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자료&번역] 파시즘이란 무엇인가?앱에서 작성

민족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2.01 20:45:21
조회 856 추천 22 댓글 1
														

7bed8973b0826dfe3cec84e044857173c207214357d34b56d98b6e5f7f346881

"파시즘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파시즘을 정확히 알고싶은 사람들 사이에서 상당한 주목과 이슈를 일으키고 있습니다. 유감스럽게도, 게오르기 디미트로프(Georgi Dimitrov)와 조나 골드버그(Jonah Goldberg)와 같은 인물들의 잘못된 해석으로 인해 정확한 답변을 하는 과정에서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특히, 움베르토 에코(Umberto Eco)의 설명은 저에게는 만족스럽지 않게 다가옵니다. 제 글을 읽은 독자들은 '로저 그리핀(Roger Griffin)'의 개념과 "일반 파시즘(generic fascism)"이라는 용어 사용을 알아차릴 것입니다. 저는 그리핀의 모델이 파시즘을 분석하기 가장 실용적이고 직관적인 틀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핀은 "파시스트 최소(fascist minimum)"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파시스트로 분류되기 위해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적 특성을 개요로 제시합니다. 그는 일반 파시즘(generic fascism)이라는 개념을 소개하여 인물, 운동, 관행, 정책 등 다양한 파시스트 개체를 아우르는 용어로 사용합니다. 이 개념은 일반적인 국가 사회주의(generic national socialism)로 설명될 수도 있으며, 정치적인 제3의 길(Third Way)이나 제3의 위치(Third Position)의 틀 안에 위치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핀에 따르면, 이상적인 유형의 파시즘은 중추적인 원동력과 세계관을 창조하기 위한 기본적인 설계도를 중심으로 구성됩니다. 이러한 결론은 "공감(역지사지)"이라는 방법론을 통해 도출되는데, 이는 파시즘을 파시스트들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최종적으로, 그리핀은 파시즘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간결한 한 문장으로 정의합니다.

"파시즘의 본질은 다양한 변형에서의 신화적 핵심인 역사순환(palingenesis)이고, 이는 대중적인 초국가주의(ultranationalism)의 형태로 나타난다."

- 로저 그리핀, 《파시즘의 본질》
여기서 우리는 파시즘을 형성하는 개념들을 세 가지로 분류하고 그들의 조합이 어떻게 파시즘을 창출하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역사순환설(palingenesis): 역사순환설은 파시즘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새로운 출발이나 재탄생을 강조합니다. 이는 과거의 영광스러운 시기로 회귀하거나 새로운 국가적 혁신을 이루는 것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2. 초국가주의(ultranationalism): 초국가주의는 극도로 강조된 민족주의로, 개별 국가의 이익과 우월성을 강조하며 타국과의 충돌을 견딜 준비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 대중주의(populism): 대중주의는 일반적으로 대중의 이해와 지지를 얻기 위해 경제적, 사회적 불만이나 불안을 이용하는 정치적 전략을 말합니다. 이는 대중의 관심과 지지를 얻기 위해 강력한 리더십과 단순화된 메시지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들이 융합되어 파시즘을 형성하며, 이는 극단적인 정치 이념의 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역사순환설(palingenesis)에 관하여: 부활의 주제는 종교의식(세례와 같은)에서 상징화된 신화적 역사순환부터 영혼의 여러 생애를 통한 환생에 대한 믿음까지 다양한 전통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납니다. 그러나 이러한 오랜 전통적인 개념들은 파시스트적인 부활 개념과 혼동될 수 있어 오해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그리핀은 파시즘에서의 부활은 종종 단순히 역사적인 부흥의 희망이나 현 상태의 지속과 연관되어있다는 잘못된 관련성으로 오해되는 경우가 많다고 명확히 밝힙니다. 이러한 혼동은 역사순환설(palingenesis)과 부적절하게 비교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공산주의, 보수주의, 자유주의 등 다양한 이데올로기에서 자리를 잡고 있는 개념입니다. 정치 지도자들은 과거의 더 나은 시절을 상기시키기 위해 향수를 오랫동안 이용해왔습니다. 예를 들어, 레이건(Ronald Reagan)과 트럼프(Donald Trump) 대통령이 사용한 "Make America Great Again"이나 빌 클린턴(Bill Clinton)이 인정한 "Return to normalcy"와 같은 슬로건이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그러나 파시즘의 맥락에서의 부활은 과거의 영광을 되찾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사회적 구조의 확립을 통해 깊은 민족 정체성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입니다.

파시즘은 보수주의와 반응주의적 사고로부터 벗어나, 단순히 현 상태의 유지나 과거 정권의 부활을 추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것의 야망은 불변의 국가 유산의 본질로 인식하는 것에 영감을 받아 전례 없는 현실을 창조하는 것입니다. 역사학자 A. 제임스 그레거(A. James Gregor)는 이러한 지속적인 요소들이 종종 문명적인 신화로 등장하며, 이는 민족적 정체성의 기반이 됩니다. 예를 들어, 독일인들을 위한 아리아 중심의 게르마니아(Germania), 이탈리아인들을 위한 로마니타(Romanita), 스페인인들을 위한 히스파니다드(Hispanidad), 러시아인들을 위한 유라시아(Eurasia), 일본인들을 위한 팔굉일우(Hakko Ichiu), 중국인들을 위한 문명(Wenming), 인도인들을 위한 아칸드 바랏(Akhand Bharat) 등이 있습니다. 그는 또한 파시스트 이념이 니체의 "좋은 유럽인(Good European)" 개념도 흡수한다고 지적합니다.

7bed8973b0826dfe3cec84e044857273d70d569677cbd53d44fdb57e872f


파시즘은 아리안 신화를 기반으로하여 신화적이고 문화적으로 풍부한 새로운 존재의 비전을 창조하며, 역사적인 부흥 이상으로 이러한 측면을 존중하는 계층적인 사회를 형성합니다. 이는 종종 "혁명적 유기체 민족주의"로 불리며, 법적인 정치적 기동부터 강제력과 가능한 혁명까지 다양한 전술을 통해 기존 질서를 교란하려는 의지를 갖게 됩니다. 권력을 쥐었을 때, 파시즘은 초국가주의적이고 아리아 중심적인 이념과 깊게 얽혀있는 독특한 새로운 시대를 창조하고자 합니다. 이를 "뿌리 깊은 현대주의(Rooted Modernism)" 또는 "반동적 현대주의(Reactionary Modernism)"라고 부르며, 원소적이고 이상화된 가치와 깊게 얽혀있는 형태의 현대성을 지닙니다. 파시즘은 현대주의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의 상태를 활성화 또는 재생성을 통해 개혁하고, 특정 아리아 이상주의에 의해 형성된 미래를 선호하는 현대성을 상상합니다. 이는 각각의 파시스트 그룹에 특유한 재료와 미적 관행을 사용하여 형성된 미래를 지닌 현대성을 상상합니다.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 독일이 채택한 "빼어난 고전주의(stripped classicism)"라고 하는 건축 양식은 이러한 아이디어를 보여주는 예입니다. 이 양식은 고전적인 소재를 현대주의적인 스타일과 융합하여, 숭고한 역사 속에 근간을 둔 진보를 상징화합니다. 빼어난 고전주의 단독적으로 파시스트 국가와 결부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정부가 다양한 이데올로기적 내러티브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었습니다. 파시스트 운동은 특히 이 양식이 현대적인 진보와 역사적인 위엄의 이중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어, "건강하고 유기적인" 원칙에 근거한 미래의 비전을 육성하였습니다. 히틀러의 영향을 받아 "국민의 자동차"로 디자인된 폭스바겐 자동차는 이러한 개념을 대변하며, 이상적인 "가족"을 위한 교통수단으로서의 현대성을 상징합니다. 이 디자인 철학은 영향력이 크다는 점에서 2006년 "현대주의: 새로운 장르를 디자인하다" 전시회에 포함되었습니다. 이는 그 지속적인 영향력을 보여주는 전시회입니다.

파시즘의 새로운 시대를 시작하려는 노력은 역사적 가치를 연상시키며, 변형과 재생을 상징하는 불사조(Phoenix)가 재생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이는 헤겔의 "지양(sublation)" 개념과 유사한데, 이는 구조적으로 이전의 체계를 부정하고 보존함으로써 새로운 고도의 질서를 열어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파시즘은 기존의 체계를 해체하되, 선택된 소중한 요소들을 유지하여 자신이 우월하다고 여기는 사회적 모델을 형성하려고 합니다. 오카쿠라 카쿠조(Okakura Kakuzō)는 이러한 뿌리 깊은 현대주의를 "옛 본질을 잃지 않으면서 새로운 형태를 환영하는 살아있는 아드바이타(Advaita)주의"로 포착하였습니다.

초국가주의(ultranationalism): 특히 파시스트 초국가들과 연관될 때, 초국가주의는 한 국가나 민족의 이익을 다른 모든 이익보다 우위에 두는 강렬한 형태의 민족주의입니다. 이는 특정 국가의 본질적 우월성을 믿는 점에서 일반적인 민족주의와 차이가 있으며, 종종 외래인 혐오와 민족적 통일에 대한 신화적인 집중을 동반합니다. 이는 국가를 의인화된 관점으로 바라보게 하며, 일반적으로 권위주의적 통치를 지지합니다. 이 이념은 파시스트 기업국가의 형성을 이끄는 동시에 사회 계급 간의 협력을 지지합니다. 경제는 길드, 기업, 재산, 연합 등의 단위로 조직화되며, 집단 유기체로 상상되는 철저히 통제된 사회를 향해 나아갑니다.

7bed8973b0826dfe3cec84e044857373a19f324af3e18826c9fbc0e5d038


보존주의는 때때로 파시즘과 구별되는 초국가주의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유형은 외래인 혐오와 유기적 사회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인식상의 퇴화로부터 기존이나 지나간 사회 구조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프란시스코 프랑코(Francisco Franco)와 안토니오 드 올리베이라 살리자르(António de Oliveira Salazar)와 같은 인물들은 이러한 입장을 상징적으로 대표하며, 초국가주의를 이용하여 왕정제와 교회와 같은 오랜 전통을 보호하고 유지하는 데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그들이 지지하는 권력 계층의 지속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보존주의는 이러한 기관들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그들의 약화를 방지하고 이념적 유산의 지속성을 보장하려고 합니다.

파시스트 초국가주의는 다음과 같이 이해될 수 있습니다:

"파시스트 초국가주의는 공공연히 반자유주의적이고 반의회적인 형태의 민족주의를 의미한다. 이는 드 골, 테처 또는 옐친과 같은 재생성적 애국주의를 파시스트로 분류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는 인종주의가 이성화된 형태의 외래인 혐오로 표현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에서 발생하는 편중된  민족주의의 다양성을 포괄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중성과 유연성은 내 "파시스트 최소(fascist minimum)"가 파시즘에 의해 수용된 이탈리아 인종의 다양한 개념과 '백 개의 국기의 유럽'으로 알려진 유럽 파시즘(Euro-Fascism)을 모두 포함하는 이유이다. 이는 전쟁 이후 중요해진 것이다."

- 로저 그리핀, 《파시스트 이념의 재생성적 핵심》

민족중심주의는 종종 아리아 문명 신화에서 비롯되며, 이는 초국가주의의 성격을 형성하고 통일된 역사적 사가를 창조합니다. 파시스트 초국가주의의 핵심은 외부의 격변으로부터 이념을 보존하고 근본적인 신념에 기반을 둔 미래를 형성하기 위한 전략이 있습니다. 이러한 신화의 시작속에서 신뢰성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통해 확립됩니다:

- "역사적인 위대함이나 주장되는 적들에 대한 예전 문화적이거나 정치적인 시기에 대한 심화된 신화적 서술"
- "민족의 우월성과 운명, 퇴보와 하위인간성을 이성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체계화된 생리인류학, 유전학 및 우생학의 단순화된 형태"

- 로저 그리핀, 《파시스트 이념의 재생성적 핵심 》

파시즘은 찬란한 기원 시기와 현재 사이에 극명한 갈라진 차이를 인식하며, 현재를 해로운 영향으로 더럽혔다고 여깁니다. 이러한 쇠퇴는 국가의 진정한 본질을 희석시킨 외부 세력에 원인을 돌리고 있습니다. 따라서 파시즘의 목표는 현대성의 쇠퇴로 간주되는 것을 정화, 해체 및 제거하여 초국가주의와 역사순환의 융합을 위한 무대를 마련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모든 파시스트적 이념이 인종이나 우생학적 정당화에 균일하게 의존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나치 독일과 북유럽 신화와 같은 경우였습니다. 예를 들어, 브라질의 통합행동(Integralist Action)은 초국가주의 운동과 관련된 신화가 다양하고 다문화적인 정체성에 기반을 둘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 맥락에서 초점은 인종 순수성이나 우생학적 원칙에 대한 엄격한 헌신보다는 국가의 독특한 문화 유산을 보호하고 활성화시키는 데에 있습니다.

로저 그리핀은 다음과 같이 언급합니다:

"가장 독특한 창시 신화 중 하나는 원시적 요소와 황금 시대 환상을 혼합한 것으로, 이는 브라질의 통합행동(Integralist Action, AIB)에 의해 개발되었다. 브라질은 수세기에 걸쳐 원주민과 포르투갈 개척민의 후손 및 그들의 아프리카 계통 노예의 후손들이 혼인을 맺으면서 복잡한 인종간 혼합이 일어난 나라이기 때문에, 플리니오 살가도(Plínio Salgado)는 생물학적 순수성, 우생학 또는 신화적인 고대 최상종족에 대한 과학적인 개념에 빠질 수 없었다.

그 대신 그에게 있어서, 브라질의 복원을 위해 필요한 응집력 있는 신화적인 힘을 제공하는것은 브라질리아데(Brasilidade) 운동이다. 브라질리아데(브라질성)운동의 본질은 바로 독특한 인종적, 문화적 혼합에 있었다. 이 혼합은 브라질의 강력한 현대 경제와 정치 국가로의 부상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따라서 AIB는 나치, 레기온, 화살십자당, 우스타샤(Ustaše)와 같은 인종주의자들에게 두려움을 주는 혼혈화 자체를 환영했다.

브라질리아데 운동은 1938년 브라질 독재자 제툴리오 바르가스(Getúlio Vargas)에 의해 금지될 때까지 이어졌다. 살가도는 브라질을 신화, 문화, 정치, 경제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인종혼합 사회의 힘을 입증하는 이상적인 사회실험장으로 인식되도록 운동을 벌였다. 살가도 포르투갈로 안전히 추방된 후, 바르가스는 자신의 정권 아래 AIB의 화합적인 인종혼합 신화를 선전할 수 있었다."

- 로저 그리핀, 《파시즘 - 정치 이론의 핵심 개념》

우선, 초국가주의가 전적으로 국가주의의 틀에 얽매인 것은 오해일 수 있으며, 초국가주의는 전통적인 국가적 경계를 초월하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초국가주의는 개별 국가의 경계를 초월한 초민족적 정체성을 형성하여 전체 인종을 포괄하는 것입니다. 이는 다문화 사회가 인종적 동질성이 특징인 지역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관찰될 수 있으며, 이를 "민족다원주의(ethno-pluralism)"라고 합니다. 이러한 신념체계는 하나의 포괄적인 초국가주의 국가를 옹호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에 걸쳐 자치지역의 특색으로 모자이크를 그리는 것을 지지합니다. 또한, 초국가주의는 어떠한 형식의 공식적인 국가 구조 없이도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국민 아나키즘(National Anarchism)"에 나타나는 것처럼 중앙정부 없이 기능하는 인종적으로 동질적인 공동체로 이상적인 초국가를 제안합니다. 어떤 논리나 형식을 취하더라도, 초국가주의 내에서의 초국가주의의 목표는 항상 "유기적 구성원들"을 통합하여 그 비전을 달성하는 데 의존합니다.

- 대중주의: 대중주의는 통치 엘리트에 의해 무시당하거나 억압당하는 일반인들에게 호소하는 정치적 접근 방식을 말합니다. "보통 사람들"과 "권력 엘리트"의 정체성은 유연하며, 관련 시각에 따라 변화합니다. 예를 들어, 맑스주의적인 시각에서 대중주의는 프롤레타리아(일반 사람들)와 부르주아(권력 엘리트) 간의 투쟁으로 묘사됩니다. 대중주의는 평범하나 소수인 부류, 또는 강력한 소수의 권력에 지배 받는다고 느끼는 이들과 "침묵하는 다수(silent majority)"를 모으려고 합니다. 보수적인 대중주의의 맥락에서, 일반 대중은 전통적인 기관과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동원되며, 이를 보수적인 대중주의 옹호자들은 "문화 맑스주의자(cultural Marxists)", "사회 정의 운동가들(social justice warriors)", "국제주의자(globalists)"와 같은 용어로 규정합니다.

백인 민족주의적 대중주의의 경우, "보통 사람들"은 "백인"으로 인종적으로 분류하는 반면, "권력 엘리트"는 종종 "비백인"이나 특정 소수 그룹인 유대인과 같은 다양한 소수 집단으로 여기며, 다문화주의를 옹호하는 것을 비난합니다. 그러나 백인 민족주의는 파시즘과 구분되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백인 민족주의의 목표는 백인 국가 정체성을 육성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이는 근본적으로 인종적으로 양분되는 백인 우월성이나 분리를 전제로 하는 인종적 계급 구조를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신념 체계는 파시즘 이전부터 존재하며, 다양한 정치 이념과 구조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역사를 통해 백인 민족주의와 백인 우월주의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개량주의에 영향을 받은 주요한 인권주의자였던 미국의 시조들의 행동과 같은 것들입니다. 그러나 파시즘은 이러한 개량주의적 기반을 엄격히 거부합니다. 미국에서는 과거와 현재의 정책들이 인종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미쳤는데, 이는 노예제, 감옥 산업 복합체, 인종차별, 편향된 대출관행 등이 포함됩니다. 백인 민족주의를 가지려면 반드시 파시스트여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인종주의적 신념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둘을 혼동하면 다양한 형태의 인종주의를 단순화된 해석으로 이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백인 민족주의가 파시즘으로 진화하려면, 반파시스트적인 자유주의적 교리와 가치를 완전히 버리고 초국가주의적 부흥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어떻게 파시스트적 대중주의를 정의할까요? 이 맥락에서 대중주의는 다음과 같이 이해됩니다:

"신화적인 에너지에 의해 자발적 또는 인위적으로 충분한 '대중'이 동원될 때 생성되는 '민중의 힘'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

- 로저 그리핀, 《파시스트 이념의 정치적 핵심》

초국가주의적 대중주의는 초국가적 정체성에 의해 정의되는 대중을 단결된 "유기적 질량"으로 개념화하며,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활기찬 단체로 이해합니다. 이 목표는 체제개혁을 시작할 준비를 마친 강력한 개체를 육성하는 것이며, 새로운 사회적 틀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러한 묘사는 초국가주의적 대중주의를 역사순환 운동으로 특징 짓는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운동은 기존 사회 질서의 근본적인 회복과 활기찬 부활을 추구합니다.

"혁명적인 각성의 수단은 '전체 대중'이 될 수 있으며(실제로는 '건강한 구성원들'로 간주되는 이들), 특정 계급이나 사회 집단보다는 여전히 수면 중인 대부분이 '외래적인', 즉 아버지를 죽이는(patricidal) 또는 민족을 죽이는(ethnocidal) 가치에 오염되어 있기 때문에 이상향을 확산하고 권력을 장악하는 영웅적인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선봉대가 필요하다. 새로운 정권에서 '운동'의 일부 선봉대는 새로운 지배 엘리트가 되며, 이는 계급, 권력 또는 부의 기준이 아니라 새로운 국가 질서의 궁극적인 비전에 대한 헌신도와 그 실현에 대한 가치에 기초한 '자연적 엘리트'다. '대중'에 대한 깊은 모순적인 태도 - 쉽게 속는 이들과 잠재적인 영웅으로서의 양면성 - 이러한 것들이 파시즘의 본질적인 특징이다."

- 로저 그리핀, 《파시스트 이념의 정치적 핵심》

결론

로저 그리핀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전통적인 정치 이상을 넘어 파시즘의 복잡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파시즘은 역사순환적인 대중적 초국가주의의 한 유형을 대표합니다. 이는 사회적 쇠퇴의 잔해에서 떠오른 불사조처럼 부활하는 국가의 비전으로, 과거의 위대함과 도덕적 정직성을 되찾으려는 열망을 품고 있습니다. 이 이념은 놀라운 적응력을 지니며, 국민 볼셰비즘(National Bolshevism)과 국민 아나키즘(National Anarchism)과 같은 변형들을 낳으며, 이는 전통적인 좌우 정치적 분단을 넘어서는 제3의 위치를 나타냅니다. 그리핀에 따르면, 파시즘은 종합적인 이상주의적 세계관을 기반으로 사회의 구조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집단의 의지를 향상시키고 회상적이면서도 미래지향적인 국가 부활을 위한 열망을 결합시킵니다.

이상주의 철학에 뿌리를 둔 파시즘은 사회를 형성하는 데 인간의 의식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이 이념은 대중주의, 초국가주의, 신화적 서술, 그리고 형이상학적 이상주의의 기반 위에 복잡하게 얽힌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핀의 분석을 통해 파시즘은 유동적이고 실용적인 이념으로 드러납니다. 이는 사회적 변혁과 국가 정체성의 부활을 위한 강력한 힘으로 작용하며, 국가의 정신과 목적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문화 혁명을 지향합니다. 파시즘은 단순히 집단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강력하고 통일된 국가 공동체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궁극적으로, 파시즘은 역사순환적인 대중적 초국가주의의 한 형태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이 이념은 국가의 정신을 되살리고 그것의 절대적인 주권과 패권을 확립하려는 강력한 열망에 의해 추진됩니다.

7bed8973b0826dfe3cec84e044857c73edc2e86b929aed9ce29ceca86ee7

추천 비추천

22

고정닉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19359 자료& 러시아 파시즘의 역사적 발전 2 민족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211 11
19352 자료& 러시아 파시즘의 역사적 발전 1 [1] 민족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65 10
19343 자료& [친절한 파시즘 2편] 속도와 전쟁의 찬가, 미래주의 -《미래주의 선언》 민족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97 10
19316 자료& 《민족문제연구회 혁명깃발》 [5] 민문회엘.로(118.235) 06.02 374 11
19309 자료& 삼국시대 조상들의 사후세계와 불사정신 [3] 한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1 276 11
19301 자료& 한아람의 도롱 비평 [2] 한아람엘.로(118.235) 05.29 221 6
19149 자료& 《모든 것을 정치화하지 마라》 - lvmb [4] Ch.Maurr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1 334 5
19121 자료& '민주정부'가 아니라 '신자유주의정부'가 맞다 나갤러(218.239) 04.11 194 6
19111 자료& 북한의 민족주의에 대한 입장 [2] 나갤러(223.39) 04.10 245 11
19105 자료& 제1공화국 국가개조운동사 이범석 어록 발췌 민족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9 213 11
19079 자료& 2차대전 독일 최고의 명장, '아돌프 히틀러' [6] PzKu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466 15
19078 자료& 살불살조(殺佛殺祖) [2] PzKu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231 2
19077 자료& 부처의 유훈 PzKu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1 125 4
19070 자료& 자유주의와 전체주의를 넘어 자유협동사회로... 나갤러(218.239) 03.29 159 3
19049 자료& 독일민족자유당의 선언문 및 강령 [1] 한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4 496 19
19003 자료& 담배파이프가 어디 있냐는 질문에 대한 스탈린의 답변 [1] 마린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4 211 4
19002 자료& 공산주의는 동일한 보수를 말하는가에 대한 스탈린의 답변 마린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04 208 6
18984 자료& 역사의 법칙과 인민의 역할에 대한 스탈린의 답변 [4] 마린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7 231 1
18947 자료& 블라디미르 레닌의 영어 연설 마린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97 0
18946 자료& 베니토 무솔리니의 영어 연설 마린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65 0
18945 자료& 아돌프 히틀러의 영어 연설 [1] 마린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126 1
18944 자료& 현대 사회의 우상에 대해 - 율리우스 에볼라 남작 마린스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2 227 12
18885 자료& 의지에 관한 율리우스 에볼라의 견해. [2] 반자유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436 12
18879 자료& 서구식 물질문명이 가져온 폐해 장태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371 16
18877 자료& 신라의 유신과 한국의 유신 장태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62 9
18854 자료& 무솔리니의 "파시즘 정책" 영어판 PDF 스탈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207 6
18837 자료& 4.19주도세력의 10월 유신에 대한 좌담회 나갤러(218.239) 02.04 124 4
자료& 파시즘이란 무엇인가? [1] 민족주의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856 22
18768 자료& 전두환 대통령의 통치이념 - 민족현실의 인식 [1] 김갑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366 3
18763 자료& 사대주의의 배격 김갑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152 4
18709 자료& 해방후 민족진영의 미국식 교육제도 비판 [1] 김갑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303 4
18708 자료& 60~70년대 여성교육 김갑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0 228 3
18664 자료& 매드 모나키스트와의 인터뷰 Itali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04 202 2
18657 자료& 새해인사 나갤러(116.36) 01.01 77 0
18652 자료& 알랭 드 브누아 - 민주주의문제 (1) Hansolius(192.241) 23.12.28 363 5
18651 자료& 펌) 한국 보수,진보의 공통점과 차이점 [1] 무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8 408 4
18644 자료& 한아람은 인류의 미래다. [1] ELO(118.235) 23.12.24 274 2
18643 자료& 해방 이후 순수문학파의 '전통' 인식 김갑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24 227 1
18638 자료& 《유럽의 죽음》 [4] Hansolius(192.241) 23.12.22 432 13
18635 자료& 《아메리카니즘과 위안주의》 에른스트 니키쉬 [1] Hansolius(137.184) 23.12.21 249 10
18631 자료& 《카르나로 섭정국이란 무엇인가?》 [4] 나갤러(46.101) 23.12.20 361 10
18629 자료& 아돌프 히틀러, 세계관에 대하여 김갑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2.19 221 4
18623 자료& 《문명-국가》알렉산드르 두긴 [5] 나갤러(185.220) 23.12.18 502 10
18533 자료& 김대중 개샘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16 127 2
18490 자료&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전쟁의 신 [3] 홍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1 460 18
18480 자료& 한국 내년부터 다인종 국가 [7] 붉은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30 366 0
18474 자료& ❌+월남전 당시 한국군 만행❌+ [3] 산고(118.219) 23.10.28 230 0
18469 자료& 나치갤이 아직도 아람쿤을 못잊고 있나보네요. [4] ARAM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8 553 1
18468 자료& ㄹㅇ (끄덕) [3] 한달갤a이돌앨노(118.235) 23.10.27 264 3
18454 자료& 엔리코 코라디니와 프롤레타리아 민족주의 팔레올로고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0.22 9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