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편식과 대책 (논문 소개)

라인란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05.31 13:10:21
조회 489 추천 2 댓글 3
														

발달장애아동의 편식과 감각과민에 관련된 논문이 있습니다.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의 '식'의 곤난에 관한 실증적 연구(発達障害を有する子どもの「食」の困難に関する実証的研究)'라는 꽤 긴 논문인데,


너무 길어서 한번에 다 소개하긴 그렇고 일부만 인용했습니다.


연구방법은 발달장애 아동 등 135명과 토쿄가쿠게이대학 학생 119명에게


음식, 식생활, 식사 등에 대한 동일한 질문조사를 실시하여 결과값을 비교 검토하였습니다.


발달장애 아동의 편식의 원인이 감각과민때문이란 걸 이해하는 게 왜 중요한가 하면


편식이 단순한 집착이나 고집때문이 아니라 그럴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기 때문이죠




viewimage.php?id=2caec023f7d53db4&no=24b0d769e1d32ca73fed81fa11d0283146878605f8ff89cb706fdb048769f60e33349c97b1c093fe940d4f214cf924caedc6e6d7b9e857f6a4ccf4e9ae279f50839725eb

(표1은 섭식중추에 대한 설문의 발달장애본인과 NT학생들의 체크 수를 odds ratio추정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수치는 NT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질문항목과의 관계성이 몇배로 큰가를 나타냅니다.)


NT와 비교했을 때 발달장애 아동은 식사를 의무적으로 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딱히 음식이 맛있다고 생각해서 먹는게 아니라 먹어야 살기 때문에 먹는거죠.


또한가지 주목할만한 점은 물을 너무 많이 마시는 발달장애 아동이 있다는 건데요.


이 경우 저나트륨 혈증이 우려됩니다.


그러므로 발달장애 아동에게는 NT아동에게 가르치듯이 먹는것과 마시는 것의


의무를 너무 강조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씹지 않고 삼키는 아동에게는 음식을 씹고 삼키는 것을 가르쳐야겠죠.


기본적으로 먹는 것의 즐거움을 발견하게 만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감각기에 대한 설문에서 발달장애 본인의 체크율이 제일 높은 항목은


'뜨거운 것을 못먹는다'는 것입니다.(21.2%)


이 아동이 최초로 느낀 음식의 맛은 분유가 뜨겁고 너무 달아서 맛이 없다는 느낌이었을 겁니다.


다음으로 체크율이 높은 항목은 '색이나 모양 이전에 보기만 해도 기분이 나빠지거나 무서운 음식이 있다'(19.0%)


'냄새가 강한 식품은 먹을 수 없다'(15.3%)


'딱딱함이나 식감에 따라서는 입에 넣기만 해도 전신이 고통스러울 정도로 불쾌한 음식이 있다'(13.9%)


'예상한 것과 맛이 다르면 먹을 수 없다' '찐득거리는 음식이 정말 싫다(생계란같은갓)'(12.4%) 등


식감이나 혀에 닿는 느낌 온도에 대한 불편함이 눈에 띕니다.




viewimage.php?id=2caec023f7d53db4&no=24b0d769e1d32ca73fed81fa11d0283146878605f8ff89cb706fdb048769f60e33349c97b1c093fe940d4f214cf924caedc6e6d7b9e857f6a49aafe9f876cc50b4c6b69b

표2는 감각기에 대한 설문을 χ2검정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사람들과 같이 하는 식사에 대한 설문에서 발달장애본인의 체크율이 제일 높은 것은


'누군가에게 보여지면서 먹는 것이 괴롭다'(22.6%)는 것이었습니다.


다음으로 '집단 안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좋을지 몰라서 회식이 두렵다'(20.4%),


'많은 사람이 같이 식사하는 곳에서는 소리나 냄새 등의 정보가 넘쳐서 괴롭다'(16.8%),


'급식에서 그룹으로 먹는 것이 시끄러워서 싫다'(13.9%),


'사람들이랑 이야기하면서 먹는 것은 잘 못하겠다'(10.9%) 등입니다



viewimage.php?id=2caec023f7d53db4&no=24b0d769e1d32ca73fed81fa11d0283146878605f8ff89cb706fdb048769f60e33349c97b1c093fe940d4f214cf924caedc6e6d7b9e857f6a3c0a0bcfd71cc010113cca3

표3은 이 설문에 대한 발달장애본인과 NT학생들의 체크 수를 χ2검정으로 분석한 결과입니다.


발달장에 아동의 학교점심시간은 괴로운 시간임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


저는 정부 차원의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또 발달장애 아동은 가족들과 같이 식사를 하는 것보다 혼자 식사하는 것이 편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다음의 설문은 우리가 발달장애에 대해 갖고 있던 오해를 깨는 부분인데요.


'한번 좋아한 메뉴나 음식은 꽤 고집한다'는 발달장애본인과 NT학생의 체크율이 26%전후로 동일했습니다.


선호하는 음식에 대한 고집은 발달장애아동과 NT가 차이가 없다는 결과입니다.


일본은 음식에 대한 개인선호를 존중하는 편이라서 그럴까요?


이 설문은 발달장애아동과 NT학생 양쪽에게 실시한 것입니다.




지금부터가 중요한 부분입니다.


음식 선호에 대한 설문에서는 '스스로 선택한 음식은 맛있는 맛을 느낄 수 있고 즐길 수 있다'(21.9%),


'스스로 애정을 가지고 재배한 식물은 먹을 수 있게 되었다'


이 밖에 '생활전체에 여유가 생겨서 여러가지 음식을 먹을 수 있고 소화할 수 있게 되었다'(5.1%)는


일부 발달장애 아동은 편식이 스트레스와 관계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거 먹고 싶어?라고 물으면 알 수 없기 때문에 이거 먹기 싫어?라고 물으면 내 심정을 확인 할 수 있다'(5.1%)에서


'이거 먹을래?'라고 물을 게 아니라 '이거 먹을 수 있어?'라고 묻는 게 좋습니다.


'친구들이 먹는 것을 먹고 싶다고 생각해서 흉내를 내어 먹을 수 있는 것이 늘었다'(4.4%)는


음식에 대한 선호가 학습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584 일반 자해는 어떡계 고쳐요 [2] ㅇㅇ(218.158) 20.07.28 263 1
1583 일반 밑에 결혼 글 쓴 갤런데 [5] ㅇㅇ(211.200) 20.07.27 448 0
1582 일반 얼굴 예쁜 아스피 여성이랑 결혼하고 싶다. [4] ㅇㅇ(223.39) 20.07.27 1093 2
1580 일반 언어적 문제 ㅇㅇ(39.112) 20.07.26 114 1
1579 일반 다른 정신병이랑 이것저것 검사에 방해받는게 잇으면 ㅇㅇ(125.185) 20.07.26 86 0
1578 일반 정신과 다니면서 아스퍼거라고 진단받음 [3] ㅇㅇ(125.185) 20.07.26 966 0
1577 일반 아스피인 들끼리 소통해요 (인스타) 쿠쿠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26 197 0
1576 일반 혼자서 가게 못가는거 심각한거야? [5] ㅇㅇ(125.128) 20.07.26 543 0
1575 일반 장내 유해균 없애는 치료 해본사람? [1] ㅇㅇ(211.36) 20.07.26 213 0
1573 일반 검사 비용과 병원 ㅇㅇ(121.142) 20.07.25 140 0
1572 일반 솔직히 코로나가 축복일수도 있지 않을까? [1] ㅇㅇ(99.241) 20.07.25 299 4
1571 일반 6개월 만에 '사람들'을 만나고 아스퍼거에 대한 고찰을 해 봤습니다. [5] ㅁㅁ(58.124) 20.07.25 2642 70
1570 일반 혹시 나 아스퍼거인지 봐줄 수 있어? [9] ㅇㅇ(125.128) 20.07.25 808 0
1566 일반 나 잘하면 아스퍼거 일수도 있겠다라는 생각이 드네 [2] ㅇㅇ(118.235) 20.07.24 308 3
1565 일반 지인들에게 아스퍼거라는 사실을 알리는 게 좋을까요 숨기는 게 좋을까요? [4] ㅁㅁ(58.124) 20.07.24 445 1
1564 일반 대학병원가지마 [3] ㅇㅇ(220.94) 20.07.24 462 1
1563 일반 여기 관리자 누구야? 운영에 도움을 주고싶은데 [1] ㅇㅇ(223.62) 20.07.24 129 0
1561 일반 이세계 아스퍼거 ㅇㅇ(210.123) 20.07.23 157 1
1558 일반 니들 MBTI하면 뭐 나오냐? [4] ㅇㅇ(110.70) 20.07.22 987 1
1557 일반 심리검사를 받았는데 사회 성숙도(SQ)란게 뭔가요? ㅁㅁ(58.124) 20.07.22 454 0
1555 일반 자폐스펙트럼인지 정확히 모르겠다 [1] ㅇㅇ(39.112) 20.07.21 208 1
1554 일반 아스퍼거같은데 진단은어디서받아? [1] ㅇㅇ(125.181) 20.07.21 194 1
1552 일반 나도 아스퍼거지만 아스퍼거인들 특징.txt [6] ㅇㅇ(180.229) 20.07.21 1094 8
1549 일반 근데 노력하면 어느정도 나아질수 있음 ㅇㅇ(121.131) 20.07.19 191 2
1546 일반 어릴때 자폐스펙트럼 진단받음 [2] ㅇㅇ(39.112) 20.07.18 518 2
1545 일반 다들 아스퍼거로서 이 장면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함? [1] ㅇㅇ(118.235) 20.07.18 388 0
1543 일반 그래도 지적장애인은 아니어서 다행이다. [3] ㅇㅇ(223.62) 20.07.18 747 11
1541 일반 아스퍼거증후군을 벗어나서 NVLD,SCD 진단 받으려면 전치사(220.77) 20.07.18 138 0
1540 일반 혹시 자폐증상 있는사람 있냐?? [2] ㅇㅇ(112.156) 20.07.18 411 5
1539 일반 아스퍼거란게 공감능력이 부족하다는 표현이 맞는건가 [2] ㅇㅇ(182.224) 20.07.17 490 1
1538 일반 근데 자폐 스펙트럼이랑 아스퍼거랑 같은거임? [3] ㅇㅇ(182.224) 20.07.17 389 0
1536 일반 아스퍼거는 나이 먹으면 낫는 병 맞는 것 같다 [5] ㅇㅇ(211.36) 20.07.17 769 0
1534 일반 자폐와 아스퍼거의 진짜 차이는 뭘까 [2] ㅇㅇ(211.104) 20.07.16 499 1
1533 일반 발달장애 있으면 스스로에게 관대해져야 하는거맞음 [1] ㅇㅇ(118.13) 20.07.16 866 10
1526 일반 발달장애와 연관장애의 성적경향 [1] ㅇㅇ(175.125) 20.07.15 544 0
1524 일반 병원가서 진료 받아봤는데 [5] 빠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15 337 0
1523 일반 생활 패턴이나 행동이 너무 틀에 박혔는데... ㅇㅇ(110.70) 20.07.14 141 0
1519 일반 아스퍼거도 교사인 사람 많아? [1] ㅇㅇ(223.62) 20.07.14 415 0
1518 일반 아스퍼거인들은 운동 어케 하냐 [1] ㅇㅇ(121.134) 20.07.14 296 0
1517 일반 혹시 나같은 친구 있나? [6] ㅇㅇ(49.173) 20.07.13 657 3
1516 일반 혹시 서울에서 아스퍼거를 정확하게 진단받을 수 있는 곳이 없을까요? [1] ㅁㅁ(58.124) 20.07.13 416 0
1515 일반 나는 아스퍼거인데 교육관련 전공이다. ㅇㅇ(223.33) 20.07.13 274 2
1514 일반 아스퍼거라도 대근육/소근육 발달 차이 있나? [2] ㅇㅇ(223.33) 20.07.13 762 1
1512 일반 청소나 설거지같은 단순반복작업을 하기 싫을 때 의욕내는 팁 [2] ㅇㅇ(118.41) 20.07.12 470 1
1511 일반 지치면 사람이 싫어져 [2] ㅇㅇ(209.171) 20.07.11 802 10
1506 일반 너내 아밍아웃 언제 하냐 [1] ㅇㅇ(121.134) 20.07.09 253 0
1504 일반 네이버 카페는 원래 가입하기가 힘든가요? ㅇㅇ(99.241) 20.07.09 165 2
1498 일반 발달성 협응장애랑 아스퍼거 증후군간 상관성이 있을까요? [1] ㅇㅇ(221.138) 20.07.08 217 0
1497 일반 내 동생 아스퍼거야? [1] ㅇㅇ(160.39) 20.07.08 407 0
1496 일반 발달장애와 루시드드림 (파란약 먹고 빨간약 먹기) [5] 라인란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7.07 77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