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번역] Malê Rising 🔟 - 오만과 소코토의 후계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6.25 11:01:47
조회 513 추천 13 댓글 5
														




38badc08bc9c32b6699fe8b115ef046c80b9c23fd7


데이비드 마스 덴, 식민지 세기: 아프리카에서 영국의 이상한 경력 (런던: 맥밀런, 1990)




... 대서양 노예 무역에 대한 공급 측면의 공격이 기대를 뛰어넘는 성공을 거두자, 영국 해군은 동쪽으로 전력을 이동했습니다. 1852년 초까지 대서양 노예제 단속 편대는 3분의 2 이상 축소되어 노예 무역의 부활을 막기 위해 해안을 순찰하는 소수의 병력만 남았고, 대부분의 병력은 인도양으로 이동했습니다. 인도양에서의 목표는 해상에서 영국의 패권을 강화하고, 인도로 향하는 무역로를 보호하며, 해적을 근절하고, 동아프리카 노예 무역을 억제하는 등 네 가지였습니다. 이 모든 길은 하나의 목적지, 잔지바르로 이어졌습니다


1840년 오만 제국의 사이드 빈 술탄이 무스카트에서 잔지바르로 이주한 이래로 잔지바르는 오만 술탄국의 수도였으며, 스와힐리 해안에 존재했던 그 어느 곳보다 분주하고 다양한 언어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었습니다. 이 섬 도시는 아랍, 페르시아, 인도, 유럽 상인뿐만 아니라 해안 지역과 내륙의 아프리카인들이 만나는 곳이었으며 상아, 향신료, 노예가 주요 상품이었습니다.


1세기 에리트레아 해의 페리플러스Periplus는 잔지바르와 그 해안 배후 지역을 "더 나은 종류의 노예"의 공급처로 묘사했으며, 페르시아와 아랍 상인들은 이슬람 이전 시대부터 이곳을 기항지에 포함시켰습니다. 9세기까지 스와힐리 해안을 가리키는 '잔즈'라는 용어는 메소포타미아 아르고트어에서 '노예'와 거의 동의어로 사용되었으며, 19세기에도 거의 변하지 않았습니다.


19세기 전반 잔지바르 노예무역을 종식시키려는 영국의 노력은 한마디로 반쪽짜리였습니다. 1822년 오만 총독은 잔지바르가 기독교인에게 노예를 팔지 않겠다는 '모르즈비 조약'Moresby treaty에 동의했는데, 모르즈비는 무슬림의 악습을 근절하려는 열의가 다소 부족했던 것 같지만 이 지역의 기독교인과 무슬림 모두 모르즈비만큼 위선적이었기 때문에 이 조약조차 널리 무시당했습니다. 향신료 무역과 대규모 인도 상인 커뮤니티의 존재로 인해 영국은 이 지역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수도가 오만에서 이전한 이후 앳킨스 해머튼Atkins Hamerton 대령이 상근 영사로 근무했지만, 그와 과도하게 확장된 아덴 해군 기지는 번성하는 사람들의 왕래를 막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노예제 반대에 헌신하고 경험이 풍부한 대서양 편대가 아덴을 지원하기 위해 도착하기 시작하면서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습니다. 1853년 영국 해군은 모르즈비 조약을 강력하게 집행하기 시작했고, 이는 모잠비크의 포르투갈 상인들에게 적지 않은 충격을 주었으며, 영국 외교관들은 술탄에게 노예 무역을 전면 금지하고 잔지바르 주둔을 허용하도록 강력하게 압력을 가했습니다. 의심할 여지 없이 이 문제는 결국 해결될 것으로 보였지만, 1856년 사이드 빈 술탄의 죽음으로 인해 서둘러 해결해야 했습니다.



3e8cdd02d19270f727f1dca511f11a39d7e69cfecb6bc0a7ab

투와이니 빈 사이드


술탄은 여러 아들을 남기고 죽었고 후계자는 분명하지 않았습니다. 셋째 아들 투와이니 빈 사이드는 술탄의 총애를 받았지만, 여섯째 아들 마지드는 잔지바르를 장악하고 현지 수비대의 충성심을 지휘할 수 있는 이점을 가졌습니다. 또 다른 자손인 바르가쉬는 자신의 주장을 밀어붙였고, 이를 위해 프랑스 뇌물을 받았다는 소문이 돌았습니다.


바르가쉬는 잔지바르 장교들에게 거액을 뿌리고 주둔지 내 반란을 선동하는 등 먼저 움직였습니다. 불행히도 프랑스 재무부는 고위 장교 대다수를 복종시킬만큼 충분히 멀리 나아가지 않았기 때문에 하루나 이틀의 혼란스러운 전투 끝에 반란은 진압되었고 바르가쉬는 잔즈로 도망 쳤습니다. 그러나 그 사이 투와이니는 오만 연대에서 훨씬 더 많은 병력을 모아 형과 싸우기 위해 바다로 나섰습니다.


영국 해군은 잔지바르에서 하루 만에 그를 가로채며 거절할 수 없는 제안을 했습니다. 상륙을 허용하고 군대를 도시 외곽의 주둔지에 수용하되 마지드와의 전투는 허용하지 않고 대신 해머튼 영사가 후계자 승계를 중재하겠다는 것이었습니다.


투와이니가 육지에서 이 제안을 받았다면 의심할 여지없이 비웃었을 것입니다. 가장 가까운 대규모의 영국 육군은 인도에 있었고, 1857년 그 해에는 다른 문제에 관심이 있었습니다.(세포이 항쟁) 그러나 바다에서는 힘의 균형이 정반대였기 때문에 중재를 거부하면 영국 해군이 곧바로 그를 바다 밑으로 가라앉힐 것이라는 것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약간의 고민 끝에 그는 동의했습니다.


결과적으로 해머튼에게는 다행스러운 결정이었습니다. 두 형제는 해머튼에게 영국의 입장에서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는 제안을 들고 접근했습니다. 마지드는 술탄국을 분할하여 자신이 잔지바르를, 투와이니가 오만을 차지할 것을 제안했고, 영국과 인도 상인들이 내륙에서 무역할 수 있는 면허와 항구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투와이니는 영국이 지난 몇 년 동안 그의 아버지에게 요구했던 노예 무역의 완전한 폐지, 잔지바르와 본토 항구에 대한 영국 해군의 기항권, 오만 해역에서 붙잡힌 노예 상인을 체포하고 재판할 수 있는 권리 등을 영국에 제안했을 뿐입니다. 이는 노예 무역에 깊숙이 관여했던 동생이 어떤 신뢰도 가지고 제안할 수 없는 것이었고, 해머턴은 상부의 어려운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는 거절하기 힘든 제안이었습니다.


1857년 10월 23일, 영사는 결론을 발표했습니다: 투와이니는 오만과 잔지바르의 술탄이 되고, 마지드와 이듬해 본토에서 체포된 바르가쉬는 봄베이에 있는 잘 꾸며진 궁전을 위로금으로 받게 됩니다. 마지드에게 그다지 위로가 되지는 않았지만, 얼마 후 신문에 실린 만화는 솔로몬 왕으로 분장한 해머튼이 벌거벗은 흑인 아기('잔지바르'라고 적힌)를 도끼로 위협하는 여장 아랍인에게서 빼앗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투와이니는 이제 자신의 약속을 이행해야 했는데, 이는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었습니다. 잔지바르의 주둔군 규모는 작았고, 스와힐리 해안 대부분을 장악하고 있는 투와이니의 지배력은 미약했으며, 내륙은 군벌들이 노예를 노리고 지역 족장들과 동맹을 맺고 향신료 농장과 사설 군대에 이익을 투자하는 무법지대였습니다. 또한 17세기에 오만인들에 의해 동아프리카 대부분에서 쫓겨난 경험이 있는 모잠비크의 포르투갈 조계지 개척자들은 그 경험을 되풀이하고 싶지 않아 내륙으로 밀고 들어와 소왕국들을 자기 편으로 만들려고 시도하고 있었습니다. 투와이니가 내륙의 노예 무역에 맞서 싸우려면 이 군벌들을 굴복시켜야 하는데, 그가 가진 군대만으로는 그럴 가능성이 거의 없어 보였습니다.


투와이니가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모색한 방법은 오만 왕국 전체를 크게 변화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는 오만 본토에서 스와힐리 해안으로 병력을 이동시켜 영국 장교들의 훈련을 받고 새로운 군대의 핵심으로 양성하는 것부터 시작했습니다. 그들의 충성심을 확보하기 위해 그는 일반 병사를 포함한 모든 병사들에게 입대를 마치면 오만이나 동아프리카에 토지를 주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대다수는 아프리카 여성과 결혼하여 현지 정착을 선택했고, 많은 젊은 남성들이 오만으로 돌아오지 않음으로써 오만은 보수적인 후진국으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역동성과 성장의 중심이 잔지바르로 옮겨가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현대화된 군대조차도 수만 평방 마일에 달하는 험난한 내륙을 순찰하기에 충분하지 않았고, 투와이니는 해안을 따라 스와힐리 속국 왕들에게 도움을 요청해야만 했습니다. 내륙을 정복하는 데 도움을 준 대가로 술탄은 그들에게 커피, 향신료, 면화, 코코아를 재배할 수 있는 풍요로운 땅을 제공했습니다. 1860년대 초까지 내륙 탕가니카의 대부분은 스와힐리어 왕과 상인, 오만 군인과 귀족, 유럽 장교, 내륙 족장들이 소유한 다양한 규모의 봉건 영지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사실상 체처럼 누수될 수밖에 없었고, 실제로 누수가 발생했습니다. 많은 장교와 봉건 지주들이 의무를 다했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었고, 투와이니는 해적을 사실상 사병으로 대체했습니다. 오만 제국에서 가장 큰 노예 무역업자들 중 몇몇은 노예 무역을 종식시킨 장본인들이었으며, 백인들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나을 것이 없다고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1857년에서 1862년 사이에 잔지바르에서 노예 무역으로 교수형에 처해진 네 사람 중 두 명은 유럽인이었습니다.


이처럼 가신들의 노골적인 불복종에 직면한 투와이니는 오만 군대와 스와힐리 연합군을 하나의 근대화된 군대로 통합하기로 결심했습니다. 이를 위해 그는 점점 더 많은 양의 영국 원조를 받아들였고, 영국 장교들이 군대에서 점점 더 두각을 나타냈으며(때로는 야전에서 군대를 지휘하기도 했습니다), 영국 영사가 내륙을 관리할 지방 장교와 공무원의 교육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내륙은 대영제국 내의 제국, 즉 앵글로-오만 탕가니카Anglo-Omani Tanganyika.라는 기이한 정치체로 발전해 가고 있었습니다.



19b4c036f0ed0caf7e809e9803d92530520d0b9626cc598dc291ccf08fc2ddb7e65d47655247a055a2c9ebcb7aae2848f64b47bce87469e8a0c47e3be13327d0c3dd366bbc83


티푸 티브



이 단체를 창설하고 궁극적으로 통치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한 사람 중 한 명이 그 시기에 처음으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티푸 티브는 [블라인드 술탄]과 같은 영화에서 그의 삶이 극화되었으며, 19세기에 실제로 자신의 주장에 부합하는 삶을 살았던 몇 안 되는 허풍쟁이 중 한 명으로 꼽히는 인물입니다. 1837년 오만인 어머니와 아프리카의 저명한 상인 가문 출신의 아버지 사이에서 하마드 빈 무함마드 알 무르가비로 태어난 티푸 티브는 어린 시절 병으로 실명했지만 엔리코 단돌로와 마찬가지로 남성의 지도자가 되는 것을 포기하지 않았다. 그는 10대 시절부터 내륙의 왕들에게 아버지의 선물을 운반하고 상아를 집으로 가져오는 캐러밴의 수장으로 일했습니다. 스물한 살에 술탄의 대령이 되었는데, 이는 무역상에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아버지가 간절히 원했던 자리였으며, 술탄은 그의 실명에도 불구하고 군대를 키우고 장비를 갖출 수 있는 그의 능력을 높이 사서 허락한 것이었습니다. 보수적인 다른 오만인들과 달리 티푸 티브는 현대 전술, 특히 현대 병참에 대해 배울 수 있는 모든 것을 열심히 흡수했습니다. 1860년대에 그는 새로 배운 것을 전투에서 시험해볼 기회를 많이 얻었습니다...





~





아흐마두 오두 보군, 신앙과 소요: 19세기의 사헬과 수단 (이바단 대학 출판부 2005)



... 아밀카르 사이드가 소코토에서 권력을 장악함으로써 "과거"의 귀환을 예고하기를 바랐던 사람들은 실망할 운명이었습니다. 사실, 사이드는 파울로 아바카르의 개혁 중 일부에 동의하지 않았고 다른 사람들의 속도에 불편을 느꼈지만 그의 견해는 반동적이라기보다는 보수적이었다. 그는 말레인이자 노예 출신으로 공화국 정부에서 기꺼이 봉사했으며 아바카르의 생애 동안 아바카르에게 충성했으며 현대화와 노예제 반대라는 아바카르주의의 기본 프로그램에 동의했습니다. 그는 또한 아바카르보다 더 뛰어난 정치가였으며, 공화국의 12년 동안 사회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시계를 1839년으로 되돌리려는 시도는 엄청난 저항을 불러올 것이라는 점을 인식하고 있었습니다.


사이드 총사령관이 직접 고른 위원회가 총사령관 재임 7개월 째에 공표한 헌장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 헌장은 절대주의로 돌아가는 대신 선출된 입법부가 예산을 상당 부분 통제하고 총사령관과 장관들을 탄핵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했습니다. 법원과 공무원은 주 전역에 걸쳐 통일되었습니다. 언론의 자유와 자의적 처벌로부터의 자유와 같은 개인의 권리는 아바카르 치하에서 단순히 당연시되던 것이 아니라 처음으로 법으로 명시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헌장은 아바카르의 포퓰리즘 정부 원칙에서 분명한 후퇴를 의미했습니다. 유권자는 산업가, 부유한 상인 및 대지주로 선거권을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재산 자격을 적용 받았습니다 (영향력이 있지만 부자는 아닌 선거구를 달래기 위해 사이드는 이슬람 학교와 군대를 위해 일부 의석을 예약하는 아바카르의 관행을 유지하고 전통적 왕실을 위한 새로운 의석을 추가했습니다). 의회는 비재정적 사안에 대한 법안을 발의할 수 없고 정부가 제안한 법안만 심의할 수 있었으며, 사령관에게 법안 제안을 요청하는 결의안을 통과시킬 수는 있었지만 이러한 결의안은 구속력이 없었습니다. 헌장 발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의회는 정치와 완전히 단절되었고, 대부분의 의회는 조각 공원이나 시장으로 바뀌었습니다.


개인의 권리 역시 더 이상 아바카르 아래에서처럼 '자연권'으로 간주되지 않고 법에 의해 부여되고 법에 의해 제한될 수 있는 권리로 바뀌었습니다. 소코토 시민의 권리는 헌장에 명시된 권리만 인정되었고, 대중 집회와 같은 다른 권리는 금지될 수 있었으며 금지되었습니다. 그리고 카디의 법원은 사이드가 임명한 법관들로 점점 더 채워지면서 공공 안전을 위해 선동을 처벌하고 언론을 제한할 수있는 정부의 권리에 대해 광범위하게 해석했습니다. 1850년대 후반까지 소코토는 자유주의자와 반동파 모두 정부를 자유롭게 비판할 수 있었지만 효과적인 반대를 제기할 수 없는 상태였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특히 도시 노동자와 소상인들 사이에서 많은 사람들의 공분을 샀습니다. 그러나 다른 많은 사람들은 수년간의 사회 변화, 정치적 혼란, 메시아 전쟁 이후 정상으로의 복귀를 환영하며 사이드를 지지했습니다. 사이드 헌장에 의해 재산권을 보장받은 농촌 소작농과 목축업자들은 사이드 정권의 중추였으며, 도시에서도 안정적인 정부와 경제 성장으로 인해 반대 여론이 관리 가능한 수준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사이드는 또한 공주와의 결혼으로 자르마 왕실 후계자가 되어 도소의 자르마족의 지지를 이끌어냈습니다. 도소 지역은 20년 동안 소코토에 완전히 편입되지는 않았지만 사이드 군대에 점점 더 많은 병력을 공급했습니다. 1850년대에는 대부분의 자르마족이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사이드는 온건한 아바카르주의에 동조하는 이맘들이 그들에게 신앙을 가르치도록 할 수 있었으며, 따라서 그들은 소코토의 기존 신학교들과 분쟁이 있을 때마다 사이드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 사이드는 또한 바리바의 작은 왕국 보구에 이슬람 교사를 파견했는데, 비록 성공은 제한적이었지만 이웃 국가들과의 우호 관계를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1859년 사이드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이 사령관이라는 가면을 버리고 에미르라는 직책을 맡게 되었을 때, 그는 우스만 단 포디오가 그랬던 것처럼 안정적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1850년대 후반은 아다마와와 일로린의 통합의 시기이기도 했습니다. 아다마와는 1841년과 1852년 사이에 건국자 모디보 아다마Modibbo Adama 와 그의 유능한 후계자 라왈루Lawalu에 의해 국경을 크게 확장했지만, 라왈루는 더 이상의 확장은 국가를 과도하게 확장하고 자신의 근대화 개혁을 위협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습니다. 1853년 이후 그는 아다마와의 국경을 획정하고 이웃 국가들과 평화 조약을 협상하는 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1840년대에 사헬 지역의 격변에 대응하여 연합한 주쿤족Jukun이 지배하는 느슨한 국가인 우카리 연맹과 첫 번째 협정을 맺었는데, 비무슬림 국가와 평화를 맺는다는 비판에 대해 라알루는 우카리가 무슬림 소수 민족을 보호하고 무슬림 간의 분쟁을 샤리아 법에 따라 해결하도록 허용하며 아다마와의 상인들에게 국경을 개방한다는 조약 조항을 지적하며 협정을 체결한 것을 설명했습니다.


또한 에미르 라왈루는 아다마와와 아티쿠와 술탄국을 대표하여 풀라니 지하드 당시 잠시 정복했지만 말레 침공의 혼란기에 분리된 누페 왕국과 조약을 체결했습니다. 그는 우호적인 관계를 맺음으로써 도시만 완전히 이슬람화된 누페 지방에 이슬람을 전파하고, 누페를 일로린의 상업적 세력 확장에 대한 완충지대로 활용하기를 바랐습니다. 이 두 가지 목표는 모두 제한적인 성공만 거두었지만, 누페 및 베누에 유역의 족장들과 화해함으로써 그는 국내 개혁에 전념하고 수익성 있는 무역의 기회를 늘릴 수 있었습니다.


제바와의 연맹에서 지배적인 파트너가 된 일로린에서 통합은 정치적이라기보다는 사회적, 경제적 통합이었습니다. 보통 선거로 선출된 일로린 의회는 자유주의 성향의 아바카르주의 세력이 장악하고 있었으며, 군사적 확장에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러나 일로린은 후계 국가 중 가장 도시화되고 산업적으로 발전했으며, 주변 시골에서 노동 이민이 증가했습니다. 이들은 전통적인 민족 정체성을 잃고 아프리카-브라질계 요소가 두드러진 혼합 문화에 동화되기 시작했습니다. 1860년에 이르러 "말레"라는 용어는 원래 브라질의 자유민이라는 의미를 잃고 19세기 후반에 아바카리스트 이슬람교의 실천, 아프로 브라질 문화의 수용, "수단어"로 알려지게 된 풀라니-요루바-포르투갈어 방언 사용으로 정의되는 의미를 갖기 시작했어요. 그리고 말레를 비롯한 많은 일로린의 상인들이 외부로 눈을 돌려 라고스와 니제르 델타 항구에 사무소를 설립하면서 로마 알파벳의 채택과 해외로부터의 아이디어 유입이 가속화되었습니다.


물론 아티쿠와에서는 술탄이 대부분의 도심을 거의 통제하지 못했고 구사우의 급진주의 정권의 노골적인 반란에 직면했기 때문에 통합은 훨씬 더 어려운 과정이었습니다. 급진주의자들은 사실상 파산 상태였고 심각한 노동력 부족에 시달렸으며, 이에 광신주의와 무장 투쟁으로 대응했습니다. 1853년 중반에 구사우는 아티쿠와 중부의 농경지를 습격하기 시작했고, 실제로는 해적질에 불과했지만 반동적인 술탄에 대한 지하드(성전)라고 정당화했습니다. 여전히 속국 도시와 시골 풀라니 족장들로부터 군대를 모으고 있던 술탄은 처음에는 순찰과 반격만으로 대응할 수 있었습니다. 1854년, 그는 마침내 구사우를 무력으로 공격하여 침입자들을 시골에서 몰아낼 수 있었지만 성벽을 뚫을 수는 없었습니다.


포위 공격의 고통과 내부 불화는 결국 술탄의 군대가 할 수 없는 일을 해냈습니다. 구사우는 이제 대부분의 농업 배후지와 단절되었고 식량 부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도시를 떠났습니다. 남은 사람들은 광신도 중에서도 제일가는 광신도였으며 정부는 정치적, 종교적 관행 모두에 대해 점점 더 극단적인 입장을 취했습니다. 1856년 초, 총리가 신은 곧 이성의 의인화이며 프랑스 혁명 숭배의 방식으로 "자유와 과학의 새로운 이슬람"을 만들도록 영감을 받았다고 선언하면서 종말이 왔습니다. 이 발표는 대부분의 급진주의자들에게도 너무 과격했기 때문에 세계는 이 새로운 이슬람의 교리가 무엇인지 듣기도 전에 3 주 동안 도시는 파벌 싸움으로 불타버렸습니다. 총리는 20일 전투에서 전사했지만 그의 당파들은 계속 싸웠고 술탄의 군대는 분열되고 사기가 떨어진 수비군을 상대로 강제로 진입할 수 있었습니다. 술탄은 마침내 자신의 왕국을 장악했지만, 다른 속국 도시에 정착한 구사우 출신 난민들은 앞으로도 계속 문제를 일으킬 것입니다.


다른 후계자 국가에서도 1850년대의 평화는 폭풍전야였습니다. 진데르의 다마가람 술탄국은 우호적이었지만 마라디에서 연합한 고비르에서는 여전히 잃어버린 고향을 되찾기를 꿈꾸고 있었고, 우스만 단 포디오가 정복한 땅을 돌려받기 위한 보르누와의 협상이 난항을 겪었습니다. 당장 전쟁의 위협은 없었지만 평화도 없었고, 두 나라 사이의 긴장은 에미르 라왈루의 군대 근대화를 시급하게 만들었습니다.


국내적으로는 도시 노동자들의 불안이 계속 증가했고, 일로린의 나나 아스마우가 여전히 통제하고 있던 자지 교사단은 마을 주민들에게 아바카리스트 사상을 계속 전파했습니다. 소코토와 아다마와의 통치자들이 아직 자지를 위협으로 여기지 않았다는 것이 현대인의 눈에는 이상하게 보일지 모르지만, 그들은 교육에 대한 20세기의 개념을 본질적으로 정치적인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았고, 자지의 가르침은 정치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여성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당분간 그들은 자지가 다음 세대에 민주주의와 포퓰리즘 이데올로기를 퍼뜨리고 있음을 인식하지 못한 채 돈을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교육의 혜택을 기꺼이 받아들였습니다....



이스멧 유셀, 벨로이즘: 사상의 역사 (스탐불: 튤립 프레스, 2001)





03bcd32ef1db3fa76280e3b817c31b1f3b0cc9a7e9330af6ff2f84989c622f3cc782acba


보르누의 우마르



... 1840년대에 사헬 지역을 형성한 힘이 아바카르주의의 출현이었다면, 1850년대 이후에는 북쪽과 동쪽 지역을 형성한 것이 벨로주의Belloism일 것입니다. 보르누에서 벨로주의 공동체의 시작은 분명 불길했습니다. 마지막 마이, 즉 전통적 왕은 반수도원적 생활을 이유로 이들을 이단으로 정죄했고, 왕실의 박해와 와다이의 국경을 넘는 습격으로 고통을 겪었습니다. 이 마을 중 몇몇은 학살당했고, 지방 영주의 총애를 받던 다른 마을 사람들은 봉건 보호자의 운명이 바뀌면서 여러 차례 난민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1846년 마이가 전복되고 우마르 이븐 무함마드 알 아민이 쉐후로서 단독 권력을 잡은 후 상황은 눈에 띄게 개선되었습니다. 우마르는 알리 빈 벨로가 메카로 떠나기 전에 그와 함께 공부했고, 그의 사상에서 많은 장점을 발견했습니다. 1847년, 그는 벨로주의에 대한 마이의 금지령을 폐지하고 전국에 걸쳐 벨로주의 공동체의 토지 소유권을 확인했습니다.


우마르는 또한 남부의 아다마와와 소코토의 개혁에 대응하여 제정한 근대화 프로그램에 벨로주의자들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우마르의 목표는 분열된 봉건 영주들을 화합시키고 와다이와 아다마와에 대항할 수 있는 중앙집권 국가를 건설하여 풀라니 지하드 동안 잃었던 땅을 되찾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위해 그는 징병제를 도입하여 각 마을과 마을에 10년 동안 복무할 징병 할당량을 부여했습니다. 입대를 마친 병사들은 토지와 세금 특권을 받게 되는데, 우마르는 이런 방식으로 봉건 세력을 자신에게 충성하는 소작농으로 대체할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쉐후는 평화주의자인 벨로파는 이 군대의 일원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벨로주의자 공동체는 지역 학습의 중심지가되었고 주변 마을의 많은 부모들이 기초 교육을 위해 자녀를 공동체에 보냈습니다. 우마르는 이 제도를 정규화하여 벨로주의자들이 문해력, 수학, 기초 과학을 무료로 가르치는 대가로 일반 세금을 면제해 주었습니다. 그는 코뮌에서 교육받은 아이들 중에서 관리자를 모집하고 군 장교의 자질을 향상시키려고 했습니다.


벨로주의자 중 일부는 정치 영역에서 물러나라는 스승의 명령을 엄격하게 해석하여 특히 미래의 군인 양성과 관련된 역할에서 국가의 협력을 거부했으며, 일부는 국경을 넘어 이주하기까지 했습니다. 그러나 대다수는 자위 교리를 개발하여 수년간의 핍박에 대응했습니다. 이들은 여전히 침략 전쟁에 반대하고 군 복무를 거부했지만, 마을과 국가가 공격으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했습니다. 이들은 셰후의 개혁에 대해 보다 실용적인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미래의 장관과 공무원을 교육함으로써 국가가 보다 평화로운 정책으로 나아갈 수 있기를 희망했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벨로파는 보르누의 동부 방어의 일부가 되기도 했습니다. 우마르는 와다이 국경 근처의 지방에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장려했고, 전투를 피하기 위해 튼튼한 가시 울타리, 성벽, 참호로 방어한 이 마을들은 침략이 있을 때 이웃 마을 주민들이 집결하는 거점이 되었습니다. 한 명 이상의 벨로주의 족장이 앞으로 벌어질 국경 전쟁에서 영웅이 될 것입니다...



75ed8036fd9f0aaf6fa5e98517c22c3ccc615970c369957c598056462f7ea2c1da2e835bd68f9a6ca5e8168436e1c4694eaa0236b74c63126c60e4ee427fa54d6eee625827a4a584cc38164027f6eadb77c302753bb9


리야드 파샤

Riyad Pasha



... 그 동안 알리 빈 벨로 자신은 메카에 정착하여 듣는 모든 사람에게 자신의 교리를 설파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을 이상하고 이단적이라고 생각했지만, 일부는 재산을 공동으로 보유하고 공동 작업과 기도를 실천하는 자급 자족 명상 공동체의 아이디어에 매료되었습니다. 관심을 갖고 경청한 사람 중 한 명은 1858년 순례에 나선 이집트 공무원 출신의 젊은 무스타파 리야드였습니다. 그러나 그의 관심은 벨로주의 공동체를 직접 결성하거나 가입하는 것이 아니라 벨로의 사상이 이상 국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려하는 것이었습니다.


벨로주의의 특정 측면은 국가 이데올로기로서 직관적이지 못했습니다. 한 국가가 평화주의자가 되려면 모든 이웃 국가가 평화주의자가 되어야 하고, 정치적 무관심은 정부를 운영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었습니다(리야드는 정치적 침묵주의와 공동 작업이 농민들에게 주입하기에 좋은 이념일 수 있다고 냉소적으로 생각했지만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화와 공동체의 원칙은 좋은 원칙이었으며 아마도 적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국가는 정복에 의한 확장을 포기하고 외교 정책의 한 방법으로 전쟁을 거부하면서도 공격이나 임박한 위협을 방어하기 위해 군사력을 보유할 수 있고, 종교는 예배의 자유를 보장함으로써 정치적 얽힘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국가의 재산과 자원은 공공 신탁으로 보유될 수 있습니다. 리야드는 이 모든 것이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며, 창시자가 구상한 벨로주의는 아니지만 벨로주의자가 낯설게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상태라는 것을 깨달았고, 그에게는 현상 유지보다는 신이 의도한 바에 더 가까워 보였습니다.


그는 몇 년 후 이스마일 파샤의 내각에서 장관이 되었을 때에도 여전히 이러한 문제에 대해 생각하고 있었을 것입니다....



1eb2db29f1dd69fe3be798a518d604038d04ce73d4388ce3376d

1ab8c332c4d42aaf6dbe87ed43896a2dccbf6377616c664fbe99297f3ea2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3

고정닉 4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1018696 공지 신문고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4 1730 28
881318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공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28 15285 32
101725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갱신차단 목록 [7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6.01 1108 15
675324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소설/축약어 모음 [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37058 20
728432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시트(23.08.04) [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0 16590 31
675327 공지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 정보 모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7 28129 17
1021383 일반 1588)주인공이 말할때 쿠일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11 5 0
1021382 일반 띵군) 이쪽 세계 대한에서 평가가 낮을 군주 후보 TOP5 예상 [1] 천도행인(125.143) 12:07 38 0
1021381 일반 촉이 오를 먹든 오가 촉을 먹든 강남은 통일됐는데 [1] 헤트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06 20 0
1021380 일반 띵군) 청이 한중을 따잇당하면 진짜 한심한거지 [4] 대붕이(218.144) 12:03 61 2
1021379 일반 여포 이새낀 진궁,고순,장료 데리고 어케 말아먹었냐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8 62 0
1021378 일반 띵군) 大秦國 太祖 賢觀帝 아키라 대붕이(121.159) 11:56 53 1
1021377 일반 ㅋㄷㄷ, ㄱㅁㅁ)오늘저 ㅋㄷㅌ 내용보고 밑에 올라온 글 보고 생각난거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4 92 0
1021376 일반 띵군)연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3 45 0
1021375 일반 ㄱㅇㄷ)문피아 말고 다른 플랫폼 쓸까 생각중인데 [2] 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51 47 0
1021374 일반 ㄱㅇㄷ)270년간 14000명 인신공양이면 양호한편아님??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8 68 0
1021373 일반 페르시아가 그리스 정복했으면 우리가 아는 헬레니즘이 [3] 헤트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42 37 0
1021372 일반 띵군)왜인팔기 진짜 불안해보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9 137 4
1021371 일반 ㅋㄷㅌ) 아니 처음부터 그걸 노린거야 등신들아.......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8 161 4
1021370 일반 ㅌㅌㅊ)탐태창 처음부터 다시 읽는데 [1] 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6 96 4
1021369 일반 근데 뵐갤이 머임? [4] 대붕이(220.82) 11:33 97 0
1021368 공지 판결문 [7]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33 99 1
1021367 일반 띵군) 광덕제의 후대평가. [3] ㅇㅇ(59.6) 11:27 162 6
1021366 일반 원소가 조조-유비만큼 산 대역 대붕이(220.74) 11:27 25 0
1021365 일반 요즘 띵군 개맛있나보네 [2] ㄹㄴ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2 73 1
1021364 일반 띵군)청은 존나 어이없겠네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1 148 8
1021363 일반 띵군) 중원 진짜 개판 예정이네 [1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9 212 1
1021362 일반 1588) 이 소설엔 가불기가 너무 많음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7 165 5
1021361 일반 띵군) 후송은 나름 나아진 부분도 있을 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15 104 5
1021360 일반 판결문이 부당하다는 의견이 있었습니다. [26] 정신세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 474 18
1021359 일반 쿠데타) 고종이야 스트레스 없으니 니키보다 훨씬 멀쩡하지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3 202 1
1021358 일반 경제연산) 대간을 위한 일자리가 생각났다.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153 1
1021357 일반 ㄸㄱ) 근데 송나라 저거 체급이 실전압축된거 같은데 [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1 208 4
1021356 일반 띵군)송나라는 진짜 망하는게 맞는거 아니냐 [2] 와이번ㄷ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7 153 2
1021355 일반 검머의)이젠 자연스럽게 넘어가네 ㅋㅋㅋㅋㅋ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56 174 5
1021354 일반 화약대공 이거 유럽 공화국들 정상화 함? [5] ㅇㅇ(180.182) 10:48 156 0
1021353 일반 ㅋㄷㅌ) 군밤이 니키보다 정신적으로 더 멀쩡할 만 하지 ㅇㅇㅇ(211.253) 10:43 146 3
1021352 일반 을미고종) 총력전을 위한 발판이 마련되고 있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41 137 2
1021351 일반 초코마왕) 폴란드... 레벤스라움... 러시아를 공격한다... Hevi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9 93 1
1021350 일반 문득 떠오른건데 폴프메 요소 생각해보니까 대붕이(121.146) 10:38 47 0
1021349 일반 띵군)진짜 파촉은 누가 먹냐?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6 151 2
1021348 일반 띵군) 확실히 조미료 자극적인거 넣으니까 [3] 풀로늄쌍화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32 175 1
1021347 일반 ㅋㄷㅌ) 묘하게 20년 전 어느 영화 보는거같은 기분 [1] ㅇㅇ(220.87) 10:31 201 5
1021346 일반 현실적인 조선 근대화 최대 판도는 [5] i핀iz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7 184 0
1021345 일반 ㅋㄷㅌ) 니키를 보니 군밤이가 선녀처럼 보이지? [4] ㅇㅇ(118.37) 10:27 234 0
1021344 일반 ㅋㄷㅌ) 이제부터 협상국 진영이 겪게 될 비극 [9] Mr.구인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9 289 6
1021343 일반 마카오 옆 주하이 시가 프랑스 조차지였던 대역 ㅇㅇ(218.39) 10:16 43 0
1021342 일반 ㅋㄷㅌ) 군밤이 다시 보니 천사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6 224 0
1021341 일반 ㅋㄷㅌ) 니키 원래 말년에 정줄 놓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6 196 0
1021340 일반 명군) 그럼 얘네는 족내혼으로 가나? [1] 시시한소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4 108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