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칼럼] 결국 중공의 기술탈취로 세계화가 끝나고 냉전으로 회귀함앱에서 작성

Polemici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7.27 18:26:44
조회 142 추천 6 댓글 0
														

7ceb8976b18661ff3beb83e0459f2e2d109be8eafbba52aa91beabfc41

7ceb8976b18661ff39ea86e2449f2e2dd8ef6236d434504d806cd940



모택동의 문화혁명 이후 국민경제 파탄과 국제적 위상의 추락으로 후퇴하던 중공은,

미국의 베트남전 패배 이후 국제관계에서 미국의 포지션에 변화가 오기 시작한 뒤 '닉슨 독트린'으로 대표되는 국제정치의 변화의 흐름에 적극 참여하는 길을 공산권 국가 중 가장 먼저 선택했음.


닉슨 독트린 이후 중국은 1971년 국무정책 최고 담당자 간 회담인 키신저-저우언라이 회담, 1972년 국가원수간 회담인 닉슨-마오쩌둥 회담을 통해 흔히 '데탕트'라 불리우는 자유주의-공산주의 진영 간 힘의 균형의 분위기 조성을 적극 주도했고,

이를 기반으로 등소평의 등장 이후 개혁개방과 중국식 자본주의를 내세워 본격적으로 중국의 경제 개발과 세계화의 흐름을 전개하기 시작함.



이후 그러한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자연스레 한계를 갖고있던 사회주의 체제 하의 소련과 동구권 국가들이 80년대 말 모두 붕괴되었고,

이에 자연스레 냉전체제가 완전히 해소됨에따라 자유로운 사회분위기가 점차 확산되면서 미국과 영국, 독일, 한국 등 자유진영 국가들은 대부분 진보진영이 집권하게 됨.


그래서 덕분에 중공은 이전보다 더더욱 자유진영 국가들과의 정치경제 및 문화적 교류에 적극 나서는 계기를 마련했고,

그동안 낙후되고 침체되어온 중국경제를 본격 규모의 경제를 앞세워 지금의 중국으로 성장시킬 수 있었음.



그런데... 이렇게 중국이 적극적으로 국제교류를 통한 기술 발전의 고도화를 추구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서서히 문제가 생기기 시작함.


과거 미국도 그랬고, 일본이나 우리나라도 마찬가지고,

대개 경제개발을 처음으로 시작하는 신흥국가들 공통점이 초반에 공업화에 빠르게 나서서 산업기반을 마련한 뒤에 해외에서 기술과 자본을 도입하는데...


아무래도 역시 발전의 출발이 늦었던 중공 입장에선 자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려면, 일단 이미 발전되어있는 전문 분야별로 존재하는 진입장벽을 깨기가 쉽지 않다는 거임. (초격차기술이 중요한 부분이 바로 이 부분때문. 출발점이 늦으면 따라갈 수가 없음.)


그래서 자유진영에 속하는 강대국들을 중심으로 기술의 고도화가 진행된 이상 전문인력과 기술이 전부 서방 강대국에 쏠려있었기에,

처음엔 자연스럽게 그들의 인력을 거금을 들여 데려오기도 하고, 기업간 인수합병에 적극 참여하고 기술을 돈 주고 사오거나 대충 그럴 듯하게 모방하기 시작함.


근데 중공이 이렇게 겉으로는 정상적으로 자유진영 강대국들과 계약을 맺고 기술 이전 프로젝트 등을 시도하지만,

은밀하게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중국인들이 절대로 해서는 안 되는 기술 탈취를 시도해서 여러차례 크게 논란이 됐음.


그리고 심지어는 강대국 정치인들을 개개인별로 포섭해서 로비를 시도하고, 국가적으로 내부 기밀 정보를 탈취하거나 국가 운영 전반에까지 개입하여 논란이 되는 일도 비일비재했고.



게다가 이젠 인력/원천 기술 관련 보안이 점차 강화되면서 이런 부분보다는, 생산 장비를 직접 탈취해서 장비를 통해 기술을 탈취하는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훔치고 있음.





당장 위 기사에도 나오지만, 한국도 OLED•반도체 장비를 유출했다고 함. 그래서 5월 초에 철수형이 인수위에서도 110대 국정과제에 포함시키기도 했었음.


기사 중 내용) "인수위는 국정과제 목표 중 하나로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한 지식재산 보호체계 확립'을 내세웠다. 중국과의 기술 격차가 좁혀지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 대응이 필요하다는 취지에서다. 업계에서는 주요 기술 유출될 경우 2~3년의 기술 격차가 단번에 좁혀질 수 있다고 본다."
 


이런 마당이니 이미 강대국들은 중공이 답이 없다고 느끼고 손절친 게 한참된 지 오래인 거고...


우리나라는 그동안의 외교전략 뿐만 아니라 물리적 거리상 주변국으로서 중공이나 러시아와의 경제적인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다보니 선택이 늦었지만,

이젠 우리나라의 핵심산업인 반도체마저 건드는 게 들통난 이상 가만히 놔둘 수가 없는 거임.



더군다나 이런 와중에 중공은 아래 기사와 같이 오래전부터 이어온 제3세계 국가들에 대한 경제 협력과 지원을 더더욱 강화하여,

자유진영에 대비되는 자신들만의 공급망과 외교적 영향력을 새롭게 수립하고 있음.




'일대일로' 정책이 바로 그 일환임.

그리고 이런 투자를 대대적으로 벌인 후 국가가 빚을 못 같으면, 일정 부분 대출 유예를 해주는 대신 아예 그 국가의 시설 운영권 등을 완전히 탈취하기도 해서 엄청 논란을 빚었음.


그래서 당장은 반발은 사고있지만, 만약 이런 흐름이 가속화될 경우 제3세계 국가들 상당수가 중국에 기술 탈취는 기본이고, 정치경제적 종속화가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음.



이러니 기존 자유진영 강대국들도 이에 맞서서 중국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국가들을 포용함과 동시에,

기존 자유진영 국가간의 자체적인 경제 공급망을 역시 챙기지 않을 수가 없는 거임.




위 기사들처럼 자유진영 국가들 간 글로벌 공급망 재편은 점차 가속화되는 중이고,

가뜩이나 우리나라는 사실상 '반도체' 하나로 버티는 상황에서 이 흐름에 빠르게 편승하지 않고서는 기술 발전을 더이상 주도하기 어려움.




결국 중공이 공산권 국가 중 가장 먼저 나서서 전세계적으로 세계화의 흐름에 물꼬를 틀었으나,

역설적으로 패권국가로의 성장을 위해 불법적인 기술 탈취를 시도하고 자체적 공급망 재편으로 또다시 냉전을 유도하여 세계화의 흐름을 끊어버린 것임.



중공이 시작하고 주도했던 세계화가, 중공의 경제발전과 기술탈취로 인해 붕괴되고 냉전이 찾아왔음.


이제 우리나라도 이에 맞서서 기술 탈취를 막고 보다 더 국제흐름을 정확하게 인식해나아가야 할 시점임.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6

고정닉 2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8349 공지 네이버 계정으로도 제명 서명 가능함(찰스 페북 올라옴) [15] KeyLimeP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15 9322 80
6086 공지 V3 35주년 기념 컨텐츠 - 보안박물관 [11] Tail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12 8363 33
1777 공지 한가지 알아야할건 찰스는 이제 여당의 차기 대권후보임. [1] ㅇㅇ(223.33) 23.03.13 8652 63
759 공지 지지자들 '탈당' 자제해야 하는 이유 [13] 78학번(223.39) 23.03.08 8407 52
737 공지 탈당은 신중해야.. 재입당이 절차상 어려움. [6] 78학번(223.39) 23.03.08 5186 31
45418 뉴스/ [페이스북] 제69회 현충일 추념식 행사 참석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6 3 0
45417 뉴스/ [페이스북] 이재명대표, 정녕 미래세대에 고통을 넘기자는 것입니까?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55 1
45416 뉴스/ [페이스북] 서울경제TV 주최 AI 미래금융 포럼 참석 및 특별강연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51 1
45415 뉴스/ [페이스북]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 안철수 의원실 방문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72 1
45414 뉴스/ 안철수 "미래금융 두바퀴는 AI•법제도...비금융데이터 확보해야"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5 74 1
45413 뉴스/ 4선 안철수의 힘! 국토부장관 협의후 분당보건소 신축 탄력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20 1
45412 뉴스/ 안철수, 국토부장관 협의 후 분당보건소 신축사업 탄력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15 1
45411 뉴스/ [페이스북] 호국보훈의 달, 성남시 보훈단체 방문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93 1
45410 뉴스/ 서울경제TV 축사, 안철수 "인공지능 도입 금융분석 고도화"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08 1
45409 뉴스/ [페이스북] 안철수 의원, 1호 법안 AI산업 육성 대표발의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92 1
45408 뉴스/ [단독] "北, 과적 선박 침몰해 90명 사망…軍 불만 고조"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4 130 0
45407 뉴스/ [페이스북] 호국보훈의달 6월, 국립서울현충원 참배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50 1
45406 뉴스/ [특별인터뷰] 22대 국회 경제통 '안철수•정진욱 당선자'에게 듣다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201 3
45405 뉴스/ [페이스북] <북한의 민간인 공격행위, 강력 규탄합니다>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56 2
45404 칼럼 [한국경제 기고] 안철수 "연금개혁, 100년을 내다보자"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63 2
45403 뉴스/ [페이스북] [한국경제 기고] 연금개혁, 100년을 내다보자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50 1
45402 뉴스/ 안철수, 22대 국회 1호 법안 '인공지능산업법' 제정안 발의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61 1
45401 뉴스/ [페이스북] 안철수 22대국회 1호 법안 - AI산업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62 2
45400 뉴스/ [페이스북] 제29회 성남시 환경의날 기념행사 참석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3 150 1
45399 커뮤니 짱깨들이 극혐일때 있지않냐? ㅇㅇ(59.21) 06.03 187 0
45397 뉴스/ '반도체 호조' 5월 수출 11.7%↑...12개월연속 무역수지 흑자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247 1
45396 뉴스/ 5월 수출 전년비 11.7% ↑…반도체 7개월 연속 증가세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1 252 1
45394 뉴스/ [페이스북] 서강대 디지털자산 최고전문가과정 개강식 강연 [1]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299 2
45393 뉴스/ [페이스북] 원외 당협/지역사무소 설치, 후원금 모금 찬성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297 0
45392 뉴스/ 안철수 "나는 의사•과학자 출신... 감염병 연구 지속 돕겠다"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312 2
45386 뉴스/ [페이스북] 안철수 <훈련병 사망사고를 개탄합니다>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381 0
45391 뉴스/ [페이스북] 한국파스퇴르연구소 창립 20주년 기념식 참석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344 0
45390 뉴스/ 안철수 "시행사 자기자본 부족, 주택공급 구조적문제 고민해야"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04 0
45389 뉴스/ [페이스북] 제8회 뉴시스 건설부동산포럼 참석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344 0
45388 뉴스/ [페이스북] 제18회 성남지역 복지시설 후원자 결연식 참석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341 0
45387 뉴스/ [페이스북] <채상병의 국가를 위한 헌신을 기억하겠습니다>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346 0
45385 뉴스/ SK 중국 국적 女직원, 문서 3천장 뽑아 중국 화웨이 이직... SpinD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482 3
45384 커뮤니 179로 부결될 거 알 사람은 다 알았을텐데 ㅋㅋ SpinD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542 5
45382 뉴스/ 나경원-윤상현 "모수개혁"... 안철수-유승민 "구조개혁" [1]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576 4
45381 뉴스/ '여당 속 야당' 자처 안철수, 정치 위상 다지기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539 4
45380 뉴스/ 헬스케어포럼 축사) 안철수 "헬스케어산업, 인류 전체의 건강증진"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542 2
45379 뉴스/ [단독] 與 김근태 "해병대원 특검 찬성"…국힘, 다섯번째 이탈표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507 1
45338 뉴스/ (페북업) 문 전 대통령이 써야 할 것은 회고록이 아니라 참회록입니다 [1] ㅂ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962 6
45378 뉴스/ 폼페이오, 문재인 회고록 반박... "트럼프가 결정"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8 493 1
45377 뉴스/ [페이스북] 연금개혁하는 '척' 이재명대표의 노림수와 복지철학 빈곤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500 0
45376 뉴스/ [페이스북] 제22대 국회의원 당선인들과 명동성당 미사 참석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512 0
45375 뉴스/ 안철수 "인문학 AI로 古書복원하면 k콘텐츠 소재 쏟아질 것"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7 503 1
45373 뉴스/ [인스타] (인스타) 분당천에서 청청천 페스티벌이 열렸습니다 ㅂ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601 1
45372 뉴스/ [인스타] 분당이매 청구.성지재건축 주민설명회에 다녀왔습니다 [1] ㅂ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634 2
45371 뉴스/ 제22대 과학기술계 국회의원 당선인 초청 간담회 참석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650 3
45370 뉴스/ 안철수 "당 재건해야", 민생정책으로 민주당과 차별화 주장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629 5
45369 뉴스/ 안철수 "이재명, 연금개혁 관심도 없다가" SpinD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601 3
45368 뉴스/ [페이스북] 연금개혁 하는 '척' 연금제도 파탄내는 이재명 대표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5 574 2
45367 📽유튜 Cbs 2시 라이브 지지율대책회의) 31화 안철수 의원 출연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4 630 5
45365 뉴스/ [페이스북] 2024 마이크로중력학회 학술대회 참석 [1] 안국갤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23 654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