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칼럼] 내가 검더텅을 돌리면서 무역에 대해 깨달은 것들(장문)

ㅇㅇ(58.231) 2021.11.30 04:12:03
조회 2130 추천 8 댓글 6
														

수시하는 고2 경붕이임

경제는 사실 교재 딱 두가지만 썼음

첫번째로 우영호 완자 내신강의 하나 들었고

두번째로 검더텅 풀었음

근데 지금보니 완자 내신강의 말고 그냥 내신 만점 플렛폼 있던데 걍 그거 들을걸 그랬나. 어쨌든 고2 막 올라오고 급하게 산 메가패스라 아는게 없어서 그냥 잡히는거 봤었음ㅇㅇ


쨌든 마더텅을 풀면서 느낀건 무역파트가 가장 기억에 남았던 것 같음

생산가능곡선에 대해서 어떻게든 이해할려고 파고들어가니

새로 알게되는 내용도 있었고 해서 참 뿌듯했음

그래서 경갤이 비록 경제 고인물들도 많고 해서 이미 알려진 사실이거나

혹은 다른 강사가 알려줬을수도 있지만

내가 문제풀면서 혼자 꺠닫게 된 내용이나 알게된거 적당히 적어봄


허수 고2 경붕이라서 틀린내용이나 일반화가 불가능한 내용이 있을지도 모름ㅇㅇ 그 부분은 지적부탁




1.기울기=기회비용



7ce880756f01f8f53eea5d67fe9f343346032476206652f85fa7b652

2015년 3월 고3 5번


갑국이 x재를 생산할때 y재로 표시한 기회비용은 10/15=2/3

갑국이 y재를 생산할때 x재로 표시한 기회비용은 15/10=3/2


을국이 x재를 생산할때 y재로 표시한 기회비용은 5/10=1/2

을국이 y재를 생산할때 x재로 표시한 기회비용은 10/5=2


한 국가가 두 재화를 생산할때 기회비용은 서로 역수관계임


참고로 답은 4번




2.교역후 생산의 기회비용이 증가 혹은 감소


문제를 풀다보면 이 표현을 ㅈㄴ 많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서 갑국이 x재를 특화하고 을국이 y재를 특화해서 교역을 한다면

무조건 특화한 상품의 생산(소비)의 기회비용은 증가한다.



3.생산가능곡선을 볼때, x재 최대생산량과 y재 최대생산량을 봐야한다.

이걸 통해서 위의 2번(교역후 기회비용 증가감소)에 대한 이야기를 하겠다.

7ce480726f01f8f53fe75d67fe9f343303b2757d651eb0979bf6c94f08

2019년 고3 4월 18번


나는 생산가능곡선을 보면 제일먼저 기회비용 표를 그리고 시작한다. 근데 이건 다른 경붕이들도 마찬가지 아닌가.

쨌든 기회비용은 다음과 같다.


x

y

갑국

y 1

x 1

을국

y 1/2

x 2


비교우위가 있는 애들에 색칠을 해줬다. 나는 종이에 풀때는 동그라미를 친다.


1.갑국은 x재 생산에 절대 우위를 가진다.

=>아니다. 을국이랑 최대 생산량이 (0.60)으로 똑같다.

2.x재 한개 생산의 기회비용은 을국이 갑국보다 크다.

=>아니다. 갑국이 x재를 생산하는데 드는 기회비용은 y 1, 을국은 y 1/2이므로 갑국이 을국보다 기회비용이 크다.


우선 3번보기는 건너뛰고 4번을 먼저 보도록 하자.


4.교역이 이루어질 경우 을국의 x재 1개 소비의 기회비용은 교역 이전보다 커진다.

=>맞다. 현재 을국이 x재에 비교우위가 있으니 교역후에 기회비용이 커질 것이다. 근데 이유가 있어야지.

사실 이렇게 생각하면 쉽기는 하다. 

"우리가 x재 잘만드니까 약간 손해보고 y재 더 많이 가져올게."

그럼 x재에 특화한 국가가 당연히 손해를 조금더 보겠지. 근데 y재를 교역해서 얻는 이득이 더 커지는 거니까. 근데 좀 더 엄밀하게 설명하자면

나는 위에서 x재의 최대생산량과 y재의 최대생산량을 보자고 했다. 

현재 을국은 x재에 특화했으니 얘네는 (120,0)상태인거임. 그러므로 생산가능곡선의 시작이자 기준점을 여기로 잡아야 함.

무역은 무조건 생산가능곡선의 넓이가 넓어지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함. 근데 생각해봐라. 을국이 x재 생산으로 곡선을 더 넓게 할 수 있음?

불가능하지. 쟤네는 120개 생산하는게 최대라고 이미 문제에 나와있잖아. 그러니 y재를 많이 뜯어와야함. 현재 을국은 y재를 최대 60개 만들 수 있음.


그럼 만약에 을국이 교역을 통해서 y재를 100개까지 가져왔다고 가정하자. 그럼 어떻게 되느냐.

원래 x재의 기회비용은 60/120=1/2였는데 100/120이라서 5/6이 된거임. 기회비용이 증가했다. 실제로 그려보면 삼각형이 넓어짐과 동시에 기울기 폭도 늘어나는걸 볼 수 있다.



4.교역조건 보는방법1(a:b의 비율로 교역하는 조건이라면 교역에 응할지 말지에 대한 판단)

사실 나는 x재 1개 기회비용<y 1< x재 1개 기회비용<--- 이게 교역조건이라는거 이해 못했다. 우영호 인강 여러번 봤는데도 무슨소린지 잘 모르겠더라.

그래서 난 그냥 위에서 말한것처럼 그냥 특화상품의 최대생산량으로 보기로 했다.

그럼 3번보기를 보자.


3.x재와 y재를 2:3의 비율로 교환하는 조건이라면 갑국과 을국은 모두 교역에 응할것이다.

=>아니다. 갑국은 y재 특화이므로 쟤네는 무조건 생산가능 곡선이 (0.60)에서 시작함. 

그럼 잘 생각해보자. 2:3의 비율이니까 y재 60개를 3으로 잡으면 x재 몇개가 2라는 비율을 만족할까? 40개다.(2:3=40:60)

즉 2:3의 비율로 교환하면 (0.60) (40,0)을 지나게 되는데 원래 그래프는 (0,60) (60,0)을 지났기때문에 비효울적이다. 갑은 응하지 않을것이다.


을국의 경우는 x재 특화다. 그러니 쟤네 생산가능 곡선은 (120,0)에서 시작함. 그럼 x재 120개를 2라고 잡으면 y재 180개가 3이 되는거임.

이렇게 되면 을국은 ㄱㅇㄷ인거지. 원래 y재 60개에서 180개로 늘었는데 120개 증가한거자너ㅇㅇ



5.교역조건 보는방법2(무역결과 갑국과 을국은 a:b의 비율로 교역했다는 보기에 대한 판단)


7ce480716f01f8f53cef5d67fe9f3433b18fdeea16bd783e5f4118f6f9

19년 고3 7월 20번


문제를 보면 다음과 같이 나와있다.

1.양국은 모두 이득을 봤다.

2.을국의 소비점이 교역이후 점 a로 움직였다.

일단 무지성 기회비용 구하기를 먼저 하도록 하자.



x

y

갑국

y 3/2

y 2/3

을국

y 3/4

x 4/3


자 을국이 현재 (0,90)이라는 점과 (120,0)이라는 점을 지날 수 있다. 그런데 을국은 x재에 특화했으니 우리는 (0,90)은 신경쓰지 말고 (120,0)만 신경쓰자.

다시 한 번 말하지만 특화된 상품의 최대생산량이 기준점이다. 픽스시켜놔야함.

교역이후 을국이 a점을 지났다고 한다면 직접 그어보면 된다. 실제로 y재의 소비량이 증가한걸 볼 수 있다.

그래서 교역조건은 어떻게 구하냐고? 교역후 을국의 생산가능 곡선의 기울기가 교역비율이다.

(60,60)과 (120,0)의 일차함수를 구해주면 된다. 이정도는 다들 할 수 있지?

사실 이건 다른 고인물 경붕이가 써준 글의 내용에도 있다. 


교역 문제 '그려서' 풀기 [수능경제갤 부흥 프로젝트 칼럼2] - 경제(수능) 갤러리 (dcinside.com)


저 위의 글도 보러가라. 유익함ㅇㅇ 어쨌든 중요한건 일차함수를 이용해서 교역조건을 구하는게 가능하다는 거임ㅇㅇ





사실 이거말고도 여러가지 유형이 있잖어 그 무역전후 상황을 표로만 제시하거나 아님 노동시간을 제시하거나 하는거.

그런것도 쓰고싶었는데 잠안와서 쓰기 시작한 글이 벌써 작성시간을 1시간을 넘어가고 있어서 스킵함. 근데 그런건 특별히 요령이란게 없고 그냥 하면 풀리는 것 같아서 팁이나 발견한 것도 없고.


쩄든 무역파트 공부하면서 느낀건 이 파트는 연습하다보면 자기만의 푸는 형식이 생기는 느낌이라고 해야하나 그런게 있음.

나야 뭐 맨땅에 헤딩하는 식으로 대가리랑 시간 박아가면서 혼자 푸는방법 생각하고 해서 내가 푸는 방법이나 작성한 내용이 비효율적일수도 있는데

그래도 공부하는 입장에서 "와 이런걸 찾았네" "아 이렇게 되겠구나"하면서 뭔가 느낀점이 있던것도 뿌듯했고 내가 이렇게나 시간과 정성을 박아가면서 노력했다는거 함 자랑하고 싶었음ㅇㅇ


사실 고인물 경붕이들한테는 너무 당연한 이야기라서 영양가가 없는 글일지도 모르겠음ㅇㅇ

그래도 나처럼 경제공부 시작한지 얼마안된 사람한테는 내 글이 도움이 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적어봄.

도움 안됐으면 ㅈㅅ

추천 비추천

8

고정닉 1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4107 일반 수능 경제과목으로 논술용 경제 공부하는거 시간 얼마나 걸릴거같음? [1] 율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144 1
4106 일반 220614 관련 임용기출 세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164 2
4105 일반 민준호 개념커리 어떰? [2] ㅇㅇ(180.64) 21.12.14 421 0
4103 일반 경제랑 정치와 법 질문 대성패스 [1] ㅇㅇ(220.126) 21.12.13 209 0
4102 일반 경제 스킬+N제 수요조사 [11] 다이버전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3 382 3
4101 일반 경제가 공부할 개념량이 없음 음성판정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3 163 1
4100 일반 나 경제 3컷인데 변표에서 손해임? [15] ㅇㅇ(112.168) 21.12.13 267 1
4099 일반 메가 대성 둘 다 있는데 [2] ㅇㅇ(122.34) 21.12.12 238 1
4098 일반 생윤 대체할 과목 추천 받습니다 [2] 칼리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2 199 0
4097 일반 경제 정법 할려는데 [3] ㅇㅇ(122.35) 21.12.12 313 0
4096 일반 난 병신이라서 경제 노력한만큼 안 나왓음 ㅇㅇ(39.118) 21.12.11 116 0
4094 일반 경제가 젤 좋다는데 [1] ㅇㅇ(221.145) 21.12.11 200 0
4093 일반 메가스터디 경제 1컷부터 4컷까지 적중했네 ㄷㄷ [3] ㅇㅇ(125.178) 21.12.11 293 1
4092 일반 수능 만점자는 경제 디씨갤을 봤을까?? [2] ㅇㅇ(211.36) 21.12.11 272 0
4090 일반 삼수... 삼수로 간다.. 칼리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0 88 0
4089 일반 탈경제 반수성적표 인증 [3] 설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0 320 1
4088 일반 수능 만점자 경제 응시했네 [1] ㅇㅇ(218.54) 21.12.10 290 3
4087 일반 경제 97 찍힌거 ㅈㄴ 부끄러움 [1] ㅇㅇ(175.121) 21.12.10 404 1
4086 일반 경제갤 여러분 수고 많으셨습니다 [4] ㅇㅌㅇㅌ(14.138) 21.12.10 271 5
4085 일반 이번 수능 수고하셨습니다 [7] 다이버전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0 641 10
4084 일반 만표얼마냐? [3] ㅇㅇ(106.101) 21.12.10 102 0
4083 일반 아니 ㅅㅂ 경제 컷 왜이럼 ㅇㅇ(211.206) 21.12.10 89 0
4082 일반 경제 3등급 떴다 [1] ㅇㅇ(223.39) 21.12.10 206 0
4081 일반 47 백분위90 왜이럼 씨발 ㅋㅋㅋㅋ rt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0 119 0
4080 일반 경제 피뎊방없냐.. ㅇㅇ (175.113) 21.12.09 111 0
4079 일반 경제 컷 왜이래 씨팔 ㅇㅇ(112.168) 21.12.09 151 0
4078 일반 이런 싸가지 없는 경제를 봤나 [1] ㅇㅇ(211.178) 21.12.09 200 0
4077 일반 난 표점 보는데라 괜찮은데 이거 백분위 보는 학교면 사실상 [1] ㅇㅇ(180.67) 21.12.09 182 0
4076 일반 경제 표점 1컷 66 ㅇㅇ(125.134) 21.12.09 159 0
4072 일반 이런씨발 04붕이 [6] ㅇㅇ (118.221) 21.12.09 213 0
4071 일반 이거 ㄷ이 왜 맞고 ㄹ이 왜 틀린거에요? [2] ㅇㅇ(223.38) 21.12.09 167 0
4069 일반 경제 1컷 50 [6] ㅇㅇ(221.168) 21.12.09 352 0
4068 일반 경제1컷제발47 [5] 단또단또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8 190 2
4067 일반 우영호쌤 ㅇㅇ(115.139) 21.12.08 155 0
4066 일반 ebs 수능개념 << 이거 언제 나오냐 [12] Hans-Hermann_Hopp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6 388 0
4064 일반 배경지식용으로 수능경제 공부하는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3] ㅇㅇ(123.100) 21.12.05 275 0
4063 일반 경붕이 반수 대학 추천 받음 [9] ㅇㅇ(218.234) 21.12.05 134 1
4061 일반 투표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04 108 0
4060 일반 씹제 하고싶은 고2들 봐라 [2] ㅇㅇ(122.202) 21.12.03 448 1
4059 일반 이용재 내년 경제 강의 안함? ㅇㅇ(223.33) 21.12.02 197 0
4058 일반 아 재수할 생각하니 ㅇㅇ(125.134) 21.12.02 72 0
4057 일반 고2인데 수특으로 시작해도 됨? [5] ㅇㅇ(211.36) 21.12.01 225 0
4056 일반 완자 경제 풀어본 게이 있노?? [3] ㅇㅇ(220.85) 21.12.01 237 0
4055 칼럼 생2 오류 보고 생각난 문항... [3] 세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30 427 2
4053 일반 진지하게 이번 수능 과탐떄문에 개망해서 사탐 고민중입낟 [9] 424(183.99) 21.11.30 206 1
칼럼 내가 검더텅을 돌리면서 무역에 대해 깨달은 것들(장문) [6] ㅇㅇ(58.231) 21.11.30 2130 8
4051 일반 시대인재로 알아보는 경제 하면 안 되는 이유 [2] ㅇㅇ(39.118) 21.11.29 414 3
4049 일반 선택장애 04 현역 조언좀 주십쇼 [5] ㅇㅇ(220.118) 21.11.28 220 1
4048 일반 경제 문제집 뭐 풀어야됨? [3] ㅇㅇ(182.221) 21.11.28 222 0
4046 일반 경제 정법 할건데 인강 어디가 좋음 [1] 안녕로봇(222.232) 21.11.28 23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