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뉴스] 반시계 방향 '스핀' 60년 만에 증명.. 스핀반도체 한걸음

.(125.132) 2020.06.30 19:15:01
조회 430 추천 22 댓글 1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양자기술연구소 양자스핀팀은 스핀 연구를 하던 어느 날 새벽 예상하지 못하게 반시계 방향으로 도는 스핀이 잡혀 기분을 잡쳤다. 졸면서 연구를 하다 장비를 잘못 다뤄, 이상한 데이터가 나온 줄 알았던 것이다. 연구팀은 다음날 장비를 다시 점검한 뒤, 실험을 했지만 같은 데이터를 얻게 됐다. 연구팀은 추가적인 확인을 통해 반시계 방향 스핀파에 대한 이론적 소개가 이뤄진지 60년만에 이를 발견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세계 최초로 반시계 방향 스핀파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기도 했다.

<iframe name="f25cc4213f6f54" width="1000px" height="1000px" data-testid="fb:quote Facebook Social Plugin" title="fb:quote Facebook Social Plugin"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true" allowfullscreen="true" scrolling="no" allow="encrypted-media" src="https://www.facebook.com/v2.6/plugins/quote.php?app_id=&channel=https%3A%2F%2Fstaticxx.facebook.com%2Fx%2Fconnect%2Fxd_arbiter%2F%3Fversion%3D46%23cb%3Df3931f21812ac24%26domain%3Dwww.asiae.co.kr%26origin%3Dhttps%253A%252F%252Fwww.asiae.co.kr%252Ff29f37b0e866e0c%26relation%3Dparent.parent&container_width=745&href=https%3A%2F%2Fwww.asiae.co.kr%2Farticle%2F2020063009474031253&locale=en_US&sdk=joey" class="" style="margin: 0px; padding: 0px; overflow: hidden; border-width: initial; border-style: none; position: absolute; visibility: visible; width: 169px; height: 47px;">


KRISS 양자스핀팀은 1960년대 이론적으로만 알려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핀파를 실험적으로 증명해, 관련 논문이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30일(현지시간) 소개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한국과학기술원 이수길 박사, 김갑진 교수, 김세권 교수와 공동 연구를 통해 전이금속 코발트와 히토류 가돌리늄이 일정비율로 혼합된 CoGd 준강자성체에서 왼손 방향의 세차운동(회전천체나 물체의 회전축 자체가 도는 형태의 운동)을 하는 스핀파를 측정하고 이에 기반한 물리 현상들을 밝혀냈다.

<iframe name="f25cc4213f6f54" width="1000px" height="1000px" data-testid="fb:quote Facebook Social Plugin" title="fb:quote Facebook Social Plugin"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true" allowfullscreen="true" scrolling="no" allow="encrypted-media" src="https://www.facebook.com/v2.6/plugins/quote.php?app_id=&channel=https%3A%2F%2Fstaticxx.facebook.com%2Fx%2Fconnect%2Fxd_arbiter%2F%3Fversion%3D46%23cb%3Df3931f21812ac24%26domain%3Dwww.asiae.co.kr%26origin%3Dhttps%253A%252F%252Fwww.asiae.co.kr%252Ff29f37b0e866e0c%26relation%3Dparent.parent&container_width=745&href=https%3A%2F%2Fwww.asiae.co.kr%2Farticle%2F2020063009474031253&locale=en_US&sdk=joey" class="" style="margin: 0px; padding: 0px; overflow: hidden; border-width: initial; border-style: none; position: absolute; visibility: visible; width: 169px; height: 47px;">


자석을 전자 크기가 될 때까지 쪼개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세차운동의 성질을 갖는다. 반면 반평행하게 정렬된 코발트와 가돌리늄의 경우 회전 관성이 더 큰 가돌리늄의 자화로 인해 전체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공공연구팀은 빛과 스핀파 사이의 충돌을 이용하는 기법인 브릴루앙 광산란법을 사용해 이론을 실험으로 증명했다. CoGd 준강자성체에 빛을 쪼아 스핀파와 충돌시킨 후, 되돌아온 빛을 분석해 스핀파가 가진 에너지와 운동량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수십 피코초(ps, 1000억분의 1초) 영역에서 왼손 방향 운동을 처음으로 관찰했으며, 준강자성체의 자화보상온도에서 스핀파 에너지가 0 근처로 수렴하고 자기장의 증가에 따라 각운동량 보상온도가 같이 증가하는 현상 등도 새롭게 밝혀냈다.

KRISS 황찬용 책임연구원은 "지금까지는 오른쪽으로 도는 자화를 기반으로만 이론이 제시되고 실험이 진행됐다"며 "스핀파의 왼손 방향 운동을 최초로 규명함으로써 차세대 스핀트로닉스 소자개발에 새로운 지평선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통해 초고속 저전력 반도체 소자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스핀의 회전 방향 분석을 통한 추가 연구를 통해 스핀의 세차운동과 관련된 물리적 원인과 제어 방법을 알아낸다면, 전자의 스핀 방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를 활용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차세대 반도체 소자 개발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iframe name="f25cc4213f6f54" width="1000px" height="1000px" data-testid="fb:quote Facebook Social Plugin" title="fb:quote Facebook Social Plugin"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true" allowfullscreen="true" scrolling="no" allow="encrypted-media" src="https://www.facebook.com/v2.6/plugins/quote.php?app_id=&channel=https%3A%2F%2Fstaticxx.facebook.com%2Fx%2Fconnect%2Fxd_arbiter%2F%3Fversion%3D46%23cb%3Df3931f21812ac24%26domain%3Dwww.asiae.co.kr%26origin%3Dhttps%253A%252F%252Fwww.asiae.co.kr%252Ff29f37b0e866e0c%26relation%3Dparent.parent&container_width=745&href=https%3A%2F%2Fwww.asiae.co.kr%2Farticle%2F2020063009474031253&locale=en_US&sdk=joey" class="" style="margin: 0px; padding: 0px; overflow: hidden; border-width: initial; border-style: none; position: absolute; visibility: visible; width: 169px; height: 47px;">


특히 스핀파의 경우 작동 주파수가 수 기가헤르츠(GHz)에서 테라헤르츠(THz)까지 매우 높은 영역에 분포해 전력 소비가 매우 작다는 점에서 초고속 저전력 반도체 소자를 개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반도체 기반 전자소자는 전자의 두 가지 특성인 전하와 스핀 중 전하만을 전기장으로 제어해 오늘날의 발전을 이루어 왔다. 하지만 소자 자체의 메모리 저장 한계, 소형화에 따른 열 방출 한계 등 물리적 한계에 직면하면서 스핀을 활용하는 연구가 급부상하고 있다.


https://www.asiae.co.kr/article/2020063009474031253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2

고정닉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458384 정보/ 힌튼 "뇌를 여전히 이해하지 못할 가능성" [24] ㅇㅇ(121.132) 04.21 3745 25
458424 정보/ 요슈아 벤지오 인터뷰 요약 [3] ㅇㅇ(220.83) 04.21 1527 22
458428 정보/ 주커버그 인터뷰 - Llama 3, 100억달러 모델을 오픈소싱한 이유 [13]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434 27
458521 정보/ 中 AGI 도약 위한 하이브리드 광자 AI 칩 개발 [2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2 1589 20
458518 정보/ 구글, 아마존 등, 조용히 AI 기대치를 낮추는 중 [6] ㅇㅇ(123.100) 04.22 2826 18
458383 일반 인공지능 찬양하는 노래 하나 만들어봤음 [6] ㅇㅇ(220.118) 04.21 1445 26
458365 일반 짤 하나 건졌다 [8] ㅇㅇ(1.11) 04.21 1996 26
458344 AI창 NAI)후방 경찰관 개허접 아코 [8] Sam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2004 29
458262 정보/ 영국 작가협회 "생성 AI로 번역가 1/3 실직...40%는 소득 감소" [17] ㅇㅇ(182.230) 04.21 2571 26
458231 정보/ 닉 보스트롬 "AI는 실존적 희망의 원천" [10] ㅇㅇ(125.191) 04.21 2713 31
458219 일반 얀르쿤 피셜 "오픈소스 하자고한건 맞는데 라마3 내가 직접만든건 아님" [22] ㅇㅇ(59.17) 04.21 3335 22
458194 정보/ 라마3 챗봇 아레나 근황.. [6] ㅇㅇ(123.100) 04.21 3485 23
458139 일반 이제 하다하다 야갤 유동 글을 믿네 [8] Samu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516 14
458112 정보/ 라마3 70b 초당 3000토큰 가능 [7] noospher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294 23
458089 정보/ (AI겨울)주커버그는 AGI가 멀었다고 생각합니다 [26] ㅇㅇ(123.100) 04.20 3972 25
458068 일반 403.. 이게 무슨 숫자인지 아시나요? [9] ㅇㅇ(59.3) 04.20 2779 31
458049 정보/ 이너코스모스, 우울증 치료하는 뇌 임플란트 출시...간단한 수술이 장점 [12] ㅇㅇ(182.230) 04.20 866 23
458019 정보/ 젠슨 황: 머지않은 미래 적절가격에 휴머노이드 보급 가능 [41] noospher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250 26
457991 정보/ 한국이 파운데이션 모델 '0'을 기록한 이유는 [15] ㅇㅇ(182.230) 04.20 2450 25
457974 일반 르쿤햄) 라마3 성능의 비결 [33] ㅇㅇ(121.133) 04.20 2834 28
457963 정보/ 안드레 카파시의 라마3 평가 [11] ㅇㅇ(182.230) 04.20 2260 26
457932 정보/ OpenAI 포럼 강연 - 민주적 인풋 [11] ㅁㄴㅇ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96 14
457928 일반 agi 은근슬쩍 내려치기 하는 놈들이 보이네 [27] ㅇㅇ(1.237) 04.20 2689 24
457897 일반 AGI가 코앞이 아닌거 같은 이유 [78] ㅇㅇ(1.234) 04.20 4192 35
457875 일반 르쿤게이도 라마3 기여했다 [8] ㅇㅇ(123.100) 04.20 1715 23
457850 일반 정치충은 막는게 맞음 [29] ㅇㅇ(106.101) 04.20 1637 29
457839 일반 르쿤이 메타 LLM팀 아님 [7] ㅇㅇ(125.191) 04.20 1525 20
457752 일반 한 남자의 어록 모음 [37] agi202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3144 53
457748 일반 ???: ㅋㅋ 고작 이딴걸로 좋아하네 [13] agi202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3145 23
457691 일반 이미 로펌에서 GPT-4 로 변론서 작성중이라는데 ㅋㅋㅋㅋㅋ [13] ㅇㅇ(124.49) 04.19 2718 24
457690 일반 역시 르쿤이형이냐 [12] ㅇㅇ(59.11) 04.19 1973 56
457641 정보/ (오피셜) 라마3 곧 추가될 기능들 [15] ㅇㅇ(123.100) 04.19 2618 27
457620 일반 405B 짜리는 GPT-4 터보 걍 좆바르겠노 ㅋㅋ [8] ㅇㅇ(123.100) 04.19 2134 20
457615 일반 라마3 한국어로 쓰고 실망 ㄴㄴ [4] ㅇㅇ(123.100) 04.19 2226 19
457613 일반 챗봇아레나 라마3 성능 돌아버렸네 ㅋㅋㅋㅋㅋㅋㅋㅋ [6] ㅇㅇ(110.145) 04.19 2185 21
457608 정보/ 라마3 Chatbot arena 리더보드 순위 미쳤노ㅋㅋㅋ [4] ㅇㅇ(123.100) 04.19 1247 19
457522 정보/ MS '대화하는 얼굴' VASA-1 작동 영상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201 22
457509 정보/ 오늘 있던 Oai 강연 + 앞로 있을 3개 [12] ㅁㄴㅇ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853 23
457496 일반 라마3 400b 성능은 gpt-4보다 훨씬 높을수도 [14] ㅇㅇ(110.145) 04.19 1665 19
457492 정보/ 학계 "딥러닝이 벽에 부딪히고 있습니다" [28] 특술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846 13
457481 정보/ chagpt가 특정 단어를 반복하는 이유에 대한 기사가 나왔네 [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297 24
457455 일반 라마3는 충분히 기뻐할만한 일 아님? [15] ㅇㅇ(211.44) 04.19 2353 46
457454 일반 라마 매력봐라 ㅅㅂ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14] 아디라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3397 33
457432 일반 라마3 아이폰에서 구동 성공 [15] rt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634 23
457416 일반 라마4 떡밥 [3] 특술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043 22
457400 정보/ 스탠포드 피셜)) 분야별 ai발전 속도 인덱스 [19] lightvecto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585 27
457399 정보/ 메타 실시간 이미지 생성 발표 [9] 특술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732 30
457358 일반 라마3 동양인 혐오하네 ㅇㅇ [1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3164 33
457357 일반 솔직히 라마 좃도 안기쁘면 개추 ㅋㅋ [20] ㅇㅇ(210.205) 04.19 2813 30
457344 AI창 수노3) 라마가 부른 노래 만들어봄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236 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