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상호작용과 (프레임의) 동기화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2.12 19:49:35
조회 56 추천 0 댓글 2


7fed8274b4836af151ee81e14e8476732e01c3c8175a3e92b27016e6e368


전에 설명했듯이 상대론의 시간의 상대성은 양자역학의 불연속 변화로도 설명이 가능했죠.


다시 간단히 설명하자면 a라는 관측자의 시간이 1초 흐르는 동안 저는 저를 기준으로 60프레임 불연속으로 변화했고


당신은 당신을 기준으로 120프레임으로 불연속 변화했다면 당신과 저의 시간은 서로 상대적으로 흐른 것이 됩니다.


그런데 위와 같이 각각의 불연속 프레임이서로 절대적으로 다르기만 한 경우상호작용을 서로 할 수 없는 순간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양자역학적으로 상호작용을 하지 않는 경우 파동성을 띄게 되니 결국 상호작용을 할때는 질량체(입자)로 보이게 되고


상호작용을 못할 경우관측자에게 파동성을 갖게 되기에 시각적으로 불연속이게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즉,서로 프레임이 절대적으로 다르기만 한 경우불연속 변화를 시각적으로 경험할 수가 있게 된다는 것이죠.


왜냐하면 프레임이 겹치는 순간은 상호작용을 하여 입자성을 가지게 되지만 프레임이 겹치는 순간이 아닌 경우는


상호작용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우리 인류는 거시적인 물체라고 생각하는 것들의 불연속 변화를


시각적으로 경험한 적이 없죠. 저는 그 이유를 기준이 되는 것의 불연속 프레임에 다른 것들의 불연속 프레임이


동기화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와 관련된 쉬운 예시는 아래와 같습니다.



먼저 비디오카메라가 A, B, C, 3개가 있다고 해보죠. 각 카메라의 차이점은 프레임의 차이라고 하고그 프레임의 차이는


1초에 60프레임(A), 120프레임(B), 240프레임(C)이라고 해보죠.각각의 카메라는 사진을 찍듯이 1초에 60장, 120장, 240장을 찍겠죠.


그런데 A, B, C로 한 움직이는 D라는 물체를 찍을 경우 그 물체가 어떻게 움직이던 A카메라에겐 60프레임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찍히고


B카메라로 사진을 찍으면 120프레임으로 찍힐 뿐이고, C카메라로 찍으면 240프레임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찍힐 뿐입니다.


즉, D는 각각의 카메라의 프레임에 맞춰 사진이 찍힌다는 것이죠.



즉, 제가 60프레임으로 불연속으로 존재할 경우 저와 상호작용하는 것들은 저에게 있어서 자신이 기준일때의 불연속 프레임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지 않고제 프레임에 동기화 되어 불연속으로 존재하게 되며 그경우 불연속으로 변화해도불연속이라는 것을

기준이 되는 저는 시각적으로알 수 없게 됩니다. 또 그런 프레임의 동기화의결과로 기준에 따라 질량이 상대적이게 된다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거시적인 것들의 불연속 변화를 여태껏 눈치채지 못했다는 것이죠. 또 인류가미시의 불연속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던


이유는 프레임의 동기화 과정에서 질량이 상대적으로 바뀌는데 상대적으로 바뀌는 그 과정에서 충분한 질량을 갖지 못했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된다는 것이죠.결론을 정리하자면 상호작용은 양자역학적으로 불연속 변화 프레임의동기화와 같다는 겁니다.




변화가 불연속이면 왜 공간과 질량이 등가가 되고 질량이 상대적이게 될까요?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것은 애니매이션의 캐릭처럼 매순간 정지해있으면서 불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를 떠올려봅시다.


일단 가속도를 측정하려 할때 위의 애니메이션의 예처럼 정확히 한순간의 정지된 상태일 경우 가속도를 측정할수있을까요? 없습니다.


그런데 우리 눈에는 마치 그 캐릭터가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게 되죠.


결국 위의 설명처럼 우리 눈에는 연속으로 변화하는 것처럼 보이더라도 불연속으로 변화한다고 해보자는 겁니다.


그럼 무중력의 공간에서 질량이 서로 다른 정지된 물체에 힘을 가해서 같은 속도로 움직이게 해본다고 합시다.


그럼 두 물체엔 결국 다른 힘이 가해진겁니다. 그런데 변화가 불연속이라면 매순간 그저 같은 위치에 두 물체는 정지해있을뿐이게 되죠.


결국 초기에 두물체가 정지해있다고 했을 때의 순간과 힘을 주어 같은 속도가 되었을때의 한순간을 비교해보려고 하면 비교할 수가 있을까요?


분명 두 물체엔 정지상태일 때완 다른 힘이 가해졌기 때문에 그 다른 힘이 가해졌다는 그 증거가 필요합니다. 그게 과연 무엇일까요?


상대론의 길이 수축입니다. 그럼 그 길이가 수축되었다는 증거가 무엇일까요? 바로 두 물체의 질량의 증가가 되어야 합니다.


즉, 길이가 수축했는데 물체의 질량이 늘어야 한다는 겁니다. 즉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와 e=mc^2이 이렇게 간단하게 설명된다는 것이죠.


다시 말해서 한순간의 정지 상태라 가속도를 구할 수 없을 때 그 힘의 증거가 길이수축이 되어야 하고 질량과 공간이 등가가 되어


길이 수축으로 인해 질량체의 질량이 초기 상태일 때보다 증가하게 된다는 겁니다.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물체에 에너지가 가해졌다>물체가 길이를 더 수축시킨다>그로인해 질량이 증가했다. 따라서 질량-에너지-공간의 등가원리가 성립합니다.


그럼 질량의 상대성은 어떻게 설명될까요?


이번엔 두 물체를 관측하는 관측자의 위치를 바꿔보죠. 그럼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지게 됩니다.


거리에 따라 중력이 달라진다는 것은 즉, 길이수축이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는 겁니다. 따라서 질량이 상대적이게 되죠.


그리고 제 이론에서 길이수축은 공간의 질량화입니다. 중력이 강해진다면 공간이 질량이 되고 그 반대로 중력이 약해진다면


질량이 공간화 된 것입니다.. 참 쉽죠? 저는 변화가 불연속일때 시간이 불변이고 질량이 상대적이라는 것을 총 4가지 방법으로 설명했습니다.


대우는 그저 그 중 하나일뿐이고 말이죠. 대우의 설명이 가장 쉽고 불완전성정리의 가장 쉬운 예가 되기에


대우무새가 된 것뿐이죠. 그냥 여러분이 제 이론을 반박하고 싶다면 반박하려하지 말고


그냥 변화가 불연속일 경우에 대한 논문을 써보세요. 그게 제 이론과 겹치지 않는다면 그게 새로운 이론인겁니다.



왜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까지만 통합될 수 있을까?


물리학자들은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고 싶어했습니다. 그 이유는 두가지 이론이 평행하게 존재하기 보단 하나의 이론이


다른 이론을 포함해서 설명할 수 있지 않을까와 그게 보편적이고 일반화된 설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었죠.


그런 의도로 물리학자들이 연구했던 대표적인 이론이 바로 양자장론이라고 불리는 이론입니다.


저는 사실 양자장론을 전혀 모릅니다. 그런데 제가 말하고 싶은건 이 양자장론이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수학적으로 합치는데


성공했지만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데는 실패했다라는 겁니다. 관련해서 제가 쓴 책에도 이미 쓴 적이 있지만 다시 써보자면


상대론은 변화가 연속, 양자역학은 변화가 불연속이라는 현상적인 공리가 설정되어있기 때문에, 즉, 공리가 모순되므로


통합된 이론이 만들어질 수 없다고 했었죠. 쉽게 말해서 변화는 연속이면서 불연속이다란 공리를 쓸수는 없다는 겁니다.


그럼 여기서 생기는 의문은 바로 왜 그럼 특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합칠 수 있었던 건가?가 됩니다.


그럼 도대체 왜일까요? 바로 특수상대론은 관성계를 설명하는 이론이기 때문입니다.


즉, 관성계는 등속운동과 정지 상태를 설명하는것이고 양자역학의 불연속도 결국 관성계를 의미하죠.


따라서 합쳐질수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사실 이건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론을 설명할 때 세웠던 가정 2가지중 하나와 관련되어있습니다.


1. 모든 관성 좌표계에서의 물리법칙은 동일하다, 2. 모든 관성계에서의 빛의 속력은 동일하다


결국 위의 가정중 바로 1번이 바로 양자역학과 특수 상대론이 통합될 수 있던 이유가 됩니다.


그런데 결국 왜 일반 상대론과 양자역학은 통합될 수 없는걸까요? 이 우주에 비관성계가 없기 때문입니다.


연속으로 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은 제논의 주장처럼 인간 감각의 착각이다라는 것이죠.


화살의 역설처럼 매순간 모든 물체는 정지해있고 가능한 것은 오직 허수시간동안의 기준의 변화에 따른 질량의 상대적인 변화뿐입니다.


물론 기준의 변화를 연속이 아닌 불연속으로 설정하면 이마저도 역시 관성계가 되어버리죠.


결국 양자장론의 한계는 특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합치는 것까지라는 겁니다.


그리고 이를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제 시간대란 개념이고 말이죠.


https://drive.google.com/file/d/1Ns4wdYS-DHVyPmwSW54km3DHw6W43_04/view?usp=sharing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88101 [참고물] 현상론과 물리학 및 과학적 해석... +abcd342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3 48 0
188100 전공책 질문드려요 [3] ㅇㅇ(1.226) 03.03 94 0
188099 버러지들이 상대론과 공리기 바뀌는데 상대론과 [16]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3 128 0
188098 정신 병자 부기우 물갤러(112.147) 03.03 56 0
188097 부기우님 보세요 [3] 술독(14.32) 03.03 108 0
188096 버러지들이 말이 참많네 ㅋㅋ [5]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3 125 2
188095 상대론적 질량 (2) [16] 술독(14.32) 03.03 129 0
188094 부기우는 대우하면 다 참인줄 아노 [1] 혼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3 76 0
188093 고딩인데 익명(115.143) 03.03 50 0
188092 시간이 절대적이라는 부기우 ㅇㅇ(220.122) 03.03 50 0
188091 냉무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3 39 0
188090 부기우에게 [4] 물갤러(112.147) 03.03 70 0
188089 상대론적 질량 [2] 술독(14.32) 03.03 73 0
188086 이봐요 부기우 인공위성 시간이 느리게가는이유 설명해 ㅇㅇ(220.122) 03.02 44 1
188085 이론물리하고싶다 [2] ㅇㅇ(59.26) 03.02 73 0
188084 부기우야 유사창작물 그만쓰고 [1] ㅇㅇ(220.122) 03.02 64 0
188083 시간은 상대적이야 ㅇㅇ(220.122) 03.02 44 0
188082 불완전성정리의 쉬운 이해 [3]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2 68 0
188081 수학없이 물리를 논할수있나? [2] ㅇㅇ(220.122) 03.02 81 0
188080 타임머신 개발중입니다 [2] 피자202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2 65 0
188079 술주정 [5] 술독(14.32) 03.02 76 0
188078 중국 vs 미국(러시아) [1/1] 물갤러(49.169) 03.02 49 0
188076 르네 데카르트 이새끼가 현재 세상을 만드는데 졸라 큰영향을 미친것 같은디 [2] 물갤러(49.169) 03.02 73 1
188074 서양 근대철학 장난 아니네 [3] 물갤러(49.169) 03.02 77 2
188073 물린이 도움좀 [4] 물갤러(118.235) 03.02 80 0
188072 무냉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2 36 0
188071 양자 복습하다가 알았는데 [1] ㅇㅇ(211.234) 03.02 71 0
188069 시간의 불변성을 간단하게 이해해봅시다. [5]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1 75 0
188068 현상의 진행과 현상 그 자체는 동치이다 [1] 물갤러(115.140) 03.01 48 0
188067 수학은 연속성만 다루는 게 아니다 물갤러(115.140) 03.01 48 0
188066 발기하면 몸의 위치에너지가 높아지는데 [3] 피자2021(106.102) 03.01 107 0
188065 역사상 가장 재미있던 시대는 몽골제국 전성기시대가아닐까 [2] a(223.38) 03.01 68 0
188064 물리에서 절대적인건 현상이라고? 물갤러(1.239) 03.01 60 0
188063 축지법 배우기 [2] 술독(14.32) 03.01 57 0
188062 그냘 변화가 연속잌지 불연속인지 생각해보라고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1 63 0
188061 차원 이야기 [3] 술독(14.32) 03.01 71 0
188060 찔려서 발끈했다 뻘쭘한 부기우면 개추 ㅋㅋㅋ 물갤러(211.234) 03.01 45 1
188059 니 읽으라고 쓴 글 아니야 [1] 물갤러(1.239) 03.01 65 0
188058 글쓰기는 개뿔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1 70 0
188057 글 쓴다 [2] 물갤러(1.239) 03.01 76 5
188056 전자공에서 기하와 백터 지식 쓰임? [3] ㅇㅇ(211.234) 03.01 111 0
188055 물리학자들도 수능 문제 잘풀까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1 118 0
188054 냉무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1 31 0
188052 양자도약 질문 [27] 상남자(121.132) 03.01 156 0
188051 수학적 차원과 물리학적 차원은 같은가? [1]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1 57 0
188050 과학과 신학 [19] 술독(14.32) 02.29 229 0
188049 냉무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9 35 0
188048 terminal velocity 어떻게하죠 [1] 물갤러(223.39) 02.29 65 0
188047 정전기 일어날때 [1] ㅇㅇ(1.230) 02.28 47 0
188046 과거 현재 미래와 상호작용 [2] 부기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8 5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