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1~3) | 볼텍스, MO2 기초정보 |
B (0~2) | MO2 세팅방법 (셀프) |
C (1~6) | MO2 세팅방법 (합본팩) |
D (0~4) | MO2 사용방법 (기초) |
E (1~5) | MO2 사용방법 (고급) |
[F] | <MO2+루트빌더 합본팩> |
A. 볼텍스, MO2 기초정보 (1~3)
A1. 볼텍스 / MO2 차이점


- "Vortex"와 "MO2"는 모든 게임들을 통틀어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모드 구동 프로그램임
모두 가상화 방식을 사용하고, 성능/기능 측면에서 크게 차이나지 않음
( MO2 = Mod Organizer 2 )
- 볼텍스는 깔린 모드의 바로가기를 게임폴더에 만듦
그래서 게임이 시작되면 바로가기에 연결된 모드들이 불러와짐
이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거의 없지만, 편리성 측면에선 불편함
- MO2는 게임시작하는 동시에 깔린 모드를 불러옴
이 때문에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비교적 높지만, 편리성 측면에선 좋음
- MO2가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높음에도 사용하는 이유는
편리성 측면에서 볼텍스보다 더 좋기 때문
오류도 재시작하면 해결되는 경미한 경우가 대부분
- 과거에는 MO2가 사펑에 거의 호환되지 않았기에 볼텍스를 썼지만
v2.5.2기준 사펑과 거의 완벽하게 호환되기 때문에
이제는 MO2를 쓰지 않을 이유가 없어짐
A2. "루트빌더"란 무엇? / 왜 필요함?

- "MO2"의 플러그인인 "Root Builder"은
모드폴더 바깥의 게임폴더에 간섭할 수 있도록 해줌
- 원래는 "archive, bin, mods"같은 하위폴더만 건드릴 수 있었다면
이젠 위 폴더들의 상위폴더인 "Cyberpunk2077" 게임폴더까지 건드리는게 가능해짐
- 그런데 사펑의 기반모드인 "RED4ext"와 "CET"모드는
"Cyberpunk2077" 게임폴더에 있어야지만 작동하기 때문에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선 이 "루트빌더"플러그인이 필수라는것
A3. "MO2+루트빌더" 합본팩을 올린 이유
- A1, A2의 내용과 같이 MO2를 사용할 이유는 많지만
설치 및 구동 난이도가 볼텍스에 비해선 조금 높기에
처음 접하는 경우에는, 직접 만지기 어려울 가능성이 많음
- 그래서 필수 요소인 "MO2"와 "RootBuilder"을 합친채로 올려놓은것
하지만 이걸 받아도 사용방법을 모른다면 말짱꽝이기에
MO2의 사용방법을 같이 첨부하게 되었음
B. MO2 세팅방법 (0~2)
- MO2부터 직접 하나하나 설치하고 세팅하는 내용이기에
합본팩 적용할거면 아래의 C번으로 가기
B0. 선행파일 목록
- ">"표시는 모드의 선행 프로그램임
모드 페이지의 "Requirements"란과 똑같은 내용
B1-1. MO2 설치


- "I accept the agreement" 클릭

- 경로는 최대한 빠른 디스크에다 담기 (SSD류), 그래야 MO2로딩이 빨라짐
저 경로에 폴더를 만든다음 그 안에다 MO2내용물을 넣는게 아니라
그냥 저 폴더에 MO2내용물을 왕창 쏟아내기 때문에,
내부에 폴더를 하나 더 만든다음 그 경로로 설정해주기
- 나중에 MO2를 다른 곳으로 옮기거나, 위 짤의 경로를 잘못 설정해도
아래의 [C4] 란에서 나오는 경로만 다시 일치시켜주면 되니,
잘못 설정했다고 너무 걱정하진 않아도 됨
B1-2. MO2 실행 (설정)
- 먼저 위에서 MO2를 설치한 폴더에 들가서, "Mod Organizer 2.exe" 실행하기
그러면 아래와 같은 설정창이 새로 뜰거임

- "Create a Portable Instance" 눌러주기
- 다른 포터블 MO2가 있다면, 나중에 MO2 메인 창의 "인스턴스 관리"에서 경로 재설정 해주기


- "Use profile-specific game INI files" 클릭
> 이걸로 사펑 바닐라 INI파일을, MO2 INI파일이 덮어쓰게 됨
> 다시말해, "UserSettings.ini"를 MO2에서 만지면 된다는것

- 인스턴스 위치는 앞의 MO2 경로와 동일해야 함
자동으로 설정해주긴 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직접 입력해주기

- "Do Nothing" 클릭
> 왼쪽버튼 누르면 모드의 "카테고리"란에 쓰지도 않는 값들이 들어가기에, 누르지 말기
> "Do Nothing"을 누르면 "카테고리"란을 비워둠, 나중에 원하는 카테고리를 직접 만들어 넣기

- 이렇게 나오면 성공
- 이후 경로설정은 아래의 [C] 란 참고
B2-1. 루트빌더 설치


- 받은 루트빌더 ZIP파일을 위의 "plugins"폴더에 옮기고, "여기에 풀기" 클릭

- MO2에서 "도구"버튼을 눌렀을 때, "Root Builder"가 뜨면 정상임
B2-2. 루트빌더 설정
- 위 [B2-2] 의 "도구 - Root Builder" 오른쪽의 "Root Builder"버튼을 클릭하면
루트빌더 설정창이 뜨고, 이 챕터에선 이 설정창만 만질거임
설정탭에선 "Mode / Settings / Exclusions" 만 수정하고
각 설정탭에서 설정할 내용들을 아래에 첨부함
- Mode : "Copy" 선택
> MO2실행중엔, 실제로 MO2의 "Root"폴더 속 파일들을 게임폴더로 옮기는 설정 - Settings : "Cache", "Autobuild", "Redirect" 선택
> 다르게 설정해도 되는데 이렇게 설정하는걸 추천 - Exclusions : 루트빌더가 읽지 않을 폴더들을 입력하면 됨
> 각 번호에 각각 archive / mods / tools / root 입력해주기
- 따로 저장할 필요 없이, 설정하고 창을 끄면 자동적용됨
C. MO2 합본팩 세팅 방법 (1~7)
C1. 원하는곳에 압축풀기
( SSD에 풀면 로딩이 더 빠름 )

C2. "MO2_CP2077"폴더 안의 "MO2_CP2077.exe"실행

C3. MO2 좌측상단의 "인스턴스 관리"를 눌러서
"위치, 기본폴더, 게임위치"를 본인 게임에 맞게 설정해주기
( 기본값은 스팀게임이란 전제 하에 E드라이브로 적용되어 있음 )


- 포터블
E:/Cyberpunk 2077/MO2_CP2077
E:/Cyberpunk 2077/MO2_CP2077
Cyberpunk 2077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
C4. 우측상단의 "편집하기"를 눌러서 프로그램 5개의
"실행파일, 시작경로"를 본인 게임에 맞게 설정해주기
( 기본값은 스팀게임이란 전제하에 E드라이브로 적용되어 있음 )


- Cyberpunk 2077
> REDmod가 적용되고 바로 게임시작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bin\x64\Cyberpunk2077.exe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bin\x64
--launcher-skip -modded
- Cyberpunk 2077 - skip REDmod deploy
> REDmod가 적용되지 않고 바로 게임시작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bin\x64\Cyberpunk2077.exe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bin\x64
--launcher-skip
- Manually deploy REDmod
> REDmod 모드를 잘 인식하도록 Overwrite폴더에 넣어주는 프로그램
> 게임 시작 전 미리 돌려주면 됨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tools\redmod\bin\redMod.exe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tools\redmod\bin
deploy -reportProgress -force %modlist%
- REDprelauncher
> 스팀에서 실행하는것처럼 사펑 실행기가 실행됨 (모드는 적용된채로)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REDprelauncher.exe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
- Explore Virtual Folder
> 모드가 적용되었을 때의 파일/폴더들을 열람 가능한 프로그램
E:\Cyberpunk 2077\MO2_CP2077\explorer++\Explorer++.exe
E:\Cyberpunk 2077\MO2_CP2077\explorer++
"E:\SteamLibrary\steamapps\common\Cyberpunk 2077"
C5. 넥서스 모딩 사이트 연결


- 이후 MO2 상단의 "톱니바퀴 설정창" (또는 좌측상단 - 도구 - 설정 (Ctrl+S)) 누르기
설정창 상단의 "넥서스" 클릭 - "넥서스에 연결" 클릭
이후 뜨는 창에서 "Authorize"버튼 클릭해주면 끝
- 위처럼 안되면 아래 방법 사용


- 만약 안된다면, 바로 아래의 "API 키를 수동을 입력하십시오" 클릭
다음에 뜨는 창에서 1번의 "브라우저 열기"를 눌러 창을 열고
아래쪽 "Mod Organizer 2"의 해당 코드를 복사하기
이후, 아까의 MO2 넥서스 창의 2번에 입력하고 "확인"누르기
C6. 모드 배열순서는 [우선순위] 기준으로 설정
( MO2 중앙 상단에 위치함 )

- "[우선순위]" 버튼을 눌렀을 때 "0"이 맨 위에 뜨도록 설정해주기
- 우선순위가 작을수록 먼저 로딩됨 = 나중에 로딩되는 모드에 덮어 씌워짐
>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나중에 로딩되기에, 간섭을 덜 받는 효과가 있음
C7. 우측상단의 "실행"을 누르면 모드가 적용된 상태로 게임시작됨

- 스팀으로 실행하면 모드가 안먹힘, 꼭 MO2로 실행해주기
- "Root Builder" 플러그인이 게임폴더 대부분을 인식하느라 로딩속도가 좀 느림
D. MO2 사용 방법 (0~4)
- MO2에서 보이는 순서대로 정한게 아니라
유용한것들 위주로 정리했으니 참고바람
D0. 모드/세퍼레이터 생성

- 빈 공간에서 우클 / 또는 모드나 세퍼레이터 위에서 우클 - "모든 모드"
- 모드 생성 = "빈 모드 생성"
> 속에 아무것도 들어 있지 않은 빈 모드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
- 세퍼레이터 생성 = "세퍼레이터 생성"
> 말 그대로 세퍼레이터를 만듦
> 세퍼레이터가 무엇인지는, [D2] 항목을 참고
D1-1. 모드 설치
( MO2 좌측 상단에 위치 )



- [폴더] (모드 설치) 버튼을 누르고
"모드 압축파일(ZIP, 7Z, RAR 등)" 을 선택후 "열기"클릭
> 원하는 이름을 설정하면 우선순위 기준 맨 아래에 배치됨
- 또는 MO2 왼쪽 창에서 우클 - "새 모드 설치" 버튼 클릭
- 모드 "켜기/끄기"는 모드명 왼쪽의 "체크/공란"으로 구별 가능
( 바로 윗짤의 경우에는 모든 모드가 꺼져있음 )
D1-2. 모드 값 입력

- 모드명 우측의 "버전"에 모드의 버전을 입력해주기
아래에 나오지만, "버전"은 모드 업데이트를 확인하는 곳에 유용하게 쓰임
- 모드명 우측의 "카테고리"에도 모드의 종류를 입력해주기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모드를 구별하는게 좀 더 편해짐
> 카테고리 제작 방법은 [D2] 란에 설명해둠
- 모드명 우측의 "메모"에도 모드의 설명을 입력해주기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모드가 많아지면 모드명 만으로는 구별이 힘들기에 써주는걸 추천
D1-3. 모드 업데이트

- 모드를 바로 업데이트하는건 불가능하지만, 내 버전이 구버전인지 확인은 가능함
( 1시간에 최대 500번, 하루에 최대 2만번 확인 가능함, 이건 넥서스에서 일부러 제한한것 )
- 우클 - "업데이트 강제 활성화" 클릭
> 별표+빨간색 = 구버전, 업뎃필요
> 경고+빨강색 = 현버전보다 높게 표시됨
+ 이 경우는 모드 제작자가 버전을 잘못 적었을 가능성이 높음
- 위 짤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해석 가능함
> 윗모드 : 1.1.7버전은 구버전이니, 업뎃요망
> 아랫모드 : 1.1버전은 현버전보다 높은 버전임, 현버전으로 수정요망
D1-4. 모드 중복 확인하기

- [B6] 내용처럼, 우선순위가 높으면, 낮은 모드의 파일을 덮어쓰는 경우가 발생함
이런 경우, MO2에서는 무슨 모드가 덮어씌워졌는지, 덮어썼는지를 알려줌
- 모드명 우측의 "중복(충돌)"란에서 "번개"표시가 있으면 영향을 받고, 공란이면 없는것
> 번개+ : 우선순위가 낮은 모드의 파일을 덮어쓰는중
> 번개- : 우선순위가 높은 모드의 파일에 덮어씌워짐
> 회색번개 : 우선순위가 높은 모드의 파일에 완전히 덮어씌워짐
( 이 경우에 해당 모드는 꺼져있다 봐도 무방함 )

- 무슨 모드가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받는지 알고 싶으면
모드 우클 - "모드 정보 보기" 클릭 (또는 모드 더블클릭)
모드 정보창에서 "중복(충돌)"카테고리를 눌러 확인 가능
D2. 세퍼레이터 활용
( MO2 왼쪽창에 위치 )

- "세퍼레이터"는 모드를 모아주는 역할을 함, 편리성 측면에서 최고
- 모드/세퍼레이터 위에서 우클 - "위에 세퍼레이터 생성" 클릭
또는 빈 곳에서 우클 - "세퍼레이터 생성" 클릭으로 생성 가능
- "세퍼레이터" 아래에 모드를 두는 것으로
그 모드는 해당 "세퍼레이터"에 들어간걸로 여겨짐
- "세퍼레이터" 왼쪽의 "화살표"를 눌러서 접기/펴기 가능
"세퍼레이터" 위에서 우클 - "모두 접기" / "모두 확장" / "선택한 항목 외에 모두 접기" 선택가능
D3-1. 게임폴더, 저장폴더, 모드폴더 등은 [폴더] 버튼을 클릭
( MO2 중앙 상단에 위치함 )

- 게임 : Cyberpunk2077 메인 게임폴더
- MyGames : 바닐라 게임세팅 폴더
> 아래의 INI에 덮어씌워지기 때문에 무시해도 됨 - INI : 게임세팅 파일 / 모드리스트 파일 / 프로필 파일 존재
> 바닐라 게임세팅을 덮어씌우기 때문에, 게임세팅을 조정할거면 여기서 하기
> MO2 "프로필 폴더"와 동일
- 인스턴스 : MO2 메인 폴더
- 모드 : MO2에 추가한 모드들 존재
- 프로필 : 프로필 파일 존재
> MO2 "INI 폴더"와 동일
- 다운로드 : MO2를 통해 넥서스에서 받은 파일들 존재
> 쓸일 없음 - MO2 설치 : MO2 메인폴더
- MO2 플러그인 : MO2의 "plugins"폴더, 루트빌더가 여기에 있음
- MO2 Stylesheets : MO2의 테마(스타일)파일이 있는 폴더
- MO2 Log : MO2 실행시마다 출력되는 로그가 있는 폴더
D3-2. 모드목록 저장은 "백업 생성" / 복구는 "백업 복구"클릭
( MO2 중앙 상단에 위치함 )


- 백업 : MO2 왼쪽창 모드들의 배열 및 켜짐/꺼짐 상태가 저장됨
> [C1-1]의 "프로필 폴더"의 "modlist.txt.(저장시간)" 파일의 형태로 저장됨 - 복구 : 백업 파일들을 불러옴, 복구창에서 원하는 백업 파일을 선택 가능
D3-3. 모드 검색은 [필터] 에서 검색
( MO2 중앙 하단에 위치함 )

D3-4. 정렬 순서는 왼쪽창의 각 정렬바를 눌러서 변경
( MO2 중앙 상단에 위치함 )

- 보통 모드를 정리할 때 가끔 사용하는 방법이고
평소에는 위의 B6번처럼 [우선순위] 대로 정렬해놓으면 됨
E. MO2 고급 사용방법 (1~4)
- TMI 내용들이 많고, 사진보단 글이 더 많이 때문에 정독해주기
E1. Overwrite 폴더

- Overwrite폴더는 MO2 메인 창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모드로 나타나는데
이는 실제로 그 어떤 모드들보다 Overwrite폴더가 우선순위가 높기 때문임
가상화 되어 있을때 모드파일이 Overwrite의 파일과 겹친다면,
게임은 그 파일 한정 Overwrite의 파일을 읽지, 모드파일을 읽지 않음
- 인게임에서 CET나 Mod Settings같은 모드설정을 건드리게 되면
게임 모드폴더에 모드 설정파일을 추가하거나, 이미 존재하면 기존 파일을 덮어쓰는데
MO2로 실행했을 때 기준, 모드의 모드폴더에 기존 파일이 있다면, 덮어쓰고 끝이지만
만약 그 모드의 모드폴더에 파일이 없다?? >> 바로 Overwrite폴더의 모드폴더에 추가해버림
그렇기 떄문에 대부분의 모드 설정파일들이 overwrite폴더에 들어있는것
- 여기에 overwrite는 자폭버튼까지 달려있는데
MO2 메인 창에서 overwrite폴더를 우클하면 떡하니 "Overwrite 비우기" 버튼이 있다
누르는 순간 지금까지 설정했던 모든 모드 설정파일들이 흔적도 없이 사라짐
이를 막기 위해서, 우선순위 최상위 (맨 아래) 에 모드폴더를 만들고,
Overwrite폴더의 내용물을 여기로 싹 옮겨주는걸 추천함, 주기적으로
E2. 모드 카테고리 생성 방법
- 카테고리는 MO2 메인 창에서는 수정이 불가능하고, 설정창에서 수정 가능함

- MO2 상단의 톱니바퀴 설정창 열기 (또는 좌측상단 - 도구 - 설정 (Ctrl+S))
> 일반 - 맨 아래의 "모드 카테고리 설정하기" 클릭
> 카테고리 창의 좌측에 우클 - "카테고리 추가"
> "카테고리 이름"에 원하는 이름 입력
> 창에서 "확인"누른 후 MO2 메인 창으로 나오기

- 이후, 모드 우클 - "카테고리 변경"버튼 누르면
앞의 설정창에서 제작한 "카테고리"들을 적용할 수 있음
E3. MO2 테마 변경방법

- "설정 - 테마 - 스타일"에서 변경 가능
기본값은 "None", 나는 기본으로 주는 "Paper Dark"사용중
완전히 적용시킬려면 MO2를 재시작해줘야 한다는 점 참고
E4-1. 다중 MO2 동시실행

- "ModOrganizer2.exe" 의 바로가기 파일을 만든 다음
바로가기의 "속성 - 바로가기 - 대상" 의 경로 뒤에다 " --multiple" 을 입력해주기
이후 MO2 실행시, 바로가기로 열면 한번에 여러 MO2를 실행 가능함
- 버전이 맞지 않는 MO2를 동시실행하면 ex) v2.5.2, v2.0 동시실행
한무 응답없음 뜨니, 동일버전 (왠만하면 최신버전) 끼리 동시실행 해주기
E4-2. 바로가기 아이콘 변경

- 위의 [E4-1] 란의 짤에서, 아래의 "아이콘 변경" 누르고, 원하는 ico파일을 적용하기
합본팩에는 위 아이콘이 들어있어서 바로 적용 가능함 - MO2 프로그램 자체에 넣는 방법도 있기에, 쉽게 적용하고 싶은 경우만 참고
E5. MO2 스플래시 이미지 설정
- 스플래시 이미지란, MO2가 켜질때 잠깐 나오는 이미지를 말함
별것 아니지만, 꾸미기를 좋아한다면 만져볼 가치가 있음
- 방법도 간단한게, 본인이 원하는 이미지의 이름을 "SPLASH.png"로 변경하고
MO2 메인 폴더에다 집어넣으면 바로 적용됨
( 아래 합본팩은 미리 스플래시 이미지를 넣어놓은 상태 )
F. MO2+루트빌더 합본팩


잘켜짐
볼텍스 이용자들에게 바치는 MO2+루트빌더 합본
어려울거 없이 그냥 이거 받고 모드채워두면 끝
UI는 아크팩 기준에 맞게 조정함
(+왜올림?)
A~E의 MO2 사용방법은 생각나는대로 다 써놨지만
잘못 쓰거나 빠트린 부분이 있을 수 있으니
그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길 바람
구성)
- Mod Organizer 2 (v2.5.2)
- Root Builder (v5.0.5)
선행)
- .NET Framework 4.8
- Microsoft Visual C++ Redist 14.40.33810+
> ( 금지단어때문에 위의 MO2링크 들어가서 받기 )
- Python 3+
[배포링크]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