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소식] “美 금리 내려도… 中 부동산 위기-고령화에 韓수출 타격 우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05 20:01:10
조회 210 추천 0 댓글 1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20/0003540683?sid=104


[글로벌 석학 인터뷰]〈3〉 ‘통화정책 전문가’ 랜들 크로즈너 시카고대 교수

“美연준, 3월 인하 가능성 있지만… 신뢰 잃지 않기위해 더 기다릴것”

“美 긴축으로 올해 경기둔화 예상… 바이든 재선, 힘든 도전될 것”

“韓에 필요한건 ‘생산성 성장’ 투자… 민간투자에 인센티브 더 집중을”




《“중국은 현 부동산 위기가 아니래도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저성장기에 접어들었다. 이는 한국 수출에 타격 요인이다.” 세계적 거시경제 전문가 랜들 크로즈너 미국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경제학 교수(사진)의 진단이다. 그는 생산성을 끌어올려 성장 돌파구를 찾아야 한다며 “제조업뿐 아니라 소프트웨어 등 자본집약적 산업에 민간 투자가 활성화되도록 세제 혜택 등을 집중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로 신흥국의 자금 조달 비용 부담은 덜겠지만 중국 경제 둔화와 지정학적 불안이 세계 경제에 어려움을 가중시킬 겁니다.”

세계적인 거시경제 석학인 랜들 크로즈너 미국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경제학 교수는 지난해 12월 22일(현지 시간) 동아일보와의 화상 인터뷰에서 2024년 세계 경제를 이같이 전망했다. 크로즈너 교수는 “특히 중국은 현 부동산 위기뿐만 아니라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장기적 저성장기에 접어들고 있어, 한국 수출에 타격을 주고 세계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짚었다.

크로즈너 교수는 조지 부시 행정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에 이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이사도 지내 금융위기 및 통화정책 전문가로 꼽힌다. 현재 미 재무부 금융조사국(OFR) 자문위 의장, 영국 중앙은행 금융정책위원 등을 맡고 있다.

크로즈너 교수는 팬데믹 당시 ‘돈 풀기’ 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에 연준이 뒤늦게 대응해 역사상 가장 급격하게 금리를 끌어올리긴 했지만 경기 침체 없이 물가를 떨어뜨린 점에 대해 평가했다. 이제 시장의 관심은 연준이 올해 언제부터 금리를 내릴 것인가에 쏠려 있다. 크로즈너 교수는 시장 전망대로 3월 인하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연준은 신뢰를 잃지 않기 위해 더 기다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국 경제의 최대 위협 요인으로는 저출산에 따른 생산성 하락을 꼽았다. 크로즈너 교수는 “생산성이 늘어야 경제가 성장한다”면서 “출산율 제고 정책이 효과를 보려면 20년 이상 걸린다. 민간 투자 활력에 인센티브를 쏟는 것이 생산성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고 평가했다.



―새해는 ‘금리 인하’의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물가가 충분히 내려가고 있다고 보는가.

“연준은 소비자물가지수(CPI)보다 사람들이 실제 소비하는 품목이 균형적으로 반영돼 있는 개인소비지출(PCE) 지수에 더 중점을 두는데, 지난해 11월 근원 PCE(3.2%)를 보면 근본적인 하락세가 보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목표 인플레이션’(2%대)을 향해 가고 있다고 매우 명확하게 말했다. 금리를 더 올릴 필요가 없다는 뜻이다. 그렇다고 곧바로 금리가 내려가는 것은 아니다. 파월 의장이 ‘3월 금리 인하’를 시사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


―그래도 시장은 3월 금리 인하에 무게를 두고 있다.

“만약 물가가 연준 예상보다 더 빨리 하락한다면 3월 인하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1970년대 말, 1980년대 초 연준이 너무 일찍 금리를 인하하고 승리를 선언했다가 신뢰를 잃고 금리가 두 자릿수로 올라갔던 교훈이 있다. 너무 일찍 움직였다가 연준은 자칫 금리를 지금보다 더 올려야 하는 상황을 맞을 수 있고, 그러면 의심할 여지 없이 급격한 위축을 불러올 것이다. 이는 확실히 피하고 싶어 할 것이다. 그래서 (3월보다는) 더 기다릴 가능성이 높다.”



―2년여의 인플레이션 전쟁이 끝나가고 있다. 어떻게 평가하나.

“전 세계 거의 모든 중앙은행이 너무 느리게 움직였다. 2021년 가을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 아니라는 사실이 꽤 분명해졌지만 연준은 2022년 3월부터 (금리 인상으로) 움직였다. 그 결과 이번 금리 인상은 최단 기간 동안 5%포인트를 끌어올린 연준 역사상 가장 급격한 인상이었다. 하지만 미국 경제는 잘 움직이고 있다. 노동시장은 여전히 강하고, 경기 침체의 뚜렷한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 연준이 물가를 낮춘 공로도 인정받고 있다.”



―이렇게 금리를 빨리 올렸는데 경제가 좋았던 사례가 있나.

“극히 드물다. 지금처럼 급격한 인상은 아니지만 1994년에도 금리 인상기에 경제가 덜 흔들렸던 적이 있긴 하다. 하지만 지금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전쟁 등 역풍이 더 심했음에도 경제는 매우 탄력적이었다. 이는 경제학자들이나 연준이 1년 전에는 예상하지 못했던 일이다.”



―왜 과거와 달리 고금리에 따른 급격한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었을까.

“과거와 오늘날의 가장 큰 차이는 미국이 에너지 순수출국이 됐다는 점이다. 이번 인플레이션 동안 발생한 충격 중 하나가 에너지 가격 상승인데, 원유 생산량이 기록적으로 증가한 미국은 이를 방어할 수 있었다. 이것이 유럽이나 다른 지역과의 회복 차이를 만들었다. 둘째,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노동시장 경직이다. 한국도 세계에서 출산율이 가장 낮고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듯, 세계 곳곳에서 고령화가 감지되고 있다.(노동시장 경직으로 금리 인상에도 실업률이 낮게 유지될 수 있었다는 의미다.)”



―경제가 좋은데도 미국인들은 ‘바이드노믹스(Biden+Economics·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경제정책)’에 불만이 많다. 미 대선에 미칠 영향이 궁금하다.

“사람들은 고물가를 정말 싫어한다. 하지만 바이든 행정부는 이를 과소평가하고 일자리 창출에 초점을 맞췄다. 사람들이 일하는 이유는 가족과 함께 더 나은 삶을 누리기 위해서인데, 최근 2년간 임금보다 물가가 더 빨리 오른 것이다. 열심히 일하고 있지만 가족과 외식을 할 수 없고, 더 많은 것을 해줄 수 없다고 느꼈을 때 불만이 커질 수밖에 없다. 올해 미국은 (긴축 누적으로) 경기 둔화가 예상된다. ‘경착륙’까진 아니지만 ‘경착륙 같은 둔화’를 예상하고 있다. 경제는 대선 주요 이슈로 부상할 것이고, 바이든 대통령에게 힘든 도전이 될 것이다.”



―금리 인하가 이뤄지면 세계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 이제 한숨 돌려도 될까.

“연준의 금리 인하로 신흥국들은 부담을 크게 덜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국가에선 미국이나 유럽 같은 인플레이션 압박이 없었는데도 고금리에 따른 자금 조달 비용 부담이 커졌고, (미국과의 금리 격차에 따른) 자본 이탈 압박이 컸다. 따라서 미 금리 인하는 세계 각국 경제에 숨통이 트일 만한 일이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 중국의 성장세 둔화가 예상된다. 이는 전 세계에 어려운 시기가 될 수 있다.”



―올해 세계 경제에서 어떤 점을 특히 우려하고 있나.

“경제적 측면과 지정학적 측면 모두에서 많은 혼란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중국은 부동산 부문과는 별개로 과거에 비해 성장세가 크게 둔화되고 있다. 중국의 문제는 일본보다도 빠른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가 크게 줄어들어 향후 성장이 훨씬 더 둔화될 것이란 점이다.

궁극적으로 경제 성장은 노동시간과 시간당 생산성에 달려 있다.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어 총 노동시간도 내려가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뭔가 해야 한다. 시카고대 연구팀은 국가통제기업과 민간기업 중에서 민간의 생산성이 더 높다는 것을 증명했다. 하지만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민간 부문 활력으로 인구통계학적 변화를 상쇄하기보다 국가 통제로 나아가고 있기에 생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부동산 가격 하락은 중국 가계 저축률 하락으로 소비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팬데믹 이후 재개방에도 중국의 급격한 반등이 어려웠던 것이다. 이는 한국 수출에 타격을 줄 것이다.

또 우크라이나와 중동 전쟁 등 ‘두 개의 전쟁’뿐만 아니라 서방 언론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는 장기전인 예멘 내전과 후티 반군 도발 영향도 우려스럽다. (후티 반군의 홍해 공격 사태처럼) 공급망 타격에 따른 에너지 시장 영향을 걱정하고 있다.”



―당장 올해 한국은행은 연준 금리 인하 시기에 맞춰 움직여야 할까.

“한국은행은 국내 물가에 집중해야 한다. 중앙은행 신뢰 상실의 대가는 크다.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경제의 핵심이자 중장기적으로 중요하다. 이런 장기적 이득을 위해 안타깝지만 단기적인 고통을 조금이라도 경험하는 것은 가치가 있다.”


―중국 경제 둔화 요인으로 꼽은 저출산 고령화는 한국이 더 심각한데….

“세계에서 가장 낮은 출산율을 보이고 있는 한국은 앞으로 ‘생산성 성장’을 위한 투자에 집중해야 한다. 출산율 제고 정책도 중요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런 정책은 효과를 보려면 20년 이상 걸린다. 많은 사람이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이 폐지되면 출산율이 급격히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런 극적인 정책 변화도 실제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사람들의 생각을 바꾸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정된 세제 혜택은 민간 투자 인센티브에 집중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민간 투자를 독려하는 환경을 만들고, 한국이 전통적으로 강한 제조업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 등 자본집약적 분야에 투자를 늘리도록 인센티브를 줘야 한다. 또 다른 방법은 이민정책 변화다. 미국도 출산율이 낮아지고 있지만 이민이 (생산가능인구 증가에) 도움이 되고 있다. 정치적으로 매우 민감한 주제이나 중장기적으로 볼 때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



랜들 크로즈너 교수는


🌑 1984년 미국 브라운대 학사

🌑 1990년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 1990년~ 시카고대 부스경영대학원 교수

🌑 2001~2003년 조지 부시 행정부 대통령 경제자문위 위원

🌑 2006~2009년 미 연방준비제도 이사

🌑 2010년 연세대 SK석좌교수

🌑 현 미 재무부 산하 금융조사국(OFR) 자문위원회 의장

현 영국중앙은행 금융정책위원회 위원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3813586 공지 원자력 떡밥 호출글 [665] 임계원자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08 24720 63
4452239 공지 새보갤 갱신 차단자 목록 [6] Imperisha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17 1750 3
3278425 공지 ⚠+신문고⚠+ [21] ㅇㅇ(223.38) 22.06.19 79582 67
4230953 공지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관리규정 - 2024.02.13 수정 [21] 희망2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2.13 9359 13
3848304 공지 정치성향 테스트 모음 [3] 물냉면비빔냉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5 19398 24
2724969 공지 정성글 등록신청 사무소 [48] 공지(39.7) 22.03.13 29219 29
4480986 일반 북괴는 존재 자체가 그냥 참피네 IRONMARCH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20 3 0
4480985 일반 근데 난 155m 견인포병 이었는데 [1] scif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8 14 0
4480984 일반 정은이가 똥 뿌리니 사람들 관심 가지는거 존웃 [1] ㅇㅅ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7 22 0
4480983 일반 지방선거때 누가 권력을 잡을지 궁금함 대통령임기1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6 17 0
4480982 일반 푸른거탑 방영기때 군번인데 황고환불알대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6 18 0
4480981 일반 대북보복으로 새붕이들을 북에 보내야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5 18 0
4480980 일반 이번 국힘 전대 룰이 젤 중요함 [2] 김자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5 45 0
4480979 일반 멸공아 포기를 모르는 걸 일상에 쓰지 그러냐 ㅋㅋㅋ [2] 위대한체리노수령동지의혁명정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4 43 0
4480978 일반 석열이 저거 개인폰 아이폰임? 으아고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 23 0
4480977 일반 대북방송 근데 큰 의미는 없는거같음 scif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 18 0
4480976 일반 22군번 밑으로는 제발 조용히좀 해주면 안됨? ㅇㅇ(121.133) 22:11 41 0
4480975 일반 갑자기 군인권센터이야기는 왜나왔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 55 1
4480974 일반 유동 여러분 고닉 파시는 거 권장하는 이유 [13] 한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 113 1
4480973 일반 천하람은 아무리 봐도 연수을 나오는게 [4] 정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 51 0
4480972 일반 대북확성기 틀 노래도 투표로하면 팬덤싸움 일어나려나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 37 0
4480971 일반 의대정원확대 이렇게 생각하면 어떠냐 [4] ㅇㅇ(221.139) 22:03 39 0
4480970 일반 개혁신당에 왜케 비만이 많냐 [5] 김자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 109 2
4480969 일반 아니 교황 막말 자주하는 사람이었냐 [1] DRE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9 76 0
4480968 일반 똥풍선 음쓰풍선으로 딜교하면 어케됨? [6] 야스행새쾌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8 53 0
4480967 🎙︎토 금수저 은수저 동수저 플라스틱 기준이 뭐임? [1] ㅇㅇ(118.43) 21:58 29 0
4480966 일반 대북방송도 MZ갬성으로 바꿔야 함 [2] 야스행새쾌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4 79 1
4480965 일반 한두 번 그냥 손 놓고 방치하면 언젠가 진짜 테러 할지도 모르지. 호시노아저씨는으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4 45 0
4480964 일반 생각해보니 아이돌음반 포토카드 뽑는다고 버려지는 게 많은데 [4] Imperisha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3 64 0
4480963 📰소식 배민, 7월1일부터 ‘포장 수수료’ 부과…“음식값 인상으로 이어질 것”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3 115 1
4480962 📕문학 케이팝 노래를 보내면 오물테러를 하니까 76なな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2 33 1
4480961 일반 북한에서 똥풍선을 보낸다고? 개혁보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1 42 0
4480960 일반 참으면 윤일병 못참으면 임병장 이 말 있잖아 김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0 27 0
4480959 📕문학 북괴놈들 개좆된이유) [3] 카리스마겁나큰자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50 78 1
4480958 일반 실베 보니 김여정 이년 생각보다 양반이었네 [1] ㅇㅇ(221.139) 21:50 85 0
4480957 일반 그냥 탄핵소리나오는게 두창이가 제발 해달라고 발악하는걸 어떡함 ㅇㅇ(218.158) 21:50 39 1
4480956 일반 월스트릿저널에 조국 등장ㅋㅋㅋ [1] spinbik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9 95 1
4480955 일반 본인 윤일병때 급식이었는데 무서워했음 김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6 28 0
4480954 📕문학 북한이 똥풍선 그만보내게 하는 방법 [7] 돡붕이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6 90 2
4480952 일반 이글 보고 생각났는데 [3] Imperishab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4 77 0
4480951 일반 푸짐하게 싸지른 똥 야스행새쾌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4 43 0
4480950 일반 북한은 뚱뚱한 몸을 아름답다고 생각한다메 [2] 동탄맘키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3 66 0
4480949 일반 대석열 즉시탄핵이다 이제부터 집회도 나갈거임 [2] 개혁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3 82 0
4480948 일반 김여정 김정은 스카톨로지인가 새보수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2 34 0
4480947 일반 이번 정권이 장병 사건에 대해 개입한 건 김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2 29 0
4480945 일반 김여정 야순이였나 ㅇㅇ(221.139) 21:41 34 0
4480944 일반 이북의 소학생들에게 아이브 앨범을 배달하자 [8] 야스행새쾌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0 83 1
4480943 일반 탈북단체에서 케이팝 usb 보냈었구나 동탄맘키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40 50 0
4480942 일반 뜬금 없어서 웃기노 ㄹㅇ ㅋㅋ ㅇㅇ(221.139) 21:40 32 0
4480941 일반 남경필도 이명박이랑 사이 안좋음? ㅇㅇ(221.168) 21:40 16 0
4480940 일반 북괴 저건 생각보다 포상 같은데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39 25 1
4480939 일반 여정이가 이런 말을 함 시궁창에서 돋아난 저들의 잡사상 [1] ㅇㅇ(39.124) 21:39 39 0
4480938 일반 김정숙 식대가 뭐 TWTW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39 41 0
4480937 일반 북한도 전술핵 처맞았음 ㄹㅇ...jpg  [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38 525 16
4480936 일반 애초에 국힘 보수 아님ㅋㅋㅋㅋㅋㅋ [1] ㅇㅇ(124.199) 21:37 53 1
4480935 일반 수도권쪽 존나 복지 좋네 [2] ㅇㅇ(221.139) 21:36 7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