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박희영 용산구청장이 이태원 참사 발생 77분 전에 대통령 비판 전단지를 수거하라는 지시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실이 법무부에서 제출받은 공소장에 따르면 박 구청장은 사고 당일인 지난해 10월 29일 오후 8시 59분께 카카오톡을 통해 "(삼각지역 인근) 집회 현장으로 가서 전단지를 수거하라"는 취지로 비서실 직원들에게 지시했다. 용산구청 비서실장 A씨는 이 지시를 용산구청 당직실에 전달했다.
당초 당직실 직원들은 같은 날 오후 8시 40분께 '이태원 차도, 인도에 차량과 사람이 많아 복잡하다'는 민원 전화를 받고 이태원 현장에 출동하려던 차였다. 그러나 오후 9시께 지시를 전달 받은 후 이들은 전쟁기념관 북문 쪽으로 가서 전단지를 수거했다.
또 박 전 구청장은 참사 당일 사고 대응에 나서지 않고도 긴급상황실을 설치하고 비상대책회의를 열었다는 허위 공문서를 작성한 혐의도 받는다.
한 언론보도에서 용산구청의 미흡한 사전 대책을 지적하자 구청 측은 이에 대응하기 위해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이 과정에서 '구는 29일 밤 11시에 구청 9층 스마트회의실에 긴급 상황실을 설치하고 구청장 및 간부 공무원 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종합 비상대응 추진을 위한 비상대책회의를 열었다', '27일부터 29일까지 28개조, 직원 150여명을 동원해 비상근무를 추진했다', '박희영 구청장, 첫 보고 후 6분 만에 현장 도착...경찰과 함께 긴급구조 및 현장통제 지휘', '박희영 구청장은 22시 50분경 현장에 도착' 등의 허위의 내용이 포함된 보도자료가 작성됐다.
박 전 구청장은 그 내용을 확인한 뒤 그대로 승인해 허위 보도자료가 배포됐다.
실제 박 전 구청장은 사고 당일 오후 10시 50분이 아닌 오후 10시 59분께 현장에 도착했으며, 사고 이튿날인 지난해 10월 30일 오전 0시 40분께 긴급상황실을 설치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