에는 재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니 재물과 아내의 피해를 잘 살펴야 한다.


5) 식신(食神) 


식신은 일간인 내가 생하는 성분으로서 음양이 서로 같은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같으므로 무정(無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이 솔직하게 표현한다, 일간이 생각을 깊게 한다, 호기심과 창의 성이 있다 


0 인간관계

여자의 자식, 장모, 남자의 사위, 손자, 제자등


0 심리상태

명랑 낙천, 융화, 궁리 연구, 담백함, 상상력, 호기심, 자부심 


0 상징적 사물

연구실, 전문적인 생산실, 전문 기술, 새로운 제품 등


식신은 일간인 내가 생하는 성분이면서 음양이 같은 것이니 여자에게는 자녀를 의미한다. 이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복을 의미하고 성정으로는 연구와 궁리에 뛰어남을 의미한다. 길한 작용을 할 때에는 식욕이 좋아져 신체가 풍만해지고, 성적과 실적이 좋아지나, 흉한 작용을 할 때에는 건강문제나 관재 가정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6) 상관(傷官)


상관은 일간인 내가 생하는 성분으로서 음양이 서로 다른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다르므로 유정(有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을 주장 표현한다, 일간이 호기심이 많다, 일간이 과시한다, 


0 인간관계

여자의 아들, 외조부, 손녀, 장모, 제자 등


0 심리상태

재능, 사교성, 표현 변론, 과장, 자기주장, 낭만, 참견 등


0 상징적 사물

예술품, 명품, 창조품, 웅변, 노래 등


상관은 일간이 생하면서 음양이 다르다. 일반적으로 일간의 능력을 표출하는 것으로 보든가 여자에게는 자식으로도 본다. 상관은 글자에서 보듯이 관성을 해친다. 그래서 예부터 상관도 흉한 것으로 분류 되었으나, 시대가 바뀐 요즈음에는 뛰어난 예술적인 감각이나 언변으로 예능직에 진출해 남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상관이 좋은 역할을 할 경우 영리하고 교육 예술 문화계통에 성공을 하며, 나쁜 작용을 할 경우에는 남편을 깔본다든가 시비구설이나 송사가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모든 사주에서 상관의 운은 항상 조심해야 한다.


7) 편재(偏財) 


편재는 일간인 내가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서로 같은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같으므로 무정(無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이 통제하고 관리한다, 일간이 재물에 집착하지 않는다, 일간이 조급하다, 


0 인간관계

부친, 시어머니, 올케 등


0 심리상태

통제와 조급함, 입체감, 활동적, 재물에 집착하지 않음


0 상징적 사물

횡재, 복권, 설계도구, 공구나 지도 등


편재는 일간이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같은 것을 말한다. 내가 무정하게 극하는 것으로서 남녀 모두에게 아버지를 뜻한다. 남자에게는 또한 부인이나 애인을 뜻하기도 한다. 편재는 재물을 뜻하지만 일확천금이나 투기적 재물을 의미하며, 좋은 역할을 할 경우에는 결혼이나 사업의 확장 복권의 당첨 등이 되나, 나쁜 역할을 할 경우에는 손재수나 파산 도산 사기 등을 당할 수가 있으니 조심하여야 한다.


8) 정재(正財)


정재는 일간인 내가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서로 다른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다르므로 유정(有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이 꼼꼼하게 관리한다, 일간이 재물을 중시한다, 일간이 낭비를 싫어하고 근검절약 한다. 


0 인간관계

부인, 애인 등


0 심리상태

치밀하게 통제 관리함, 인색함, 신용 책임 성실, 


0 상징적 사물

재산, 보석, 신체, 


정재는 일간이 극하는 오행으로서 나와 음양이 다른 유정한 관계이다. 남자에게는 일반적으로 부인을 뜻하며, 일간의 정당한 노력에 의해 획득된 재물을 뜻한다. 정재가 좋은 역할을 할 경우에는 처덕이 있으며, 신규 사업을 하거나 신용과 책임감 성실함이 있으나, 나쁜 역할을 할 경우에는 공직으로부터의 퇴직이나 금전적인 문제로 고통을 받을 수도 있다.


9) 편관(偏官) 


편관은 일간인 나를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서로 같은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같으므로 무정(無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을 압박한다, 일간이 참고 희생한다, 일간에게 매섭게 해친다


0 인간관계

남편, 아들, 매형, 여자의 며느리, 직장의 상사 등


0 심리상태

공포와 열등감, 권위와 명예, 희생과 봉사심, 인내심


0 상징적 사물

전쟁 재난 질병 시체 귀신 


편관은 나를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같은 것이다. 일명 칠살이라고도 하는데, 남자에게는 자식이나 여성에게는 남편이나 정부를 뜻하기도 한다. 성정은 때때로 흉폭함이나 완강한 면도 있으나, 식신이 있어 잘 다스려지면 흉폭함이 덜하다. 사주에서 좋은 역할을 할 경우에는 결혼이나 취업 승진 합격 등의 좋은 일이 일어나나, 나쁜 역할을 할 경우에는 파산 불화 관재 실직등의 흉한 작용도 일어난다


10) 정관(正官)


정관은 일간인 나를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서로 다른 성분이다. 

음양이 서로 다르므로 유정(有情)하다고 할 수 있다.


0 일간과의 관계

일간이 충성을 하며 법을 지킨다, 일간이 객관적이고 합리적이다


0 인간관계

남편, 여자의 형부, 남편의 형제, 남자의 자녀 등


0 심리상태

충성과 책임감, 이성적이고 합리적임, 신용과 명예심


0 상징적 사물

법조문, 규율하는 모든 것, 관리의 직위 


정관은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서 음양이 다르니 나와 관계가 유정한 편이다. 남자에게는 자식이며 여자에게는 남편이 된다. 사주에서 좋은 역할을 할 경우에는 결혼이나 취업 합격 승진 등의 좋은 일이 많으나, 나쁜 역할을 할 경우에는 관재나 질병 좌천 등의 흉한 암시를 잘 읽어야 할 것이다.









게시판에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작성자

bupsung

[작성일 : 2007-09-09 15:31:24 ]   

홈페이지

http://bupsung.com

제 목

대운과 세운

대운이란 한마디로 각각의 개인에게 10년마다 찾아오는 운을 말한다. 사주를 뽑게되면 대부분의 경우 사주 여덟자 밑에 대운을 적어 주는데 남자의 경우 년간이 양일 경우 순행한다하고, 음일 경우는 역행한다고 한다. 여자의 경우는 반대로 년간이 음일 경우 순행하고 양일 경우 역행한다고 한다. 

우리가 지금 분석하고 있는 주인공의 사주를 보면서 구체적으로 알아 보기로 하자.

우리의 주인공 사주는 


時 日 月 年 

壬 辛 乙 丁 

辰 未 巳 亥 


80 70 60 50 40 30 20 10 

丁 戊 己 庚 辛 壬 癸 甲 

酉 戌 亥 子 丑 寅 卯 辰 


이렇게 되어 있으므로 10세에 갑진의 운이 10년간 계속되고 20세부터 을묘의 운이 10년간 계속 된다고 보면 되겠다. 그리고 여기서 순행과 역행이란 대운이 갑진, 계묘, 임인........으로해서 60갑자가 거꾸로 흘러가고 있음을 말한다. 이 사주의 주인공이 남자라서 년주의 간지가 정해년이라 남자가 음의 간지이므로 대운이 역행하는 것이다. 만일 이 사주의 주인공이 여자분 이었다면 대운이 순행하므로 갑진, 을사, 병오, 정미...의 순으로 흘러 갔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사주를 볼 때에 남녀의 구분이 안되더라도 사주와 대운이 함께 있으면 대운의 순행과 역행을 보아 그 사주의 주인이 남자인지 여자인지를 알 수가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남녀를 모르는 상황에서 사주의 구성이 아래와 같다면 우리는 이 사주의 주인공을 여자라고 단정 할 수 있게 된다.

時 日 月 年 

戊 癸 壬 己 

午 巳 申 丑 


73 63 53 43 33 23 13 3 

庚 己 戊 丁 丙 乙 甲 癸 

辰 卯 寅 丑 子 亥 戌 酉


그 이유는 년간이 음간인 기토인데 대운이 순행하는 걸로 보아 여자의 사주라는 걸 알수 있다.


흔히 타고난 사주팔자의 기본을 자동차에 비유를 하고, 10년마다 찾아오는 대운을 도로에 비유하기도 한다. 비록 타고난 팔자가 고급대형승용차가 아니라고 하더라도, 운이 좋으면 고속도로를 질주하는 격이니 목적하는 지점에 쉽게 빨리 도달할 수가 있으나, 아무리 고급승용차로 태어 났다고 하더라도 달리는 도로가 먼지나는 비포장도로라면 목적지까지 가는 길이 힘들고 더디게 갈 것이다.


세운이란 매년 찾아오는 갑자년, 을축년, 병인년.......처럼 해마다 바뀌어서 들어오는 그해의 운세를 말합니다. 사주를 분석하여 용신과 희신을 뽑게되면, 대운과 세운에서의 길흉을 서로 비교해 볼 수 있게 됩니다.





추천 비추천

33

고정닉 2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공지 역학 갤러리 이용 안내 [182] 운영자 06.05.30 722297 322
17312614 여기 내 일기장 2갤러(58.29) 23.11.23 2674 14
17312612 댓글도 못지우게 막았네 ㅇㅇ(118.235) 23.11.23 1658 2
17312611 연예인 고소한다고 저렇게 갤 얼리지 않는데 ㅇㅇ(118.235) 23.11.23 1780 11
17312610 역갤 반란 뭐노 ㅇㅇ(175.117) 23.11.23 1059 2
17312601 헐 뭐노 ㅇㅇ(116.32) 23.11.23 456 0
17312600 여기 그냥 오징어 일기장하세요 :3(106.102) 23.11.23 518 1
17312595 여기글써진다 :3(106.102) 23.11.23 494 0
17312594 역갤 어찌된거임 2갤러(106.102) 23.11.23 1330 0
17312593 50까지 그냥 날개를 접어야 할까요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3 1632 1
17312591 이거 뭐야.. ㅇㅇ(51.159) 23.11.22 328 0
17312588 여쟈 사주 어떤가요? 탱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2443 2
17312587 새로 생긴 역갤 왜 글 안써짐? ㅇㅇ(118.34) 23.11.22 903 0
17312585 ???뭔데써짐 루시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2 914 0
17312584 운세 우아한여왕님(39.7) 23.11.22 579 0
17312583 무토남 을목녀 궁합어때? 2갤러(118.176) 23.11.22 847 0
17312581 ㅇㅇ(223.38) 23.11.22 152 0
17312580 여긴 댓글이 막혔네 쿠쿠(121.148) 23.11.22 703 0
17312578 ㅠㅠ 임su(211.234) 23.11.22 526 0
17312577 고딩엄빠 역대 오ㅎ실 사주 들고 왔는데 ㄹㅇ 이거 맞는거냐..? 2갤러(101.235) 23.11.22 2028 4
17312576 예전 역갤 만세-! ㅇㅇ(223.39) 23.11.22 284 0
17312575 여자는 계수가 제일 예쁘다 2갤러(61.80) 23.11.22 1910 30
17312573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쿠쿠(121.148) 23.11.22 236 0
17312572 하이들 2갤러(27.119) 23.11.22 152 0
17312571 역갤 폐쇄됐다 ㅇㅇ(223.62) 23.11.22 735 0
17312569 여기 글 풀렸네 ㅇㅇ(211.204) 23.11.22 234 0
17312568 나르시시스트 잘 아는 사람 들어와봐 2갤러(125.142) 23.11.22 852 6
17312567 막글) 현대사회에서 초년기신이 제일 비참한거 맞음 반박시 저능아 ㅇㅇ(172.226) 23.11.22 922 2
17312566 사주 좀 봐줄 사람 ㅠㅠ 너무 힘들다 사유축금국(118.235) 23.11.21 1148 0
17312564 사주보다 봤는데 도화살,홍염살 연애에 좋은거야? 2갤러(49.143) 23.11.21 736 0
17312563 현대사회에서 초년기신은 답없는거 맞아 반박시 저능아 ㅇㅇ(172.226) 23.11.21 565 5
17312562 여기 왜 글 써지냐 ㅇㅇ(118.235) 23.11.20 208 0
17312561 비다 신유일준데 내 용신은 뭐야? ㅇㅇ(211.234) 23.11.20 373 1
17312558 복채 2갤러(223.39) 23.11.19 151 0
17312557 천재 사주일수도 있을까요? 2갤러(211.223) 23.11.19 899 0
17312555 오 여기 왜 글풀림? ㅇㅇ(210.103) 23.11.18 224 0
17312553 일간의 합충의 이용과 길흉 갤갤갤(223.38) 23.11.18 303 2
17312552 ㅇㅇ(223.62) 23.11.17 115 0
17312551 계수 entj많던데 신강이라그런가.. 2갤러(1.246) 23.11.17 709 11
17312549 을사일주 정유일주중 고르다면 역갤러(125.180) 23.11.16 711 0
17312548 나는 뭐해야 하냐? 사업해도 되냐? 95년 남자임 ㅇㅇ(118.235) 23.11.15 376 2
17312546 나도 사랑받고시픈데 ㅇㅇ(124.50) 23.11.15 216 2
17312545 긴가민가라면 뭘까 ㅇㅇ(124.50) 23.11.15 107 0
17312538 태어난 시가 날바다 바뀐다고도 하는데, 이게 뭔 소리야? 2갤러(171.236) 23.11.14 210 0
17312535 사유축 질문 2갤러(220.127) 23.11.14 314 0
17312511 을유일주 왜케 싫어해? 을유(211.234) 23.11.09 693 9
17312510 2갤러(211.234) 23.11.08 111 0
17312509 사형살 인신사해 2갤러(220.119) 23.11.08 488 0
17312508 님들은 지디보다 잘생김? 2갤러(58.234) 23.11.07 202 0
17312507 ㅇㅇ(211.221) 23.11.07 10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