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모빌리티 인사이트] 주유 혹은 충전?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의 세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09 17:01:01
조회 94 추천 0 댓글 0
모빌리티(mobility). 최근 몇 년간 많이 들려오는 단어입니다. 한국어로 해석해보자면, ‘이동성’ 정도가 적당하겠네요. 그런데 말입니다. 어느 순간부터 자동차도 모빌리티, 킥보드도 모빌리티, 심지어 드론도 모빌리티라고 말합니다. 대체 기준이 뭘까요? 무슨 뜻인지조차 헷갈리는데, 아이러니하게도 지난 몇 년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둔 스타 벤처 중 상당수는 모빌리티 기업이었습니다.

‘마치 유행어처럼 여기저기에서 쓰이고 있지만 도대체 무슨 뜻인지, 어디부터 어디까지 모빌리티라고 부르는지 도무지 모르겠다!’라는 분들을 위해 준비했습니다. [모빌리티 인사이트]를 통해 국내외에서 주목받는 다양한 모빌리티 기업과 서비스를 소개합니다. 우리에게 익숙한 차량호출 서비스부터 아직은 낯선 ‘마이크로 모빌리티’, ‘MaaS’, 모빌리티 산업의 꽃이라는 ‘자율 주행’ 등 모빌리티 인사이트가 국내외 사례 취합 분석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하나씩 알려 드립니다.

내연기관 자동차와 친환경 자동차, 어떻게 다를까요?


글로벌 환경 규제 등 다양한 원인으로 유럽연합(EU)을 시작으로 전 세계 주요 국가가 급격하게 자동차 관련 정책을 변화하고 있습니다. EU 중 친환경 무공해 자동차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는 나라는 노르웨이인데요. 이미 지난 2020년 기준 전기차 비율 50% 이상을 기록했죠. 노르웨이 외에도 각자만의 방법으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다양한 친환경 자동차 전환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지난 2020년 12월, 글로벌 환경 규제 정책 트렌드에 부응하고, 환경 보호에 동참하기 위해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발표했죠. 친환경 자동차 시장 선도를 위해 ‘미래모빌리티 전환’을 10대 과제에 포함시켰습니다.


전 세계 각 국의 탄소제로 계획, 출처: Global EV Outlook 2021, IEA



친환경 자동차라고 하면, 전기 자동차를 말하는 거죠?

우리나라의 ‘환경친화적 자동차의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환경친화적 자동차’란 전기 자동차, 태양광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전기 자동차를 뜻합니다. 또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환경 기준에 부합하는 자동차를 포함하죠. 일반적으로 소비자에게 가장 친숙한 친환경 자동차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전기 자동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 수소연료 자동차(FCEV, Fuel Cell Electric Vehicle) 입니다.


친환경 자동차의 종류와 특징, 출처: 환경부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는 잘 모르겠네요. 어떤 기준으로 구분하나요?

네 종류의 친환경 자동차는 공통적으로 내연기관 자동차 대비 적게 오염물질을 배출합니다. 다만, 종류 별로 구동원, 동력원, 배터리 용량 등이 다르죠.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친환경 자동차 중 주변에서 비교적 쉽게 볼 수 있는 친환경 자동차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사용하는데요. 주행 중 자체 발전기로 배터리를 충전하고, 내연기관과 전기모터를 주행 상황에 따라 사용해 연료 효율을 높인 자동차입니다. 배터리를 별도로 탑재하지만, 전기 충전구는 없죠. 즉, 동력원으로 기름을 넣어 사용합니다. 전기를 따로 충전하지 않고 기름으로 모터를 돌리면서 전기를 만들어 배터리를 충전하는 자동차죠.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도 내연기관과 배터리를 동시에 탑재한 혼합형 자동차입니다.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보다 큰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외부에서 전기를 충전할 수 있죠. HEV 배터리는 주행을 돕는 보조적 수단이지면, PHEV 배터리는 저속 주행(약 50~60km/h) 시 전기를 주 동력원으로 사용합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다른 점이죠. 전기 자동차의 이점과 내연기관 자동차의 이점을 잘 섞은 자동차로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연비도 하이브리드 자동차보다 높은 편이죠.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 전력만을 사용합니다. 때문에 기름을 사용하는 자동차 대비 유지비용은 저렴하죠. 또한, 주행 시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무공해 차량(ZEV, Zero Emission Vehicle)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아직 주행거리, 인프라 부족 등은 해결해야 할 과제지만, 여러 기업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 점진적인 개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수소 자동차는 천연가스에서 정제한 수소를 전용 연료 전지 탱크에 저장한 후 공기 중 산소와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자동차를 움직입니다. 연료전지를 바탕으로 전력을 확보하기 때문에 전기 자동차와 달리 배터리는 보조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주 동력원은 수소이기 때문에 완전 충전할 때까지 약 5분이면 충분하죠. 다른 친환경 자동차와 비교해 아직 수요는 크지 않지만, 많은 환경 전문가가 미래 모빌리티의 핵심 연료로 수소연료전지를 꼽습니다. 아울러 국내 수소 자동차 기술력은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죠.


출처: 픽사베이



친환경 자동차 종류마다 꽤 많이 다르군요? 그런데 어떤 종류의 친환경 자동차를 사야할 지 모르겠어요.

아무래도 부담스럽죠. 실제로 많은 예비 전기차 구매자들이 구매에 앞서 내연기관 자동차 대비 짧은 주행거리, 충전 인프라 부족, 구매 비용, 오랜 충전 시간 등으로 고민합니다.

다만, 환경 규제로 인해 점차 내연기관 자동차의 설 자리는 좁아질 겁니다. 언제까지 익숙한 내연기관 자동차만을 고수할 수는 없는 노릇이죠. 전기 자동차, 수소 자동차처럼 기름을 주유하지 않는 자동차가 부담스럽다면, 내연기관을 함께 탑재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대안으로 고려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2021 글로벌 자동차 소비자 조사, 출처: 딜로이트(Deloitte)



아, 하이브리드 자동차도 친환경 자동차라고 하셨죠?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앞서 언급한대로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로 나뉩니다. 일반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과 비교해 탄소배출량을 약 10~15% 적게 배출하죠. 하지만, 전 세계적으로 탄소배출량 관련 규제를 점차 강화하고 있어 친환경 자동차에서 빠질 것이라는 의견도 높습니다. 반면,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도심 내 주행 시 전기모터만 사용해 탄소를 거의 배출하지 않죠. 때문에 글로벌 주요 국가에서 친환경 자동차로 인정합니다.

볼보는 2020년 하반기 모든 판매 라인업을 하이브리드로 전면 재편했습니다. 최근 XC90, S90, XC60 등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 3종을 선보였죠. 서울시 승용차의 하루 평균 주행거리는 29.2km라고 하는데요. 이번에 볼보가 공개한 모델은 1회 충전 시 53~57km를 전기로 달릴 수 있습니다. 도심 내에서 출퇴근용으로 사용할 경우, 무공해 자동차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죠.

또한, 이번에 출시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 3종은 전기 자동차의 핵심인 친환경 파워트레인을 적용했습니다. 100km/h까지 도달하는 시간은 약 4.8초 정도로 성능 면에서도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와 비교해 손색없죠. S90과 XC60은 ‘원 페달 드라이브’ 기능을 포함해 가속 페달만으로 가속과 감속을 제어할 수도 있습니다.


볼보 XC90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 출처: 볼보코리아 공식홈페이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를 다음 자동차로 고민해볼 수 있겠네요. 우리나라 기업들은 어떻게 접근하고 있나요?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가장 현실적인 친환경 자동차로 평가받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구매보조금이나 혜택을 전기 자동차나 수소 자동차에만 적용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오는 2025년 또는 2026년부터 하이브리드 자동차,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 LPG 자동차를 저공해차에서 제외하고, 전기 자동차와 수소 자동차 중심으로 친환경 자동차 지원체제를 개편한다고 밝히기도 했죠.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는 국내 시장에 아이오닉, 싼타페, K5, 니로, 쏘렌토 등을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로도 출시했지만, 작년부터 모든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의 국내 판매를 중단했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정책 변화와 함께 2020년까지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 구매자에게 지원하던 구매보조금 혜택이 올해부터 사라졌기 때문이죠.

다만, 현대자동차는 해외 시장에 여전히 다양한 모델의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 부문에서 글로벌 8위를 기록하는 등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죠. 또한, ‘투싼 PHEV’는 독일 3대 자동차 전문 기관에서 실시한 ‘플러그인하이브리드 SUV 비교 평가’에서 종합 1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의 투싼 플러그인하이브리드 모델, 출처: 현대자동차 홈페이지



향후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 시장 전망은 어떤가요?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2021년 수입 PHEV 판매량은 총 1만 9,701대로 전년 동기 대비 88.2% 증가했습니다. 소비자 관심은 높다고 판단할 수 있죠.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멀지 않은 거리를 출퇴근할 때 전기모터로만 이동할 수 있고, 퇴근 후 집에서 충전할 수 있습니다. 장거리를 이동하지 않는다면, 내연기관을 사용할 일은 거의 없죠. 내연기관도 탑재해 충전하지 않아도 기름으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때문에 부족한 충전 인프라에서 자유롭죠.

물론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전기 자동차 또는 수소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은 노력해야 할 숙제입니다. 다만, 아직까지 이용하는데 불편한 점이 많죠. 어쩌면, 플러그인하이브리드 자동차는 전기 자동차로 전환하는데 앞서 선택하기 가장 좋은 징검다리 아닐가요?

글 / 한국인사이트연구소 김아람 책임연구원

한국인사이트연구소는 시장 환경과 기술, 정책, 소비자 측면에서 체계적인 방법론과 경험을 통해 다양한 민간기업과 공공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컨설팅 전문 기업이다. 모빌리티 사업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모빌리티 DB 구축 및 고도화, 자동차 서비스 신사업 발굴, 자율주행 자동차 동향 연구 등 모빌리티 산업을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다. 지난 2020년 ‘모빌리티 인사이트 데이’라는 전문 컨퍼런스를 개최한 것을 시작으로 모빌리티 전문 리서치를 강화하고 있으며, 모빌리티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모빌리티 인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정리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애플 카플레이·구글 안드로이드 오토로 엿보는 미래 자동차▶ [모빌리티 인사이트] 미래 모빌리티의 새로운 길, 지하로 통하다▶ [모빌리티 인사이트] 태양광으로 충전하며 달리는 자동차가 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445 넷기어 오르비 시리즈, 유선+무선 구성으로 활용도 높이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151 0
1444 포스코 “11돌 아이디어마켓플레이스, 스타트업 대표 등용문으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8 89 0
1443 유류비 폭등에 전기차 가격까지 상승...울상인 소비자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1785 0
1442 [IT애정남] 외장 SSD는 데이터 보관용으로는 부적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190 0
1441 그래프코어, ETRI와 손잡고 국내 AI 산업 효율화·상용화 돕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105 0
1440 [모빌리티 인사이트] 기분 따라 옷을 바꿔 입는 자동차, 자가 치유까지 한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501 0
1439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2) RE100을 달성하는 방법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7 92 0
1438 진실 왜곡 ‘딥페이크’…보험업계 파고든다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1045 0
1437 애니온넷 “파트너사의 IoT 사업 성공을 돕는 조연, 우리의 본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7 0
1436 [앱으리띵] 허위조작정보에 속지 않으려면? ‘팩트체크넷’ 이용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7 0
1435 [IT애정남] 카카오톡 업데이트가 안된다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89 0
1434 갈등 빚는 구글·카카오··· 왜 '인앱 결제'는 분쟁의 씨앗이 됐나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19 0
1433 [IT강의실] 여름 휴가철 스마트폰 쓸 때 주의할 점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6 791 0
1432 지상파 UHD 방송 5년째, 그런데 보는 사람이 없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302 0
1431 "외로움은 사회가 풀어야 할 문제"... 사람들의 만남은 어떻게 더 많이 만들어질까? [3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3566 1
1430 애플과 구글의 명분 없는 '수수료 2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63 0
1429 [스케일업] “스스로 다시 한번 점검할 수 있던 기회였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77 0
1428 中 배터리 파상 공세에 국내 3사 글로벌 시장 점유율 꺾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44 0
1427 스마트 오피스의 완성은 책상, '모니터 암·모션 데스크'가 떠오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12 0
1426 호주·미국 단합에 중국 희토류 패권 흠집··· '사이버 공격에 여론 조작도 시작'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956 11
142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뉴로서킷 “탈모 관리 습관의 모든 것, 바야바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5 109 0
1424 [모두를 위한 인공지능] 2부 - 인공지능을 활용해 비즈니스 가치를 높여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16 0
1423 상위 1000대 제조사 150곳 "자사 공급망 경쟁력 점수는 58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6 0
1422 계정 하나로 여러 이메일 주소를? '별칭' 활용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746 0
1421 [뉴스줌인] aptX 어댑티브 지원 블루투스 동글, 무엇에 쓰는 물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63 0
1420 탈레스 "늘어나는 보안 솔루션, 휴먼에러 피하려면 하나의 플랫폼으로 관리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9 0
1419 1형 센서, 2억 화소...하반기 ‘괴물’ 카메라 스마트폰 온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2636 0
1418 직방 박영걸 CTO, "직방의 홈 IoT 사업은 더 살기 좋은 집 위한 기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2 0
1417 [주간투자동향] 팀프레시, 1,600억 원 규모의 시리즈D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1206 0
1416 카비 “비즈니스 노트북, 엔드포인트까지 철저한 보안 시스템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4 84 0
1415 "세련되고 품질 좋은 안경 온라인으로 산다"...아이즈그램 북미에서 안경 구독서비스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60 0
1414 [리뷰] 캠핑족을 위한 고성능 빔프로젝터, 벤큐 GS50 [2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4148 2
1413 ‘마이브’ 차주에게 물었다…초소형 전기차 타보니 어때요?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177 0
1412 [김 소장의 ‘핏(FIT)’] 우리나라에 인터넷 익스플로러 추모비가 있다?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703 0
1411 [농업이 IT(잇)다] 더루트컴퍼니 “감자와 함께 강릉의 대표 로컬 브랜드 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84 0
1410 [리뷰] ‘터프’하게 쓰는 스마트워치, 어메이즈핏 티렉스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35 0
1409 삼성전자, TSMC 추격 고삐 당겼다…‘GAA 기반 3나노’ 양산 공식 발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25 0
1408 아직도 있었어? PC통신 추억담은 ‘유니텔’, 오늘부로 서비스 완전 종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46 0
1407 '테슬라가 안보 전쟁의 첨병?' 자율주행차는 왜 세작 취급을 받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2 0
1406 불붙은 창문형 에어컨 시장··· 주목받는 이유와 올해 신제품은? [1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931 5
1405 LG전자, SM 손 잡고 피트니스 시장 공략…"2025년까지 매출 5000억 목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2103 0
1404 스마트 상점 주문·결제·배달 앱 ‘주문통합 솔루션’으로 진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03 0
1403 [모빌리티 인사이트] 나 혼자 ‘탄다’, 초소형 전기차의 시대는 열릴까?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30 1253 1
1402 “스타트업 성공을 원한다면, 10년 후 오를 에베레스트 정상에 집중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122 0
1401 ‘ESG’, ‘친환경’에 고민 큰 중소기업들, 돌파구는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80 0
1400 [리뷰] '온 몸을 움직이며 VR을 즐겨라'...피코의 VR헤드셋 네오3 링크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1193 0
1399 원격 근무가 일상이 된 사회,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NAS'가 떠오른 이유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682 3
1398 [리뷰] VR 세계로의 초대장, 인스타360 원 RS 1인치 360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9 99 0
1397 5배 빠르다는 와이파이7, 2024년 상용화 앞두고 관련 솔루션 속속 등장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866 1
1396 토스뱅크 가입자 360만명 돌파…내달 금융상품 추천 서비스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16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