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교과서📕] 중요한 것은 방법론이다.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8.20 21:40:07
조회 830 추천 21 댓글 14
														

헤겔은 《철학사 강의》에서 대상에 대한 체계의 성립을 학(學)이라고 했습니다. 헤겔의 이 말은 단순히 주관에서 자의적으로 학의 체계를 생성해낸다는 것이 아닙니다. 객관적 개념, 즉 이념의 전개가 이미 학의 체계의 성립 준거를 내재하고 있고, 이념의 전개와 합일된 인간 정신이 그것을 포착해내어 새로운 학의 체계를 성립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관념론적인 발상이지만, 학의 체계가 주관 속의 공상에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이미 객관적인 개념, 즉 이념의 전개에 그 근원을 두고 있음을 말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변유에서 학의 체계는, 마르크스가 헤겔의 변증법을 거꾸로 세운 것과 같은 방향에서, 헤겔의 체계 이론을 거꾸로 세운 것과 같은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변유에서는 물질의 자기운동 상에서 전개된 객관적 체계의 반영의 다양한 양상 중 하나가 학의 체계라고 간주합니다. 물론 여기서 반영되는 것은 그냥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 존재이므로, 체계도 사회적 존재의 체계이며, 학문 역시 사회적 존재의 체계를 반영한 것입니다.


객관적인 체계의 운동을 보자면, 그것은 범주 간, 저마다의 특정한 필연적 매개연관으로서 순차적 범주 운동을 구성해냅니다. 다시 말해, 논리적인 범주를 그 나름의 자연적, 또는 사회적 필연성에 따라 특정한 순차로 실현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헤겔은 존재논리학에서 개념논리학에 이르기까지 범주 순차적 운동을 구성해내고 그것을 실재의 불변적 운동으로 상정합니다. 이는 헤겔이 각 범주를 변증법적으로 구성해냈다는 점에서 그의 사상의 혁명성을 보여주는 것인데, 또한 동시에 그것의 종합에서는 형이상학적, 그리고 관념론적 한계를 보여줬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반면 변유에서 범주 순차는 물질의 운동에 의해, 헤겔이 구성한 것의 역순의 순차를 가질 수도, 또는 완전히 다른 방향의 순차를 가질 수도 있다고 봅니다. 중요한 것은 물질, 또는 그것의 전개로서 갖가지 객관적 대상으로서의 특수를 과학적 실천을 통해 연구하고 이로부터 쌍범주 간 반성 관계를 그 본질로 지니는 지양된 존재 규정을 파악하는 것이 됩니다.


다시 말해, 학의 체계란 설정한 대상의 객관적인 체계상 운동, 즉 체계를 규정하는 범주, 또는 범주는 규정하는 체계의 내적 모순과 연관을 파악하고 그것을 일정한 형식으로 담아낸 것입니다. 여기서 학문을 구성하는 데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두 가지 요소로 역사적인 것과 논리적인 것이라는 변증법적 범주가 성립하게 됩니다. 논리적인 것이란, 쌍범주의 반성 관계, 개념―사회적 존재의 반영에 의해 성립된―의 전개와 존재규정의 함의를 분석하고 종합해내는 것입니다. 역사적인 것이란, 쌍범주의 이행, 관념상에서 개념의 전개를 근거짓는 사회적 존재의 전개 양상이 필연적 순차성을 띠고 있다는 것을 승인하고 그 기초하에서 현재 형성된 쌍범주의 반성 관계와 반영되어 형성된 개념의 역사적 근원을 따지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헤겔에 따르면, 대상의 양(量)이라는 존재 규정을 가능하게 하는 일자성(一者性)은 대상의 질(質)이라는 계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변유에서는 그 역(逆)도 가능합니다. 어떠한 한 존재 규정이나, 존재 규정화된 쌍범주의 반성 관계의 그 계기와 이행의 순차에서, 과거의 논리적 전개를 따지는 것이 곧 역사적인 것입니다.


논리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 간의 관계는 서로 제한하며, 서로 그 동일성을 확보하여주는 본질적인 관계입니다. 두 동일자 간 관계는 역사적인 것은 곧 논리적인 것이 되고, 논리적인 것 역시 역사적인 것이 됨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두 동일자 중 하나가 결여된 ‘학문’은 학문이 아닙니다. 부르주아 학문에서, 특히 부르주아 사회과학에서 학사(學史)를 "철학에 불과하다"고 하면서 고의적으로 축소화하거나 없는 취급하는 현상이 고질적인데, 이는 부르주아 학문의 객관성이 크게 떨어짐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역사적인 관점이 없다면 형성된 이론의 발생 기원을 따질 수 없기 때문에 대상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을 할 수 없습니다.


역사적인 것을 부정하는 것은 한편으로 논리적인 것에서 형이상학적 세계관을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역사적인 것을 부정한다는 것은, 객관적 대상의 순차상 필연적 운동 자체를 거부하는 것이 됩니다. 특정한 시간 구간에서 객관적인 연관 고리를 가지고 양적인, 동시에 질적인 변화가 수반되었다면, 변화 결과는 그것의 계기가 된 객관적 연관 고리를 내포합니다. 새로운 변화 결과는 역시 순차상 필연성에 근거하여 새로운 규정을 지니게 됩니다. 역사적인 것을 부정한다는 것은, 현재를 구성한 규정이 나름의 필연적 법칙성에 따라 형성되었다는 것을 거부하는 태도입니다. 이는 현재를 구성하는 규정이 우연적으로 주어졌다고 주장하는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형이상학적 방법론이 문제가 되는 것은, 그것이 각 규정에 대해서 항상성, 고립성, 불변성을 강조하는 바로 그것으로 말미암아 학문적 객관성의 토대를 완전히 상실한다는 것입니다. 이제 대상을 대하는 태도로서 그 세계관이 문제가 되는 것인데, 학문에 빗대어서 표현하자면 이는 방법론 문제가 됩니다.


경제학을 한다고 하면서, 객관 대상을 연구하는 기본적인 범주인 형식과 내용, 필연과 우연, 본질과 현상, 질과 양 등의 상호 관계를 전혀 얘기하지 않으면서, 다짜고짜 소비자의 심리 경향이 어떻녜, 국제수지의 균형―그나저나 부르주아 경제학자들의 저서를 읽어보면 계속 ‘균형’을 언급하던데 도대체 그 ‘균형’이 무엇인지는 절대 설명을 하지 않습니다―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소득과 금리는 어떻녜 하는 것은 장황하게 거짓말을 늫어놓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결국 어떠한 학파의 학설을 공부하려면 그 학파의 방법론을 알아야 합니다. 단순히 수면 위로 떠오른 몇 가지 특징을 집산해서 외워봤자 그것은 올바른 지식이 될 수 없습니다.


어떤 유동이 "단순 부르주아 경제학이라 하여 배척하는 것 같다"고 했는데, 부르주아 학문을 배척하는 이유는 부르주아 학문의 방법론이 200년 전과 지금이나 똑같이 형이상학적 방법론에 기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형이상학적 방법론은, 몇 가지 정식, 법칙성, 대상에 대한 형식 규정을 가지고, 그것들을 절충하여 ‘실제적 모델’을 추상해내는 것에 만족하는 것 이상의 내용을 담고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방법론으로는 객관적 실재의 실제적 운동 양상을 파악할 수 없습니다. 실제로 부르주아 경제학에서 떠받드는 수많은 이론적 모델은 대상이 끊임없이 운동한다는 관점이 사상되어 있습니다. 대표적 예로 신고전학파의 방법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프랜시스 에지워스―가치 및 가격론에 대해, 로잔느 학파에서 신고전학파로까지의 가교 역할을 하였던 신발라스 일반균형학파에 속했던 학자―의 《수리정신학(Mathematical Psychics)》은 주관적으로 추상된 ‘대상’의 법칙성의 불변임을 강조하고 여기에 자신에 구상한 곡선 모델을 덮어씌웁니다.(오늘날 부르주아의 대표적 가격론인 무차별 곡선은 이 《수리정신학》의 내용을 그대로 복사한 것에 불과) 이 책은 「경제 미적분학」장부터 이미 실재적인 현실성이 없는 가정을 정의로 추상―예를 들어 ‘완전 경쟁 마당’ 도입의 전제로서 "어느 개인이나 무한한 수의 상대방 중 누구와도 자유롭게 재계약을 맺을 수 있다"(?), "어느 개인이나 자유롭게 무한한 수의 상대방과 동시에 계약을 맺을 수 있다"(?)는 등의 식으로한 다음 기하학적 또는 대수적 방식으로 다음의 증명을 이끌어내는 방법론적 형식을 가지고 있습니다.(‘자유로운 계약’조차 그것의 반대항을 항상 내포하고 있으며, 또 그것의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분석한 다음, 그것의 생성이 지니는 역사적 경로를 모두 추적하는 마르크스에 비하면 신고전학파의 이 대표적 저서는 애들 장난 수준 같습니다) ‘계약 조건’의 성립에 있어서는 고려되는 변수가 완전성을 띠는 경쟁 상태냐, 아니면 그렇지 않느냐라는 하나의 기준밖에 없습니다.


그는 부문 간 자본 규모의 차이, 이윤-임금 간 관계, 불변자본 및 가변자본의 비중차 등, 계약이라는 형식의 성립 여부를 가를 수 있는 현실적인 수많은 연관에 대해 무지합니다. 그리고 본질적으로는 계약 관계만으로는 나타낼 수 없는 지표가 많다는 것을 전혀 모릅니다.


영국 한계효용론의 시초라고 일컬어지는 윌리엄 스탠리 제번스의 《정치경제학 이론》은 에지워스의 책보다는 덜하지만, 한계효용가치설을 일반화하는 서두의 과정을 보면 굉장히 조잡하며, 일부 구절에는 심지어 효용은 노동이 규정짓는다는 글까지 써놓았습니다. 이 구절은 당연히 효용론자들의 인지부조화를 야기―언급한 구절에 대한 알프레드 마셜의 평가를 참조할 것―했고, 현재까지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오늘날 숱하게 많은 경제학 교서는 몇 가지 자의적 ‘개념―표상 덩어리에 불과한 그것―을 기준으로 모든 현상을 ‘분석’하려고 하는 갖가지 ‘이론’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이론’의 모든 공통점은 역사적 관점이 없다는 것―심지어 그 ‘이론’을 소개하는 ‘경제학 교과서조차 그 ‘이론들’에 대한 역사적 서술이 전무함―입니다. 대상의 역사적인 것, 즉 대상의 계통, 개체 발생적 측면을 옳게 담아내야지만 비로소 대상의 운동이 지니는 방향성을 상대적으로나마 확정할 수 있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위 ‘이론’에는 그것이 없습니다. 유동 선생이 언급한 그 《맨큐의 경제학》(맨큐는 이거 외에도 여러 저서를 썼기에 정확지 않습니다. 이 책은 부르주아 경제학의 방법론에 기초하여 작성된 문헌이나, 그 방법론 자체의 내용에 대해서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기에는 매우 부적절한 책입니다)에도 그러한 관점이 전혀 없습니다. (그런데 저는 유동 선생이 적어도 사회주의권의 경제학 교과서를 한 번이라도 읽어봤는지는 의문입니다)


제가 이미 위에 헤겔이 지니는 체계의 형이상학적 한계를 지적했죠. 헤겔은 쌍범주 간 반성 관계, 그리고 개념의 전개에서 본질 규정의 역할을 옳게 규명해냈지만, 결국에는 그러한 체계가 하나의 불변의 ‘공식’으로 자리 잡게 되어서, 그것이 실재를 재단하는 절대 기준이 되어버렸습니다. 실재가 사유 기준을 근거짓는 게 아니라 사유가 실재의 기준을 근거짓는 게 되어버린 겁니다. 그런데 독점자본주의 단계의 형성 이래 이어져 온 부르주아 학문을 보면, 헤겔보다 훨씬 더 뒤떨어집니다. 헤겔은 반성 관계를 구상함에서 반성 관계의 두 항, 즉 두 동일자가 서로가 서로를 제약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냈지만, 현대 부르주아 학문은 그조차도 인식하지 못 하고 있습니다.


현대 부르주아의 형이상학적 방법론은 실재의 실제적 운동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못 하기 때문에 매우 공허한 학설이 됩니다. 혹자는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에 국제경제 이론이 없다고 하는데,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에서 자본의 국제적 규모의 운동은 자본의 부문 간 이동을 통한 평균이윤율의 형성 과정으로 일반화할 수 있습니다. 저는 부르주아 사회과학이 사회과학의 대상인 사회의 그 필연적 법칙성을 사회가 항상 변화·발전한다는 관점, 그리고 각 규정은 항상 그 내부에 다종다양한 연관을 지닌다는 관점 아래에서 옳게 구상해낸 것을 본 적이 없습니다. 그 당연한 귀결로 부르주아 경제학은 현상에 대해서 일말의 예측조차 제대로 하지 못 하는, 발달하는 기술에 올라타서 자기들이 구상한 본래의 이론을 가상의 차원에 밀어넣어버리는 식의 모습만 보여주고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판단은 저의 과문(寡聞) 때문일 수도 있으니, 반대의 예가 있다면 유동 선생은 그 사례를 간단하게 적어주셨으면 합니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1

고정닉 1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1 설문 어떤 상황이 닥쳐도 지갑 절대 안 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5/20 - -
137621 교과서 그람시의 현대군주 개념의 뜻과 맥락 [7]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30 601 16
137528 교과서 금융자본의 성격에 대한 레닌의 규정 [13]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8 946 32
137375 교과서 이승만 100만 학살설의 맹점 [1] ㅇㅇ(116.34) 22.09.24 427 16
136956 교과서 질문에 대한 답변 (시스몽디와 리카도의 차이) [4]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8 278 17
136378 교과서 마르크스주의에서의 주체 개념 [6]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11 749 23
135332 교과서 기하학에 대한 헤겔의 제언 [1]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30 742 18
134946 교과서 유물론자의 도덕은 무엇에 근거하는가? [6]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5 949 28
134711 교과서 질문에 대한 답변 (일부일처제) [2]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3 525 20
교과서 중요한 것은 방법론이다. [14]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20 830 21
134186 교과서 리센코의 유전학설은 사이비과학인가? [8]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15 657 27
133378 교과서 고이즈미 신지로의 저주에 대하여 [10]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6 747 30
133139 교과서 헤겔 전(前) 변증가 (고대 그리스·로마) [3]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8.03 618 18
132003 교과서 국회의원이 정치하는 목적 발명도둑잡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9 108 5
131753 교과서 형식과 내용의 변증법 [7]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5 769 21
131692 교과서 이중 슬릿 실험은 주관적 관념론의 증거인가? [2]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14 638 24
130799 교과서 노동력의 재생산비와 노동력의 가격 질문에 대해 [52] РАПП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7.01 456 12
130563 교과서 중국의 계획경제에 대한 이야기 [4] 빅.토.좋.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8 554 14
129237 교과서 자유의지론의 비과학성 [4]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9 1358 28
129102 교과서 더불어민주당은 파시스트 정당인가? [5]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7 1332 32
128892 교과서 인간의 유적 본질이란 무엇인가? [3]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4 745 17
128820 교과서 포퍼의 반증주의 [7]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3 777 20
128789 교과서 호치민 문서 만들었다. [6] 라틴아메리카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2 157 6
128572 교과서 민족문화에 대한 레닌의 관점 [11]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01 504 16
128172 교과서 기계적 유물론과 변증법적 유물론 [4]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6 791 21
128020 교과서 중국은 왜 사회주의가 아닌가? [13]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3 1312 27
128006 교과서 좌서관 문서 300개 달성! [1]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23 125 7
127439 교과서 질문에 대한 답변 (객관과 주관, 모순율) [1]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4 366 13
126974 교과서 Ukraine On Fire(한글자막) 라틴아메리카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95 1
126890 교과서 레닌과 일국사회주의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4 478 16
126804 교과서 아나코 자본주의는 국가 폐지를 주장하는가? [5]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752 21
126793 교과서 다시 말하자면좌서관 지금 편집자가 없고 회원가입만 하면 편집가능한 상황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3 117 3
126732 교과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레닌의 《사회주의와 전쟁》에 관해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2 600 21
126659 교과서 4월 좌서관 문서 수 결산 [1]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1 132 7
126281 교과서 마오쩌둥의 《영도방법에 관한 몇 가지 문제》 직접번역 후 업로드 완료.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3 85 4
126267 교과서 마오쩌둥의 《당위원회의 작동방식》 직접번역 후 업로드 완료. [1]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22 191 10
126052 교과서 ‘정(正)-반(反)-합(合)’ 도식과 변증법 [15]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9 940 20
126026 교과서 ※경축※ 좌서관 문서 200개 돌파 [2]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8 125 3
125876 교과서 맑스 『자본』의 방법론 (추상과 구체의 변증법) [10] 붉은지식양성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6 669 13
125746 교과서 중앙파 마르크스주의(Centrist Marxism) 문서 업로드 완료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4 129 5
125632 교과서 늦었지만 좌서관 틀 이용법 [1]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149 5
56219 교과서 오늘의 좌파도서관 작성 팁 후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0 170 9
125562 교과서 좌서관에 위로 아닌 위로같은 이야기 하자면 [1]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11 108 3
125241 교과서 문혁16조 문서를 올리긴 했는데.. [3]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5 241 5
125164 교과서 ※경축!※ 좌파도서관 문서 100개 돌파! [3]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4 183 7
125102 교과서 한국 대통령 문서 전부 옮기기 완료. [2]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3 90 1
125009 교과서 좌서관 이번 달까지 문서 300개를 목표로 나아갑시다!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2 119 8
124969 교과서 진보위키에 있던 응오딘지엠 문서 옮김 완료 고정닉존내많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2 168 7
124950 교과서 후에 학살 문서 작성 완료 라틴아메리카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4.02 151 8
124810 교과서 갤주님 문서랑 좌공 문서 옮기기 완료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1 137 5
124762 교과서 좌서관에 레닌이 쓴 《사회주의혁명과 민족자결권》테제 업로드 완료 Kar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3.30 151 2
1234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