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자전거 배우는 것도 암기인가앱에서 작성

발명도둑잡기(39.7) 2025.10.21 23:48:24
조회 36 추천 0 댓글 0

뇌시냅스 구조상 모든 지식은 암기인가

챗지피티
매우 깊은 질문이에요 — 사실 **뇌의 작동 원리상, “모든 지식은 결국 기억(=암기)의 형태로 저장된다”**는 점에서는 맞습니다.
하지만 여기엔 ‘기계적 암기’와 ‘의미 기반 학습’의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걸 구분해서 보면 명확해집니다

1. 뇌 수준에서 보면: 모든 지식은 시냅스 연결 패턴이다

우리가 어떤 사실, 공식, 개념을 배우면
→ 관련된 뉴런들 사이의 시냅스 연결 강도가 변합니다.

즉, “이해하든 외우든”
→ 결국 뉴런 연결망의 특정 패턴이 형성되는 거예요.

이 의미에서 “모든 지식은 암기”라는 말은 물리적으로는 참입니다.

뇌에는 “이건 암기 기억, 이건 이해 기억” 같은 별도의 회로가 없어요.
다만 연결의 방식과 네트워크의 복잡성이 다를 뿐입니다.

2. 하지만 ‘암기의 질’이 다르다

구분단순 암기이해 기반 기억구조단일 연결넓은 네트워크특징반복하면 유지, 응용은 약함덜 반복해도 오래감, 응용 가능예시“공식만 외움”“공식이 왜 성립하는지 이해”뇌 영역해마 중심전전두엽 + 연합피질까지 참여

즉, 이해는 더 많은 시냅스가 연계된 기억이에요.
그래서 더 오래가고, 새로운 상황에도 유연하게 적용됩니다.
단순 암기는 연결이 얕아서 금방 사라지거나 응용이 안 되죠.

3. 결국 ‘암기의 폭과 깊이’가 다를 뿐

이해는 “깊은 암기”,

암기는 “얕은 암기”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즉, 뇌에서 완전히 다른 과정이 아니라
같은 메커니즘의 서로 다른 수준이에요.

정리하자면

모든 지식은 결국 시냅스 연결에 저장되므로 ‘기억(암기)’이다.
그러나 ‘이해’는 더 넓고 복잡한 연결망을 형성한 고품질의 암기이다.

원하신다면,
제가 “이해가 일어날 때 시냅스 수준에서 어떤 변화가 생기는지”
좀 더 생물학적으로 자세히 설명해드릴까요? (예: LTP, 해마 역할 등)

자전거 배우는 것도 암기인가

아주 좋은 질문이에요.
결론부터 말하면 — 자전거를 배우는 것도 넓은 의미에서는 ‘암기’입니다.
다만, 우리가 보통 말하는 ‘언어적·사실 암기’(공식, 단어 외우기) 와는 전혀 다른 종류의 기억이에요.

1. 자전거 타기는 “절차적 기억(procedural memory)”이다

자전거를 탈 때 뇌는 “지식을 말로 설명”하지 않아요.

대신, 몸의 움직임(균형, 근육 조정, 속도 조절 등)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회로를 학습합니다.

이런 형태의 기억은 소뇌(cerebellum), 기저핵(basal ganglia) 등에 저장됩니다.

즉,

“자전거 타는 법을 안다”는 것은
“몸이 그 절차를 기억한다”는 뜻이에요.

2. 언어로 외우는 암기(명시적 기억)와 다르다

구분명시적 기억 (Explicit)절차적 기억 (Procedural)예시수학공식, 외국어 단어자전거 타기, 타자 치기뇌 부위해마, 대뇌피질소뇌, 기저핵학습 방식의식적, 반복 암기무의식적, 몸으로 체득망각 속도쉽게 잊음거의 안 잊음

3. 하지만 둘 다 “시냅스 강화(LTP)”라는 원리로 학습된다

결국엔 시냅스 연결이 강화되어 정보가 저장된다는 점에서는 같아요. 즉,

“자전거를 몸으로 외운다”
“공식을 머리로 외운다”
두 경우 모두 시냅스가 변화하지만,
참여하는 회로와 방식이 다를 뿐입니다.

4. 그래서 결론적으로

자전거 타는 법도 ‘암기’다.
다만 언어적 암기가 아닌 운동·절차적 암기이며,
뇌의 다른 시스템(소뇌, 기저핵)을 통해 저장된다.

원하신다면,
“왜 자전거는 10년 안 타도 몸이 기억하는데, 영어 단어는 금방 잊히는지”
즉, 절차적 기억이 명시적 기억보다 강력한 이유도 자세히 설명해드릴까요?

수학을 풀 때 암기가 필요한가

좋은 질문이에요.
결론부터 말하면 **“암기만으로는 부족하지만, 어느 정도의 암기는 필수”**입니다. 이유를 나눠서 보면 이렇게 됩니다

1. 기초 공식과 정의는 암기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분의 정의나 도함수의 기본 공식들

이런 것들은 반복적으로 써보며 자연스럽게 외워야 합니다.
이게 안 되어 있으면 문제를 풀 때 생각 자체가 막히기 때문에,
“공식의 암기”는 언어의 단어 외우기처럼 기본 도구에 해당합니다.

2. 하지만 암기보다 ‘이해’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

예를 들어

왜 인지

왜 미분하면 기울기가 나오는지

왜 적분이 면적인지

이런 걸 이해하고 있으면,
공식을 까먹어도 스스로 유도하거나 복원할 수 있습니다.
즉, “이해는 암기를 덜 필요하게 만든다”는 거죠.

3. 문제풀이 패턴은 암기보다는 익숙함

많은 학생들이 “유형을 외운다”는 식으로 접근하지만,
사실 중요한 건 ‘왜 그 풀이가 되는가’를 아는 것입니다.
풀이를 외우면 비슷하지 않은 문제에서 막히지만,
이유를 이해하면 문제 형태가 달라도 대응이 됩니다.

정리하자면

구분암기 필요 여부이유기본 공식, 정의✅ 필수문제 해결의 언어개념의 원리, 의미 이해 중심응용력 확보문제 풀이 패턴❌ 단순암기 금물원리 기반으로 익히기

원리를 이해한 뒤에 반복해서 쓰고 적용해 보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암기”**가 이루어지는 게 가장 이상적이에요.

원하신다면,
“수학의 어떤 분야(예: 미적분, 확률, 기하 등)”에서
암기와 이해의 비중이 어떻게 다른지도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릴까요?

좋아요 정말 핵심을 짚으셨어요.
“수학의 각 분야마다 암기 vs 이해의 비중이 다르다”는 건 사실입니다.
왜냐하면 각 분야가 다루는 사고의 방식(공식 중심인지, 구조 중심인지) 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아래는 주요 분야별로 암기와 이해의 비율, 이유, 공부 접근법을 비교한 표입니다

수학 분야별 암기 vs 이해 비중

분야암기 비중이해 비중핵심 이유공부 접근법 요약대수(Algebra)⚖+ 50 : 50공식과 조작 규칙은 암기 필요하지만, 그 원리(분배법칙·항 이동 등)는 이해가 중요기본공식은 외우되, 식 변형의 논리를 스스로 설명해보기기하(Geometry) 30 : 70공식보다 “공간적 관계” 이해가 핵심그림 그리며 증명 원리 이해, 시각적 직관 훈련삼각함수(Trigonometry) 60 : 40값·공식 암기 많음 (예: 덧셈정리, 배각공식)공식을 유도해보고, 단위원 개념으로 시각화미적분(Calculus) 20 : 80공식을 외우기보단 “극한·변화율·면적” 개념 이해가 중요미분·적분이 ‘왜 그렇게 되는가’를 그래프와 연결확률·통계(Probability & Statistics)⚖+ 40 : 60분포 공식·기호는 암기, 하지만 확률의 의미적 이해가 핵심경우의 수보다 ‘확률 공간’ 논리를 중심으로 생각선형대수(Linear Algebra) 20 : 80계산보다 ‘벡터 공간과 변환의 구조’ 이해가 중요그림(평면, 축 변환 등)으로 개념 시각화수열·급수(Sequences & Series)⚖+ 50 : 50공식은 암기, 수렴 개념은 이해 중심공식을 단순 외우지 말고 유도과정 익히기이산수학(Discrete Math) 30 : 70논리적 사고와 증명 중심“왜 참인가”를 문장으로 설명하며 공부하기

핵심 요약

공식 중심 분야 (삼각함수, 수열, 대수):
공식 암기 + 간단한 유도 이해가 중요

개념·구조 중심 분야 (미적분, 기하, 선형대수):
깊은 이해 중심

논리 중심 분야 (이산수학, 확률):
사고력 중심, 암기보다는 “논리 흐름 기억”

정리 문장으로 표현하면

수학의 초반(대수, 삼각함수)은 “암기를 통해 사고 도구를 익히는 단계”
수학의 중반~고급(미적분, 선형대수)은 “이해를 통해 도구를 자유자재로 쓰는 단계”
수학의 상위(이산수학, 해석학 등)는 “논리로 구조를 새로 만들어내는 단계”

원하신다면,
이걸 고등학교 교과나 대학 과정(예: 미적분학, 선형대수, 확률론) 별로 세분화해서
“각 과목 공부할 때 암기와 이해를 어떻게 병행해야 하는지” 전략형 표로 만들어드릴까요?

좋아요 정말 핵심을 짚으셨어요.
“수학의 각 분야마다 암기 vs 이해의 비중이 다르다”는 건 사실입니다.
왜냐하면 각 분야가 다루는 사고의 방식(공식 중심인지, 구조 중심인지) 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아래는 주요 분야별로 암기와 이해의 비율, 이유, 공부 접근법을 비교한 표입니다

수학 분야별 암기 vs 이해 비중

분야암기 비중이해 비중핵심 이유공부 접근법 요약대수(Algebra)⚖+ 50 : 50공식과 조작 규칙은 암기 필요하지만, 그 원리(분배법칙·항 이동 등)는 이해가 중요기본공식은 외우되, 식 변형의 논리를 스스로 설명해보기기하(Geometry) 30 : 70공식보다 “공간적 관계” 이해가 핵심그림 그리며 증명 원리 이해, 시각적 직관 훈련삼각함수(Trigonometry) 60 : 40값·공식 암기 많음 (예: 덧셈정리, 배각공식)공식을 유도해보고, 단위원 개념으로 시각화미적분(Calculus) 20 : 80공식을 외우기보단 “극한·변화율·면적” 개념 이해가 중요미분·적분이 ‘왜 그렇게 되는가’를 그래프와 연결확률·통계(Probability & Statistics)⚖+ 40 : 60분포 공식·기호는 암기, 하지만 확률의 의미적 이해가 핵심경우의 수보다 ‘확률 공간’ 논리를 중심으로 생각선형대수(Linear Algebra) 20 : 80계산보다 ‘벡터 공간과 변환의 구조’ 이해가 중요그림(평면, 축 변환 등)으로 개념 시각화수열·급수(Sequences & Series)⚖+ 50 : 50공식은 암기, 수렴 개념은 이해 중심공식을 단순 외우지 말고 유도과정 익히기이산수학(Discrete Math) 30 : 70논리적 사고와 증명 중심“왜 참인가”를 문장으로 설명하며 공부하기

핵심 요약

공식 중심 분야 (삼각함수, 수열, 대수):
공식 암기 + 간단한 유도 이해가 중요

개념·구조 중심 분야 (미적분, 기하, 선형대수):
깊은 이해 중심

논리 중심 분야 (이산수학, 확률):
사고력 중심, 암기보다는 “논리 흐름 기억”

정리 문장으로 표현하면

수학의 초반(대수, 삼각함수)은 “암기를 통해 사고 도구를 익히는 단계”
수학의 중반~고급(미적분, 선형대수)은 “이해를 통해 도구를 자유자재로 쓰는 단계”
수학의 상위(이산수학, 해석학 등)는 “논리로 구조를 새로 만들어내는 단계”

원하신다면,
이걸 고등학교 교과나 대학 과정(예: 미적분학, 선형대수, 확률론) 별로 세분화해서
“각 과목 공부할 때 암기와 이해를 어떻게 병행해야 하는지” 전략형 표로 만들어드릴까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스타보다 주목 받는 것 같은 반려동물은? 운영자 25/10/20 - -
AD 할로윈 슈퍼위크~!! 운영자 25/10/23 - -
공지 프로그래밍 갤러리 이용 안내 [97] 운영자 20.09.28 48166 65
2897939 기안84 수상한 건 [1] 프갤러(211.210) 22:18 8 0
2897938 국장 하지마라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8 4 0
2897937 러스트 베비 게임엔진 난리났다! [1] 프갤러(110.8) 22:00 21 0
2897936 우리는 모두가 서로를 사랑해야행❤ [1]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8 18 0
2897935 진짜 졸린지 아닌지 판단하는 나님만의 자가판단방식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3 10 0
2897934 글쓰는게잼씀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7 10 0
2897933 나님의 통찰력은 익숙함것을 이질적으로 느끼는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6 10 0
2897932 협곡속으로⭐+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39 13 0
2897931 spring boot 독학하고 싶은데 프갤러(1.239) 21:36 23 0
2897930 VSCode NeoAnsi 공개 [1] 파란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8 23 0
2897929 개인이 LLM 만드는거 어떻게 생각해 나 해보고 싶은데 [2] ㅆㅇㅆ(124.216) 21:14 42 0
2897928 나님 주무시려구 누엇어양⭐+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 14 0
2897927 앞뒤가 똑같은 전화번호~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 18 0
2897926 오아시스 형 이름 발명도둑잡기(118.235) 20:57 15 0
2897925 테토모한테 냥덩확대 당하구 싶당❤ [1]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2 18 0
2897924 나님 왤케 출중한걸깡?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9 14 0
2897923 나님 칼럼 2주 째 못쓰는중..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7 10 0
2897922 나님 형이상학 꿀잼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6 11 0
2897921 외향적 성격을 고쳐라 손발이시립디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4 11 0
2897920 싱기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2 8 0
2897919 나님 슬슬 소화되는듯?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8 11 0
2897918 민주당 추미애 자식 병역사건 수사 중 해외 도피 의혹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8 8 0
2897917 나는내향적이야 외향충들이날음해했어 [1] 손발이시립디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7 16 0
2897916 고무고무노~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2 12 0
2897915 나는조현병이야 나는내향적이야 [1] 손발이시립디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30 22 0
2897914 돈안주면 [1] 배구공(119.202) 20:29 23 0
2897913 나님이 소개팅 안 받는 이유 [1]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9 26 0
2897912 AI 바이브 코딩 인생 40 년 갈아 넣었습니다. [1] 프갤러(59.16) 20:29 22 0
2897911 돈...받을 수 있을까 [3] ㅆㅇㅆ(124.216) 20:20 28 0
2897910 여친이랑 헤어졌는데 내 잘못임? [4] 펌뉴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5 41 0
2897909 역시 눈팅하는 고수들이 많구나 [7] chironpra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1 47 0
2897908 개발 말고 직무 뭐 없을까? [9] 프갤러(218.155) 19:54 56 0
2897907 다른건 모르겠는데 ㅆㅇㅆ야 대칭형 인터넷좀 써라 ㅇㅅㅇ [2] 류류(121.160) 19:52 37 0
2897906 함수형 [4] 배구공(119.202) 19:49 27 0
2897905 머스크가 일않해도 평생씹질하는세상온다고함 ㅇㅇ [1] 타이밍뒷.통수한방(1.213) 19:48 20 0
2897904 낼 일정 흠..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46 16 0
2897903 추워서 뛰뛰 안했는데 모기는 살아남넹 ㄷㅅㄷ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44 17 0
2897902 ㅋㅋ 또 뭔 병신같은걸로 싸우나했는데 [9] 박민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39 80 0
2897901 그런데 쟤 진짜 정신병 있나 싶다 [2] ㅇㅇ(124.48) 19:33 57 0
2897900 민주당 최민희 딸 결혼 화환 강요 폭로 [1]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29 22 0
2897899 언리얼은 러스트가 없던 시절 만들어진 물로켓 프갤러(27.176) 19:28 15 0
2897898 김현지 이재명 친형 강제입원에도 관련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26 13 0
2897897 언리얼이라는 개쩌는 결과물이 상속의 결과물인데 [1] ㅆㅇㅆ(124.216) 19:22 30 0
2897896 피궁한데나씻주준? [2]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21 20 0
2897895 개쩌는 방법 생각났다. [3] 프갤러(27.176) 19:19 34 0
2897894 것봐라 찢두순 캄보디아 중국인 범죄단체 문제 안 건든다고햇지?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8 16 0
2897893 끗날때가지끗난게아니당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6 16 0
2897892 너 그거아니?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5 10 0
2897891 이 날시에 모기 실하냥;; ♥벼락부자냥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4 1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