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투명은 어디에서 올까요?앱에서 작성

스텔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0.20 08:27:26
조회 1030 추천 29 댓글 25
														

0e9ff402c68569ff23ef8fe6329c7065d35719336c5714bcac228a607995f96861093babf72342830c1e21597dbee8569c45ea0a05df


투명하다는 것은 기본적으로 윤기나는 물과
그 밑의 그림자, 물결의 질감, 물 아래의 안쪽이 보이는 느낌
요런 것들이 구성요소일 텐데용
거기에 탁하지 않음이 필요하겠슴니다

이 질감의 구성요소를 분해해서 가져와보면
- 도드라지는 텍스쳐
- 어두운 곳부터 아주 밝은 곳까지 꽉 찬 히스토그램
- 청명한 느낌의 컬러 (아주살짝높은채도)
- 초점이 맞지 않는 곳은 배경흐림이 부드러워야 함

75e9f670c0f46ef7239d85e4309c70690834bcbda318bc1a5e04ab56ad0aafa8e4a255b8f218e062b9b6b77689cbcbf5e3f3b9f3f1

이렇게요.
유리잔을 보시면 유리잔의 형체가 뚜렷하게 보일 만큼
유리 텍스쳐가 도드라지고
빛이 투과되는 모습이 딱 보이고
하이라이트가 확실한데
어두운 부분은 확실히 어두워잉
커브는 대비가 높긴 하지만 선형적으로 떨어져용

하지만 얜 진짜 투명한 액체니까
액체가 없는 것중 같은 원칙을 적용해보아용

75e88202c7f468f0239df2ed4f9c70653c94bbe781890372160e76cf9a3ee5b7c0bbf12a7fde174c13e2257056fca2e47ebdf91539

같은 원칙.
강한 빛, 꽉꽉채운 히스토그램, 도드라지는 텍스쳐
밑은 적용입니다

7bed8971b7f46cf123e78291429c701c4eb88a1659536b93df08bf2878c50557ad8537e9d37914deaab8cf9dcb680dbac8dfaeaed5

0f9ef503c78b6ffe239df7e6449c701eb9ee999c9835569b901fc0f575b6609690000e199895162f56070f804f35d1759a65ccf920

74ee8600c6f66af623edf2e3459c706a66581ce8dd356fc1e44f362c72a70221692720dc0824654d07ca100e3a61c1189361db303a

09ed8703b7806a8023e682e6469c706c0492c9c1dbfad6d0a092df2abfc49495a3d8a19f19e275b70ff5fd6834227f880e53aa44e7

0ceff47fb4f01df023e684e3439c706de9e700e49adfb775ee66eedeea133fa9520240629c7f18ebb60e33c9322ba9e928259761dc

74988403bcf66b8423e8f4e2339c706a8bb904d64e477b030f7e899b6be56bf6e3d568b3bbb93a726d85662da23a73d18b468d42dc

7eeff103c7826df623e88fe6479c706c2727e15b923682a82ea2ebdf7075517f6627eb3f3e649acf989126e368b5ccb1004dacb162

0feff671b3836bff23e88794479c7069a90284e7da52e6d73cebad3bf09aeaa47aded82963f2f6b7f1f880873a696b9b01c02271f0

79ed8675c6846ef423e8f3ed429c7065e14c941be55117f08599e8c8051678867c44d460a155de6bb9887a188797903f2b02f58e76

0fe8f102b5871bfe23ee81e14e9c706a83820693cf17ff5aa0f48103d8d672b04b8861c2131437c1dc35a081337ed867f7216f7e1c

74eef670c180608423ec8397339c7018740ac50bf10f91ab32162098283afc2626b5da253a0678898ddcdd4467968312763afc44f2

08ea8470c68a1c8023ec80904e9c701927612258af394be1ccef33919217af8d91e21cda413175df84dd9e6b9a0ceb8a53a3840a0b

모두 같은 원칙.
하이라이트, 대비, 채도, 암부

배경흐림을 사용하지 않으면?

7e988372b4836f8523998790429c706bf537a01ab5e5204c00955732101a14b6059bc0a6143c0005b6dd73625b8fdedb5de42616d4

7aed827fbdf46efe23eef793379c706d1ad5231ed262e8b505e425c1a878471001eabe2820e22b5290a736146a94d7345b2c0d950c

일케.
즉 더 중요한 것은 대비감과 텍스쳐의 구성이다.
컬러나 배경흐림 판형 등은 부차적이고
애초에 여기 사진의 절반은 크롭이다

그럼안뇽~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9

고정닉 19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글쓴이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