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시간 개념의 변천사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14 20:16:10
조회 87 추천 0 댓글 4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상대론이 등장하기전 뉴턴역학적으로는 시간은 절대적으로 흘렀습니다. 시간이 절대적으로 흘렀다는 것은 제 기준으로 1초가 흐르면


다른 것들의 시간도 1초가 흐른다는 생각이죠. 그런데 상대론에서의 시간은 제 기준으로 1초가 흘렀다면 다른 것들의 기준으론 1초가


더 흘렀거나 1초가 덜 흐른 상태일 수 있게 되었죠. 그런데 상대론에서 시간이 상대적이긴 하지만 시공간은 절대적이게 설명됩니다.


시공간이 절대적이란 것의 의미는 만약 지구의 중력의 영향권의 크기가 반지름이 10만km인 구라고 가정한다면 어디를 기준으로 잡아도


지구의 중력권은 그 구의 부피만큼의 크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죠. 그리고 그 중력권에서 중력이 가장 센부분에 있는 사람의 시간은


상대적으로 느리게 가고 가장 약한 부분에 있는 사람의 시간은 상대적으로 빠르게 흐르게 되는 것이고요. 그래서 상대론적으로 시공간은


절대적이고 시간은 상대적이란 겁니다. 그럼 양자역학에서의 시간과 시공간에 대한 설명은 어떻게 달라질가요? 먼저 시공간이 절대적이지


않게 됩니다. 질량의 상대성으로 지구의 중력권이 기준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제가 a라는 사람과 5미터 떨어져있을 경우


a의 에너지의 상태가 질량 80% 공간 20%라고 하고, 당신이 a와 10미터 떨어져 있을 경우 a의 에너지의 상태가 질량 40% 공간 60%라고


해보죠. 또 위에서의 공간의 비율(%)이 바로 a가 만들어내는 중력권(시공간)의 범위입니다. 제 기준으론 결국 a의 총에너지중 20%가


중력권을 만들어낸 것이고, 당신 기준으로는 60%가 되니 중력권의 범위가 상대적이란 겁니다. 즉, 시공간의 상태가 상대적이란거죠.


그럼 시간은 어떻게 될까요? 제가 설명했던 우주의 구조는 결국 무한개의 서로 다른 에너지를 가진 4차원의 연속체인 5차원이었죠.


또 우주는 대칭성때문에 존재하기 때문에 저 4차원의 구조가 새롭게 만들어진게 아닙니다. 즉, 이미 있던 구조안에서의 변화라


사실상 시간이 흐르는게 아니란거죠. 한 시간대에서 존재했던 3차원이 다음의 4차원에서 연속적으로 존재할 경우 그것을 인간은


시간의 변화라 인식하지만 결국은 우주의 시간은 절대적이란 겁니다. 또 저는 이걸 4차원내에서의 3차원의 변화는 불연속이기 때문에


기존의 시간개념을 적용할수 없고 따라서 시간이 흐르지 않고 절대적이라고도 했었죠. 프레임을 통해서 설명하기도 했었고요.


1초에 60프레임으로 불연속으로 존재하는 것과 1초에 120프레임으로 존재하는 것중 후자가 더 시간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흐르는 것으로


설명되지만 사실상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라고 말이죠. 즉, 양자역학적으로 시공간은 상대적이고 시간(대)는 절대적이게 됩니다.




변화가 불연속이면 왜 공간과 질량이 등가가 되고 질량이 상대적이게 될까요?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것은 애니매이션의 캐릭처럼 매순간 정지해있으면서 불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떠올려봅시다.


일단 가속도를 측정하려 할때 위의 애니메이션의 예처럼 정확히 한순간의 정지된 상태일 경우 가속도를 측정할수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 눈에는 마치 그 캐릭터가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결국 위의 설명처럼 우리 눈에는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불연속으로 변화한다고 해보자는 겁니다.


그럼 무중력의 공간에서 질량이 서로 다른 정지된 물체에 힘을 가해서 같은 속도로 움직이게 해본다고 합시다.


그럼 두 물체엔 결국 다른 힘이 가해진겁니다. 그런데 변화가 불연속이라면 매순간 그저 같은 위치에 두 물체는 정지해있을뿐이게 되죠.


결국 초기에 두물체가 정지해있다고 했을 때의 순간과 힘을 주어 같은 속도가 되었을때의 한순간을 비교해보려고 하면 비교할 수가 있을까요?


분명 두 물체엔 정지상태일 때완 다른 힘이 가해졌기 때문에 그 다른 힘이 가해졌다는 그 증거가 필요합니다. 그게 과연 무엇일까요?


상대론의 길이 수축입니다. 그럼 그 길이가 수축되었다는 증거가 무엇일까요? 바로 두 물체의 질량의 증가가 되어야 합니다.


즉, 길이가 수축했는데 물체의 질량이 늘어야 한다는 겁니다. 즉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와 e=mc^2이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된다는 것이죠.


다시 말해서 한순간의 정지 상태라 가속도를 구할 수 없을 때 그 힘의 증거가 길이수축이 되어야 하고 질량과 공간이 등가가 되어


길이 수축으로 인해 질량체의 질량이 초기 상태일 때보다 증가하게 된다는 겁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물체에 에너지가 가해졌다>물체가 길이를 더 수축시킨다>그로인해 질량이 증가했다. 따라서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가 성립합니다.


그럼 질량의 상대성은 어떻게 설명될까요?


이번엔 두 물체를 관측하는 관측자의 위치를 바꿔보죠. 그럼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진다는 것은 즉, 길이수축이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겁니다. 따라서 질량이 상대적이게 되죠.


그리고 제 이론에서 길이수축은 공간의 질량화입니다. 공간이 질량이 되고 그 반대로 질량이 공간화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참 쉽죠? 저는 변화가 불연속일때 시간이 불변이고 질량이 상대적이라는 것을 총 4가지 방법으로 설명했습니다.


대우는 그저 그 중 하나일뿐이고 말이죠. 대우의 설명이 가장 쉽고 불완전성정리의 가장 쉬운 예가 되기에


대우무새가 된 것뿐이죠. 그냥 여러분이 제 이론을 반박하고 싶다면 반박하려하지 말고


그냥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에 대한 논문을 써보세요. 그게 제 이론과 겹치지 않는다면 그게 새로운 이론인겁니다.




빛이 절대속도라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요? 바로 기준이 달라져도 항상 같다는 의미입니다.


그리고 그런 불변(절대성)을 가진 것이 공리에 새롭게 추가될수록 '(에너지의) 대칭성'이 지켜지기 위해서는


기존에 불변인줄 알았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즉, 상대속도를 가질줄 알았던 빛이 절대속도라면 기존에 불변이라 생각했던 것 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그게 상대론에서의 길이의 (수축)가변입니다. 그런데 저는 변화가 불연속이라고 했고 그로인해 시간이 불변이 되면


마찬가지로 기존에 기준이 바뀌어도 불변이라 여겼던 것중 하나가 가변이 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죠. 그리고 이를 시각적으로 자명하게 보여주는 영상이 있습니다.




위의 영상처럼 매순간 모든 것이 정지해있다고 가정된 상황에서 포커스(기준)의 변화에 따라 물체의 크기는 크게보이거나


작게보이게 되는데 결국 상호작용이 임의의 기준과의 거리에 따라 상대적이게 될 경우 그 상호작용의 상대성으로 인한 어떤 현상이


발생해야합니다. 그게 바로 질량의 상대성이란 것이죠. 즉, 기준에 따라 질량이 다르다는 것이 질량의 상대성의 의미란 것이죠.


즉, 초등학생까지도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제 이론입니다. 또 뉴턴역학과 상대론도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설명했고 말이죠.


그럼 이곳의 사이비는 중학교 수준의 대우도 모르는 걸 보면 초등학교 수준도 안되는 인간들이라는 걸까요?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187908 보아스 수리물리학으로 미적분학, 선형대수 아다 떼도 됩니까? [4] ㅇㅇ(118.235) 02.17 118 0
187907 물체가 날아갈때 에너지가 어디에 저장되는거냐? [7] ㅇㅇ(117.111) 02.17 111 0
187906 플래시보고 왔는데 시간이동이 실제로 가능함? [7] ㅇㅇ(117.111) 02.17 85 2
187905 insulated neutral conducting sphere가 뭔말임 [3] 물갤러(125.186) 02.17 65 0
187904 미분연산자를 치환해버리는데 [4] 물갤러(118.235) 02.16 99 0
187903 하이브리드 제논의 역설(부제: 아킬레스와 무한 거북이)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84 0
187901 꿩 이야기 2편 [1] 술독(14.32) 02.16 77 0
187900 무냉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51 0
187896 친구랑 논쟁 붙었는데 뭐가 맞음? [2] ㅇㅇ(116.38) 02.16 169 0
187895 이거 팩트임? [4] 스즈메짱다이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28 0
187894 물리학적 공리와 물리학적 이론의 관계를 간단히 이해해봅시다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66 0
187893 전산물리 전망 [6] 물갤러(183.91) 02.15 90 1
187892 물질은 왜 딱딱한건 딱딱하고 물렁한건 물렁한거임? [3] ㅇㅇ(61.79) 02.15 113 2
187891 님들아 나 좀 이해좀 시켜줄 수 있음? (초광속 정보전달, GPT4) [1] 물갤러(1.215) 02.15 129 1
187890 대가리만 쳐 박는 꿩 이야기 [1] 술독(14.32) 02.15 80 0
187889 무냉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47 0
187888 행님덜 기호 읽는 법 좀 알려주십시오 [5] 물갤러(192.40) 02.15 109 0
187887 결정론 반박 철학자코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75 1
187886 특수상대성 이론 질문 [12] 유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132 0
187885 절대의 무가 가능한지 생각해보시면 되요. 우선 여기가 첫걸음입니다.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91 0
187884 지구 온도 1.5도 상승 ㅇㅇ(211.234) 02.14 69 0
187882 중력을 이용한 영구기관 질문 [4] ㅇㅇ(172.225) 02.14 122 1
187881 술 췐 김에 온 세상을 기울여 보자. [3] 술독(14.32) 02.14 82 0
187880 물체의 색을 감각하는 원리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123 0
187879 건국전쟁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63 0
187876 방사선이 중력의 원인 아님? [1] ㅇㅇ(221.140) 02.14 103 0
187875 양자역학에 따르면 전자는 뭔 상태임? [11] 물갤러(220.71) 02.14 134 0
187873 이상과 현실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76 0
187872 무한대 vs 초속 30만km [3] 술독(14.32) 02.13 102 0
187871 무한동력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70 0
187870 술독에 빠진 기념으로.... 술독(14.32) 02.13 64 0
187869 커밍 아웃 술독(14.32) 02.13 57 0
187867 바보부기우 [1] 혼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65 0
187865 냉무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43 0
187864 궁금한거 생김. 정답 좀 알려주셈 콩나물국(125.240) 02.13 80 0
187862 빛보다 빠를수없는이유 [2] 물갤러(1.230) 02.12 97 0
187861 송유근님 정상적으로 교육과정 이수했으면 더 성장했을까요? [4] 물갤러(118.235) 02.12 127 0
187860 상호작용과 (프레임의) 동기화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57 0
187859 파충류는 전부 맹시(blindsight)인거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36 0
187858 광속은 무한대???? 물갤러(14.32) 02.12 57 0
187857 벌써 설연휴 마지막날이네 ㅜㅜ [1] 물갤러(49.169) 02.12 55 0
187856 무냉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38 0
187855 아무리 생각해도 웜홀같은건 불가능한거같음 [1] 물갤러(1.230) 02.12 68 0
187854 빛의 속도가 어떻게 무한대가 아님? [1] 물갤러(106.102) 02.11 105 0
187852 양자역학으로 물리학과 관련된 4가지 역설의 해결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105 0
187851 부기우 혼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57 0
187850 냉무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41 0
187849 이세상은 가상현실이다 혼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52 0
187848 사이펀 효과 질문 ㅇㅇ [2] ㅇㅇ(39.115) 02.10 58 1
187847 부기우 이제 좀 안쓰럽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0 112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