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강좌] [강좌] 사진가를 위한 모니터 고르는 TIP - (상)

A9M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10.10 21:04:23
조회 7978 추천 19 댓글 29
														

읽기 전 주의

본 게시물은 사진가를 위한 작업용 모니터를 고르는 기준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정 금액/등급 이상의 제품들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예산과 용도(특히 게임을 겸하려는 사람)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단 선정기준은 총 7개임.

1. 색역

2. 패널

3. 크기

4. 해상도

5. 밝기

6. 하드웨어 캘리

7. 비트심도


각 영역마다 세줄요약 있으니 귀찮으면 그것만 읽으셈. 일단 ㄱㄱ




1. 색역

sRGB / AdobeRGB / DCI-P3


사진작업용 모니터는 틀어지지 않은 정확한 컬러를 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어차피 다들 서로 다른 색으로 보는데 무슨 의미가 있냐? 무용론을 펼치는 사람도 있는데,


프로덕션에서 정확한 색을 보고 작업하는 것은 감상자가 어떻냐와는 상관없는 개념이다.


색역은 업계 표준캘리브레이션이라는 정밀한 툴이 있고,

프로덕션 단계에서 최대한 표준 색에 맞춰 작업해야 감상기기에 따른 편차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프로 뿐만 아니라 아마추어 영역에도 해당되는 이야기이고,

초보도 약 20만원 정도에 컬러리미터를 구매하여 Displaycal이라는 우수한 무료 소프트웨어를 통해 캘리브레이션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힘들게 raw 보정값이랑 나만의 색보정 프리셋 만들었는데 색이 틀어진 모니터에서 작업했으면 잘못된 기준치를 갖게 되는거잖아?



일단 sRGB가 표준이자 최소요구치라고 보면 된다.


sRGB가 셋 중 가장 색역이 좁지만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sRGB는 사람이 눈으로 인식 가능한 색상의 33.3%밖에 재현할 수 없다.

기술 발전으로 sRGBUHD TV에서는 더 이상 쓰이지 않을 예정이며, 현재는 HDR 등을 고려해 DCI-P3을 목표로 제조되고 있다.


sRGB 100%를 넘어서면 광색역이라고 하며, AdobeRGBDCI-P3가 그렇다.

sRGB보다 훨씬 넓은 색역을 커버한다.


viewimage.php?id=29b4d72ff1d334b667bcc2a004d4&no=24b0d769e1d32ca73fec87fa11d0283168a8dd5d0373ee31e5f23e84e5228775e51cf09e370c043d11583405bc45bd14e36da9c3c01372f24736de0f7b094f88efd43a319180b9d2069a


AdobeRGB는 주로 사진/인쇄에서 쓰이는 색역이고,


DCI-P3는 주로 영상에서 쓰이는 색역이다.


디붕이들이 쓰는 디지털 카메라에도 sRGBAdobeRGB 중 선택하는 메뉴가 있을 것이다.



애플은 DCI-P3 색역을 디스플레이 환경에 맞게 수정한 Display P3이라는 파생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애플이 차세대 광색역 프로파일로 적극적으로 밀어주는 색영역인 만큼,

아이폰 7 이후로는 기본 사진앱으로 촬영한 모든 사진들은 P3 색영역을 기본 색영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세줄요약

1. sRGB 100%가 기본이자 최소요구치이다.

2. 돈 들여서 광색역 가면 좋다. 광색역은 커버리지가 95% 이상인 제품으로 고르자

3. 사진은 아직 AdobeRGB가 표준이지만 플래그쉽 스마트폰이나 애플 기기들을 보면 P3로 많이 가는 추세이다.

둘다 엄청 큰 색역이고, 둘중 하나만 100% 지원해도, 나머지 하나도 거의 커버하기 때문에 커버리지는 높을수록 좋다.






2. 패널

IPS / VA

보통 두 가지 패널이 있는데, 둘 중에 어느 하나가 절대우위인 것은 아니나,

컬러가 중요한 작업에서 IPS는 필수이다.


작업용 모니터들의 거의다 IPS패널을 쓰는 이유는 IPS의 훌륭한 색정확도와 시야각 때문이다.


시야각이 좋지 않은 모니터는 각도에 따라 밝기 뿐만 아니라 색이 틀어져 보인다.


https://gall.dcinside.com/m/mnt/76041 TN,VA 패널 기술자료 (한글번역)

https://gall.dcinside.com/m/mnt/76051 IPS패널 기술자료 (한글번역)


TN패널은 시야각이 매우 심각한 수준이고, VA패널은 심각한 수준은 아니나

최신 모델들도 여전히 IPS에 비해 색작업에 이상적이지 않다.


VA에서 10비트 패널의 부재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다나와에서 VA+10비트로 검색을 해보면 모니터가 3대밖에 나오지 않는다.




IPS 장점 : 쨍한화면, 광시야각(가장 우수)

IPS 단점 : 낮은 명암비 (보통 1000:1), 빛샘


VA장점 : 높은 명암비 (보통 3000:1), 광시야각

VA단점 : 잔상 , IPS대비 쨍하지 않은 화면.



세줄요약

1. 작업용으론 IPS가 가장 좋고 가장 제품이 많다.

2. VA도 괜찮다. IPS를 안쓴다고 큰일나는건 아니다. 그리고 보통 VA가 더 싸다. 예산 안에서 소비해라.

3. 그래도

TN패널은 무조건 걸러라.

TN패널은 무조건 걸러라.

TN패널은 무조건 걸러라.

18







3. 크기(인치)

27인치 / 32인치


24인치도 있긴 한데 작업용 메인 모니터로 쓰기엔 답답한 크기다.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해 책상에 앉아서 직접 보면 느낌이 올 것이다.


그리고 24인치는 해상도가 FHD 말곤 애매해지는데(이유는 밑에 설명), 요즘 시대에 작업용으로 FHD를 가기는 좀 많이 아쉽다.


(그래도 색역이 가장 우선이므로 무리해서 27/32인치로 가느라 색역을 포기하진 말자.)


모니터 크기는 해상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픽셀피치를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viewimage.php?id=29b4d72ff1d334b667bcc2a004d4&no=24b0d769e1d32ca73fec87fa11d0283168a8dd5d0373ee31e5f23e84e5228775e51cf09e370c043d11583405bc45bd14e36da9c3c01372f24736de0f7b091ad5389b06bee3edb8b7f397

<모니터 크기(인치)별 픽셀피치 표>



FHD 32인치를 가지 마라는 이유와, QHD27인치 이상으로 가도 적당한(=문제없는) 이유가 보인다.


FHD24인치를 넘어가면 화질이 떨어지는 것이 눈으로 체감된다.


반면 QHD32인치를 쓰더라도 FHD 24인치와 같은 픽셀피치를 유지하고, UHD는 말할 것도 없다.



작업환경마다 다르겠지만 여유가 된다면 UHD(4K)는 이왕 갈거면 32인치를 추천하는데,


UHD같은 고해상도에서는 32인치로 가더라도 픽셀피치가 매우 작고(화면도 크고 화질도 좋고),

27인치보단 32인치에서 작업공간 배분이 여유로우며,


혹시나 동시에 4K게임을 즐긴다면 32인치정도 가줘야 4K+32인치의 광활한 느낌과 뽕맛을 제대로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 더블모니터를 고려중이라면 27인치 2대도 괜찮은 선택이다

- 이미 27GN950이나 오디세이 G9같은 모니터를 갖고 있다면 게임은 그걸로만 하면 된다.



세줄요약

1. FHD는 산다면 27인치 이하

2. 4K27인치 이상 (32인치 추천)

3. 근데 색역좋고 4K 32인치 IPS인 작업모니터는 존나 비싸다.






4. 해상도

QHD / 4K(UHD)

(FHD는 위에서 말한 이유로 제외하겠음.)


해상도는 무조건 높을수록 좋다. 단지 문제는 비싸다는 것뿐이다.

화질(선명도)를 중요하게 여긴다면 4K 해상도를 기준으로 모니터 크기를 결정해라.


4K 27인치도 금액이 감당이 안 된다면 QHD로 내리는 수 밖에 없다.


4K 32인치 -> 4K 27인치 -> QHD 32인치 -> QHD 27인치 순으로 낮추면 된다.

반복해서 말하지만 항상 색역이 가장 우선이어야 한다.


viewimage.php?id=29b4d72ff1d334b667bcc2a004d4&no=24b0d769e1d32ca73fec87fa11d0283168a8dd5d0373ee31e5f23e84e5228775e51cf09e370c043d11583405bc45bd14e300c7c2c41772f74b3bdb0f15601fd3ade037f33fded6379a


세줄요약

1. 해상도는 높을수록 무조건 좋다

2. 서두에서 말했듯이 사람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아래 링크에서 모니터 크기와 해상도 계산을 해보자.

https://quasarzone.com/bbs/qb_tip/views/10133

3. https://quasarzone.com/bbs/qb_tip/views/20899?page=5






5. 밝기

cd(칸델라) = nit(니트)

모니터 스펙에 보면 250cd , 400cd 이런식으로 적힌 게 있는데, 이게 모니터의 (최대)밝기이다.


보통 낮은건 250cd에서 높은건 400cd이상으로 다양하게 있는데,


sRGB가 사용하는 EOTF에 의하여 구현 가능한 최대 밝기도 100 nits가 한계라는 점도 단점으로 꼽힌다.

Adobe RGB가 사용하는 EOTF에 의하여 구현 가능한 최대 밝기는 160 nits이다.


사실상 160cd 이상이면 작업하는것 자체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모니터의 밝기는 주변광보다는 밝아야 한다.


한밤중에 이불을 뒤집어쓰고 폰 밝기를 100%로 두면 눈이 부셔서 도저히 화면을 쳐다볼수가 없다.


그런데 태양 정오(12시 30분)에 밖에서 폰을 보면 100% 밝기여도 화면이 어두워 잘 보이지 않는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250cd의 모니터를 사서 어둡다고 느끼는 이유는

밝은 환경에서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250cd가 '어두운 밝기'가 되기 때문이다.


작업자가 주변 조도를 160cd로 맞추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면 베스트지만, 우리는 보통 그렇지 않다.

암실에서 작업하는게 아닌 이상 주변광의 영향을 많이 받고,


모니터가 160cd, 250cd의 밝기를 내줘도 주변이 그것보다 밝다면 위의 예시처럼 화면이 어두워 불편을 느낄 것이다.


이 글을 읽는 대다수는 100% 온전히 모니터를 작업용으로만 쓰진 않을테고

사람마다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이왕이면 높은 밝기의 모니터를 사는 것이 좋다.


그리고 무조건 스펙만 보고 높은걸 고르기보단, 실측명암비 실측치를 보고 사야한다.


델타 E값은 얼마인지, 균일도는 어떠한지, 고려해야 할 게 많고


이 모든걸 갖춘게 밝기 높고 비싼 고급형 모니터이다.

39



세줄요약

1. 모니터의 밝기는 주변광보다는 밝아야 한다. 모니터 밝기는 주변광이랑 맞아야 한다.

2. 스펙이 낮은 모니터는 주변이 밝은 상황에서 어둡게 느껴져 불편할 수 있다.

3. 스펙 뿐만 아니라 실측치도 봐야 하며, 밝기 높고 비싼건 무조건 좋다


https://gall.dcinside.com/m/digitalpicture/342037 <- (하)편 링크

추천 비추천

19

고정닉 7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3009 설문 논란을 반복해서 진정성이 의심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5/12 - -
1502743 공지 이번 릴레이 주제는 [홀로] 입니다 [6] ___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5.05.11 474 5
1303504 공지 오늘부터 유동 거래탭 판매글 금지 [2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8.20 5140 29
1367176 공지 거래글 작성 양식 / 거래 관련 규정 [6] SON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1.12 7349 10
669997 공지 뉴비를 위한 장비 질문글 양식 [17] A9M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2.08 69829 70
371362 공지 📊 [강좌/정보글 모음] 📊 [69] A9M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1.24 136123 97
1358021 공지 디지털 사진 갤러리 통합공지 [7] SON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0401 10
1147063 공지 파딱/주딱 호출기 [9] 벵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2 22822 13
104110 공지 [디동여지도] 디사갤 엄선 추천출사지 [35] 커여운여고생눈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9.30 154813 116
1503743 일반 소니 방진방적 근들갑임 [2] 데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5 52 0
1503742 일반 낼 루믹스 발표때 렌즈 별거 없으면 스구 팔아야지 디붕이(211.235) 13:33 26 0
1503741 일반 탐론 70180g2(탐령2) vs 소니 70200g2(애기유령2) 차트 [2] 아랄랄랄랄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3 16 0
1503740 일반 라이카 뷰파로보면 이런느낌쓰 [2] 종이멘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9 62 0
1503739 ❔질문 입문 디분이 카메라 추천 받아보려 왔습니다..! [5] 디붕이(147.47) 13:26 56 0
1503738 일반 소니를 이렇게 쓰네 ㄷ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3 153 0
1503737 일반 따릉이 타고 사진 찍으러 다니는 사람 있음? [4] 롱monk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2 43 0
1503736 사진 잠깐 산책 흔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0 31 0
1503735 ❔질문 흙습함 사용할 때 습도 조절 방법? [3] 디붕이(211.235) 13:18 47 0
1503734 일반 젯오공투 그립에 새끼손가락 노는데 마포도 비슷하겠지 [7] Rapha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7 54 0
1503733 ❔질문 빌트 50/2 뭐사야됨? [1] Del_Mont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4 49 0
1503732 ❔질문 오막삼+신계륵 -> a7c+35150으로 넘어가려는데 [1] 디붕이(14.36) 13:10 26 0
1503731 일반 라이카카카카카 [3] 갬성몰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7 104 5
1503730 일반 알리에 파는 조명 꾸짐? [4] 니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6 79 0
1503729 일반 라이카 RF 바디의 특징? [1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6 173 0
1503728 ❔질문 알리 사이언버드 삼각대 가격 확인 [2] 디붕이(222.107) 13:05 84 0
1503727 일반 알리세일하는데 뭐 살거없나 [3] ㅇㅇ(221.166) 13:04 77 0
1503726 일반 z30 은 추천하지않았으면 [8] 디붕이(183.98) 13:03 113 3
1503725 일반 2070g vs 28200 갑자기 급 고민된다 [3] innnnn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3 52 0
1503724 일반 후지는 줌딱이 만들생각 없나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 64 0
1503723 릴레이 [홀로] 내면 노모크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 22 1
1503722 일반 캐논 이새끼들 일 안하네 디붕이(211.235) 13:00 63 0
1503721 일반 중국산 월드워런티가 뭐야? [4] 똬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9 98 0
1503720 일반 라이카 수동초점 쓰면 똑같은거임? [5] 디붕이(106.101) 12:59 78 0
1503719 일반 매크로 렌즈 재밌음?? [3] ㅇㅇ(118.235) 12:58 51 0
1503718 일반 파나야 낼 렌즈하나만 더 공개해주면안될까?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2 81 0
1503717 일반 크롭모드 센서화소 1/2.25 마즘? [2] 디붕이(119.193) 12:52 70 0
1503716 ❔질문 a7c2에 시그마 2870 샀는데 단렌즈는 뭐살까요? [5] 디붕이(118.235) 12:50 65 0
1503715 일반 Zfc 이쁜데 [3] 미유조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0 93 0
1503714 일반 [고기] 제 3자 시점 의견 구해봄 [2] 사누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50 64 0
1503713 일반 spro 렌즈는 좀 다름??? ㅇㅇ(211.235) 12:45 58 0
1503712 사진 1940년대 렌즈를 2020년대 카메라에 연결해봤습니다. [16] Lovey-Dove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3 349 15
1503711 ❔질문 입문 뉴비 렌즈구성을 어떻게 가져가야할까요? [1] 디붕이(211.234) 12:43 53 0
1503710 일반 마포들고 산책 [1] 21.64m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3 63 2
1503708 일반 라이카 사진의 느낌때문에 쓰는 사람은 블라인드 테스트 통과함? [11] 디붕이(125.128) 12:43 128 0
1503707 일반 카메라 사고 건강해짐 [4] You&m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3 99 1
1503706 일반 여자 왤케 어렵냐 [7] ㅇㅇ(211.234) 12:41 167 0
1503705 일반 달찍하고 싶은데 댓글보니까 깨달음 [2] 디붕이(58.149) 12:40 48 0
1503704 일반 1치킨값에 브레송이 될 수 있는 아이템 [2] M4_C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6 148 1
1503703 일반 으어 해장 드가자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4 38 0
1503702 일반 도쿄 카메라 구경할데 추천좀 [2] 서울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34 85 0
1503701 일반 x-t3 색상 둘중 뭐가 더 이쁘냐? [7] 디붕이(116.44) 12:32 82 0
뉴스 ‘귀궁’ 육성재, 천년 만의 첫사랑 김지연에 고백…직진 시작 디시트렌드 05.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