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의알못들을 위한 지방의대 수도권 #1, 경부전 수장 메이저 경북의대

00(100.1) 2017.04.29 17:33:08
조회 99 추천 0 댓글 0
														

KNUMS.jpg                                                


1. 경북대학교 의대 본관 건물 2棟, 사적 지정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중구 소재) 건물 중 2동이 국가지정문화재(사적)로 지정 고시되었다.
1월 28일자 문화재청 고시 2003-3호 (관보 제15310호 게재)로 지정된 건물은 '구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 및 '구 도립대구병원' 등 2동이다.


대구 구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 (舊 大邱醫學專門學校 本館) 사적 제442호/ 대구시 중구 동인동 2가)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577a16fb3dab004c86b6f0012e229f77a6824a3bd50dc64854720d7e3afee8400255db0773d8f07df98d44f97ee9ee6ec9f2541eb99dc5095434b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da06e2358c163d15a5f27c63fd209099_1484550


ㄱㅂ.jpg


1.gif
舊 대구의학전문학교 본관(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본관)건물은 일제 강점기 때 대구지역 의료인 양성을 위해 지어진 건물로 1933년

공립 대구의학전문학교로 개교되었으며 한국 근대의학의 역사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건물로서,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2.gif
또한 전체와 세부구성이 치밀하며 건축사적으로도 매우 수준높은 건물이므로 근대건축으로서의 건축사적으로 가치 뿐만 아니라 교육사

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舊 도립대구병원(現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본관)은 1928년 도립 대구 의원으로 건립되었으며 한국 근대병원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건물이다.

3.gif


7.jpg

우측 익사는 철거되고 정면 좌측에는 증축된 부분이 있으나 전체적으로 원형이 잘 보존되고 있어 역사적, 건축사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건물은 구 도립대구병원(사적 제443호, 현 경북대학교 의과대학병원 본관)건물과 마주보며 배치되어 있다. 남향하여 동서로 길게 배치된 붉은 벽돌 조적조 3층 건물로 정면 중앙부에는 4층으로 된 사각탑(Turret)을 두고 옥상에는 옥탑을 설치하였다. 평면은 ‘산(山)’자 모양으로 중복도(中複道)식이며, 현관 포치(Porch)를 중심으로 좌우대칭형이다.

4.gif

건물의 외관 구성에 나타난 특징은 정면 중앙부 돌출 유리벽의 곡면처리 및 창 사잇벽과 옥상 파라팻부의 수평돌림띠는 정면성을,

옥상부의 사각탑과 창 사이의 수직벽은 수직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전체적으로 안정감과 웅장함을 느끼게 한다.

5.gif

한국 근대 의학교육의 역사를 잘 보여주는 중요한 건물로, 전체적으로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며, 전체와 세부 구성이 치밀하고,

건축사적으로도 매우 수준 높은 건물로서 근대건축으로서의 건축사적 가치뿐만 아니라 교육사적으로도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8.jpg

히포크라테스 흉상

10.jpg


10.jpg

경북의대 의대정원에 세워진 나이팅게일 동상


12.jpg


13.jpg


11.jpg

9.jpg


6.gif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Image result for 경북의대
대구 중구 동인 캠퍼스(신관)

Image result for 경북의대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대구 북구 학정동 캠퍼스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KNU 로고.jpg


구 도립대구병원(舊 道立大邱病院) (사적 제443호)

르네상스풍 외관에 고딕·기와 가미한 붉은 벽돌조 2층 건물

 구 경북대병원.jpg
경북대병원 구관은 1928년 경북도에서 도립대구병원 본관으로 지은 벽돌조 2층 건물이다. 건축 공사는 공정별 분할청부 방법으로 30여개 업체가 참여하였으며, 작업 연인원은 7만4천100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구 본관.jpg
구 2.jpg
1928년(위)과 1978년의 구 도립대구병원.



중구 동문동 대구 첫 공립병원 소실 뒤
1928년 삼덕동으로 이전하면서 신축

건축공사 공정별 분할청부 방식 도입
7만4천여명 투입…벽돌 232만장 쓰여
기초·바닥 구축엔 철근콘크리트 적용

건물 정면 중앙에 현관포치·옥탑 세워
좌우 벽면 세로창문 배열 대칭성 강조
내부 바닥·계단 인조석 물갈기로 마감




대 구 최초의 근대적 의료기관은 1899년 12월 남성정교회(구 제일교회) 안에 문을 연 제중원(濟衆院)이다. 제중원은 1906년 동산동으로 이전하여 현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으로 발전하였다. 당시 일본인들이 개원한 의원은 대부분 민영의원으로 환자의 진료나 시설구비 등에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어 국립 또는 공립병원의 설립이 요청되는 상황이었다.

1905년 여름, 일본 도쿄에 본부를 둔 동인회(同人會) 부회장 가타야마가 대구를 방문하여 일본 거류민과 대구지역 유지들에게 동인회의 취지와 사업 방향을 설명하면서 진료를 위한 병원 설립과 조선인 의사의 양성, 만주와 조선 주요 도시에 2~3개의 의원을 설립할 계획을 언급하였다.

당시 공립병원 설립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던 대구의 일본인 거류민과 대구지역 유지들은 철도의(鐵道醫)로 개업하고 있던 후지나와를 앞세워 대구 동인의원 건축비로 5천엔 지원을 약속 받았다.

8.jpg


구2.jpg
경북대병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구 도립대구병원(사적 제443호) 내부.

1906 년 여름에는 동인회 부회장이 대구에 와 동인의원의 부지를 선정해 주고, 건축비 조달에 대한 절차를 결정해 줌으로써 대구동인의원의 설립이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리하여 1906년 8월 대구부 동문정(東門町·현 중구 동문동)에 대구동인의원 신축공사를 시작, 그해 12월 목조 단층건물을 완공하고 이듬해인 1907년 2월10일 진료를 시작하였다.

대구동인의원은 1910년 9월 조선총독부 지방관제에 의하여 ‘관립 대구자혜의원’으로 개편되고, 1925년 4월 조선도립의원 관제에 의해 경북도로 이관되면서 ‘도립대구의원’으로 개칭되었다.

도 립대구의원은 1926년 3월 불의의 화재로 완전 소실되었다. 화재 이후 진료활동은 상당한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그리하여 병원 본관이 소실된 직후부터 재건축을 둘러싸고 경북도는 물론 대구의 유지들 사이에서도 논의가 분분했다. 그해 4월25일 경북도지사가 총독부 재무국과 절충 끝에 병원 부지를 새로 마련하고, 화재의 염려가 없는 새 병원을 신축하기로 확정하였음을 발표하는 한편 자문기관인 경북도 평의회에서도 병원 신축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였다.

1926년 7월21일 개최된 경북도 평의회에서는 병원의 이전 신축에 소요되는 비용의 거출문제, 신축건물의 규모와 재료, 장차 병원 부지 내 의학전문학교 설치를 고려하여 넓은 부지를 확보해 두어야 한다는 것 등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이후에도 대구의학전문학교 승격 문제와 맞물려 수많은 논의가 이어졌다. 오랜 논의 끝에 병원 부지가 대구부 동운정(東雲町·현 중구 삼덕동)으로 결정되고, 1927년 6월 신축공사에 착수하여 1928년 3월30일 붉은 벽돌조 2층 건물을 준공하였다. 본관 건물이 신축된 후 동문정 구 병원에 남아 있던 건물들을 병원 본관의 동쪽으로 옮겨 이축·신축하고 1929년 5월 대대적 낙성식을 하였다.

광복 후인 1945년 10월에는 대구의학전문학교가 대구의과대학으로 개편됨으로써 도립대구의원은 ‘대구의과대학 부속병원’으로 이관되었고, 1952년 4월에는 경북대학교의 창립에 따라 ‘경북대학교 의과대학부속병원’으로 계승되었다가 1988년 3월1일 ‘경북대학교병원’으로 개칭되었다.

경 북대학교병원 구관은 1928년 경북도에서 도립대구의원 본관으로 지은 벽돌조 2층 건물이다. 건물의 설계와 감독은 경북도 회계과 영선계에서 하고, 공사는 공정별 분할청부 방법으로 30여개 업체가 참여하였으며, 공사 작업 연인원은 7만4천100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이 건물을 짓는 데 사용된 벽돌은 총 232만장이었는데 외벽에 쌓은 벽돌만 부산요업주식회사에서 가져오고, 나머지는 모두 대구형무소에서 만든 벽돌을 사용하였다. 석재는 호남지방에서 생산된 황등석재(화강석)를 쓰고, 전등(펜던트, 샹들리에, 브래킷 등)과 전선은 일본 오사카에서 가져왔다고 한다. 그 당시 병원의 부지면적은 8천305.935㎡였고, 본관 건물안에는 각과 진료실 및 대·소수술실, 병리시험실, 뢴트겐실 등에 급수, 난방, 급탕, 소화설비 등 최신 설비를 갖추고 있었다.

경북대학교병원 구관은 모임지붕에 기와를 이은 ‘一’자 모양의 붉은 벽돌조 2층 건물로, 의과대학 본관(구 대구의학전문학교, 1933)과 마주하여 북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외관은 전체적으로 르네상스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버팀벽(扶壁), 수직창 등의 고딕(Gothic)적 요소들이 부분적으로 가미되어 절충적 건물이라 할 수 있다. 이 건물은 건립 당시 ‘L’자 모양이었으나 좌측으로 1칸을 달아내어 증축하고, 우측 날개 부분을 철거하여 현재 ‘一’자 모양을 하고 있다.

건물의 평면은 ‘一’자 모양으로, 가운데 복도를 둔 중복도식이다. 정면 중앙의 현관을 지나면 로비가 있고 이 로비의 앞쪽에는 계단실, 좌우측의 중복도 양쪽에는 여러 실(室)들이 남쪽과 북쪽으로 배치되어 있다. 2층 복도는 1층과 같은 위치에 있으며, 각 실들은 이 복도의 양쪽에 배열되어 있다.

건물 외관은 정면 중앙에 현관 포치(porch)와 옥탑(turret)을 우뚝 세우고, 그 좌우측 벽면은 일정한 간격으로 버팀벽을 세워 구획을 지우고, 그 사이에 세로로 긴 창(1층은 평아치창, 2층은 반원아치창) 한 쌍씩을 배열하여 정면성과 대칭성을 강조하는 한편 창문 위와 처마부에 화강석 다듬돌로 수평띠(cornice)를 넣어 안정감을 느끼게 하였다.

정면 주출입구는 사각형 벽돌기둥과 화강석 원기둥을 한 쌍으로 하여 좌우에 세우고, 그 위에 슬래브지붕을 올려 포치를 구성하였으며, 포치의 난간벽은 치형(齒形)장식을 한 화강석 돌림띠로 꾸몄다. 포치의 앞쪽에는 계단을 설치하고, 양 측면에는 경사로를 두어 자동차가 현관문 앞까지 이를 수 있도록 하였다.

옥탑은 지붕 위에 2층 높이로 올려 방형(方形)지붕에 동판(銅版)을 마름모꼴로 잇고, 지붕 꼭대기에 절병통을 설치하였다. 옥탑 1층은 4면이 모두 벽으로 막혀 있고, 2층은 4면에 세로로 긴 창을 내어 사방을 조망할 수 있게 하였다. 지금은 주변의 높은 건물들로 막혀 있지만 예전에는 이 창을 통해 대구 시가지는 물론 북쪽 멀리 있는 팔공산과 동쪽의 신천, 남쪽의 앞산까지 조망할 수 있었다고 한다.

건 물의 구조는 벽돌조로, 외벽은 방한·방습에 대비하여 공간(中空)쌓기로 하고, 창문의 인방과 처마에는 화강석 다듬돌을 넣어 쌓았다. 기초와 바닥은 철근콘크리트로 구축하였는데 2층 바닥은 ‘井’자 모양의 보를 걸고, 그 위에 슬래브를 구성하였다. 내부 바닥과 계단은 인조석 물갈기로 마감하였으며, 벽과 복도의 천장은 회반죽 마감 위에 수성페인트를 칠하였다.

이 건물에 나타난 특징은 건축공사가 공정별 분할청부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이전 시기의 건물들과는 달리 바닥과 포치의 지붕 등을 철근콘크리트로 구성한 것과 벽돌쌓기 수법 그리고 포치와 옥탑, 버팀벽, 수직창, 수평띠, 페디먼트(‘△’ 모양의 장식 모티브), 지붕창 등 다양한 서구적 형태요소를 채용하여 건물의 정면성과 대칭성을 강조하면서 위엄을 나타내고 있는 점이다.

경북대학교병원 구관은 지금까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고, 한국 근대사와 건축역사 연구의 자료적 가치가 큰 건물로 인정받아 2003년 1월28일 사적 제443호로 지정되었다.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지방 유일 ‘국가연구중심병원’
SCI논문발표 지방 국립대 1위
中요청, 칭타오 진료센터 설립


과거의 100년 그리고 미래의 100년


경북대병원 국가 연구중심병원 재선정 국내 넘어 세계로 도약

중증장애인 무료 진료 등공공의료기관 역할 최선진국 최고수준 의료진 자랑

da06e2358c163d15a5f27c63fd209099_1484550
da06e2358c163d15a5f27c63fd209099_1484550
da06e2358c163d15a5f27c63fd209099_1484550

http://knuh.kr/

경북대병원 삼덕동 본원(대구시 중구 삼덕동)은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중증권역외상센터, 임상시험센터, 연구중심병원 육성 R&D(연구개발) 사업 등 500여병상 규모의 상급병원이 유지된다. 뿐만 아니라 본원은 심장센터 유치, 인공관절센터, 산부인과, 신생아 집중 치료실 등도 확대할 계획을 갖고 있다. 경북대병원과 칠곡경북대병원이 본 궤도에 올라서면 지역에서는 그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매머드급 상급의료기관이 생기는 것이다.


보건복지부 지정 연구중심병원 KOREA RESEARCH-DRIVEN HOSPITALS

11.jpg

▲ 경북대학교병원 임상실습동 조감도. 부지내 건물 중 좌측 뒤편에 가장 높은 건물이 새로 건립 중인 임상실습동이다.

경북대학교병원 임상실습동은 경북대학교 칠곡경북대병원(대구시 북구 소재) 부지 내 어린이 병원 뒤편에 지하 5층~지상 15층, 연면적 9만2144㎡,

2017년 11월 완공예정. 완공되면 1,325 병상의 초대형병원 탄생



암 특화, 로봇수술 특히 강점…환자 4년 만에 두배 이상 늘어


12.jpg

▲ 2011년 개원한 칠곡경북대병원은 교육, 연구, 진료, 공공의료 기능을 갖춘 선도-적 지역 의료기관이다. 올 3월 현재 21개 진료센터에 570여 병상을 운영 중이며 최신 의료장비와 전문화된 시설을 갖추고 있다. 환자 수도 해마다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개원 첫해인 2011년 18만1천863명이던 외래 환자 수는 매년 25% 이상 증가해 지난해에는 36만8천771명에 이르렀다. 4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어난 셈이다. 입원 환자도 2011년 9만8천78명에서 해마다 20%씩 늘어, 지난해 16만2천470명이 치료를 받았다.


경북대학교 어린이병원

16.JPG

경북대학교 어린이병원은 2007년 8월 보건복지부로부터 대구·경북어린이병원 설치지원사업의 대상자로 선정되었으며, 총사업비 300억 원(국비 150억, 대구시30 억, 경상북도 30억, 자부담 90억)이 투입된 사업으로 연면적 12,878㎡에(총 125병상)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다.


14.jpg

대구 북구 경북대 칠곡병원 내부 전경

Image result for 경북대 칭다오 국제 진료
중국정부 요청 칭타오 국제 진료센터 현장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Image result for 경북치대



Image result for 경북치대



Image result for 경북대치대
경북치대 정문

Image result for 경북대치대
대구 도심 최첨단 최신 설비의 경북치대(2015년 치대로 복귀)


경북대 의생명과학관 1호관

15.jpg

경북대 의생명과학관 1호관이 3년간의 공사를 마무리하고 16일 준공식을 했다. 총 사업비 181억원이 들어간 의생명과학관 1호관은 연면적 1만1천897㎡에 지하 1층, 지상 6층 규모로 건립됐다. 해부학·병리학·미생물학·기생충학·약리학 등 기초의학교실과 교수연구실, 실험실, 세미나실 등의 공간으로 구성됐다. 경북대는 기초의학 연구전용공간으로 최신식 연구 시설을 갖추고 있는 의생명과학관 1호관을 통해 우수 연구진들의 연구의욕을 고취하고 세계적 수준의 연구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경북대병원이 2016년 지방 유일의 국가 연구중심병원 & 국가 연구 R & D 재선정으로 국내를 넘어 세계로 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의생명 과학관(우) 기숙사 명의관(좌).png


9.jpg


의생명과학관 2호관                                                                                              

     
기초임상의학 연구경쟁력 강화와 지역 의료 발전을 담당할 경북대 의생명과학관 교육동 개관식이 열렸다.


경북대는 ‘의생명과학관 2호관 개관 기념식’을 대구 북구 학정동에서 진행했다고 24일 밝혔다. 개관식에는 김상동 총장과 홍의락 국회의원을 비롯해 김철섭 북구 부구청장 등 주요관계자 200여 명이 참석했다. 사업비 180억원이 투입된 의생명과학관 2호관은 연면적 8888㎡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로 건립됐다. 강의실과 전자도서관, 임상술기실 등 우수 의료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최신 첨단 의학교육 시설을 갖췄다. 내달부터 의학전문대학원 2~4학년 수업이 진행될 예정이다.




53c7ead7b51555b3dac7457e731fa2a7_1488853

53c7ead7b51555b3dac7457e731fa2a7_1488853

동창회 장학금 수여식(2017. 3. 29)

2c6f9b06990eadebf3c5dd7cc3b23d72_1490946
2c6f9b06990eadebf3c5dd7cc3b23d72_1490946

대구도시철도 3호선 개통

Image result for 경북대 칠곡 대구도시철도

          

Image result for 경북대 칠곡 대구도시철도

                         

대구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어 대구 도심에서 칠곡경북대병원까지 20분대에 접근할 수 있어 환자들의 편의가 크게 개선됨.




       knu.png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기초 교실

2.png

  • 1. 해부학교실
  • 2. 생리학교실
  • 3. 생화학·세포생물학교실
  • 4. 약리학교실
  • 5. 미생물학교실
  • 6. 병리학교실
  • 7. 예방의학교실
  • 8. 면역학교실
  • 9. 기생충학교실
  • 10. 법의학교실
  • 11. 의료정보학교실
  • 12. 의공학교실
  • 13. 의학교육학교실
  • 14. 분자의학교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임상 교실

3.png

  • 내과학교실
  • 외과학교실
  • 흉부외과학교실
  • 정형외과학교실
  • 신경외과학교실
  • 성형외과학교실
  • 소아과학교실
  • 산부인과학교실
  • 정신의학교실
  • 안과학교실
  • 이비인후과학교실
  • 피부과학교실
  • 비뇨기과학교실
  • 영상의학교실
  • 방사선종양학교실
  • 임상병리학교실
  • 마취통증의학교실
  • 핵의학교실
  • 신경과학교실
  • 응급의학교실
  • 가정의학교실
  • 재활의학교실
  • 해부병리
  • 산업의학
  • 생명의학연구소

경북대학교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대구광역시 중구 동인동 2가(국채보상로) 680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국가에서 인정한 연구중심병원



교육부에서 인정한 BK21 의대 치대 약대 선정



◈ 역사(2nd the oldest school), 전통, 동문, 학계, 의사회 막강 파워....


◈ 의료인 배출수(3위), 의대 교수 배출수(4위), 병원장 배출수 3위(현 분당 서울대병원장 포함), 의학 공헌도(최정상급)


◈ 국.내외 유명 인사, 교수 1 인당 SCI 상위 1% 논문 게재 비율: TOP 3


◈ 병원에 대한 투자(하드웨어 + 소프트웨어), 2017년 11월 제3병원 완공 예정


◈ 의사 국가고시 합격률(매년 탑 클라스)/  2015년 전국 최초 의.치.약. 국가고시 100% 전원 합격


◈ 대구 본원도 아닌 타지인 서울 아산 삼성 병원 에서의 정교수 & 인턴, 레지던트 비율(매년 Top 5 이내)


◈ 중국 정부 요청으로 칭타오 국제 진료센터 설립


◈ 국내 #1 모발이식 센터.


◈ 최정상급 암 진료 센터, 내과, 외과 계열의 절대강자...


◈ 최정상급 의.치.약.수.간. 보유로 인한 의학 시너지 효과(타의 추종을 불허)


◈ 전국구 경북의대 동창회, 재미(유럽, 일본) 경북의대 동창회, 교내 의학 박물관 소유. 기타.......


◈ 국내 3대 메이저중 하나...


100명 이상 정원, 100여년 역사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577a16fb3dab004c86b6f0012e229f77a6824adbd50dc6485472039800b19400807ad872e587ba1383e45bb8513a46883ceb55f94da2c86905f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777a16fb3dab004c86b6f4fce3bfc395ceae279db8706c309913f677ba13e045701ad44a2b81c7d75b3c7ce1e640f18ba59079afabd32513805fa


        전국 의대 교수들의 출신 대학별 순위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777a16fb3dab004c86b6f4fce3bfc395deae377db8706c309913fda03de6d6617ebe8cc49ff05c1b28ff6e0b53ff655e0f086eb8bf181983a8069

출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교육실

http://kjme.kr/upload/pdf/kjme-16-3-***-4.pdf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777a16fb3dab004c86b6f4fce3bfc395ceae179db8706c309913fe33a0549c754654bf2c57ff6eb0c76b2681805955769f80b5812273be9eb118c



2017년 의사 국가고시 출신 의대별 합격률 순위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577a16fb3dab004c86b6f0012e229f77a6824adbd50dc6485472039800b19400807ad872e587ba1383e45bb8513f03fde9ee75ac4812c86905f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577a16fb3dab004c86b6f0012e229f77a6824adbd50dc6485472039800b19400807ad872e587ba1383e45bb8513a36e879be358c6812c9c8e5f

http://kyungpook.ac.kr/wbbs/wbbs/user/knuResult/view.action?knuResult.knu_idx=1&menu_idx=11




대한민국 의대 역사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



Image result for 경북대




13.jpg                                      15.jpg


경북대 GLOBAL PLAZA


viewimage.php?id=20b8d42fe6d334b56db6d3bb15d4&no=29bcc427b28577a16fb3dab004c86b6f0012e229f77a6824adbd50dc6485472039800b19400807ad872e587ba1383e45bb8513a33384ceb55bc1db2c86905f


This 17-story building was opened in March 2012 to facilitate KNU’s excellent industrial and academic research; as well as become the major conventional area for various international meetings. It includes two international conference halls, a 500-seat convention hall, a gallery for the university’s history and cooperating companies, and 35 research area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313372 여기는 의학갤러리가 아니라 의대생 갤러리인가 수험생갤러리인가 [4] ㅁㄴㅇㄹ(1.252) 17.10.22 277 0
313371 병중에 10년15년뒤에 발병하는 병있나요?????????????? [2] ㅁㄴㅇㄹ(1.252) 17.10.22 123 0
313370 무릎에 뭔 빨간약같은 거 남 ;; [3] ㅇㅇ(61.78) 17.10.22 172 0
313369 무릎 다친 적도 없는데 무슨 빨간약 같은게 있음 ㅇㅇ(61.78) 17.10.22 48 0
313368 교수 되려면 펠로우 필수인가요 [2] ㅇㅇ(112.171) 17.10.22 607 0
313367 저거 죽은 사람 개 물린거 봉합해 놓은거 아니냐 고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0.22 159 0
313364 간호학과가면 의사랑 결혼할수있나? [1] ㅇㅇ(222.100) 17.10.21 475 1
313363 원래 술기는 펠로우때 배우는건가요? [3] ㅇㅇ(219.255) 17.10.21 509 0
313362 의사씨발 새끼+약싸개 Dd(125.134) 17.10.21 122 1
313361 감기약 사러갔는데 9처넌달래 [6] 킹오브조지(175.124) 17.10.21 483 0
313360 상처나고 1일 지났는데 [2] ㅇㅇ(58.140) 17.10.21 64 0
313359 오늘 어머니하고 어머니 친구분 만났는데 [4] ㅇㅇ(223.62) 17.10.21 483 1
313358 자꾸 사칭하네 [5] 불쌍(211.177) 17.10.21 614 2
313356 형들 수능공부법좀 알려주세요 [4] ㅇㅇ(121.139) 17.10.21 353 0
313355 근데 진짜 궁금해서그러는데 [184] ㅎㅎ(223.62) 17.10.21 1169 1
313353 서울대 의대 졸업하고 서울대 로스쿨 코스 어때? [10] ㅇㅇ(219.255) 17.10.21 554 0
313352 너네가 의대생이라면 [11] ㅇㅇ(218.154) 17.10.21 692 0
313351 해외로나가는의사많음? 적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0.21 53 0
313350 의학얘기는 하나도없자너ㅋㅋ ㅇㅇ(110.70) 17.10.21 77 0
313349 의대도 지방의 인설의차이 심하냐? [2] ㅇㅇ(117.111) 17.10.21 404 0
313348 의사들은 월5~600이면 충분한듯 [10] ㅇ ㅇ(121.161) 17.10.21 1260 13
313347 솔직히 인간 의료수준 개쓰레기임 [2] ㅇㅇ(211.108) 17.10.21 204 2
313345 딴것보다 경북 훌리는 뉴~저지 사는 틀딱 ㅋㅋ(116.124) 17.10.21 57 0
313343 나이 ㅇㅇ인데 의대갈수 있을까요? 하는사람은 ㅇㅇ(175.223) 17.10.21 241 1
313342 척척박사님들 Thiazides 작용 궁금한게있슴다 ㅇㅇ(110.70) 17.10.21 59 0
313341 지거국 훌리들은 막을 수 없다 [3] ㄷㄴㅈㅅ(203.175) 17.10.21 407 13
313340 의대 40명중에 35등이면 [2] ㅇㅇ(175.198) 17.10.21 486 0
313338 의사가 왜 이렇게 됐는줄 아냐 [1] ㅇㄹㅇㄹ(220.94) 17.10.21 353 7
313337 전문의 월3 00선까지 떨어질까 ㅣㅣㅣ(117.111) 17.10.21 112 0
313336 의사 맛이 간것도 맞다. 하지만 장사 실력있으면 잘먹고 잘 산다. [3] 3324(175.202) 17.10.21 433 1
313335 의대페이 600되면 대겹보다 못해 [2] 1134(175.223) 17.10.21 492 0
313334 수험생들에게도 한마디 해주자면 ㅇㅇ(110.70) 17.10.21 172 0
313333 전문의 월 200받는다던데 [4] ㅎㅎㅎ(117.111) 17.10.21 423 0
313332 최선의 선택은 이거다 [1] ㅇㅇ(110.70) 17.10.21 138 0
313331 페이 방어는 될거다 [1] ㅇㅇ(110.70) 17.10.21 349 0
313330 오늘 의협배 테니스 대회 나간사람? [3] ㅇㅇㅇ(175.223) 17.10.21 372 0
313329 옛날 이민정이 영화에서 했던 대사 [2] 불쌍(183.103) 17.10.21 682 1
313327 재수 삼수 하는애들이야 [2] 불쌍(183.103) 17.10.21 734 2
313325 불쌍말은 과장이다 [3] ㅇㅇ(110.70) 17.10.21 395 1
313323 애들은 애들이다 [2] 불쌍(183.103) 17.10.21 408 2
313322 군면제 20살 현역 일반의 GP가 제일 부럽다. ㅇㅇ(211.108) 17.10.21 384 1
313321 불평할 것 없다 [9] 불쌍(183.103) 17.10.21 867 3
313320 사우디가서 의사하는거 어떻게 생각해? [1] ㅇㅇ(175.198) 17.10.21 221 0
313319 불쌍아 ㅇㅇ(125.184) 17.10.21 109 0
313318 의대는 바디빌딩과 같다 [1] 불쌍(183.103) 17.10.21 522 6
313317 일본대학병원에서 레지하는형있는데 [4] ㅇㅇ(112.151) 17.10.21 764 0
313316 탈출할데가 있냐? [4] ㅇㅇㅇ(210.180) 17.10.21 228 1
313315 아산병원 펠로우로 들어가기 쉽나요 [3] ㅇㅇ(223.33) 17.10.21 1045 0
313314 멀쩡한 사람한테 심장제세동기 쓰면 어떻게 되나요? [2] ㅇㅇ(223.33) 17.10.21 346 0
313313 근데 요즘에도 패혈증으로 죽냐? [1] ㅇㅇ(175.223) 17.10.21 25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