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역사] 기병대의 교전에서 '제대로' 싸울 수 있는 기병의 수

prevo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03 16:51:47
조회 420 추천 7 댓글 6
														

7ceb8575b3806af63ce898b21fd70403fc7626fa396cb18f8d8544



기병의 돌격은 달리기 좋은 지형에서조차 충돌 직전 최고 속도가 빠른 캔터나 느린 갤럽(15km/h 전후) 정도로 꽤 느린 편이었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 퀴레시어들의 사례를 대입하면 지형이 좋지 않은 곳에서는 느린 캔터로 충돌한 경우도 흔했을 것이다.


때문에 많은 군사 저술가들이 오해의 여지가 있는 충돌(collision)이라는 용어 대신에 교전(engagement), 접촉(contact), 강습(onset), 침범(boarding) 등의 표현을 사용했다.


What can happen is the meeting of two cavalry when they are equally well conducted, equally confident in their means and in their chief, equally brave.

There is then boarding, but not shock.

At the moment of approaching there is an instinctive restraint in the horse, in the rider, who feels very well that it would break unnecessarily by hitting the enemy at full speed.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양측 모두 똑같이 잘 지휘되고, 똑같이 지휘관을 신뢰하고 자신들의 임무에 확신을 가지며, 똑같이 용감할 때, 두 기병대의 교전(meeting)이 발생할 수 있다.

이후 강습(boarding)이 시작되지만, 충돌(shock)은 없다.

양측 기병대가 서로 접근할 때, 말과 기수는 상대방과 전속력으로 부딪혀서 무익하게 박살날 것임을 실감하며 이를 본능적으로 자제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ierre Marie Burnez, Notes pour le cours de tactique applique a la cavalerie, monographie, 1889



실제 기병 돌격은 영화처럼 전속력으로 부딪혀서 뼈가 부러지고 기수가 날아가는 식의 집단 자살행위까지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이지만,
여러 군사서와 군인 회고록 저자들이 증언하듯이 기병대의 교전은 가장 용감한 사람들조차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두렵고 고통스러운 것이었다.

위그노 전쟁에 참전한 지휘관이자 군사저술가인 프랑수아 드 라 누의 관찰에 따르면 선두열에서 멈추지 않고 용감하게 돌격할 수 있는 기병은 100명 중 25명뿐이었다.


Now is it like that those whom wee set foremost are choice men, and the second doe wel second them in valour:

and it is a miserable companie that hath not at the least 25. good men in it.

As for the rest whō I presuppose not to be so valiant, they be placed as it were in couert vnder the shadow of the former, which maketh them to followe the more cheerefullie to the charge, as knowing that the head must beare all the daunger and hurt, which if it breake the enimie, they shall be partakers of the same honour.

So that it is a notable signe of cowardlynesse, when a troupe so ordered dare not joyne. Considering that the valour of the first should vrgè them to the onset, and the assurance of the last to follow and thrust in.

But when a troupe is set in a wing, although the good, which ordinarily are the smallest number, do march cheerely to the onset, yet the rest that are not so willing to bite, (which faine to bleede at the nose, to haue a broken stiroppe, or to haue their horse vnshooed) doe staie behinde, so as within two hundred paces of waie, we shall see glasse windowes in that long file, & great breaches wil appeare therein, which greatly incourageth the enimie:

and many times among an hundred horse, scarce 25. doe enter in:

who afterwarde knowing themselues to haue no supporte, when they haue broken their staues and stroke one blowe with the sword, (if they be not ouerthrowen at their first comming,) do retir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첫 번째 열에 최고의 기병들(choice men)을 세운 다음, 두 번째 열에는 두 번째로 용맹한 기병들을 세워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선두열에 세울 최소 25명의 정예병을 가지지 못한 기병중대는 불행한 부대(miserable companie)다

지휘관이 선두열에 세우기에 충분히 용맹하지 못하다고 평가한 나머지 기병들은 선두열에 세운 정예병들의, 말하자면 그림자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는데, 그렇게 하면 이들은 선두열만이 모든 위험과 고통을 감당해야 하는 반면 그들에 의해 적진이 무너진다면 자신들도 그들과 함께 영광을 누릴 것을 알기 때문에 선두열을 따라서 돌격에 참여하게 된다.

그러므로 첫 번째 열에 선 기병들의 용기가 그들을 적진에 충돌하게 만들고, 마지막 열에 선 기병들의 확신이 그들을 뒤따라 파고들게 만든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종진으로 배치된 기병대가 돌격에 실패하는 것은 상당한 겁쟁이들이어야만 가능하다.

하지만 기병대가 선형진으로 배치된다면, 비록 소수의 정예 기병들이 적진에 충돌하기 위해 힘차게 진격하더라도, 의욕이 부족한 나머지 기병들은(이들은 코에서 피가 터지고, 등자가 망가지고, 말굽에서 편자가 벗겨진 것처럼 가장한다) 옆에서 따라가지 않고 멈춰서며, 그 결과 200보도 못 가서 우리의 긴 선형진 안에 연약한 유리창들(glasse windowes)이 만들어지고, 그곳에 커다란 구멍들이 생겨날 것이며, 그것을 본 적들의 사기가 크게 오를 것이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기병 100명 중 고작 25명이 돌격에 끝까지 참여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도 창으로 한 번 찌르고 검으로 한 번 공격을 가한 직후, 자신들을 지원할 병력이 없다는 것을 깨닫고는 (이 잠깐의 교전에서 적의 공격에 쓰러지지 않는다면) 퇴각할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La Noue, François de. 1587. The politicke and militarie discourses of the Lord de la Novve. Whereunto are adioyned certaine obseruations of the same author, of things happened during the three late ciuill warres of France.



드라누의 이러한 관찰은 백병전에서도 유효한 것으로 보인다.


나폴레옹 전쟁 시기의 한 프랑스 장교의 증언에 따르면,

10%나 될까한 소수의 정예 기병들만이 혼란스러운 전장에서 침착'하게 검술을 구사할 수 있었고,

나머지 90%는 공격도 방어도 제대로 못 하고 잔뜩 흥분한 채 마구잡이로 검을 휘두르다가 부상을 입고 쓰러지거나 도망치는, 사실상 인간 방패 역할을 하면서 이들을 보조했다.


"On a hundred riders," said an officer of the first empire, "two or three think only of to give a thrust; it is they who do all the useful work;

Five or six block the blows that are stroke at them, and sometimes extend a thrust when they see the possibility, without running any risk.

The rest is delivered to the enemy."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프랑스 제1제국의 한 장교는 이렇게 말했다.

"기병 100명 중 2-3명은 찌르기를 가하는 것만 생각하며*1, 전투에서 쓸모 있는 일을 하는 사람은 이들뿐이다.

5-6명은 공격들을 방어하다가, 위험을 무릅쓰지 않고 안전한 기회가 생겼을 때만 가끔 한 번씩 찌르기를 가한다.

나머지 91명은 적에게 맡겨진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ierre Cantal, Etudes sur la cavalerie, 1905


(*1 정석적이고 제대로 된 검술을 훈련받은 대로 구사한다는 의미. 프랑스 제국의 표준적인 검술 교리에 의하면 휘두르기는 방어용이고 효과적인 공격은 오직 찌르기뿐이다. 찌르기 위주의 프랑스 군용 검술은 1266년 베네벤토 전투에서부터 이어진 오랜 전통이기도 하다.)





위의 진술들이 전부 사실이라면 기병 한 사람의 활약이 전투의 승패를 결정하는 일도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대략 기병 1000명이 포함된 1만 명 규모의 군대끼리 전투를 벌인다고 가정한다면,


선두열에 선 정예 기병 20대 20(또는 10대 10)의 싸움에서 확실한 승리를 가져올 수 있는 개인은

100명 규모의 기병중대끼리의 교전에서 확실한 승리를 가져올 수 있다.


한 전투에서 많으면 3-4번 연달아 교전을 할 수 있다면 기병연대 전체의 승패를 결정할 수 있다.


기병전에서 승리한 기병연대는 전투 자체의 승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7

고정닉 3

1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021892 공지 신문고 [10]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1 2484 25
1022066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공지 [3]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11 590 5
101725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갱신차단 목록 [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1 1509 16
67532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정보 모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28557 17
728432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시트(23.08.04) [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0 16868 31
1026566 창작 백작으로 시작하는 르네상스 생존기 - 22 무명사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29 18 0
1026565 일반 쿠데타)이번 전투는 각국 사관학교에서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27 26 1
1026564 창작 삼반도) 쌍두독수리의 추락 [1] hunch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26 19 0
1026563 일반 멸망할때가 아닌데 멸망한 나라하면 이게 나와야지 대붕이(220.83) 23:25 29 0
1026562 일반 1588) 나중에 네모가 날개를 꺼내면 어떤 날개일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9 42 0
1026561 일반 멸망할 때가 아닌데 멸망한 사례로 유명한 곳이 있지. [6] 다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8 73 0
1026560 일반 ㅋㄷㅌ) 대한제국이 예비군돌리면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5 46 0
1026559 일반 1588) 아하 그 아수에로라는 이름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5 61 0
1026558 일반 1588) "아니 시발 죄를 뉘우치라니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3 102 0
1026557 일반 ㅋㄷㅌ) 2대전 대비할라면 예비군하고 민방위 돌려야겠지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 35 0
1026556 일반 경제연산) 식민지수탈 없이 자국시장만으론 산업화 불가능함 [10] 대붕이(124.153) 23:11 109 2
1026555 일반 1588) 전설 하나 생기는 거 아니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 82 2
1026554 일반 경제연산) 시장은 혹시 따밍에 기댈 수도 있지 않을까?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 64 0
1026553 일반 1588)아수에로 저 쓰레기를 어떻게 조질지 궁금했어 [1] 다리우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 76 3
1026552 일반 1588)거실에 있던 족자가 왜 여깄지? [2] islalu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 120 3
1026551 일반 네안데르탈인 생존 대역에선 백병전 존나 기대됨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 40 0
1026550 일반 신적인 존재들이 처신 잘 못하는 윗사람을 처벌하는 대?역 [2] NEWBNEWB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0 93 0
1026549 일반 1588) "드레이크 씨, 잘 들으세요." [4] Reic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8 280 13
1026548 일반 ㅌㅌㅊ)주인공 영의정 되긴 함?ㅋㅋ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8 81 0
1026547 일반 조지 패튼이... 나즈굴(14.47) 22:57 47 0
1026546 일반 건륭제 청나라랑 정면대결해서 다 갈아버리려면 국력이 얼마나 되야하지? 이펜시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4 50 0
1026545 일반 1588) 여기 미국에서 싸우다가 "이 아수에로 같은놈아!" 하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50 124 1
1026544 일반 경제연산 이야기가 식민지가 국익에 도움 되냐 얘기로 가는게 맞음? [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9 192 8
1026543 일반 ㅌㅌㅊ 슬슬 완결각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42 135 0
1026542 일반 1588이 뭐임? [3] domo_same_des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39 137 0
1026541 일반 폴프메) 이제 나머지 3귀족 잡고 나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38 103 2
1026539 일반 1588) 네모경의 대죄인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34 154 2
1026538 창작 폐지줍는 총겜으로 대한독립!-11화 대붕이(220.89) 22:23 68 2
1026537 일반 1588)진짜 방황하는 스페인인 결말 나는거 아닐까? [1] 대붕이(218.153) 22:23 191 3
1026536 일반 ㄱㅇㄷ)낙마로 죽거나 사경을 헤매는이유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22 156 0
1026535 일반 경제연산) 시장 연결만으로는 부족한 게 또 다른 문제임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7 133 0
1026534 일반 1588) 드레이크는 바다의 신비 타령하는거보면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5 238 2
1026532 일반 경제연산)슬슬 루트가 보인다... 스윙바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3 131 1
1026531 역사 [발췌] 식민지? 정말로 국익에 득일까? 2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3 155 1
1026530 일반 동롬황녀)작중 현시점 판도 [5] 스미르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 220 9
1026529 창작 《이 고려에 원 간섭기는 필요없다!》-6 안티고노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 59 4
1026528 일반 1588)여태 네모가 썰어버린 사람이 몇인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 120 0
1026527 일반 동롬황녀) 지금 인구가 어느정도일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 51 0
1026526 일반 1588)증오할 사람이 없어 네모를 증오하는 대붕이(175.208) 22:01 167 0
1026525 일반 1588)아니 네모 애 전기톱 가지고 사람을 썰었다니까요? [2] 고전짤글발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 186 1
1026524 일반 ㄱㅇㄷ)식민지는 네덜란드령 동인도가 진짜 미친게 [5] 순양전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8 169 3
1026523 일반 1588) 난 어떤 형벌 줄지가 젤 궁금한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5 100 0
1026522 일반 1588)네모의 행동은 충분히 일관성 있음 [4] 하로하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1 575 20
1026521 일반 ㄱㅇㄷ)라이라이차차차가 이런뜻이였나.... [7] NemesI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6 217 2
1026520 일반 훈족이 빨리 침공했다면 어땠을까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6 111 0
1026519 일반 ㄱㅇㄷ)식민지 운영할거면 [2] ㅁㄴㅇ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5 76 0
1026518 일반 1588)어느 사도의 질문 ㅇㅇ(221.158) 21:45 148 2
1026517 일반 1588) 대역갤 대화 굴러가는 게 더 흥미진진하네 [1] 숲풀루언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3 222 2
1026516 역사 [발췌] 식민지? 정말로 국익에 득일까? [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1 220 4
1026515 일반 1588)심판은 천사의 영역이 아니긴 함 C.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0 136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