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쌍안경을 사용해서 사진 찍는 법 + 결과물 (사진 많음)앱에서 작성

1111(211.108) 2023.02.25 19:57:12
조회 2384 추천 46 댓글 42
														

안녕하세요. 쌍안경 글 몇개 쓴 사람입니다.
조류갤러리 늘 잘보고있어요.

새를 키우고 있기도 하고원래도 새에 관심이 있었는데, 쌍안경 카페도 새 보시는 회원분들이 많아서, 저도 쌍안경 묵히지 말고 새 보러 다닐까 생각중입니다~ ㅎㅎ


제가 작성한 글 모음입니다.

1. 쌍안경 개념설명


2. 쌍안경 고르는 팁



3. 팁 2






쌍안경이랑 휴대폰만 이용해서 찍는법이 있냐는 질문이 있어 써봅니다.
원래도 한번 써볼까 했던 글이고요.

쌍안경에 카메라를 대고 촬영하는걸 '어포컬'이라 합니다.

휴대폰 카메라가 대부분이지만, '스와로브스키 스냅샷 어뎁터' 처럼 전용 어뎁터가 있는 기종은 일반 카메라도 가능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어포컬을 깔끔하게 하려면, 삼각대를 써서 쌍안경을 쓰고 어포컬 어뎁터로 쌍안경과 휴대폰을 밀착, 고정시키는게 좋지만,

쌍안경의 장점인 휴대성과 편의성이 떨어져서 저는 그냥 추가 장비없이 쌍안경, 카메라, 손 으로 찍는 '손포컬'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삼각대, 어뎁터는 질문 주셔도 모릅니다. 삼각대는 선물받은 저가형 뿐이고, 어뎁터는 3만원짜리 사봤다가 손이 더 나아서 반품했어요.

그럼 '손'포컬 팁 설명입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4570313f91a9b8f1a22da2dbb054d971f5aed223385854dbd4d54e901e07435f6

어포컬을 찍을때 제 휴대폰 화면입니다.

휴대폰은 갤럭시 s21입니다.
원 우상단에 흰색 촬영버튼이 하나 더 떠있죠?

카메라 설정들어가서 '플로팅 버튼'을 활성화 시키고, 제 검지손가락이 가장 편한 위치에 설치해 사용중입니다.

타이머나 음성인식도 가능하나 플로팅 버튼이 가장 빠르고 편하더군요.

손의 떨림이나 대상의 움직임때문에 사진이 흔들릴수 있기에, 여러장 찍어서 건지는걸 추천드립니다.

또한 한손으로 쌍안경을, 한손으로 휴대폰을 들어야되는 불안정한 자세이기에, 쌍안경 스트렙을 착용한 채로 찍는게 혹시 있을 파손의 위험을 줄여줍니다.


어포컬은 아래 사진처럼 찍게 되면 카메라부분을 제외한 휴대폰을 지지할 게 없어, 상당이 흔들리고 원도 잘 안나옵니다.

7fed8275b5806af351ee80e54f817373a0be90f1e1d3d0b4875e6f8a98f098eb

아래사진처럼
오른손잡이는 왼쪽 경통에 카메라를 대고, 휴대폰의 나머지 부분을 오른쪽 경통으로 지지해줘야 안정적인 촬영이 가능합니다.
당연히 카메라는 세로가 아닌 가로촬영이고요.
원이 맞았다 싶음 확실하게 밀착해줘야합니다.

3fb8c32fffd711ab6fb8d38a4483746f34108f8fe154334d81b96ade8581ca16f08628f87ccf0ad6e71563c56b

깔끔한 어포컬은 테두리가 깔끔히 나와야된다 생각합니다.

물론 완벽한 원은 시야각이 큰 쌍안경일수록 힘듭니다.


원이 동그랗게 나오는 52도 시야 쌍안경.

7fed8274b4806af651ee84e747807773b2ecda30f6126890fc9bd7d928c0260f

위 아래는 물론 양옆까지 다 잘려버리는 78도 시야 쌍안경.

7fed8274b4806af651ee84e74082707347343f14cf59227ce4b669533895e330


아래 사진은 좋지않은 어포컬 사진입니다.

7fed8275b5806af351ee86e146827773b83ea8286994ea774ca2ecdd229e2f89

왼쪽은 잘 나와보이는데, 아래 사진처럼 오른쪽에 비네팅이 생기고 테두리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죠.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4570213f91a9f8b1f2ada29bb044480c38e17e5555174dbfa86891d4d02f020347b10

좀 더 잘 찍힌 사진입니다.

7fed8275b5806af351ee86e146827c730ffa4e5f2ac0c98e66a9fce45c79f6b4

테두리가 깔끔하고, 테두리의 노란 빛이 보입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4570213f91a9f8b1c25da29bb044480b492d995ea132fcee3a01884620c03b0370c2d

테두리 색은 쌍안경마다 다른데, 보통 파란색, 노랑색이 많더군요


테두리가 파란색인 코와 yf2 8x30

7fed8275b58069ff51ee83e1448575732b9bd8f756afdd20d9cbaaa867589428

테두리가 노란색인 스와로브스키 el 10x32

7fed8275b58069ff51ee85e741857475ccfdd61668f0675b17077b56e49aaf6713ecda

파란색 테두리 yf / 노란색 테두리 el

7fed8275b5806af351ee8fe743827073da3e96699b6d77f3adeec7127dcf90

시야각이 55도 이내로 너무 좁아도, 70도에 육박하는 광시야여도, 어포컬 원 맞추기가 쉽지않더군요.

60도 정도가 가장 찍기 편할듯 합니다.

테두리가 깔끔하게 안나오고 계속 비네팅이 생긴다면 아이컵 높이를 조정해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아이컵을 다 올리고 찍어야 잘 나오지만, 아이컵 한칸 내리는게 오히려 더 깔끔히 나오는 기종들도 있었습니다.

휴대폰 케이스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케이스 높이 만큼 카메라와 렌즈 사이 거리가 생기게 되니 기종에 따라 비네팅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한 케이스에 부착물이 있는경우에도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bresser elfin 케이스 끼고

7fed8275b5806af351ee8ee74f837373b142428de3b3b1075cb91f7e767ce8fb

bresser elfin 케이스 빼고

7fed8275b5806af351ee8ee74f827d734ff93910d85fcbe3edf5a28a4078391d


쌍안경에 카메라를 합치시킨 채로 휴대폰 줌 기능을 이용해 더 크게 확대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쌍안경은 고정시켜놓고 휴대폰으로만 배율 바꿔가며 찍은 사진입니다.
(20배율, 80구경짜리라 들고볼수 없는 규격...)

20배

7fed8274b4826aff51ee85e54f8375021f42f2dcdfad669e187caaf6cbc242d3253ebcf971d183db9bb1ed9cf089

20 x 휴대폰 2배줌 = 40배

7fed8274b4826aff51ee85e54f83707330bd11cea31c3e4436a47bd20ba755

20 x 휴대폰 3배줌 = 60배

7fed8274b4826aff51ee85e54f827373ebaf5831b992cebdaed4ead090f81e

20 x 휴대폰 4배줌 = 80배

7fed8274b4826aff51ee85e54f837d737bf768764dbd31dc6790aee5343765


고정시키지 않고서 찍을수 있는건 30배율정도가 한계더군요.
p1000같은 카메라만큼은 당연히 못하겠으나, 30배 땡겨서 찍을수 있다는건 나름 재미있는 기능 같습니다~


이제 오늘 동네 뒷산에서 찍은 사진입니다.
사용 기종은 스와로브스키 el 10x32입니다.
카메라는 갤럭시 s21 기본 설정입니다.

후편집 하나도 거치지않은 쌍안경 어포컬이며 어뎁터나 삼각대 또한 사용하지않았습니다.

원형 테두리가 보이는거는 그냥 10배
테두리가 없는거는 10배 쌍안경에 3배 줌써서 30배율로 찍은 사진입니다.

쌍안경으로 나가서 새를 본건 지금이 두번째일만큼, 탐조 초보입니다.
새 종류도 조갤이나 카페 눈팅이나 유투브 통해서 안게 다입니다.
이름 틀린거있음 동정해주셔요~

1. 비둘기

10배 흰비둘기

7fed8275b5806af351ee84e140857d736e748e75367e503db1d514d4a59c21b0

10배 걍 비둘기

7fed8275b5806af351ee86e044827d739d0f64e124f1a03c02a93a437ddc5beb

30배

7fed8275b5806af351ee86e044857673d7dec88b8acd45d5a8db3e74023c1514

2. 까치

7fed8275b5806af351ee86e045837573303367e128625f0d74ed81c7fa3ac53c

30배

7fed8275b5806af351ee86e04583717368fe88079535a7d2184c56fe5056e8e1

열매먹는 까치

10배

7fed8275b5806af351ee84e044807d73872e77e60db50c063a49dc77df951e4a

솔밭의 까치들.
10배

7fed8275b5806af351ee86e04282727319e2173e49caa05e9bdfa9b04c7a4f88

집 짓느라 바쁜 까치

10배

7fed8275b5806af351ee84e746807c73416055b8da29530be08e113059d98f10

30배

7fed8275b5806af351ee84e7468376732580def2306c4fdf831fee8cbfc7b82d

3. 물까치

앞에 나뭇가지들 때문에 초점이 좀 흐리네요.

7fed8275b5806af351ee86e74685717361618baaee7651d96bb4ec5c095d374a

30배

7fed8275b5806af351ee86e746857373019a2c748adb4c0143b71a8276763047

4. 큰오색딱다구리

10배

7fed8275b5806af351ee87e54f807273f8bb8f5d3116b27f51b68ea6d07e32b6

30배

7fed8275b5806af351ee87e54f837473edfd505bdfb15f5b49573bfe28c2f9e1

10배

7fed8275b5806af351ee87e54e8072733779d5a787db2610e13f9901df4da2be

30배 눈 감는게 보입니다.

7fed8275b5806af351ee87e54e837573d232ed514036aaa77f2e64e08264ee2b

10배

7fed8275b5806af351ee87e5418572732f59118b7c568fc28f8e32f9e4a955c2

30배. 구멍 파논게 보입니다.

7fed8275b5806af351ee87e54184747383fe0d6bdb4477c1187a8b4be049b819

5.박새

오늘 뒷산에서 처음으로 본 새입니다. 작은새는 빨라서 찍기 힘들더군요

10배

7fed8275b5806af351ee86e443817d734e37b49150da4d67255b72ad38860bd8

30배

7fed8275b5806af351ee86e4438076731a7fc1b7d24fe97a9159bef1f8af3095

낙옆더미에서 노는게 귀여워서 많이 찍어봤습니다.

10배

7fed8275b5806af351ee86e64e857d73a9864b014bba0e68abfffad31019f3ee

10배

7fed8275b5806af351ee86e64e84767315d164de4410deaa3a805da75704a91b

30배

7fed8275b5806af351ee86e64f8173731d0a7d24f9afd7a76c34c516815e7c86

30배

7fed8275b5806af351ee86e64f817c733c57c323bfe4079cf6cfb7c547f4cb82

30배. 이건 정말 잘 찍힌듯

7fed8275b5806af351ee86e64f8575739e9417469b8e89e6587b5f1ee6b52bb5

6. 직박구리 (뀨 갤주님이시던가...)

10배

7fed8275b5806af351ee84e644807273a11f6d50fc504c541268c11de0727ce0

30배

7fed8275b5806af351ee84e64481717599e600a29e29ceca90d0d7dfb47571ed0617f9

7.  노랑지빠귀

10배

7fed8275b5806af351ee85e541837d735be4be6396ee09925d33cf75ef0b7fd7

30배

7fed8275b5806af351ee85e541807673eaaa49e35ed238f1b5ea0ed5b530885b

8. 새는 아니지만 청설모

10배

7fed8275b5806af351ee84e74185757324b8695961848969358d0ccc9fc13c86

30배

7fed8275b5806af351ee84e741847673026d3010778def3fa41ab00678bb427a

9. 가장 찍기 힘들었던... 나비

10배. 숨은 나비 찾기~

7fed8275b5806af351ee87e146837073aba53b7097f1957d843738e40c04d08b

30배.

7fed8275b5806af351ee87e146837173dbd74301555ce2c4561910a13773370a

탐조인은 아니지만, 오늘 재미삼아 새좀 찍어보고 느낀점입니다.

1. 확실히 카메라가 편하다.

저는 카메라는 안써서 쌍안경으로 사진찍지만 제대로 찍으려면 카메라가 낫더군요. 휴대폰 쌍안경에 일치시키고, 초점잡고 다시 대상 찾으면 사라지는 경우가 허다....

2. 사진 찍기는 10배율, 식별은 8배율.

스와로 el이 10배율 치고 실시야가 넓은 편이지만 확실히 8배율의 넓은 시야가 그립더군요.
대상을 찾기위해 더 돌려봐야되니 피곤함이 느껴졌습니다.

3.  무조건 중앙초점.

개별초점은 한번 맞추면 웬만한 거리 초점 조절 없이 보인다는 장점이 있지만, 보통 50m 이내 거리는 초점을 따로 잡아줘야합니다.
오늘 돌아보니 50m 밖에서 사진을 찍은적이 거의 없더군요.
따라서 20미터 내의 근거리 초점도 자주 사용하는 탐조시에는 중앙초점 형식이 훨씬 편해보였습니다.

4. 가벼운게 편하다.

특히 어포컬을 찍는경우엔 한손으로 쌍안경을 들어야하니 크고 무거운 쌍안경은 힘들것같더군요.
목 피로도 이유도 있고요.
저는 30구경대를 애용할 것 같습니다.


+ 비둘기 원래 겁 하나도 없는건 알았다만, el 최소 초점거리인 1.7m 이내로 들어오는거 보고 깜짝 놀랐습니다. 오히려 제가 부담스럽더군요. 까치도 3미터 이내까지도 오더군요.


이상입니다.
찍는 법은 단순하지만 많은 숙달이 필요할겁니다.
지금까지 5만장 가까이 찍었는데, 한 3천장 찍었을때부터 잘 나오기 시작하더군요~

물론 설명드린 방법을 모르고 찍은게 천장정도 되니 여러분은 확실히 저보다 빨리 적응하실거라 믿습니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46

고정닉 13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79195 공지 전국 야생동물구조센터 연락처 (서울시 번호 수정/하남시 추가) [22] ㅇㅇ(1.225) 23.02.07 4997 33
26712 공지 새줍 정보 (2021 ver) 1, 구조해야 할 때와 말아야 할 때 [13] Y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13 8277 65
10080 공지 새줍했을때 도움되는 정보모음 [15] 프로는운에맡기지않는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02 12186 64
52945 공지 새줍 정보 (2022 ver) 1, 탐조와 새줍 용어 정리 [8] Y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5 4162 45
43989 공지 탐조 입문자를 위한 하이엔드/컴팩트 카메라 정보.txt [22] ㅇㅇ(39.7) 21.12.29 20170 58
122951 일반 이거 무슨새냐 위협적인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54 60 0
122950 정보 포항시,악취 민원에 백로,왜가리 서식지 벌목 진행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54 55 1
122949 일반 얘네 왜이러지? 종은 뭐고? 사연이 있어보임 [2] 조붕이(175.114) 01:48 76 0
122948 일반 본인 집앞에있는 학교 창틀에 후투티 산다 ㅇㅇ(211.224) 01:37 39 0
122947 일반 길가에 비둘기가 존니 귀엽길래 [4] 정현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37 88 7
122946 일반 날개 부러진 물까치 새끼 어떻게 해야 하나? [4] 조붕이(112.153) 05.30 86 0
122945 일반 엄마가 어치새끼 주워왔는데어카냐이거..jpg [4] ㅇㅇㅋ(110.47) 05.30 166 1
122944 탐조 2024/5 울산 탐조 결산 [2] 흰눈썹북방긴발톱할미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7 7
122943 그림 주말엔 탐조해!!! [7] LIKEBIR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36 14
122942 일반 갤럭시 S24 ultra 야간 테스트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98 3
122941 일반 얘 뭐임 [3] 조붕이(211.197) 05.30 107 0
122940 탐조 2024/4 울산 탐조 결산 [10] 흰눈썹북방긴발톱할미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01 8
122939 일반 얘 이름 아시는 분? [3] 레드허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09 1
122938 이무새 이 아기새 이름이 뭔가요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11 0
122937 일반 이 귀여운 친구의 이름이 뭔가요? [2] 조붕이(118.235) 05.30 106 0
122936 일반 이 새의 이름이 뭔가요 [1] ㅇㅇ(219.250) 05.30 134 0
122935 일반 까치가 욕하는거 봤어 [2] 조붕이(175.204) 05.30 97 0
122934 일반 이거 새 울음소리 맞나요? [2] 조붕이(59.14) 05.30 58 0
122932 일반 둥지에서 떨어진 아기까치 봤는데 내가 할 수 있는게 없는거지? [4] 조붕이(125.128) 05.30 82 1
122931 일반 곤줄박이갤주운동141일차 [3] 곤듈박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4 2
122930 일반 꼬마물떼새, 검은댕기해오라기 등등 [2] 청호반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2 5
122929 일반 우체통에 딱새 돌아왔는데 [1] 자몽에이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66 0
122928 일반 인공둥지 관찰 카메라 추천해줄수있나요?? 하누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3 1
122927 일반 제비 혼자 일주일 넘게... [2] ㄱㄴㄷㄹ(124.57) 05.30 128 0
122926 일반 얘네 딱새 맞지?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17 2
122925 일반 그림이긴 한데 이무새 같음? [3] ㅇㅇ(61.39) 05.30 104 0
122924 일반 어미와 새끼 검수리 [3] 조붕이(39.123) 05.30 117 1
122923 탐조 아파트에서 붉은머리오목눈이 봤다 [7] ㅇㅇ(1.228) 05.30 127 9
122922 탐조 2024/1~2024/3 울산 탐조 결산 [2] 흰눈썹북방긴발톱할미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00 11
122921 이무새 얘네 뭐에요 [2] 마참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06 0
122920 탐조 오탐 [2] 황금경쪼드리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7 1
122919 일반 이새머임 [5] 조붕이(211.234) 05.30 125 2
122918 이무새 은근히 자주보는데 이름 맨날 까먹음 [13] BB.Fus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92 2
122917 일반 호공 돌다가 본 새 새끼 [1] 조붕이(1.236) 05.30 76 0
122916 일반 새구경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항문을죽인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98 3
122915 그림 종추콘 그려봤슴다 [5] 뫼까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47 6
122914 일반 와 조갤에서 방금 역대급 명언 봤다... [6] ㅇㅇ(121.186) 05.30 257 10
122913 탐조 그제어제오늘의 탐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10 8
122912 이무새 갈색몸에 흰 점 [3] 조붕이(39.7) 05.30 94 0
122911 일반 너 이 자식 방금 종추라고 콘 없나요 [1] 뫼까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2 0
122909 일반 오늘은 말일..담달 상점 업로드 예정(딱dda구리 펜..) LIKEBIR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0 6
122908 일반 비울기는 두흥 하고 운다는게 사실인가요 ㅇㅇ(223.62) 05.30 41 0
122907 이무새 얘 무슨 새인가요?? [2] ㅇㅇ(118.235) 05.30 112 0
122906 일반 하천에서 새 발견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12 0
122905 일반 새들 이름 알려줘 [1] 타갤붕이(211.37) 05.30 101 1
122904 일반 어청도는 이제 끝물이지? 조붕이(59.10) 05.30 40 0
122903 일반 딱새 매번 육추하는 곳에 또 알낳았는데 [4] 조붕이(112.166) 05.30 57 0
122902 일반 만약에 물에 사는 오리를 산꼭대기에 갖다놓는다면? [6] 조붕이(106.102) 05.30 154 0
122901 일반 이 새 종류가 뭘까요? [6] 핀과제이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50 0
122900 일반 늠름한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00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