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공략] (5.26)레이드특집)2-2. 레이드 카드 - 어플릭션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2.09 02:08:11
조회 1126 추천 5 댓글 8
														

주의)현재 이 글이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점은 5.26 버전이며, 차후 업데이트에 따라 수정될 수 있음


주의2)이 글은 본인의 레이드 경험과 더불어 상위 클랜을 비롯한 다른 고인물들의 정보와 공략 및 팁을 토대로 작성한 정보글이며 부정확한 정보나 개인의 취향에 따라 불만족스러운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피드백은 적극 환영이지만 단순히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취좆을 시전할 경우 이에 대해서는 절대 책임지지 않음을 밝힘


0cbbd62aecd12caf61b198a518d60403ab91883877b815ea


이전에도 예고했듯이 2편에서는 그 레이드 카드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며 여기 2-2편에서는 레이드 카드 중 어플릭션에 해당하는 레이드 카드들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레이드가 나온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시점에는 카드가 그리 많이 나오지 않은데다 버스트 카드가 선호도가 더 높아 조금 애매한 위치에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여러 어플릭션과 서포트 카드가 출시되고 시너지가 발굴되면서 현 시점에는 주요 메타 카드가 된 카드들이 꽤 있다. 물론 그런 와중에도 거듭된 패치로 또 평가가 바뀐 카드 또한 여럿 있다. 어쨌든 메타와 상황에 따라서 알맞게 쓰는 것이 가장 좋을 것이다.


이 글에는 첨부 영상이 여럿 있다. 적절한 사용 방법을 숙지하기 위해 보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



============================================



1. Blazing Inferno(화염 지옥)


0fb1d13cecdc3fe647b1d0b004df2b73d334d6249d47691c1b4842ebdf77


발동 확률은 10%이며 지속시간은 6초이고 이 카드가 발동한 파트 당 확률이 2%씩 증가한다.(파트 제한 없음(=최대 8파트), 파트 당 최대 3스택)


기본 발동 확률 자체는 매우 낮지만 한번 발동되면 확률이 점점 늘어나 6파트는 22%, 7파트는 24%, 8파트는 26%가 되어 많은 부위에 묻혔을 때는 비교적 괜찮은 지속시간 덕분에 모든 파트에 발동 시킨 이후에는 스택 유지가 쉬워진다.


이전에는 정석대로 썼을 때 충분한 확률에 비해 데미지가 너무 낮은 편이라 매우 기피되는 카드였으나 5.18 패치 때 뎀지 버프를 상당히 크게 받아서 이제는 빛을 보나 싶었으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설레발에 가까웠고 바디 파트 당 뎀지가 증가하는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와 조합하기에는 그 카드에 6파트 제한을 처먹은데다 클랜 레이드 4티어와 마스터 티어에서는 허구한날 체력 증가 디버프만 떠서(이 두 티어는 체력 관련 디버프와 아머 관련 디버프만 뜬다) 8파트도 거의 나올 일이 없게 되었다.


그리고 기존의 주요 메타 카드들(어플릭션 카드 포함해서)의 레벨이 높았던 고인물들은 사용을 기피하였고 더불어 5.18 패치와 그 이후 패치 때 어플릭션 카드 중 주요 메타 카드인 Thriving Plague(역병 칼날) 카드와 Fusion Bomb(융합 폭탄) 카드가 보상 버프를 받기도 하였다. 또 5.18 패치 때 새로 출시된 어플릭션 카드 Runious Rain(파멸의 비) 카드가 새로이 메타 카드가 되었고 어플릭션 뎀지 증가 효과와 어플릭션 확률 1.3배 효과를 가지고 있는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 카드는 어플릭션 카드 Blazing Inferno(화염 지옥) 카드보다 다른 어플릭션 카드(특히 Thriving Plague(역병 칼날), Ruinous Rain(파멸의 비))와 조합하는 것이 더 좋다는 이유로 현재는 여전히 쩌리 신세밖에 더 안 된다. 불쌍한 놈...


그래도 다른 어플릭션 메타 카드에 비해 밀린다는 거지 아예 나쁜 카드라는 뜻은 아니고 동렙 기준 어플릭션 카드 Thriving Plague(역병 칼날) 카드 +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 + 어플릭션 카드 Blazing Inferno(화염 지옥) 카드 조합도 파트 수만 높다면 꽤 괜찮은 조합이다.


물론 그게 끝이고 클랜 레이드에서 상위권 클랜들은 이 카드를 잘 쓰지 않아 다른 메타 카드들에 비해 레벨이 낮아 더스트를 쓰기가 부담스러워 업글 효율도 좀 그렇고 마스터 티어 기준 6덱 조합 = 18장의 카드 조합을 꾸려야 한다는 것을 생각하면 계륵 그 자체이거나 그 밑이라서 업글하는 것은 그닥 추천하지 않는다.


5.26 패치 때 파트 당 증가 확률이 3%에서 2%로 너프를 먹는 대신 기본 확률이 5%에서 10%로 증가하는 버프를 받아 공격 시작 직후 이 카드를 처음 발동시키는 과정이 조금 더 쉬워졌다.



2. Acid Drench(독 바르기)


0cbed922a5f62aa360bcdefb06df231d7c4abff5407cbed48506


발동 확률은 18%이며 지속시간은 2.2초이고 발동시 그 파트의 적용되는 지속시간을 초기화(갱신)시킨다.(파트당 최대 15스택)


모든 어플릭션 카드들 중에서 공동 1위의 기본 발동 확률과 최대 스택수를 가지고 있지만 반대급부로 쓰레기 같은 지속시간과 데미지를 가지고 있다. 발동 시 지속시간이 초기화되어 지속시간 내에 발동되면 계속해서 유지할수 있지만 그냥 쓰면 2파트만 쳐도 스택이 깨지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 물론 1파트를 쓰면 깨질일은 거의 없겠지만 그때는 가뜩이나 노딜인 데미지가 씹노딜이 되는데 그렇다고 가스를 붙혀서 2~3파트로 쓰자니 가스 붙인 다른 어플릭션 덱이 골백배는 더 낫다. 사실 2파트도 씹노딜이다.


물론 이 카드가 존재하는 이유는 따로 있으니 버스트 카드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 때문.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는 발동할 때 그 파트에 있는 어플릭션 스택을 전부 제거하고 그 스택수에 비례하여 그 카드가 주는 데미지를 더 상승시킨다. 카드는 말 그대로 오직 이 조합을 위해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이전에는 너프 이전의 단일 파트 서포트 카드 원탑이였던 서포트 카드 Totem of Power(전원의 토템) 카드랑 같이 조합하는 일명 정요 조합이 모든 조합들 중에서도 원탑 취급 받았으나 5.18 패치 때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도 어플릭션 스택 당 추가 뎀지 수치가 고정되는 너프를 먹고 이 카드도 기본 확률이 25%에서 18%로 너프를 먹고 Totem of Power(전원의 토템) 카드도 매우 큰 너프를 처먹고 이제는 그 위상을 다시는 볼 수 없게 되었다. 물론 그 때 그 위상과 비교했을 때 초라해졌다는 거고 여전히 나쁜 덱은 절대 아니니 오해하지 말자.


현재는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와 더불어 업글 효율이 최상위권인 바디 파트 당 뎀지가 증가하는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와 함께 쓰는 것이 주요 메타가 되었다. 업글 효율이 좋아 뎀지도 매우 잘 나오고 주로 1~2파트에 칠 수 있기 때문에 피통 조절도 비교적 잘 되는 것도 호재이다. 사실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와 조합할 때는 이 카드 대신 동일한 발동 확률을 가진 어플릭션 카드 Ravenous Swarm(게걸스러운 떼) 카드를 써도 무방하다. 이때는 주로 2~3파트에 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와 조합할 때는 이 카드는 어플릭션 스택 셔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기 때문에 업글해도 올라가는 데미지는 뒤지게 낮다. 업글은 절대하지 말자. 이 주의 사항은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에만 조합할 때 기준 Ravenous Swarm(게걸스러운 떼) 카드한테도 적용된다.


근데 어째 어플릭션 카드 설명인데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 설명만 주구장창 있는 것 같은 기분이 들 수도 있는데 그거 맞다. 이 카드의 주 용도는 오직 그것밖에 없다. 아까도 말했듯이 기본 카드 뎀지는 매우 구리기 때문에 메인 카드로 없을 것이다. 참고로 게임하이브 쪽에서는 어떻게든 이 카드 메인으로 써먹게 하려고 이상하게 계속 지속적으로 뎀지 버프를 주고 있는 것이 눈에 보이지만 그게 되겠노?



3. Decaying Strike(부패의 일격)


09b8d327fcdb36a12e8cc2a71fda2173e4632156b31d4bf9910cc84ba605


발동 확률은 10%이며 지속시간은 3초이고 잃은 체력이나 아머가 늘수록 데미지가 점점 늘어나 잃은 체력이나 아머가 75% 이상(=남은 체력이나 아머가 25% 이하)일 때 데미지가 최대가 된다.(파트당 최대 4스택)


사용 방법 자체는 어렵지 않고 그냥 원하는 부위를 치면 되지만 제대로 데미지를 뽑아내기 위해서 맞춰야되는 조건이 상당히 까다롭다. 대신 조건을 맞추기만 하면 어플릭션 카드들 중에서 가장 높은 데미지를 뽑을 수 있는 카드이다. 만약 제대로 사용한다면 주로 2서포트를 붙여서 사용하며 그 중 어플릭션 뎀지 증가 효과와 어플릭션 확률 1.3배 효과를 가지고 있는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 카드가 없다면 2,3파트, 있다면 3,4파트를 치며 어플릭션 확률이나 지속시간 버프/디버프가 붙어있을 때는 거기에 +1/-1을 해도 된다. 참고로 1파트만 치면 딜손실이 발생한다.


사실 이전에는 최대 데미지 조건이 피통 25% 이하가 아닌 20% 이하에 파트당 최대 스택도 4밖에 안되서 상당히 빡셌으나 5.19 패치 때 조건이 피통 20% 이하에서 25% 이하로 증가하였고 5.23 패치 떄(정확히는 5.23.1.2) 최대 스택이 4에서 5로 증가하여 사용 조건도 약간 완화되고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매우 훌륭한 데미지를 자랑할 수 있게 되었다.


분명히 조건을 갖췄을 때 매우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는 것은 맞으나 문제는 클랜 레이드 특성상 한 레이드에 7턴 이상이 걸린다는 가정하에 자신이 혼자 쳐서는 절대 어느 파트의 아머나 체력을 25% 이하로 만들 수 없다. 때문에 상황에 따라 자신이 쓸 수 있는 덱을 다 쓰고 나서도 다른 클랜원들이 쳐서 아머나 체력 25% 조건을 맞출 때까지 허송세월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게다가 만약 자신이 불가피하게 다른 일이나 용건이 있거나 자는 중이라 Decaying Strike(부패의 일격) 카드를 못 쓴 상태에서 쳐야했던 아머나 바디 파트가 깨지기라도 한다면 그때는 타이탄의 수가 많아 타이탄의 피통이 적어서 다시 그 상황을 볼 수 있는게 아니라면 진짜로 덱 하나를 통째로 날려 먹는 거나 다름이 없다.


따라서 의사소통이 안 되는 클랜이라면 절대 사용을 권장하지 않으며 "파트 체력/아머 25% 이하일 때"를 포함한 모든 상황(턴 리셋, 새 타이탄, 저주 갑옷, IV 페이즈, VM 페이즈 등)에서 알람이나 핑을 줄 수 있는 의사소통이 매우 원활한 상위권/최상위권 클랜에 있으면서 "자신이 언제든 기꺼이 접속하여 그 카드를 쓸 자신이 있는 경우"에만 그 카드를 쓰도록 하자.


또 체력/아머 25% 조건이 붙었을 때 뎀지가 최대가 되는 이 카드 특성상 클랜원 50명 전부가 이 카드를 쓰는건 힘들다는 점도 있다. 물론 상위권 클랜의 클랜원들 조차도 방금 말한 이 카드를 쓸 때의 어려움 때문에 일부 상위권 혹은 최상위권 클랜의 클랜원들을 제외하면 안 쓰는 경향이 더 높다.


따라서 제대로 쓸 수 없다면 걍 업글을 하지 않는 것이 좋지만 자신이 제대로 쓸 수 있는 클랜에 있고 제대로 쓸 자신이 있다면 업글 효율은 매우 좋은 편이라고 할 수 있다.



4. Fusion Bomb(융합 폭탄)


0ba8c32feadc788461b2d4fb06df231d2ae880b442808b49b855


발동 확률은 10%이며 지속시간은 2.2초이고 지속시간 동안에는 데미지가 들어가지 않고 지속시간이 끝난 뒤 데미지가 들어간다.(파트당 최대 1스택)


우선 아래 영상을 통해 사용 방법을 숙지하도록 하자.



우선 자신이 치고 싶은 파트(보통 금지부위를 뺀 6~8파트)를 확인한 뒤 어떻게 사이클을 돌릴 것인지 결정한다. 그 다음 일정 시간마다 파트를 옮겨가면서 치면서 치고 있는 파트의 다음 파트에 묻은 융폭이 터지는 타이밍에 맞춰서 그 파트에 옮겨서 칠 수 있도록 한다. 그렇게 하면서 정했던 사이클대로 파트를 돌려가면서 칠 수 있도록 한다.


보통 사이클은 다음의 예시처럼 돌리기도 하지만 자신이 원래 쓰는 사이클이 있다면 그것을 써도 무관하다. 당연히 반대 방향도 상관없다.


몸통 금지 7파트 : 머리 - 왼어깨 - 왼손 - 왼다리 - 오른다리 - 오른손 - 오른어깨 - 머리

머리 금지 7파트 : 몸통 - 왼어깨 - 왼손 - 왼다리 - 오른다리 - 오른손 - 오른어깨 - 몸통

8파트 : 머리 - 왼어깨 - 왼손 - 왼다리 - 몸통 - 오른다리 - 오른손 - 오른어깨 - 머리

양다리 금지 6파트 : 머리 - 왼어깨 - 왼손 - 몸통 - 오른손 - 오른어깨 - 머리

머리 몸통 금지 6파트 : 왼어깨 - 왼손 - 왼다리 - 오른다리 - 오른손 - 오른어깨 - 머리(x) - 왼어깨 (이때 금지부위인 머리는 최대한 빠르게 스치듯이 지나가도록 한다)


한 파트에서 다른 파트로 옮기는 추천 BPM은 다음과 같다. 후에 숙달되면 이 표가 없어도 감으로 능숙하게 칠 수 있을 것이다.


X(Y) 순서대로 X는 추천 BPM, Y는 이상적인 BPM을 나타낸다. 보통은 X에 적힌 BPM대로 파트를 옮겨가면서 치면 된다.

또 A / B / C / D 순서대로 A는 어플릭션 지속시간 -20%, B는 통상시, C는 어플릭션 지속시간 +20%(이 수치는 솔로레이드에서 어플릭션 지속시간 버프와 디버프가 동시에 떴을때만 가능한 수치이다), D는 어플릭션 지속시간 +40%일 때이며, 클랜 레이드에서는 4티어와 마스터 티어에서는 디버프가 체력 및 아머 관련 디버프만 뜨는 관계로 보통 B, D만 보면 될듯하다. 4파트 이하는 대부분의 클랜에서 거의 하지 않는 전략이기 때문에 적지 않았다.


5파트 - 131(136) / 104(109) / 85(90) / 72(77)

6파트 - 164(170) / 130(136) / 107(113) / 97(91)

7파트 - 197(204) / 156(163) / 129(136) / 109(116)

8파트 - 230(238) / 182(190) / 151(159) / 128(136)


레이드에 익숙치 않거나 처음 하는 사람들이 레이드 카드 사용 방법을 숙지할 때 항상 최소 한번은 막히는 뉴비척살기 카드이다. 타 어플릭션 카드와 전혀 동떨어진 매커니즘을 가진 카드라 방사능과 더불어 사용 난이도가 전체 카드들 중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어려우며 좀 전에 말하였듯이 방사능이 패치로 인해 사용 난이도가 하락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사실상 난이도가 원탑이라고 해도 될 것이다. 물론 다른 이런 난이도 높은 카드가 그러하였듯이 사용 방법을 제대로 숙지하면 좋은 카드라고 할 수 있다.


눈치챈 사람들도 있겠지만 이 카드는 어플릭션 카드임에도 특이하게 어플릭션 지속시간이 짧을수록 딜이 올라가고 지속시간이 길수록 딜이 낮아지는 카드이다. 그 이유는 지속시간이 끝나야 데미지가 들어가는 이 카드의 매커니즘에 있는데 지속시간이 짧아진다는 것은 융폭이 터질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줄어드는 것과 마찬가지이므로 융폭이 더 빨리 터져 더 많이 딜을 넣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당연히 반대로 지속시간이 길어지면 터질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상대적으로 더 늦게 터져 데미지도 줄어들게 된다. 실제로 어플릭션 지속 시간 1.4배 버프 때는 이 카드를 쓸 때 평소보다 훨씬 답답해진다.


이 카드 특성상 최대한 많은 파트를 쳐야 효율이 더 올라가는데 이런 점 때문에 바디 파트를 많이 남겨야 하지만 많이 남길수록 최상급의 효율을 자랑하는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와 환상의 궁합을 자랑한다. 후술하겠지만 그 카드와 더불어 많은 파트를 쳤을 때 높은 효율을 보이는 어플릭션 카드 Thriving Plague(역병 칼날) 카드가 융폭이 터지기 전에는 당연하지만 어플릭션이 묻었다고 취급되기 때문에 Thriving Plauge(역병 칼날) 카드가 뎀뻥을 받을 수 있다.

때문에 이 카드들은 조합했을 때 상당히 좋은 데미지 효율을 보이기 때문에 어플릭션 카드 Fusion Bomb(융합 폭탄) 카드 + 어플릭션 카드 Thriving Plague(역병 칼날) +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 이 세 카드로 이루어진 보이드덱은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그러나 5.18 패치 때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가 6파트 제한 너프를 먹고 나서 8파트를 치는 상황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는 것과 더불어 5,6파트 때는 덱의 효율이 줄어들고 이 덱이 피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부각되어 현재 보이드 덱은 버스트 카드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 어플릭션 카드 Acid Drench(독 바르기) / Ravenous Swarm(게걸스러운 떼) +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덱이 더 선호받는 편이다.


물론 그 보이드덱이 쓰이는 빈도가 줄은 것 뿐이지 상황에 따라서는 여전히 쓸만한 덱이다. 그리고 카드 자체도 5.18 패치 때 뎀지 너프를 먹긴 했지만 발동 확률이 8%에서 10%로 증가하고 어플릭션 지속 시간이 2.75초에서 2.2초로 줄어드는 이 카드 한정으로 좋은 버프를 받은 관계로 여전히 충분히 좋은 카드라고 할 수 있다.

그 외에는 이 카드를 단독으로 메인으로 쓰고 서포트 카드 Team Tactics(팀 전술) 카드를 포함한 2서포트를 넣어서 Team Tacitics(팀 전술) 카드 짬처리용으로 쓰기도 한다.



5. Grim Shadow(음산한 그림자)


0aafd92ba5e130a76ab0c1fb06df231d3e56dc39b5ce1adf5d50


발동 확률은 9%이며 지속시간은 8초이고 이 카드가 발동되어 쌓인 스택 당 이 카드의 데미지가 1.2배 증가한다.(파트당 최대 7스택)


우선 아래 영상을 통해 사용 방법을 숙지하도록 하자.



치는 파트는 통상시에는 2파트이며 어플릭션 확률을 올려주는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 카드와 같이 쓸때는 보통 3파트를 친다. 다른 어플릭션 덱처럼 국밥마냥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 카드와 서포트 카드 같은 어플릭션 카드 Maelstrom(큰 소용돌이) 카드랑 같이 쓰기도 하고 그냥 2서포트를 넣어서 짬처리용으로 쓸수도 있다. 참고로 1파트만 치면 딜손실이 발생한다.


원래 이 카드는 스택 당 뎀뻥 대신 최대 스택에서 더 높은 수치의 뎀뻥을 제공하는 카드였으나 성능이 영 아니올시다라고 생각했는지 5.15 패치에서 지금과 같은 효과로 변경되었다. 이전에는 최대 스택을 유지하지 못했을 경우 딜로스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이 패치와 더불어 5.23 패치 때(정확히는 5.23.1.2) 약간의 뎀지 너프를 먹는 대신 확률이 8%에서 9%에서 늘어나는 버프를 받아 어느 정도 사용 난이도는 경감되었지만 여전히 운빨은 많이 타긴 한다.


뎀지 자체는 현재 기준 어플릭션 카드 Radioactivity(방사능) 카드와 비슷하거나 조금 낮다. 그리고 Radioactivity(방사능) 카드는 조금 더 많은 파트(4,5파트)에 분산하고 Grim Shadow(음산한 그림자) 카드는 조금 더 적은 파트(2,3파트)에 집중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그러나 버프를 먹었음에도 뎀지가 여전히 그렇게 좋은 편은 아니며 기존 클랜들이 이 카드를 별로 잘 쓰지 않아 레벨도 낮은 상태에서 다른 메타 카드들의 레벨이 더 높다보니 더스트를 쓰기가 꺼려지게 되는 관계로 이 카드가 메타 카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업글은 그닥 추천하지는 않는다.


6. Thriving Plague(역병 칼날)


19b5c22ff3db36a12e8fdab411c4217363824f1c1fd8e783d7470999b50f


발동 확률은 8%이며 지속시간은 4.6초이고 어플릭션이 묻은 파트 당 데미지가 11% 증가한다.(파트당 최대 5스택)


사용 방법은 아까 전 융합 폭탄과 비슷하게 사이클을 돌리면서 파트를 치는 방식이지만 이 카드는 다른 특이한 매커니즘이 없는 평범한 어플릭션에 속하기 때문에 사용 난이도는 훨씬 낮다. 그냥 말 그대로 사이클을 돌려가면서 치면 된다. 빠르게 돌려가면서 치되 사이클을 돌리다 플레이그가 미처 안 묻은 파트만 조금 더 쳐줘서 묻게 하는 것도 괜찮다. 물론 그 안 묻은 파트에 플레이그 묻히려다 계속 안 터져서 시간 낭비를 하지는 말자.


사이클을 돌리는 방법은 위에 적힌 융폭 사이클 돌리는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물론 반대 방향도 상관없다.


몸통 금지 7파트 : 머리 - 왼어깨 - 왼손 - 왼다리 - 오른다리 - 오른손 - 오른어깨 - 머리

머리 금지 7파트 : 몸통 - 왼어깨 - 왼손 - 왼다리 - 오른다리 - 오른손 - 오른어깨 - 몸통

8파트 : 머리 - 왼어깨 - 왼손 - 왼다리 - 몸통 - 오른다리 - 오른손 - 오른어깨 - 머리

양다리 금지 6파트 : 머리 - 왼어깨 - 왼손 - 몸통 - 오른손 - 오른어깨 - 머리


대신 한 가지만 짚고 넘어가자면 머리 몸통 금지 6파트일때 경우로, 융폭 사이클은 다음 파트의 융폭이 터지기 까지는 가급적 그 파트를 건들면 안 되기 때문에 몸통 금지 7파트의 경우처럼 원 모양으로 돌리되 머리 부분만 최대한 빨리 넘어가는 방식이였지만 역병 사이클은 건들여도 상관없기 때문에 다음의 사이클을 쓸 수 있다.


왼어깨 - 왼손 - 왼다리 - 오른다리 - 오른손 - 오른어깨 - 오른손 - 오른다리 - 왼다리 - 왼손 - 왼어깨


쉽게 말해 왼팔 - 왼다리 - 오른다리 - 오른팔, 즉 U자 모양으로 쳐도 무방하다는 소리다.


Fusion Bomb(융합 폭탄) 카드와 비슷하게 이 카드 특성상 최대한 많은 파트를 쳐야 효율이 더 올라가는데 이런 점 때문에 바디 파트를 많이 남겨야 하지만 많이 남길수록 최상급의 효율을 자랑하는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와 좋은 궁합을 자랑한다. 그리고 아까도 설명했듯이 그 카드와 더불어 많은 파트를 쳤을 때 높은 효율을 보이는 Fusion Bomb(융합 폭탄) 카드와 조합했을 때 무지막지한 데미지 효율을 보이기 때문에 이 세 카드로 이루어진 덱은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그러나 아까도 또 설명했듯이 5.18 패치 때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가 6파트 제한 너프를 먹고 나서 8파트를 치는 상황이 거의 나오지 않는다는 것과 더불어 5,6파트 때는 덱의 효율이 줄어들고 이 덱이 피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부각되어 현재 보이드 덱은 버스트 카드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 어플릭션 카드 Acid Drench(독 바르기) / Ravenous Swarm(게걸스러운 떼) +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덱이 더 선호받는 편이다.


다른 조합으로는 어플릭션 확률을 높여주는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 카드와 서포트 카드 같은 어플릭션 카드 Maelstrom(큰 소용돌이)하고도 잘 어울린다. 마침 Maelstrom(큰 소용돌이) 카드가 어플릭션이라 Rancid Gas(독성 카드) 카드와의 시너지도 있다. 어플릭션 카드 Thriving Plauge(역병 칼날) +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 + 어플릭션 카드 Maelstrom 카드의 덱은 예전부터 지금까지 성능도 좋고 인기도 많은 덱이다.


5.18 패치 때 뎀지 너프를 상당히 많이 받았고 그 이후 5.19 패치 때도 보상 버프를 크게 받긴 했으나 어플릭션이 묻은 파트 당 뎀지 증가 수치가 15%에서 10%로 줄어드는 큰 너프를 받았다. 그래도 5.20 패치 때 뎀지 버프가 매우 소소하긴 하지만 받긴하였으며 그와 동시에 지속시간이 4.5초에서 4.6초로 증가하는 버프를 받았다. 또 5.23 패치 때(정확히는 5.23.1.2) 기본 뎀지가 소폭 감소하는 너프를 받았지만 어플릭션이 묻은 파트 당 증가 뎀지가 10%에서 11%로 증가하는 보상 버프를 받았다. 이래나 저래나 여전히 충분히 좋은 카드라고 생각한다.



7. Radioacitivty(방사능)


1fbcd42fead33bb267a9dfa10f9f34337cc5287924f785b4b14cdd3a


발동 확률은 12%이며 지속시간은 5초이고 방사능이 한 번 발동된 부위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방사능의 데미지가 점차 증가한다.(파트당 최대 5스택)


우선 아래 영상을 통해 사용 방법을 숙지하도록 하자.



우선 자신이 치고자 하는 부위를 때리면서 시작하자마자 그 부위들에 최대한 빠르게 방사능을 묻힌 뒤 돌아가면서 방사능을 발동시키면서 방사능이 끊기지 않게 유지하는 방식이다. 원래는 한 번 방사능이 끊기면 데미지 상승 효과가 초기화되어 딜로스가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끊겼을 때는 주저없이 리트를 했으나 5.15 패치에서 이제 스택이 끊겨도 데미지 상승 효과가 유지되도록 변경되었기 때문에 사용 난이도가 한층 낮아졌다.


치는 파트의 개수는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를 같이 쓸 때 5파트, 같이 쓰지 않을 때 4파트를 권장하며 어플릭션 확률이나 지속시간 버프/디버프가 붙어있을 때는 거기에 +1/-1을 하면 된다. 그래도 방사능으로 6파트는 좀 그렇다 싶으면 5파트로 유지해도 무방하다.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구린 카드지만 제대로 사용할 수 있다면 나쁘지 않은 카드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어플릭션 위주 덱에 해당되는 얘기겠지만 어플릭션 확률을 올려주는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하고 궁합이 좋으며 서포트 카드 같은 어플릭션 카드 Maelstrom(큰 소용돌이)하고도 잘 어울려 그 둘이랑 같이 조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조합에 따라서는 그냥 2서포트를 넣어서 짬처리로 쓰이기도 한다.


또한 방금 말한 5.15 패치로 인해 1파트를 추가해서 칠 수 있게 됨으로써 어플릭션이 묻은 파트 당 확률이 증가하는 버스트 카드 Whip of Lightning(번개 채찍) 카드와 사용할 수도 있다. Whip of Lightning(번개 채찍) 카드는 어플릭션이 묻은 파트가 5파트일때 확률이 최대가 되는데 방사능이 아까 말했듯이 이제 5파트를 칠수있게 된 것과 스택이 끊겨도 다시 묻히면 딜 증가가 정상적으로 적용되게 한 것이 그 계기이다. 여기에 취향에 따라서 바디 파트 당 뎀지가 증가하는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를 넣는 사람도 있다.


5.18 패치 때 뎀지 너프를 꽤 받아 완전히 좋은 카드까지는 아니더라도 여전히 괜찮은 카드라고 생각한다.



8. Ravenous Swarm(게걸스러운 떼)


1fbcc623ebdd2db52e8cc1b404dc6a2d7da45e64b37ff94c157a116564


발동 확률은 18%이며 지속시간은 5초이고 이 카드에 대해 최대 스택까지 찬 파트에서 다시 이 카드가 발동될 경우 다른 랜덤한 파트로 스택이 옮겨진다.(파트당 최대 6스택)


그냥 많은 부위를 때려도 되지만 이 카드의 매커니즘 때문에 한 부위만 때려도 여러 부위를 때린 것처럼 정상적으로 작동이 된다. 비록 데미지 자체는 좋지 않은 편이지만 그래도 무난하게 쓸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주로 짬처리용으로 많이 쓰이고는 한다. 가장 많이 쓰이는 짬처리 덱은 어플릭션이 묻은 파트 당 확률이 증가하는 버스트 카드 Whip of Lightning(번개 채찍) 카드와 다른 적절한 서포트 카드와 조합하여 쓰이는 덱이다. 이때는 때리는 부위가 어플릭션 스택이 최대치까지 빨리 쌓여 다른 파트로 빨리 옮겨가야 한다는 불편한 점을 제외한다면 한 부위만 때려도 Whip of Lightning(번개 채찍) 카드를 쓸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이따금 예전처럼 바디 파트 당 뎀지가 증가하는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를 넣는 사람도 있지만 아까도 말했듯이 개인적으로는 버스트 카드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 어플릭션 카드 Acid Drench(독 바르기) / Ravenous Swarm(게걸스러운 떼) +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덱을 더 선호하는지라 그닥이라고 생각한다.


5.18 패치로 인해 발동 확률이 어플릭션 카드 Acid Drench(독 바르기) 카드와 동일한 18%가 되어 공동 1등이 되었다. 그런 이유로 버스트 카드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랑 같이 쓰는 어플릭션 카드를 Acid Drench(독 바르기) 카드 대신 이 카드로 대체해도 된다. 이때 차이점은 Acid Drench(독 바르기) 카드를 쓸 때는 주로 1,2파트에, 이 카드를 쓸 때는 주로 2,3파트에 쓸 수 있다. 뎀지 차이는 이 카드를 쓸 때까지 좀 더 높긴 하지만 너무 차이가 적어 무시해도 될 만한 수준이다. 만약 1,2파트를 쓴다면 이따금 어플릭션 스택이 최대치를 넘어 다른 파트로 옮겨지는데 피조절 때문에 치는걸 자제해야 하는 파트에 옮겨지거나 금지 파트에 옮겨지면 난처해지니 주의하도록 하자.


만약 이 카드를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랑 같이 쓰는 용도로만 쓸거라면 좀 전에도 설명했듯이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와 조합할 때는 이 카드는 어플릭션 스택 셔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기 때문에 업글해도 올라가는 데미지는 뒤지게 낮다. 업글은 절대하지 말자.


5.18 패치 때 발동 확률이 15%에서 18%로 증가하는 버프를 먹고 파트당 최대 스택이 5스택에서 6스택으로 올라가는 패치를 받았지만 그 대가로 뎀지 너프를 매우 크게 받은데다 보상 버프도 너무 미미한 수준이라 완전히 단독으로 한 덱의 메인 카드로 쓰는 것은 매우 비추천한다. 8파트가 아닌 이상 금지 파트로 스택이 옮겨질 수 있는 것도 문제다.



9. Runious Rain(파멸의 비)


1fa8d928eac72be65cbedfbb58c12a3a84980b0e6376cb7eab6ebc


발동 확률은 18%이며 지속시간은 99초이고 저주 갑옷에 발동할 때 데미지가 1.15배로 증가한다.(파트당 최대 999스택)


5.18.1 패치 때 새로 출시된 어플릭션 카드. 저주 갑옷 상대로 데미지가 증가하며 특이하게도 파트당 최대 스택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으며 지속시간도 99초라 한번 묻으면 끝날 때까지 지속된다고 할 수 있다.


사용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그냥 원하는 저주 갑옷을 계속 탭해주면 된다. 다만 마스터 티어 기준 덱 조합 특성상 보통 저주 갑옷 한 부위만 치는 것이 선호된다.


처음에는 발동 확률이 18%라 버스트 카드 Purifying Blast(정화의 빛)에 어플릭션 스택 셔틀용으로 쓰이는 것도 고려되었으나 이 카드의 성능이 생각보다 좋다고 여겨져 이 의견은 현재는 바로 사장되었다.


저주 갑옷 상대로 데미지가 상당히 좋은 편이라 비교적 최근에 출시된 카드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카드의 레벨이 훨씬 더 높은 고인물들한테도 금방 메타 카드가 되었다


제일 좋은 조합은 어플릭션 뎀지 증가 효과와 어플릭션 확률 1.3배 효과가 있는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 카드와 위상이 줄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괜찮은 편인 단일 파트 전용 서포트 카드 Totem of Power(전원의 토템) 카드와 같이 조합하여 쓰는 덱이다. Totem of Power(전원의 토템) 카드 입장에서는 예전에 버스트 카드 Purifying Blast(정화의 빛) 카드의 같이 쓰이던 시절 이후로 제일 많이 같이 쓰이는 카드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다른 사용 방법으로는 어플릭션이 묻은 파트 당 확률이 증가하는 버스트 카드 Whip of Lightning(번개 채찍) 카드와 사용하는 조합인데 집중에서 때릴 특정 1파트를 먼저 고르고 그 파트를 포함한 5파트를 고른 뒤 칠 때 그 5파트에 최대한 빨리 Ruinous Rain(파멸의 비) 카드 어플릭션을 묻힌 뒤 그 특정 1파트를 계속해서 치면 된다. 이 덱을 쓸 때는 바디 파트 당 뎀지가 증가하는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와 쓰는 사람도 있고 5파트에 어플릭션 스택을 최대한 빠르게 묻히면 그 뒤에는 1파트만 치면 된다는 점에서 약간의 리롤을 감수하여 단일 대상으로 좋은 서포트 카드 Totem of Power(전원의 토템) 카드와 쓰는 사람도 있다.


한 파트에 집중해서 칠 수 있고, 어플릭션 카드 Ravenous Swarm(게걸스러운 떼) 카드를 쓸 때처럼 금지 파트에 딜이 옮겨 붙을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마스터 티어에서 6덱 구성에 있어서 덱 구성이 상당히 편해질 수 있다. 다만 이 덱을 저갑에 쓰면서 최대 뎀지를 뽑아내려면 사실상 바디 저주 갑옷만 가능하며 버스트 저주 갑옷이나 어플릭션 저주 갑옷일 때는 애매해지며 저갑이 깨지고 나서 칠때는 이 카드의 저주 갑옷 상대 뎀지 증가 효과를 볼 수가 없어서 아쉽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사람마다 취향을 타는 덱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로 어플릭션 저주 갑옷이라고 해도 2개까지는 버틸 수 있다.(1.15 * 0.88 = 1.012)



10. Maelstrom(큰 소용돌이)


00bcd52af6c62aa963f1c6bb11f11a39b9d6bd0cfc6b59d8


발동 확률은 10%이며 지속시간은 6초이고 이 카드가 발동되어 파트에 묻었을 때 그 스택에 비례하여 그 파트에 가하는 데미지가 증가한다.(파트당 최대 2스택)


카드 자체는 어플릭션 카드이지만 자체 뎀지는 형편없다는 점과 오히려 이 카드의 진가인 카드가 발동되어 파트에 묻었을 때의 그 파트의 뎀지 증가 효과 때문에 사실상 유사 서포트 카드라고 할 수 있다.


이 카드가 어플릭션 카드인지라 다른 대부분의 어플릭션 카드와 같이 썼을 때도 좋긴 하지만 자체 뎀지가 구리다는 점 때문에 의외로 그냥 단일 덱이 써도 무방하다. 때문에 어지간한 덱이든 궁합이 좋은 편이고 업글 효율도 좋은 편이다. 어플릭션이라는 점 때문에 어플릭션 확률을 증가시켜주는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 카드와 시너지가 발생한다. 이따금 어플릭션 확률 또는 지속시간 버프와 시너지가 발생한다는 점 또한 호재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가장 많이 쓰이는 조합은 어플릭션 카드 Thriving Plague(역병 칼날) 카드와 서포트 카드 Rancid Gas(독성 가스)와의 조합이다. 거의 대부분의 어플릭션 덱과 궁합이 좋지만 어플릭션 위주 덱 중에서는 이 덱이 가장 자주 보이는 덱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어플릭션 Thriving Plauge(역병 칼날) 카드 대신에 어플릭션 카드 Radioactivity(방사능) 카드와 조합하기도 하는데 그것도 나쁘지 않다.


어쨌든 어플릭션 카드인 관계로 어플릭션이 묻은 파트 당 발동 확률이 증가하는 버스트 카드 Whip of Lightning(번개 채찍) 카드와 조합되기도 한다. 같이 조합되는 서포트 카드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중에서 특이할 수도 있지만 버스트 뎀지와 확률을 증가시켜주는 서포트 카드 Ancestral Favor(선조의 축복) 카드와 조합할 수도 있다. Maelstrom(큰 소용돌이) 카드의 자체 데미지는 낮아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관계로 Maelstrom(큰 소용돌이) 카드를 5부위에 묻히고 Ancestral Favor(선조의 축복) 카드의 버스트 확률 증가 효과까지 동원하여 채찍의 발동 확률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리는 덱이다. 다만 Ancestral Favor(선조의 축복) 카드는 버스트 카드 Clanship Barrage(함선 포격) 카드나 버스트 카드 Mirror Force(미러 힘) 카드를 메인으로 한 덱으로 쓰는게 좀 더 조합 구성이 좋은 편인지라 주류덱까지는 아니다.


더 특이하게는 어플릭션이 묻은 부위가 5파트 이상을 유지하면 된다는 점에 착안해서 어플리션 카드 Fusion Bomb(융합 폭탄) 카드와 같이 쓰고 한 술 더 떠서 바디 파트 당 뎀지가 증가하는 서포트 카드 Insanity Void(광기의 무효) 카드까지 같이 조합하여 쓰는 덱도 있지만 Fusion Bomb(융합 폭탄) 카드가 5파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계속 유지하는 것이 생각보다 많이 힘든 관계로 운빨을 너무 타서 더더욱 주류덱이 아니다.



============================================



이것으로 레이드 카드 중 어플릭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2-2편에 이어서 2편의 마지막으로 2-3편에는 서포트 카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다.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69 AD 딥 블루 호라이즌 사전예약 6.14-7.4 운영자 24/06/14 - -
24344 일반 이 씨발 불타는 글에 개추 박히는 속도봐 [2]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25 521 11
24342 일반 전 크리 현 그루트 보세요 [18] 은비(118.235) 23.03.25 1009 31
23976 정보/ (5.26)레이드특집)2-3. 레이드 카드 - 서포트 [4]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11 1165 6
정보/ (5.26)레이드특집)2-2. 레이드 카드 - 어플릭션 [8]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9 1126 5
23928 정보/ (6.1)레이드특집)2-1. 레이드 카드 - 버스트 [18]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7 1472 7
23997 일반 빌드별 특징,진입장벽 짧게 소개 [4] ㅇㅇ(39.7) 23.02.13 1835 8
23924 정보/ (5.25)레이드특집)2. 레이드 카드 [2]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6 1245 6
23810 일반 펫던전 정보 링크 [3]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656 5
23554 정보/ 뉴비가 뉴비에게 알려주는 정보 및 팁 (장문) [3] 늅늅(222.107) 22.12.20 4865 10
23391 정보/ 이벤트필독)모든 더스트/와일드카드 레시피와 효율 [6]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2 1853 12
23382 일반 필?독)12/1 오후 2시 기준 더스트 레시피와 효율 [1]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1 597 11
23355 일반 이벤트필독)지금 재료 조합하지말고 기다려야할듯? [5]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636 7
23346 정보/ Alchemy Lab 정보 링크 [15]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30 873 6
23108 일반 업뎃 예고 [6]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11 482 5
22988 일반 5.23 업뎃 예고 [16]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28 599 5
22714 일반 5.22 업뎃 예고 [19]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30 1050 7
22647 일반 업뎃 예고 [17]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3 417 5
20527 정보/ (5.21)레이드특집)1. 레이드의 기초 [23]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8 3595 15
22512 이벤트 추석맞이 기념 심토 버-거 이벤트를 엽니다 [2]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9 497 7
20323 정보/ (5.21)레이드특집)0. 레이드란? [14]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1750 17
22479 일반 5.21 패치 노트 [4]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02 595 6
22439 일반 업뎃 예고 [2]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6 485 6
22369 일반 18 탈출은 지능순이다 [8] ㅇㅇ(49.173) 22.08.17 1345 5
22330 일반 5.20 업뎃 예고(존나게 큰거옴) [8]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12 1146 5
21632 일반 이번 심토에서 탭붕이들에게 당부하는 글 [6]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3 1035 6
21533 정보/ 수정) 21-30 펫던전 정보 [5] ㅇㅇ(223.38) 22.05.03 1739 7
21470 정보/ 펫던전 11-20 보상및 루트 공략 [5] ㅇㅇ(175.123) 22.04.26 1442 5
21416 일반 (5.16)레이드특집)2-2. 레이드 카드 - 어플릭션 [5]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1 1345 13
21391 일반 레이드 때문에 겜망함 [7] 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1318 7
21369 일반 갤 좆망했네 ㄹㅇ [3] ㅇㅇ(223.38) 22.04.13 973 6
21338 일반 진짜 미안하다... [19]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8 1278 11
21185 일반 (3/22 화요일 예정) 5.15.0 패치노트 한글 번역 [4] 구름그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19 920 8
21087 일반 탭늅들은 이사람꺼 보면 될듯 ㅇㅇ(116.46) 22.03.07 2900 10
21019 일반 겜 망한거 같으면 개추 [6] ㅇㅇ(118.235) 22.02.27 1082 14
21014 일반 (5.16)레이드특집)2. 레이드 카드 [3]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26 1796 11
21013 정보/ (5.16)레이드특집)2-1. 레이드 카드 - 버스트 [2]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26 2525 11
21007 일반 심토 알차게 즐기는 법 [3] ㅇㅇ(223.38) 22.02.25 719 5
20957 일반 ㅅㅂ 어비스 혼자 풀발함 [6] ㅇㅇ(223.62) 22.02.19 809 5
20948 일반 5.14.0 패치노트 한글 번역 [10] 구름그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9 1231 6
20939 정보/ 뉴비를 위한 스킬트리 공략 (스킬포인트 ~290) [7] 구름그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18 35831 10
20817 정보/ 스킵 계산기 사용법 [5] hitomi.l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5 2053 5
20808 일반 새 업뎃 예고 [3] 기병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5 501 5
20625 일반 (오늘 패치) 5.13.0 패치노트 한글 번역 [9] 구름그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5 1087 5
20455 정보/ 탭린이를 위한 장비 제작 가이드 (빌드별 세트 + 세트 효과 총정리) [7] 구름그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3 13314 12
20215 일반 2022 탭타갤 첫글 [5] BokVanBler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1 456 7
20157 일반 심토대회 상품 먹음 [5] ㅇㅇ(223.38) 21.12.29 538 6
20009 정보/ [뉴비용 야매강의 1] 포탈 [5] 탭린아뭐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1746 8
19990 정보/ 뉴비를 위한 레이드 카드 한글번역 + 간단 정보 [9] 구름그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2076 12
19760 일반 탭타갤 하나만 알면됨 [6] ㅇㅇ(223.38) 21.12.15 1299 8
19722 일반 한국인을 위한 터키가격 참고표 [13] ㅇㅇ(223.39) 21.12.13 1513 1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