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기수와 서수, 그리고 uno앱에서 작성

Reminiscenc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2.02 19:45:25
조회 351 추천 2 댓글 1
														

기수(cardinal number)와 서수(ordinal number)

기수는 영어로는 one, two, ... 이며, 서수는 first, second, ...이다
cardinal, 즉 '기'는 기준이 되는, 핵심적인 것이고
ordinal 즉 '서'는 순서를 의미한다.
그래서 서수를 순서수라고도 한다


이탈리아어에서
기수는 형용사나 명사로 쓰이며 invariable adjectives/nouns다

0 zero
1 uno (후에 관사와 함께 비교하여 중요한 설명을 하겠다.)
2 due
3 tre
4 quattro
5 cinque
6 sei
7 sette
8 otto
9 nove

10 dieci
11 undici = un + dici
12 dodici = do + dici
13 tredici = tre + dici
14 quattordici = quattor + dici (-ro- 가 아닌 -or- 임에 유의)
15 quindici = quin + dici (cinque에서 quin임에 유의)
16 sedici = se + dici
17 diciassette = dici + a + s + sette
(dici가 앞임에 유의, a와 s의 추가는 발음때문)
18 diciotto = dici + otto
(dici가 앞)
19 diciannove = dici + a + n + nove
(17과 같다)

10 dieci
20 venti
30 trenta = tre + nta
40 quaranta = quar + a + nta
(여기서부터 추가되는 a는 발음때문, 아래도 동일)
50 cinquanta = cinqu + a + nta
60 sessanta = se + ss + a + nta (ss에 유의)
70 settanta = sett + a + nta
80 ottanta = ott + a + nta
90 novanta = nov + a + nta

우선 여기까지 있는 윗단어들은 그냥 바로바로 튀어나와야 한다.
그래야 다른 숫자를 만들수 있다..
(영어보다는 좀 힘들수도 있다.. 화이팅..)


이제 다른 기수를 만들어보자.(21 - 99, 두 자릿수 숫자)
여기에는 규칙이 있다.

25 = 20 + 5 = venti + cinque = venticinque이다

e.g.
47 = quarantasette
69 = sessantanove
74 = settantaquattro

여기서 중요한건,
기수를 만드는 규칙에 있어 예외가 있다는 것이다.
숫자 1과 8은 모음으로 시작한다.
즉, 10의 배수들(20, 30, ... 90 - 이들은 전부 모음으로 끝난다!)은
숫자 1과 8이 뒤에 더해지면, 모음이 2개가 이어지게된다.
따라서, 10의 배수들의 마지막 모음은 생략한다!
(적지도 않고 발음도 하지않는다)

21 = 20 + 1 = venti + uno -> vent + uno = ventuno

e.g.
38 = trentotto
61 = sessantuno

이제 더 큰 숫자를 만들어보자.

100 cento
200 duecento = due + cento
300 trecento = tre + cento
400 quattrocento = quattro + cento
500 cinquecento = cinque + cento
600 seicento = sei + cento
700 settecento = sette + cento
800 ottocento = otto + cento
900 novecento = nove + cento

이제 이를 2자릿수 숫자와 더해보자.

154 = 100 + 50  + 4 = cento + cinquanta + quattro
= centocinquantaquattro로 이제는 많이 길어졌다...

e.g.
325 = trecentoventicinque
798 = settecentonovantotto (8에 유의하라!)

cf. 102 = centodue다 centozerodue는 아니다.(혹시나 해서..)

그러나...
여기서 한가지 골때리는 점이 있는데,

"앞서 설명한 모음생략규칙이 3자릿수부터는 80을 제외하고는
생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가끔 80도 생략하지 않긴 한다)"

이게 무슨소리인가면,
지금까지 우리가 본 "모음으로 시작하는 숫자"는
1,8,11 그리고 80임을 기억하고 아래를 보라.

예시로 이해하는게 더 빠를것이다.

101 = centouno (centuno가 아니다)
108 = centootto
111 = centoundici

그러나 180 = centottanta 가 된다!
188은 centottantotto로
80과 8 사이에서는 생략이 일어남에 유의하라!
88은 ottantotto다!

cf.
만일 이게 어렵다면,
centocinquanta = cento e cinquanta 처럼 e를 이용해도 된다.
180은 cento e ottanta가 된다.


마지막으로 4 자릿수를 보자.

1000 mille
cf. mille지 mile이 아님에 유의하라
mile[mail]은 이탈리아어로 miglio다 (1마일 = 약 1.6km)
2000 duemila = due + mila (mila임에 유의)
3000 tremila = tre + mila
4000 quattromila = quattro + mila
5000 cinquemila = cinque + mila
6000 seimila = sei + mila
7000 settemila = sette + mila
8000 ottomila = otto + mila
9000 novemila = nove + mila

1945 = 1000 + 900 + 40 + 5 =
millenovecentoquarantacinque(mille임에 유의 mila아님!)

e.g.
2018 = duemiladiciotto
5035 = cinquemilatrentacinque


또한 마찬가지로,
1001 = milleuno
1011 = milleundici
1008 = milleotto

그리고, 여기서 80의 경우
1080 = milleottanta
1180 = millecentottanta
1188 = millecentottantotto
1888 = milleottocentottantotto

80이 1080에서는 o가 생략되지않는데,
이게 아마 oo가 아니고 eo라서 그런거 같다.

아무튼 80만 조심하자!


외에는, 영어처럼

10,000 = ten thousand 하듯

10,000 = diecimila다
20,000 = ventimila고

그리고,

백만은 un milione (one millione)
cf.
milione는 masculine noun 즉 남성명사다.
따라서 uno -> un으로 바꿔야 한다!
이부분은 마지막에서 따로 설명하겠다.

이백만은 due milioni (two millione)로
앞선 단어들이 접사로 만들어진 기수로, 이는 invariable 했다.
그러나 여기서는 어미를 바꿔야 함에 유의하라
(띄어쓰기도 유의하라!)
즉, 영어로 two million이라해서 due milione가 아니다!

마찬가지로,

one billion = un miliardo
two billion = due miliardi

cf.
11,111 = undicimilacentoundici
111,111 = centoundicimilacentoundici


이제 서수를 보자
서수는 형용사나 명사로 쓰이며, variable adjectives/nouns다

first(1st) primo
second(2nd) secondo
thrid(3rd) terzo
fourth(4th) quarto
fifth(5th) quinto
sixth(6th) sesto
seventh(7th) settimo
eighth(8th) ottavo
ninth(9th) nono
tenth(10th) decimo

공통점으로는 -o로 끝난다.

11번째 서수부터는 접미사 -esimo를 어근(root)에 붙인다.
이때 어근을 찾는법은
"마지막 철자 1개를 빼면 된다"

12th = dodici(12) + -esimo = dodic(어근) + -esimo
= dodicesimo

13th = trentasettesimo
(trentasettesimi도 쓰인다, variable 함에 유의!)

단,
26th 처럼 6이 들어가는건 주의해야 한다.

26th = ventisei + -esimo = ventise(어근) + -esimo로
e가 2개가 된다.
그렇기에 26th는 ventiseiesimo로 마지막 철자를 유지한다!
(발음에 유의하라, 첫 s는 [ㅆ] 두번째는 [ㅈ])

cf. due는 무관하다.
ventiduesimo로 e생략된다.



이제 마지막으로
uno를 보고 끝내자. (아래 내용은 관사에 대해 알아야 함)

아까 un milione라 했다.
uno milione가 아니라,

uno는 단수부정관사이다 (영어의 a/an같이)
영어에는 관사 a 기수 one, two... 서수 first, second가 있다.

이탈리아어에서 a/an에 해당하는 단수부정관사는
un, uno, una(un')이다.
근데 앞서 봤듯, one도 uno다
따라서,

명사앞에서 '하나'라는 의미로 숫자 uno(기수 uno)를 쓸 때,
부정관사규칙을 따라야한다.

즉, 영어로 a dollar 할수도, one dollar 할수도 있지만,
내가 one euro의 의미로 uno를 쓴다면 uno는 관사랑 겹친다.
이때 이게 관사인지 기수인지 모르기에 관사일수도 있으니
관사규칙을 따라야하는것이다.

그렇기에 uno euro가 아닌 un euro다
마찬가지로, uno milione가 아닌 un milione다

따라서,
un, uno, una(un')은 단수부정관사이지만,
형용사(기수)라 할수도 있다.


개인적의견 -
이번 파트는 꽤나 지엽적이고? 양도 많다 생각할수 있다.
뭣하면 1 ~ 10 만 외우자.

p.s. 틀린내용은 지적바람.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2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81 일반 주딱 모짜르트님한테 넘겼습니다. [4]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9 183 6
180 일반 다른 사람에게 주딱 넘기는 법 ㅇㅇ(222.109) 21.02.08 750 10
179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표현 12에 대한 토론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7 115 4
178 일반 주딱을 모짜르트님한테 넘겨주는게 맞는거 같은데...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6 203 6
177 문화 가장 인지도 높은 이탈리아 음악은 무엇일까? 2편 [11]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5 327 8
176 일반 이탈리아어 공부를 위한 인스타그래머 추천 [3]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4 285 7
175 일반 클럽가는예수님 [7] AppleP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3 197 0
174 일반 모짜르트 게이 ㄹㅇ 개박학다식하네 [2] ㅇㅇ(223.62) 21.02.03 161 2
일반 기수와 서수, 그리고 uno [1] Reminiscenc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2 351 2
172 일반 이탈리아에 국제소포를 보내기 전에 해야할 것 [3]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2 1083 9
170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표현 11 [1]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2 79 3
169 일반 이탈리아에 관련된 블로그 추천 [3]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2 313 8
168 문화 가장 인지도 높은 이탈리아 음악은 무엇일까? 1편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02 125 4
167 문법 이탈리아어 단/복수 변화의 예외 - invariable nouns [2] Reminiscenc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31 328 6
166 일반 이탈리아어랑 루마니아어랑 어느정도 유사하나요? [6] 블루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30 520 0
165 일반 이탈리아어 공부하다가 한가지 재밌는 점 찾음. Reminiscenc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30 136 4
164 일반 주딱 도망쳤음? [7] ㅇㅇ(14.52) 21.01.29 321 17
163 단어 단어장은 머사야함? [1] ㅇㅇ(182.214) 21.01.21 173 0
161 일반 Ciao a tutti~ ㅇㅇ(175.33) 21.01.20 59 1
160 일반 문법 원서 교재 추천 좀 해주세요 구려(39.7) 21.01.12 176 1
159 일반 이탈리아 문학작품 하나 추천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08 271 11
157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숙어교재 추천 [6]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07 637 11
156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표현 10 [3]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05 214 7
155 일반 외국어갤 몇개 보니까 외국 생활을 해보고 싶은 사람들이 많은데 [8] ㅇㅇ(222.109) 21.01.03 474 15
153 단어 즐거운 ~일!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1.01 60 2
152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표현 9 [5]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31 90 3
151 일반 갤러리를 굳이 주딱이 돌려야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함 [1] ㅇㅇ(222.109) 20.12.28 192 14
150 일반 이 갤에서 가장 좋은 글은 [3] ㅇㅇ(14.52) 20.12.28 374 13
149 단어 오늘의 단어 흡연금지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8 51 0
148 회화 오늘의 회화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8 48 0
147 단어 의문부사들 avverbi interrogativi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8 31 1
146 일반 아 요즘 일도 바쁘고 의욕도 많이 떨어졌네요.... [5]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7 167 6
144 일반 이탈리아어 성가 saka(112.163) 20.12.24 55 2
143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표현 8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4 81 1
142 일반 언어 [3] saka(112.163) 20.12.23 69 0
140 일반 양 시칠리아 왕국: 신앙용사의 노래 제국의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2 56 1
139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표현 7 [1]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2 130 9
138 일반 이탈리아에서 까마귀 우는 소리를 어떻게 표현함? [2] ㅇㅇ(61.77) 20.12.21 124 1
137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표현 6 [2]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1 131 9
135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표현 5 [1]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9 91 4
134 단어 scuro, chiaro, pallido 단어의 쓰임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8 103 5
133 단어 Colore 색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8 43 1
132 단어 scopire 발견하다, 벗기다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8 33 0
131 단어 야채 vedura [2]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8 47 1
130 단어 과일 frutta 이탈리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8 37 0
129 일반 모짜르뜨의 이탈리아어 표현 4 [1] 모짜르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8 77 4
128 일반 똥글 5 전설의 영웅(211.114) 20.12.15 48 2
127 일반 버들가지가 누구인가요 [4] 파리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15 134 4
126 일반 버들가지야 국뽕좀 작작 하셈, 이탈리아어갤도 오지말고 ㅇㅇㅇ(111.118) 20.12.15 225 14
124 일반 여긴 어디고, 나는 누구인가... [3] 폭8은혈액순환도움이된다(125.181) 20.12.15 93 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