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환자에겐 도움 안 되는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정형외과수술"

백정(220.80) 2017.05.14 15:11:17
조회 477 추천 1 댓글 3

"환자에겐 도움 안 되는데 세계에서 가장 많은 정형외과수술" 퇴행성 무릎관절질환에 관절경 수술은 "돈과 시간 낭비일 뿐"

[게티이미지뱅크][게티이미지뱅크]

(서울=연합뉴스) 최병국 기자 =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하는 정형외과 수술은 무엇일까?

14일 의약전문지 스태트뉴스 등에 따르면, 국제적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가 "무릎 관절경 수술은 대체로 시간과 돈을 낭비하는 일이며 퇴행성 관절 질환 환자에겐 거의 효과가 없다"고 결론내렸다.

캐나다 맥매스터대학 리드 시미니어크 교수를 비롯한 9개국 22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는 국제 의학학술지 BMJ에 이 같은 연구결과를 싣고 "거의 모든 퇴행성 관절 질환(DKD) 환자에게 관절경 수술을 하는 것에 강력하게 반대한다"고 권고했다.

이미 그동안 이를 뒷받침하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나왔다. 그럼에도 세계 곳곳에서 이 수술이 연간 200만 건 이상 이뤄지는 현실을 개선하고 의사와 환자, 보건당국에 도움이 될 지침을 마련하기 위해 이 국제위원회가 결성됐다.

[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위원회는 그동안의 관련 연구결과 가운데 업계 등과 금전적 관계가 없고 엄정한 국제적 연구기준에 따라 이뤄진 '신뢰도 있고 수준 높은' 것들을 가려냈다.

여기서 추려진 1천600여 명 대상의 임상시험 결과 13건과 연인원 180여만 명을 대상으로 관찰 연구한 논문 12건을 체계적으로 분석했다.

위원회는 BMJ에 실은 이 논문에서 관절경 수술을 받은 퇴행성 관절질환 환자들에게 나타난 '장기적인 통증 및 기능 개선 효과'가 운동, 체중감량, 약물을 비롯한 비(非)침습적 치료를 받은 환자들과 별다른 차이가 없다고 밝혔다.

수술에 따른 고통과 비용, 시간 등을 고려하면 환자와 국가 보건재정에 이익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해롭다는 것이다.

환자가 받을 이익이 미미함에도 불구하고 이 수술이 성행하고, 일부 의료단체나 학회도 진료지침에 이런 연구결과를 반영하지 않고 있다. 미국에서만 이 수술로 인한 비용이 연간 30억 달러(약 3조3900억 원)에 이른다.

무릎관절경 수술과 기존 치료법(운동, 체중감량, 약물 등)의 장기적(1~2년)인 통증 감소 및 기능 개선 효과를 비교한 결과 무릎관절경 수술이 의료적으로 별 의미가 없는, 미미한 수준에서 더 낫긴 하지만 비용과 시간 등을 따지면 낭비에 불과할 뿐이라는 연구결과들을 설명하는 인터액티브 도표. [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캡처]무릎관절경 수술과 기존 치료법(운동, 체중감량, 약물 등)의 장기적(1~2년)인 통증 감소 및 기능 개선 효과를 비교한 결과 무릎관절경 수술이 의료적으로 별 의미가 없는, 미미한 수준에서 더 낫긴 하지만 비용과 시간 등을 따지면 낭비에 불과할 뿐이라는 연구결과들을 설명하는 인터액티브 도표. [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캡처]

위원회는 의사들이 이 수술을 권하고 시행해 금전적 이득을 얻는 데다 기존 비(非)수술방식 치료로 큰 효과를 보지 못한 환자들이 이를 선택하는 것을 그 배경으로 들었다.

그러나 단지 의사와 병원이 돈을 벌기 위한 것이라고만 보면 이처럼 성행하는 이유가 모두 설명되지 않는다면서 "많은 의사가 이 수술의 효과가 있다고 믿고 환자를 위해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는 의사들이 새롭고 신뢰할만한 과학과 의학적 발견들을 공부하고 진료에 반영하지 않는 일이 만연해 있기 때문이라고 위원회는 지적했다.

시미니어크 교수는 "물론 새 증거가 나온 이후 그 증거가 일선에서 실행돼 관행이 바뀌기까지는 여러 해가 걸린다"면서 "그러나 이 문제는 너무 오래 지체되고 있으며, 의료계가 더 잘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미국정형외과학회(AAOS) 관계자는 이번 연구결과에 이에 바탕한 지침엔 폭넓게 동의한다면서 그러나 모든 지침엔 예외가 있다고 스태트뉴스에 밝혔다.

이 학회 '연구 및 의료의 질 위원회' 데이비드 젭시버 위원장은 "환자들이 이 치료법을 항상 100% 부적절한 것으로 여기는 것은 잘못"이라며 "일부이지만 이 수술이 필요한 특정 환자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AAOS도 지침 개정 작업을 진행 중이라면서 그 내용은 일부 예외 조항을 빼고는 이번 BMJ에 실린 것과 많이 유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크게 5 종류로 나눈 퇴행성 관절 질환 환자와 이를 치료하는데 크게 무릎 관절경 수술과 보전적 관리요법(운동요법, 주사나 약물복용 등 포함)이 있음을 설명하는 그림.[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캡처]크게 5 종류로 나눈 퇴행성 관절 질환 환자와 이를 치료하는데 크게 무릎 관절경 수술과 보전적 관리요법(운동요법, 주사나 약물복용 등 포함)이 있음을 설명하는 그림.[BMJ에 실린 논문에 포함된 도표 캡처]

◇ 퇴행성 관절 질환 = 무릎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 때문에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관절 부위 염증성 질환 중 가장 흔하다.

40~50대 이후에 많이 나타나지만 30대에도 있다. 중년 이후엔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보다는 노화로 인한 신체기능 저하나 오래 써서 자연적으로 닳는 등의 퇴행성 원인이 대부분이다.

치료법으로 운동과 물리치료, 체중감량, 약물, 수술 등이 있다. 특히 작은 구멍을 내가느다란 내시경을 넣어 수술하는 관절경 수술의 경우 절개부위가 작고 상처 치유가 빠르다는 장점이 강조되고 있으나 비싸고 효과는 약물이나 운동요법과 마찬가지라는 연구결과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20170514083117019eaml.jpg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316177 적혈구 모양이 톱니바퀴입니다 [2] ㅇㅇ(121.154) 17.11.17 392 0
316176 의대 가야 하는 이유 손발이시립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7 326 0
316175 의치한서 / 연고성한 / 서중경이 / 시외건동 / 홍숙국숭 [1] ㅇㅇ(110.70) 17.11.17 333 0
316174 의료분야는 일본이 우리나라보다 앞서냐? [11] (121.178) 17.11.17 562 1
316173 무조건 의대오지말고 니 적성을 찾아 (211.214) 17.11.17 192 0
316172 본3 부모 동의 없이 마통 가능한 곳 있어?? [4] ㅇㅇ(168.131) 17.11.17 654 0
316171 님들 보건증떼는데 원래 피검사만 하나요? ㅇㅇ(221.141) 17.11.17 532 0
316170 연대 경영이면 의대 어디까지 비비나요?? [6] ㄴㄴ(119.200) 17.11.17 547 0
316169 서연카 빼고는 킹북이 최고지 않냐? [7] ㅇㅇ(175.212) 17.11.17 270 2
316168 토막 고혈압 상식 [2] ㅇㅇ(175.118) 17.11.17 359 0
316167 티오가 중요한 이유 [9] ㅇㅇ(175.223) 17.11.17 1368 14
316165 여신^^ ㅇㅇ(175.223) 17.11.17 249 0
316164 여기 뇌신경 분야 잘 아는 갤러 있어? さくらがお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7 99 0
316163 손발 ㅈㄴ시렵다 아 ㅋㅋㅋ [1] 극흑헬렌켈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7 99 2
316162 로컬 나갈꺼면 2차병원 수련이 더 낫지않나? [1] ㅇㅇ(219.255) 17.11.17 432 0
316161 나의사도 아닌데 환자인데 잘생긴의사한테간다 [2] ㄴㄴㄴ(175.223) 17.11.17 312 1
316160 한양대병원 임금 체불 및 기부 강요 [2] ㄷㄷ(223.62) 17.11.17 617 12
316157 의사도 아닌새끼들이 ㅋㅋ 니넨 공장가서 죽어썩어져라 일해야됨 ㅇㅇ(211.108) 17.11.17 83 0
316156 의사도 아니고 행시합격자도 아닌게 의갤에 비교글 쓰는놈 [1] ㅇㅇ(218.154) 17.11.17 181 1
316155 의대에서 고대는 고신대? [5] ㅋㅋ(223.62) 17.11.17 365 4
316153 설대 레지던트는 외모보고 뽑는거임? [7] ㅇㅇ(175.223) 17.11.17 928 3
316150 탈세같은거 생각하지 마라 [2] 으갤럼(175.223) 17.11.17 259 3
316149 허리디스크 약 처방 받았는데 질문좀요! ㅇㅇ(175.223) 17.11.17 80 0
316147 코정성ㅋㅋㅋㅋㅋ [1] ㅇㅇ(175.253) 17.11.17 185 0
316145 결국 문제가 이상한것으로 SuiCa3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7 109 0
316144 보통 의사끼린 어디서 만나서 결혼 많이하냐 [4] ㅇㅇ(211.36) 17.11.17 902 1
316143 얘들아 나 soO요일 새벽에 위세척했는데 Dark아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7 104 0
316142 1회독 물건너갔다 ㅎㅎ(222.99) 17.11.17 91 0
316141 ㄹㅇ급합니다;; 펄스있는빈맥에서는 [5] SuiCa3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7 277 1
316140 형님들 질문하나 있슴다.. [4] SuiCa3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7 231 1
316138 로컬가서 ent나 내과나 똑같지않냐 [4] 떡밥(39.119) 17.11.17 587 0
316137 미용성형에 사치세 25% 부과 해서 수가 메우는건 어떰? [4] ㅇㅇ(175.223) 17.11.17 250 0
316136 최근 5년간 판사 임용 출신 대학별 순위 [4] 00(97.84) 17.11.17 473 0
316134 내가 고혈압으로 순환기내과를 가보니까 정말 환자 많더라. [2] 엘리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7 673 1
316132 신경과는 전망 어때요?? [1] ㅇㅇ(147.47) 17.11.17 586 0
316130 야 월세 800짜리 건물있는 백순데 [2] ㅇㅇ(118.33) 17.11.17 378 1
316129 솔직히 to to 짖는거 존나 회의감 든다. [3] ㅇㅇ(106.249) 17.11.17 723 3
316128 이국종 이국종 노래좀 그만 처 부르고 통탕연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7 400 6
316127 치질 관련 질문좀 받아주세요,, ㅇㅇ(119.70) 17.11.17 114 0
316126 관동대가 티오얘기나오면 명지병원티오 끼우는데 명지는 서남대협력병원 아냐? [12] ㅇㅇ(223.39) 17.11.17 812 5
316125 가톨릭관동대 작년 보다 to 10%오르지 않았나요? [6] ㅇㅇ(125.140) 17.11.17 498 3
316124 전공 관련 질문점 하겟심더 행님덜 [3] ㅛㅛ(223.33) 17.11.17 240 0
316122 스닥성님도 점점 급식체화돼가는듯 [2] ㅇㅇ(203.226) 17.11.17 379 1
316121 경북대 피성정 5%, 전체티오 50%네 [5] ㅇㅇ(124.195) 17.11.17 437 8
316120 다리 각질 질문요 [1] 1233(112.160) 17.11.16 111 0
316118 애들 울음소리 들으면 살인충동일어나면 소아과 트라이하면 안되지? [5] ㅇㅇ(175.223) 17.11.16 512 0
316117 재활의학과 유명한 학교 알려주실수있나요ㅜㅜ [5] ㅇㅇ(124.195) 17.11.16 638 0
316116 정형 100%갈수 있는데 fm가면 바보임? [10] ㅇㅇ(175.223) 17.11.16 898 0
316115 본4들이 국시 앞두고 여행가도 국시 잘본다는건 무슨경우임? [1] ㅇㅇ(175.223) 17.11.16 320 0
316114 소론도정 2주간 1일 3정씩 3회 [7] #00FFFF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1.16 100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