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소식📰] 원자재가 보내는 시그널들

고생여(211.205) 2024.05.15 22:47:04
조회 1761 추천 28 댓글 14
														


7cef8376b78369f53cf1d1bc10f11a397afd508936a651dbd7

7cef8376b08469fe3be680ed58db343a86cc97031e92781a32bae9ac


dr. copper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구리는 경기에 민감한 금속이다.

특히 제조업경기가 확장국면에 있을 때 가격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인다.


위 그림의 녹색 곡선은 대략 전세계의 경기싸이클을 보여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경기에 선행하는지 후행하는지는 판단이 쉽지 않지만, 원자재의 특성상 물가나 기름값처럼 경기에 후행한다고 보는 것이 좋다.


다만 뒤집어서 경기에 선행한다고 주장해도 크게 틀리지는 않는다.

(이것이 과거 원자재지수의 변화율을 뒤집어서 한국의 경기선행지수에 포함시켰던 이유이다. 물론 한국수출이 원자재 수입에 크게 의존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다.)



요약하면 구리값은 경기에 민감한 지표라는 것이다.



그런데 그보다 더 쓸만한 지표는 구리와 금의 비율이다.



지금은 과거형이다.



왜?


금값이 미쳤으니까.



2eb2c036e0c078a161b3d2f544817669603b3655f616fccebca255787331e10f8b1f75850795



구리/금 비율과 금리를 비교한 것이다.



2021년까지는 금리와 잘 맞고, 경기를 예측하는데도 좋아서 수정구슬처럼 쓰는 사람들이 꽤 있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구리값이 사상최고치를 돌파한다고 관심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구리금비율이 바닥에 붙어있다.



중국포함 신흥국들이 국가, 국민 차원에서 금을 사재기 하면서 나타난 금값 상승이 구리값의 상승을 가리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언제든 금값이 정신을 차리면 자연스럽게 금리와의 관계를 회복할 것이다.


구리금 비율과 금리의 관계가 회복되는 것이 주로 금값의 정상화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고 해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단순한 예를 들자면


1) 구리값의 폭등


2) 금값의 폭락


3) 금리의 폭락.


당연히 이 세가지 방향의 조합이 현실적인 답이 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3번이겠지만, 세상일이 쉽게만 풀리지는 않으니 곤란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도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경기와 관련된 여러 지표와 가격들이 이전 시기와 달라진 모습을 보인다.


원인이 무엇일까 생각하다보면 적어도 금융위기 시절 시작된 무제한의 양적완화까지는 돌아가게 된다.



22b4dc6be1dd34aa6fad96e74683706d52b156c6a7155d01fe0d351a1412d3d3fe47468a82ae


기름값과 달러(DXY)는 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장기간 대칭적으로 움직였다.


기름값의 상승은 달러가치의 하락을, 기름값의 하락은 달러가치의 상승을 가져왔다.


중국을 포함한 신흥국이 빠르게 성장하는 시기에 미국은 상품을 수입하고, 전세계에 달러를 공급했다.



이 달러는 미국으로 돌아와 채권과 기타 자산에 투자되었고, 미국의 금리를 낮추고 소비와 투자를 늘리는데 기여하였다. 종종 발생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리는 긴축을 시도해도 장기 금리가 도무지 상승하지 않을 정도였다.



기름값의 상승을 유발하는 신흥국의 경기과열은 미국의 저금리, 달러약세와 매우 잘 맞춰서 움직였고, 이 관계는 매우 강력해서 금융 시장의 방향을 점치는데 쓸모가 있었다.


그러나 변하지 않는 것은 없다.


22b4dc6be1dd34aa6fad96e74683706d52b156c6a7155e01fe0d351a1412d3d33d516d54992b


2021년 이후 기름값과 달러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고, 선후를 따지자면 기름값이 선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기름과 달러의 관계가 사라졌다기보다는 역전된 것이다.


처음 둘 사이의 관계가 사라지기 시작했을 때 나는 기름을 포함하는 에너지 인플레이션, 전기요금 인플레이션이 미국보다는 유럽에서 극심하고, 그것이 기름값 상승에 의한 유로 가치의 하락을 더 크게 가져오는 것이 중요하다고 봤다. 러시아와 독일의 관계가 좋아서 싸게 러시아산 가스를 독일이 공급받던 시기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끝난 것이 관련이 높다고 본 것이다.


지금은 그것보다 더 큰 이유가 있다고 본다.

22b4dc6be1dd34aa6fad96e74683706d52b156c6a7155c01fe0d351a1412d3d38efc2d2a0872


미국이 셰일 혁명을 통해 기름의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바뀐 것이다.


원자재 수출국에서 원자재 가격의 상승시 통화강세가 나타나는 것은 설명할 필요가 없다.

미국은 페트로달러로 중동을 통제하던 국가에서 그냥 석유수출국이 된 것이다.

2019년에 석유 순수출로 전환된 이후로 순수출 규모는 줄지 않고 있다.

유가강세는 미국에 이익이 되고, 달러에도 유리하다는 것은 다른 모든 원자재 수출국과 다를 이유가 없다.


22b4dc6be1dd34aa6fad96e74683706d52b156c6a7155b01fe0d351a1412d3d3fb4b2ed0b834be



물량이 아니라 달러로 표시된 석유 순수출을 봐도 수출이 증가하는 것은 다르지 않다.

판데믹 직전 2019년에서 2020년 사이에 순수출로 전환되었고 2022년 이후에는 일시적인 순수입도 나타난 적이 없다.


기름값은 원자재 인덱스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미국이 압도적인 1위를 유지하는 산유국과 석유수출국의 지위를 유지하는 한 기름과 달러, 원자재와 달러의 관계는 과거와 같지 않을 것이다.

이번만 다른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다를 가능성도 있다.




요약


이전에 잘 맞던 지표들이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runmoneyrun




추천 비추천

28

고정닉 7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06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2807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3874229 일반 테마순환 너무 빨라서 어지럽다 ㅅㅂ 가스사망(211.219) 17:48 20 0
3874228 일반 반성문 1000장 쓰고 다시 와 가스사망(112.133) 17:48 14 0
3874227 일반 지속가능한개발 생각해야지; 결국 원전 친환경 전기임 [3] ㅇㅇ(112.173) 17:48 22 0
3874226 일반 진성준..종부세 금투세 (119.201) 17:48 15 0
3874225 일반 솔직히 석유/가스는 대통령이 주도한 작전 아님?ㅋㅋㅋㅋㅋㅋㅋ [7] 가스사망(118.235) 17:48 65 2
3874224 일반 우리나라는 삼전공화국임 옥탑방주식귀(220.74) 17:48 18 0
3874223 일반 가스 석유 시외 개같이 운지 ㅋㅋ 가스사망(211.219) 17:47 41 0
3874221 일반 뽀찌 달라한게 잘못임? [6] 가스사망(14.43) 17:47 48 0
3874220 일반 오늘 석유주 왜 지지부진한거임? ㅇㅇ(117.111) 17:47 40 0
3874219 일반 젠슨황 이새끼가 가장 삼전이 납품하길 바라는새낀데 ㅇㅇ(116.123) 17:47 45 0
3874218 일반 삼성보다 메모리 잘만드는 기업이 어딨다고 뺀찌먹임 ㅋㅋㅋㅋㅋㅋ [4] 가스사망(118.235) 17:46 44 0
3874217 일반 포항 앞바다 석유시추 실패하더라도 좋은경험???!!!!! [1] ㅇㅇ(121.175) 17:46 48 2
3874215 일반 종목 추천하고 간다 [4] 가스사망(221.150) 17:46 51 0
3874214 일반 가스공사 회사 부도났냐 주가가 왜 저러냐 [3] SabreGD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6 97 0
3874212 일반 주식이 참 신기해 [1] 필쏘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5 25 0
3874211 일반 내가 분명 삼전 며칠전에 힌트 주고 갔다 가스사망(175.121) 17:45 41 0
3874210 안목🙈 가스 다시 오른다 가스사망(106.101) 17:44 56 1
3874209 일반 100만전자 시나리오 나왔다. [3] 가스사망(112.186) 17:44 40 0
3874208 일반 더블로만지는간첩당 간첩 다 풀어주고 못잡게 막아버리려 하잖아 스윗원순몽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4 19 0
3874207 일반 훼손될 명예가잇어야ㅋㅋ부끄러운줄알아야지 [1] (119.201) 17:43 22 1
3874205 일반 후...한국가스공사 시외 하따했다... [3] 돌배야제발(119.196) 17:43 125 0
3874204 일반 존나 웃긴겤ㅋㅋㅋㅋ ㅇㅇ(118.235) 17:42 26 0
3874203 일반 삼전 손절 괜히 친거같네 씨발 [3] 가스사망(175.127) 17:42 107 1
3874202 일반 그럼 그렇지 석유는 무슨 석유냐 SabreGD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2 54 0
3874201 일반 한국석유먄 살아남음 가스사망(118.235) 17:42 27 0
3874200 일반 뉴스보니 가스 안오르는 이유가 있네 ㅇㅇ(121.163) 17:42 74 0
3874199 일반 그래도 오늘 기사 하나에 시외 상 치는 거 보니까 [10] 김바보7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2 90 0
3874198 일반 가스공사만 좆된이유 연기금 맞음? [1] 가스사망(211.196) 17:42 66 0
3874197 일반 빠재 임마는 노빠꾸네 ㅋㅋㅋㅋㅋ [2] 안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2 37 1
3874196 일반 이쁜여장남자 vs 100kg파오후녀 [3] ㅇㅇ(14.53) 17:41 39 0
3874195 일반 석유가스테마 최단기 퇴물행 ㅋㅋㅋㅋㅋㅋ [2] 가스사망(211.219) 17:41 62 0
3874194 개소리 감히 삼전을 의심하는 새끼들 본 때 보여주기 위해서 [2] ㅇㅇ(220.74) 17:41 36 0
3874192 일반 집에 굴러다니는 동생 교복치마 발견함 ㅇㅇ(220.85) 17:40 48 3
3874191 일반 sk 낼 어케될까 [4] ㅇㅇ(118.235) 17:40 57 0
3874189 일반 삼전 7.8에 던진애들이 승리자네 가스사망(222.118) 17:40 44 0
3874188 일반 잘생각봐. 왜오르는지 가스사망(112.186) 17:40 32 0
3874187 일반 짖는 개는 물지 않는다 Caiott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0 14 0
3874186 일반 결귝 삼전도 납품 한다는 소리아님?ㅋㅋㅋㅋㅋㅋ [2] 가스사망(118.235) 17:40 72 0
3874185 일반 디아이는 시외 왜 안뒤짐? 가스사망(180.66) 17:40 20 0
3874184 일반 반려주식 ㅈ되네 가스사망(121.179) 17:39 48 0
3874183 일반 시발 가스공사 일봉 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9 78 0
3874182 일반 가스가 똥빵구 말하는거임? 가스만 시외가왜저러노 [1] 열정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9 20 0
3874180 일반 석유주들 시외 창나려고 하는데? [1] 가스사망(118.235) 17:39 54 0
3874179 일반 허허 살까말까 하고 안산거 죄다 시외에서 더 처박네 [2] 달이부른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9 19 0
3874178 일반 오늘 뭔가 뉴스케일 폭등할 것 같은 기운이네 ㅇㅇ .real [2] 흑인사냥꾼(118.235) 17:39 53 0
3874177 일반 삼전 시외상 뭐냐? ㅇㅇ(223.39) 17:39 31 0
3874176 일반 빠데리아조씨 코갤하는거같음 ㄹㅇ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8 29 0
3874175 일반 진짜 납품 ok면 시외 이미 상 쳤지 [2] 가스사망(222.118) 17:38 62 0
3874174 일반 석유/가스 테마주 물린 새낀 주식 접어야지 ㅋㅋㅋㅋㅋㅋㅋㅋ 가스사망(118.235) 17:38 44 2
3874173 일반 진성준 개씨발 새끼 인덕원꼬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8 25 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