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최초의 순환선인 광주 도시철도 2호선의 성공을 기원하며, 과연 3호선까지 만들어진다면 어떤 모습일까?
2호선 1단계 구간의 공정률은 2021년 10월 현재 24% 정도로, 2024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이고, 2단계 구간은 설계까지 마무리되었다.

1호선과의 환승역이 될 남광주역은 이미 플랫폼이 모습을 드러냈고,

유덕차량기지는 다른 곳들보다 빠른 공사 진척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공정률 33%)
하지만 광주 2호선은 소순환선으로는 첨단, 수완지구의 많은 유동인구를 커버할 수 없기에 기존에 거쳐가려던 광천터미널과 챔피언스필드를 패싱하는 대순환선을 선택하였고 착공에 들어갔다. 광주에서 가장 많은 유동인구를 보유한 광천동 터미널을 거치지 않은 것은 광주 2호선의 고질적인 문제로 자리잡았다. 곧 공사에 들어갈 호남 최대 재개발인 광천동 5600세대 재개발까지 마친다면 이 문제는 더 극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따라서, 광주 3호선 노선 선정의 필수적 요소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1. 광천터미널과 챔피언스필드는 반드시 거쳐가야 한다.
2. 광주 부도심인 첨단 또는 수완지구를 거쳐가야 한다.
1안 (남북선, 총연장 19.8km)

용산지구~봉선동~백운광장(②호선환승)~월산~농성(①호선환승)~광천터미널~챔피언스필드~운암~동림~신창~첨단(②호선환승)~지스트~정부청사~첨단3지구
이는 최근 광주의 명실상부한 부도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첨단지구를 거치고, 앞으로 AI집적단지와 함께 7,400여세대의 아파트가 새로 들어설 첨단3지구를 고려한 남북선이다. 녹동역이 있는 1호선의 용산차량기지와 3호선의 차량기지를 공용으로 쓰자는 주장도 많이 나오지만, 첨단3지구를 거친다면 인근 논밭에 새로 차량기지를 신설할 수 있으므로 굳이 좁은 용산기지까지 연장할 필요는 없어보인다.

첨단3지구의 토지이용계획도 위에 노선도를 그려보았다.
NHN의 세계10위권 인공지능센터는 첨단오룡역 인근에 생길 예정이며, 첨단오룡역 인근에 빨간부분이 상업용지로 첨단3지구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 테크노파크역까지 거쳐서 조금만 더 가면 있는 논밭에 광주3호선 차량기지를 건설하면 될 것이다.
2안 (역U선, 총연장 22.3km)

용산지구~봉선동~백운광장(②호선환승)~월산~농성(①호선환승)~광천터미널~챔피언스필드~운암~동림~신창~수완(②호선환승)~하남산단~흑석사거리~월곡~우산~광주여대~광주송정역(①호선환승)
서울 6호선을 거꾸로 뒤집어놓은 듯한 역U자형 노선이다. 이 노선은 부도심인 첨단지구는 거치지 않지만 인구 7만명에 달하는 수완지구를 거치고, 광산구의 많은 택지지구를 거쳐 광주의 철도중심인 광주송정역에 종착한다. 이는 기존 광주2호선 계획에 포함되어 있었던 (현재는 취소된) 지선1(터미널선)과 지선2(광산선)의 대부분의 지역을 커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광주여대역부터 광주송정역까지는 기존 호남선 철도노선을 활용하면 될 것 같다.
차량기지 부지는 마땅한 곳이 없어서 동림역과 보건대역 사이의 논밭을 활용했다.
3안 (남북선, 2호선효천선 연장)

3안은 기존의 효천선을 활용하여 연장하는 방안이다. 이미 부산 3호선 2단계로 계획되어 있던 반송선 또한 4호선이라는 다른 노선으로 운행된 선례가 있으며, 과거 3호선 계획들에서 모두 광주3호선의 노선색이 보라색으로 표시되어있던 것을 근거로 많은 사람들이 효천선은 사실 3호선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필자는 그 의견에 동의하기는 어려운데, 효천선은 과거 소순환선 계획 때부터 2호선에 함께 붙어있었으며, 2호선 건설 예산에 이미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3호선의 일부가 아닌 '2호선의 지선'이라는 기존 계획대로 운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렇게 광주 3호선의 가상노선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2호선의 저심도 경전철 방식이 성공을 거둔다면 3호선 또한 비용도 적고 도심미관도 적게 해치는 저심도 경전철 방식을 채택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개인적으로는 남북선인 1안이 가장 마음에 들고 현실적이라고 생각하는데, 21개역에 20km 밖에 되지 않아서 1조원 초반대에 지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44개역, 41.8km의 2호선이 2조원 초반대가 들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