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노동당]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하라앱에서 작성

우파가허락한사회주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0 16:16:31
조회 147 추천 12 댓글 1
														

3fb8c32fffd711ab6fb8d38a4683746f7bcb91c78c5f58c378fc500d2f76074cfd358a8434a3a964d07cf6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 ‘건당 최저임금’ 등을 활용해서 적용범위 확대를 -​



내일(5월 21일)부터 내년도 최저임금을 논의하기 위한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경총 등 사용자측은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적용 적용을 주장하는 등 온갖 이데올로기 공세를 통해, 노동자의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는 이런 시도는 당연히 저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저지하고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액수를 약간 올리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현재로는 최저임금을 적용받지 못하는 광범위한 사실상의 노동자들에게도 최저임금을 적용해야 한다고 우리 노동당은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플랫폼 노동자나 프리랜서 노동자 등 실제로는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댓가를 받아서 생활하는데도, 형식상 근로계약이 아닌 업무에 대한 도급계약 등을 했다는 이유로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숱한 인적용역 사업자 이른바 3.3% 대상자들이 있다.

이들의 정확한 규모는 확실하지 않지만, 국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 인적용역 사업소득이 있는 대상인원은 총 847만명이다. 물론 이 중에는 별도의 사무실을 갖춘 전문용역 사업자나 근로소득 등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중 사실상 노동자인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는 이 자료만으로는 알 수없다. 하지만 별도의 사무실 없이 각종 인적용역 즉 노무만을 제공하는 프리랜서는 대략 406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플랫폼에 종속되어 일하는 노동자도 80만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거의 50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실상 노동자임에도 노동법의 보호는 물론이고,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도 적용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는시민연구소가 작년에 실태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프리랜서의 주당 평균노동시간은 33시간이며 평균월급은 180만원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중위값도 아닌 평균이므로, 일부 고소득자의 존재가 평균을 크게 끌어올린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프리랜서들은 자신의 노동시간에 따른 최저시급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당수가 거의 전업임을 감안하면 이들이야말로 노동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겠다는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가장 먼저 적용되어야 할 대상이 아닌가.

혹자는 이들은 업무실적에 따른 보수를 지급받는 방식이므로 노동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워서 최저시급 등 최저임금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현행 최저임금법에도 적용가능한 조항이 이미 규정되어 있다. 최저임금법 5조 3항과 관련 대통령령에 따르면 도급제 등 근로시간을 파악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을 경우 ‘생산고 또는 업적의 일정 단위에 의하여 최저임금액을 정한다’라고 되어있다. 즉 ‘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라이더 등 배달노동자의 경우 배달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학원강사나 대학의 시간강사 등도 강의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고, 방송작가나 프리랜서 작가 등도 원고분량 기준으로 원고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각자의 업무에 맞게 실적 기준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일단 건당 최저임금 적용이 시작되기만 하면 각자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운동을 만들어갈 수 있다. 즉 대중운동을 확대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다.

그럼에도 해당 조항은 법령에만 규정되어 있을 뿐 실제로 건당 최저임금을 정해서 적용한 적은 한 번도 없다. 앞서 말했듯이 현행법 상으로는 노동자가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인 사람들이 대폭 늘어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이들도 건당 최저임금 등 적절한 보호제도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현행법의 사각지대에서 방치되고 있는 일하는 사람들의 기본권리를 언제까지 외면하거나 회피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경총 등 사용자측은 또 이렇게 주장할 것이다. 이들은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며 노동자성을 따져보아야 한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말했듯이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라고 해서 실제로 노동자가 아닌 것이 아니거니와, 노동자성 여부가 쟁점이 되는 경우에도 산재보험이나 고용보험 등 각종 보호제도를 이미 적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최저임금 또한 마찬가지로 업무의 성격이 사실상 노무제공이라면 그에 따른 건별 최저임금 등의 보호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냐 아니냐라는 좁은 형식논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측면에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건당 최저임금은 이를 위한 중요한 전진이 될 수 있다. 업종별 차등적용 저지 등 방어적인 태도가 아니라, 적용범위 확대 등 보다 공세적인 문제제기가 있어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모든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는 사회를 위해 앞으로도 우리 노동당은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다.


2024. 5. 20.

노동당 대변인실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플랫폼노동자, 프리랜서 등에게도 최저임금 적용해야 - ‘건당 최저임금’ 등을 활용해서 적용범위 확대를 내일(5월 21일)부터 내년도 최저임금을 논의하기 위한 최저임금위원회의 심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경총 등 사용자측은 최저임금 업종별 차등적용 적용을 주장하는 등 온갖 이데올로기 공세를 통해, 노동자의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 제도의 취지를 약화시키려는 이런 시도는 당연히 저지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를 저지하고 현행 제도를 유지하면서 액수를 약간 올리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오히려 현재로는 최저임금을 적용받지 못하는 광범위한 사실상의 노동자들에게도 최저임금을 적용해야 한다고 우리 노동당은 생각한다. 대표적으로 플랫폼 노동자나 프리랜서 노동자 등 실제로는 자신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그 댓가를 받아서 생활하는데도, 형식상 근로계약이 아닌 업무에 대한 도급계약 등을 했다는 이유로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숱한 인적용역 사업자 이른바 3.3% 대상자들이 있다. 이들의 정확한 규모는 확실하지 않지만, 국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 인적용역 사업소득이 있는 대상인원은 총 847만명이다. 물론 이 중에는 별도의 사무실을 갖춘 전문용역 사업자나 근로소득 등 다른 소득이 있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중 사실상 노동자인 사람이 얼마나 되는지는 이 자료만으로는 알 수없다. 하지만 별도의 사무실 없이 각종 인적용역 즉 노무만을 제공하는 프리랜서는 대략 406만명 정도로 추산되며, 플랫폼에 종속되어 일하는 노동자도 80만명 가량으로 추산된다. 거의 500만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사실상 노동자임에도 노동법의 보호는 물론이고, 최소한의 생활을 보장하기 위한 최저임금도 적용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일하는시민연구소가 작년에 실태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프리랜서의 주당 평균노동시간은 33시간이며 평균월급은 180만원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중위값도 아닌 평균이므로, 일부 고소득자의 존재가 평균을 크게 끌어올린다는 것을 감안하면 상당수의 프리랜서들은 자신의 노동시간에 따른 최저시급도 받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상당수가 거의 전업임을 감안하면 이들이야말로 노동자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겠다는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가장 먼저 적용되어야 할 대상이 아닌가. 혹자는 이들은 업무실적에 따른 보수를 지급받는 방식이므로 노동시간을 산정하기 어려워서 최저시급 등 최저임금을 적용하기 어렵다고 주장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해서도, 현행 최저임금법에도 적용가능한 조항이 이미 규정되어 있다. 최저임금법 5조 3항과 관련 대통령령에 따르면 도급제 등 근로시간을 파악하기 어려운 사정이 있을 경우 ‘생산고 또는 업적의 일정 단위에 의하여 최저임금액을 정한다’라고 되어있다. 즉 ‘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는 것이다. 가령 라이더 등 배달노동자의 경우 배달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학원강사나 대학의 시간강사 등도 강의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고, 방송작가나 프리랜서 작가 등도 원고분량 기준으로 원고 1건당 최저임금을 정할 수 있다. 각자의 업무에 맞게 실적 기준으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일단 건당 최저임금 적용이 시작되기만 하면 각자의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요구하고 운동을 만들어갈 수 있다. 즉 대중운동을 확대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잠재력을 가진다. 그럼에도 해당 조항은 법령에만 규정되어 있을 뿐 실제로 건당 최저임금을 정해서 적용한 적은 한 번도 없다. 앞서 말했듯이 현행법 상으로는 노동자가 아니지만 실제로는 노동자인 사람들이 대폭 늘어나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이들도 건당 최저임금 등 적절한 보호제도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할 시점이다. 현행법의 사각지대에서 방치되고 있는 일하는 사람들의 기본권리를 언제까지 외면하거나 회피할 수는 없기 때문에. 경총 등 사용자측은 또 이렇게 주장할 것이다. 이들은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며 노동자성을 따져보아야 한다고 말할 것이다. 하지만 이미 말했듯이 근로기준법 상의 노동자가 아니라고 해서 실제로 노동자가 아닌 것이 아니거니와, 노동자성 여부가 쟁점이 되는 경우에도 산재보험이나 고용보험 등 각종 보호제도를 이미 적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그렇다면 최저임금 또한 마찬가지로 업무의 성격이 사실상 노무제공이라면 그에 따른 건별 최저임금 등의 보호를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상 노동자냐 아니냐라는 좁은 형식논리가 아니라 실질적인 측면에서 최저임금 제도의 취지가 보다 확대되어야 하며. 건당 최저임금은 이를 위한 중요한 전진이 될 수 있다. 업종별 차등적용 저지 등 방어적인 태도가 아니라, 적용범위 확대 등 보다 공세적인 문제제기가 있어야 한다고 우리는 생각한다. 모든 일하는 사람들의 권리가 제대로 보장되는 사회를 위해 앞으로도 우리 노동당은 계속 노력해나갈 것이다. 2024. 5. 20. 노동당 대변인실

www.laborparty.kr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2

고정닉 9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09970 일반 유머랍시고 이데올로기에 해가 되는 말과 글을 하면 안 됨 [1] 로붕이(223.39) 06.19 189 11
209969 일반 여기서 가끔 몇몇이 너무 엄벌주의 강조한다고 하지만 [5] ㅇㅇ(211.234) 06.19 162 1
209968 일반 한국노총 vs 민주노총 활동가 급여 [1] 로붕이(1.246) 06.19 170 0
209967 질문 헤겔 좌파 연구<--이책 읽어보신 분 있나요 Napit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51 0
209966 일반 개인적인 경험으로 친미인건 괜찮으려나 [3] ㅇㅇ(114.204) 06.19 189 0
209963 일반 도올과 성자립 총장의 논쟁으로부터 보는 ML주의와 자주사상의 관계에 대해 [1] Liberi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45 0
209961 일반 내가 김가 정권 싫어하는 큰 이유 [24] ㅇㅇ(58.124) 06.19 416 7
209960 일반 조-러 정상, 반제ㆍ자주의 새로운 이정표 제시하나 Liberig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91 2
209958 토론· 이건 반동적인 민족주의임? [3] ㅇㅇ(223.62) 06.18 176 0
209957 일반 주은래 노회찬 등 리버럴들의 "대안적 망상" [3] 사회신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415 13
209956 질문 어떤놈이 곧 전쟁난다네요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60 2
209955 일반 오늘을 회상하며 [3] 홈프로텍터a.k.a가사노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79 1
209953 일반 대한민국 정부는 참 편하네 업무개시명령내리면 모든게 불법 [2] 로붕이(223.38) 06.18 134 1
209952 일반 다들 갑자기 죽지나 마라 [5] 당신도기릿하시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316 10
209951 일반 다른 주제 둘 [5] 홈프로텍터a.k.a가사노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19 0
209950 일반 다른 주제 하나 [14] 홈프로텍터a.k.a가사노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59 0
209949 일반 인민의 벗이란 무엇인가 읽은 사람 있음? 로붕이(180.68) 06.18 50 0
209948 일반 유희 대표님 오늘 별세하셨다고 함 [3] 로붕이(211.36) 06.18 188 3
209947 일반 이주제는 좀 그만하자 로붕이(58.121) 06.18 88 0
209946 일반 민주당 싫어하는 이유의 절반 이상이 모친인 듯 로붕이(223.38) 06.18 155 2
209944 일반 너네들은 튀기에 대해 어떻게 생각함? [11] ㅇㅇ(223.62) 06.18 245 0
209943 일반 나는 잘사는건가 싶어서 [21] 홈프로텍터a.k.a가사노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207 0
209942 일반 애당초 빈곤층이 왜 보수정당을 찍느냐라는 질문이 잘못됨 [3] 로붕이(118.235) 06.18 166 2
209941 일반 좌파 이념 책 에 관심 가지려면 로붕이(58.121) 06.18 140 12
209940 일반 남한에서 빈곤층이 국힘 더 많이 지지하는 이유는 북한 때문임? [6] 백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75 0
209939 일반 밑글보고 떠오른 생각인데 [4] 홈프로텍터a.k.a가사노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00 0
209938 일반 요새 임승수 자까님 책을 읽는데 솔직히 공감은 잘 안 됨 [8] (61.79)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240 0
209937 일반 개념글 보니까 여기 애들 잘사는 애들 많긴한가부네ㅋㅋ [7] ㅇㅇ(223.38) 06.18 254 6
209936 일반 뜬금없는얘기긴 한데 대학 전공과목 역사는 필수로 해야함 [11] 그래도우리에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69 0
209934 일반 ㄱㅇㄹ)아 사고쳤내 홈프로텍터a.k.a가사노동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48 0
209933 일반 아버지에게 전대협 이야기 들으니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16 1
209932 일반 사실 호남도 굉장히 보수적인 동네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50 1
209931 일반 이런거보면 로갤러(39.118) 06.18 48 0
209930 일반 십덕짤 그래도우리에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48 0
209928 일반 백계러시아인 후손 39입니다 로붕이(39.118) 06.18 93 0
209927 일반 우리나란 특이한 계급정치가 있음 [30] 로붕이(223.62) 06.18 260 1
209926 일반 근데 난 급진 좌파는 몰라도 리버럴 왼쪽은 [9] 로붕이(58.121) 06.18 209 0
209925 일반 노동당은 원래 로붕이(211.36) 06.18 89 0
209924 일반 여기 보니까 진보되려면 어느정도 고학력이어야 되기 쉬운거 같음 [48] ㅇㅇ(61.254) 06.18 382 4
209923 일반 난 인스타보다 디시가 좋드라 [2]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03 0
209922 일반 강남 욕하지말라는건 그냥 이거임 [2] 로붕이(223.62) 06.18 172 2
209921 일반 강남은 조져야지 [13] 로붕이(223.62) 06.18 198 2
209920 일반 민주당=k자민당(기독교색 띈 보수 빅텐트) [4] 로붕이(223.62) 06.18 150 5
209919 일반 내가 공부에 대해 이리 생각하거든? [14] 빨간콩사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52 1
209918 일반 본인 점점 여기서 말짧아지는것같아요 [3]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04 0
209917 일반 요즘 좀 우울했는데 ㅇㅇ(211.209) 06.18 47 2
209916 일반 러브버그가 창궐한 기념으로 공유하는 기사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73 0
209915 일반 아프리카 판도별 양아치 파트리오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51 0
209914 질문 민주당지역대의원 신청해볼건데 이중당적 안되나? [4] joon_j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8 107 1
209913 일반 민주당도 보수정당 [11] ㅇㅇ(118.34) 06.18 459 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