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뉴비팁 6탄) 터빈열액조 개념 확장하기 (밀봉산업단지, 금속화산 테이밍)

ㅇㅇ(182.229) 2023.06.28 08:10:14
조회 4758 추천 10 댓글 9
														

경고. 터빈열액조를 한번이라도 만들어 봤거나, 명확히 이해한 사람만 읽기를 권장함.


아래 링크에서 이어짐. (뉴비팁 4탄)


지난 시간에 우리는 간단한 열관리 방법과 함께 터빈열액조의 원리에 대해서 알아봤음.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a81fa11d028311869dac7d33bec80aa651fe0de05d26e8b998a5b513e487c6003b9224a38a6963e2fc0bbc80117beba8d


간단히 정리하자면


열액체조화기가 액체를 냉각하면서 발생시키는 열로 수증기를 만들고
125도가 넘는 수증기를 증기 터빈이 95도로 내리면서 전기를 만든다.




오늘은 이 원리를 확장해서 만들 수 있는 몇가지 구조를 소개하려고 해.





1. Industrial Brick (밀봉산업단지 or 증기산업단지)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a81fa11d028311869dac7d33bec80aa651fe0de05d26e8b998a1f046a2f7b6600b3254852f1c363308856463b7d50fb59c2076153


작동 원리


- 모든 기계는 열을 발생시킴.

- 그 열을 터빈에게 먹임.
- 내부 온도가 유지됨.

간단하지?



밀봉을 안하면 계속해서 발생되는 열이 동네방네 퍼질 텐데,

이렇게 터빈이 열을 먹어주기 때문에 내부 온도는 125-150도 정도를 유지하게 돼.




※ 입주민 후보

a76538aa033fb4669234167d9a37c873e16f78878a40af5c4dc04621a0f070
(금속 제련소는 파이프 내부의 냉매 온도가 올라가므로 냉매로 "석유"를 사용해야 함.)
(쓰고 난 냉매는 내부를 한바퀴 돌려서 125~150도 정도로 떨어트린 후 재사용할 수 있음.)



viewimage.php?id=22b3d9&no=24b0d769e1d32ca73dea81fa11d028311869dac7d33bec80aa651fe0de05d26e8b998a1f046a42176506bd294a51f6c2a9b5aa951c5dc1caec4056a214a4d2
(가마는 큰 제약이 없음. 과열온도도 없어서 아무 재료로 만들어도 됨.)



a14110ad231eb466923317659a37c87372bf1b37ad9bcab0b692aade30483d

(유리 제조소는 제작된 유리가 뜨겁기 때문에 내부에서 어느 정도 식히기에도 좋음.)




a1592daa1912b376923316519c09f4738a7800cbee14aa2fda6c06877eacf1

(석유 발전기를 넣을 경우,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내부에 탄소스키머(or 미끌이)가 필요함)

(오염된 물도 배출해서 내부 총 증기량이 점점 늘어나므로 외부로 배출 등 관리가 가능한 레벨일 때 사용하자)

(오염된 물도 증발하면 증기를 만들어내지만 '흙'을 함께 만들어 냄.)





a05204ad231eb36eb63222519d11ccb16ccfda1cefbbf018b30391d8b053139458

(폴리머 프레스에 투입하는 석유와 동일한 온도로 나오는 플라스틱의 온도가 녹는점인 159도를 넘지 않도록 해야 함)

(얘도 증기가 조금씩 나오기 때문에 내부 증기량 관리 필요)


등등이 있음. (kDTU 붙은 애들 한번씩 살펴보자)





안에 무엇을 얼마나 넣느냐는 전적으로 자유고,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직접 하나씩 넣어보면서 나만의 산업단지를 구성해보자고.



주의사항

- 내부 기계는 전부 강철로 만들어야 함.
("기계"만. 열액조는 경우에 따라 금 아말감으로 가능(125+50=175도), 유리제조소는 세라믹. 전선 등 나머지는 아무거나 가능.)
- 터빈을 식힐 열액조 하나는 필수.
- 출입구는 이중 액체벽으로 만들고 사이는 진공 처리. (위 사진 참고. 100도 언저리에서 기화되는 물, 오염된 물 등은 안됨, 원유 권장)
- 듀플은 반드시 환경특수복을 입고 입장해야 함.



이것만 지키면 됨.

터빈열액조를 한번이라도 만들어봤다면 주의사항을 웬만하면 이해할 수 있을거니까 넘어가고,

자세한 설명은 아래 2번에서 좀 더 하도록 할게.








2. 금속화산 테이밍


금속화산을 본적이 있는지 모르겠는데, 땅을 파다보면 가끔 튀어나오는 녀석이지.

a16f10ab1c26b444bef1dca511f11a39018fafcbed787a14be


뜨겁게 녹은 금, 철, 구리 같은 금속이 흘러나와.



그걸 살짝 식히면,

a17d2cad251ab3569233047558db343a9f3dbb4edb9af2a56406c8

제련된 금속이 뙇! (제련을 따로 할 필요가 없네? 개꿀..)




근데 바로 쓰기에는 너무 뜨거워.. (1000도 ㄷㄷ. 이것도 많이 식은거임..)

그래서 터빈열액조 구조를 활용해서 이 녀석을 식히는데 이걸 "테이밍"이라고 해.



여러가지 방법이 있고,
만드는 법은 여기에서 친절하게 설명해주니까 가서 배우도록 하자.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i&no=68441&page=2

(진짜 쉬운 컨베이어 미터 활용 금속화산 테이머)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i&no=63252

(주딱이 원했던 갤에서 보기 드문 진공 전도형 금속화산 뚜껑)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ni&no=44276

(금속 화산 배관 궁금한뉴비 보셈)






나는 이 중에서 쉬운 것보다는 조금 더 복잡하지만 몇가지 개념이 더 필요한 2번째꺼 구조를 설명하려고 함.

알고 만들어보는 것과 아닌건 천지차이니까.



7ceb8871bd8b6df33aee98a518d60403de7e716016ccb7a53762

(요걸 뜯어볼거임)





우선은 금속 화산에서 나온 금속의 이동 경로를 파악해보자.


a04424aa0702b54382332b619d19fcb647d1e362d70fa59827dfd48b35a77fb6abff77bc9990

(기본적으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파이프처럼) 흘러가면서 주변 매질과 열교환을 함)

(첫번째 방(아래쪽)에서 200도 정도로 식고, 두번째 방에서 30~??도까지 식어서 밖으로 나옴)



a1552caa012e76ac7eb8f68b12d21a1d652e14300d87


0 - 14번 순서대로 흘러감.

(혹시나 자동정리기랑 컨베이어 레일을 몰라도 파이프랑 원리는 똑같으니까 한번 이해해보도록 하자.)


0. 고체 (제련된 금속)

1. 자동정리기가 고체를 집어서

2. 컨베이어 적재기에 넣음

3. 컨베이어 브리지 전에 대기하고 있다가 자리가 비면

4. 컨베이어 레일로 들어감

5. 컨베이어 레일 온도 센서가 고체(제련된 금속)의 온도를 감지하고 7로 보낼지 말지를 결정함

6. 아직은 온도가 높아서 6으로 돌아감 (반복) (6번 컨베이어 브리지는 회전 방향 설정용으로 설치된 것)

7. 5처럼 감지한 온도가 적절하게 낮아지면 컨베이어 중단(7)을 열어서

8. 8로 넘어감


(3~8과 똑같음)

9. 3번처럼 브리지 전에 대기하고 있다가 자리가 비면

10. 컨베이어 레일로 들어감

11. 5번처럼 컨베이어 레일 온도 센서가 고체의 온도를 감지하고 13으로 보낼지 말지를 결정함

12. 아직은 온도가 높아서 12로 돌아감 (반복) (12번 컨베이어 브리지는 6번과 마찬가지로 회전하는 방향 설정용으로 설치된 것)

13. 11에서 감지한 온도가 적절하게 낮아지면 컨베이어 중단(13)을 열어서

14. 밖으로 나옴


생각보다 간단하지?

(2탄에서 배웠던 브릿지 우선순위 기억하고 있제? 똑같이 적용됨)





a0583caa1806b36eb63328459d3eddb00df91d2e60362cd66218a86c72cb054d3317


자동화 라인은 간단해


- 처음으로 온도를 체크하는 컨베이어 레일 온도 센서에서 200~220도 이하가 되면 연결된 컨베이어 중단을 열어서 내보내.

(사실 125도까지 온도를 써먹을 수도 있지만 그건 너무 오래걸리기 때문에 적당히 떨어지면 보내는 거야)

(열을 전기로 더 활용하고 싶으면 온도를 낮춰도 되겠지?)



- 그리고 윗 방에서는 25~40도 이하가 되면 밖으로 내보내는 거지. (적당히 원하는 온도로 설정하면 돼)

(여기서는 어떻게 식냐고? 열액조가 터빈을 식히면서 같이 식혀줌)



- 터빈에 'ㄱ'자로 연결된 건,

'온도 센서'에서 200~220도 이상이 되면 스마트배터리가 가득찼든 말든 터빈을 돌리도록 만든거야.

(자동화 출력(배터리, 센서)가 두개 이상일 때는 'OR게이트' 없이도 그 기능을 해서 하나라도 녹색신호를 보내면 녹색신호가 돼.)



- 열액조에 연결된 건 알다시피 파이프로 들어오는 냉매가 15~30도 이상일 때 열액조로 들어가도록 만든거고. ("이상(초과)"인데 사진에서 "이하"로 잘못씀.. 쏘리)







이제 방마다 들어가 있는 물질과 건조물을 살펴보자.


a0583caa1806b36eb633047e9d03ccb113743cd885d4c7a65ad0a6a504c4af2c8c5cef51c9

먼저 첫번째 방은 진공이야.


기체나 액체가 있다면 1500도가 넘는 물질이 나오는 순간 매질을 타고 열이 순식간에 확 올라버릴 테니까.

(자동정리기나 컨베이어 적재기가 바로 고장나버리겠지)


진공이기 때문에 화산에서 나오는 높은 온도의 영향을 다른 건조물들이 받지 않아.





여기서 유심히 봐야할 것은 저 '온도변환 판'인데


a14518ad0a36b3758e322f4d9b3dd46c59149547585e865612744f86bca484

온도변환 판은 주변 3x3 타일의 온도를 빠르게 동일하게 만들어줘.

(이 속의 기체나 액체나 타일에 적용돼. 잔해나 건조물에는 적용이 되지 않아.)



a14518ad0a36b3758e322f4d9b3dd46f8b7b6205c67bacf8dc95543d74d801

차이가 느껴짐?




a14a04aa2536b34da2f1dca511f11a395f2498e2109640614a

그래서 여기서도 3x3 내에서 열전달 역할을 해줘서 (액체 상태일때의) 열을 다이아몬드 창타일로 보내는거야.


고온의 용융 철(액체)도 바로 살짝 식어서 고체화되는 거지.


(혹시 '헐 다이아몬드는 어딨음?' 하는 뉴비는 원유 지대에 깔려있으니 캐도록 하자.)





a0583caa1806b36eb6332e7d9d3ec07385fe423a1ed31a0e230f18e46a4d22

(※ 1,2,3 모든 방에 원유가 깔려있는 이유는 증기(물)보다 석유, 원유가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

(※ 그리고 당연히 1,3번 방에는 증기가 가득하고 2번방에는 수소를 채워서 컨베이어레일이 빠르게 식도록)





1번방 온도는 300도가 넘어갈 일은 없어.


그리고 들어가 있는 구조물들은 '과열온도'가 없기 때문에 아무 재질로 만들어도 무방하지.

(그래도 녹는점이 327도인 납은 피하는게 좋을듯. 혹시 모를 불상사를 대비해서.)




2번방도 아무재질로 가능하지만 55도 이상 올라가기도 하니까 역시 납으로 스마트배터리를 만드는 건 피하자. (납으로 만들면 -20되어 55도부터 손상되니까)




3번방은 175도를 넘어가지 않으니까 열액조를 금 아말감으로 만들어도 됨.

전선이나 자동화 와이어를 납으로 만들어도 되고.




1번방을 식히는건 당연히 위의 증기 터빈이고,

3번방을 식히는것도 당연히 위의 증기 터빈이고,

2번방을 식히는건 3번방의 열액조. ↓


a04424aa0702b54382332b619d19fcb674e8e554f70fa59827dfd48b35a77fb621f726783cad

열액조가 2번방도 식히고 동시에 진공방의 '자동정리기'와 '컨베이어 적재기'의 온도도 유지시켜주는 모습.




그 말은 곧 '자동정리기'와 '컨베이어 적재기'도 열을 방출한다는 말인데,

a17d34ad0a36b54aa634324558db343a5f66e803a18a9772ccc1b1

바로 요놈이 "진공"에서도 온도교환을 하니까.


진공에서는 열을 식혀줄 매질이 '전무'하기 때문에

열을 방출하는 기계들은 계속해서 온도가 올라가서 고장나니까 꼭 필요한 구조야.




마지막으로 전기.

a17d34ac3d0276ac7eb8f68b12d21a1dd415cd7aff7d


- 위 링크에서 가르쳐주는 대로 전도성와이어만으로 구성해도 되고,

- 이렇게 헤비와트 와이어를 넣어도 됨.

- 재료는 납을 포함해서 아무거나 가능.
- 결합판을 통해서도 열이 전달되지만 사이(1번방)가 진공이기 때문에 열이 전달되지 않음.

- 전선이 분출 지점을 지나도록 지으면 녹을 수 있으니 주의.





진짜 마지막으로 사진 하나만 보여주고 끝내겠음.

a14008ad0826b44caa323c6d9d17e8b1e855a7233d218a11b51ba6f72df358d314eb

Ta-dah!


밀봉산업단지 + 금속화산 퓨전!


이렇게도 가능하다는 사실!


(좀 더 간편해 보인다(?) 한번 해보자.)





마그마를 분출하는 화산을 테이밍(화성암 + 지열발전)하는 방법은 조금 더 여러가지 방법이 있으나 원리는 비슷하다고 보면 돼.


필요한 개념이 쪼끔 더 있으니 궁금하면 찾아보도록 하고.


오늘은 여기까지!






추천 비추천

10

고정닉 1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4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865 AD 호요버스 신작 <젠레스 존 제로> 7월 4일 오픈! 운영자 24/06/05 - -
79364 공지 산린이가 참고하기 좋은 연재글 링크 모음 [5]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7 5879 8
79367 공지 산소미포함 공략 모음 (2024.04) [10]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7 14691 11
79045 공지 규칙과 신문고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0 644 9
44876 공지 무한전해조 [42]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16 63819 56
41519 공지 산소미포함 추천 모드들 V2.0 [14] WJ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13 51998 22
82102 일반 청사진 박사 드레스 나왔다 ㅇㅇ(106.101) 15:00 16 0
82101 일반 님들 여기 어떻게 들어감 [3] 트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55 39 0
82100 일반 칼로리 소모 증가 하는 모드나 [3] 사단장(58.29) 13:32 58 0
82099 일반 잭팟 터졌다 ㅋㅋ [2] ㅇㅇ(119.193) 12:43 88 0
82098 일반 올업적 초반엔 물 쓸모가 없는데 [8] ㅇㅇ(223.39) 12:15 94 0
82097 일반 게임 무결성 검사 하고 게임실행 안되는데 .. 이 무슨 .. [2] ㅇㅇ(220.65) 08:55 74 0
82096 일반 이거 될줄 알았는데 안되네 [4] ㅇㅇ(222.238) 03:09 164 0
82095 일반 그냥 공략좀 더 볼까요 [6] ㅇㅇ(49.1) 00:56 156 0
82094 일반 기술을 너무많이찍었나... [6] ㅇㅇ(49.1) 06.07 136 0
82093 일반 석유 슬슬 필요 없는데 [4] 아이리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67 0
82092 일반 시발ㅋㅋㅋㅋ 샨린이 첫 화산개발 다사다난했다 [3] ㅇㅇ(211.246) 06.07 107 0
82091 일반 오물오물콩이 전제 지도에 없는데 어케 구해여? [6] 사단장(58.29) 06.07 106 0
82090 일반 나만의 서증 테이밍 [4] -초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55 2
82089 일반 이걸 왜 이제 알았지 ㅇㅇ(121.139) 06.07 116 0
82088 일반 열액조로 서증 식히는게 비효율적이었구나 [7] 트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36 0
82087 일반 산린이 게임내사고 터진거보면 [2] ㅇㅇ(222.117) 06.07 125 0
82086 일반 아니 육식주의 가장 큰 고비가 고기수급 아니였어? [11] ㅇㅇ(175.208) 06.07 212 0
82085 정보 산소미포함 방 오버레이 목록 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47 5
82084 일반 디자인이나 설비 설계 할 수 있는 외부 사이트 있음? [3] 생갈치1호의행방불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17 0
82083 일반 산린이의 플러팅 [1] ㅇㅇ(122.34) 06.07 154 0
82082 일반 도와줘요 산린이!! [9] ㅇㅇ(122.34) 06.07 165 0
82081 일반 우주로 기지 이사중 [2] ㅇㅇ(211.243) 06.07 133 0
82080 일반 스팀에 보면 본편이랑 DLC(Spaced out) 이거 둘 뿐인데 [7] 빨파초흰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54 0
82079 일반 모든 기체벤트 모드도 완벽하진않네.. RoM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86 0
82078 일반 진공에어록 모드 고장났어? [1] 데리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08 0
82077 일반 기지근처에 천연가스 벤트하나있는데 [7] ㅇㅇ(223.38) 06.07 165 0
82076 일반 역시 모드가 편-안 하네 [6] ㅇㅇ(124.50) 06.07 258 0
82075 일반 자동화 질문좀 [4] ㅇㅇ(222.238) 06.07 119 0
82074 일반 버그 개 킹받네 ㅇㅇ(222.238) 06.07 107 0
82073 일반 수소벤트는 이렇게써도 아무런문제가 안생김 [3] ㅇㅇ(218.157) 06.07 254 2
82072 일반 족뉴비 산린이 큰맘먹고 수소벤트 깠다 [5] 빨파초흰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76 0
82071 일반 이겜 패드로 할만해?? [4] ㅇㅇ(39.7) 06.06 187 0
82070 일반 ㅜ. [3] ㅇㅇ(116.43) 06.06 132 0
82069 일반 화산개발중인데 이거 좀 이상한거 아닌가? [5] ㅇㅇ(121.165) 06.06 243 0
82068 일반 열액조 처음 만들었는데 이거 왜 냉각이 안됨?? [6] 산린이(1.239) 06.06 216 0
82067 일반 960주기 겁쟁이엔딩 본 기지 보고가라 [9] 생갈치1호의행방불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479 8
82066 일반 드럽치 등등 수족 크리터 사육 [3] 사단장(58.29) 06.06 196 0
82065 일반 파이프 동파 안되게 물 넣는 방법 있음? [3] 트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61 0
82064 일반 특별히 한건없지만 [2] ㅇㅇ(49.1) 06.06 161 0
82063 일반 오리지널 테라 시드추천좀 프랜팅팟 주변지형 넓고 [4] ㅇㅇ(223.38) 06.06 130 0
82062 일반 이제 는지렁이 신경안쓰고 [2] ㅇㅇ(223.38) 06.06 137 0
82061 일반 진짜 그냥 냅다 확장 했다. [1] 사단장(58.29) 06.06 203 0
82060 일반 나 산붕이인데 뉴비하나 영입했다 [3] ㅇㅇ(118.235) 06.06 148 0
82059 일반 개발자 생성기 이거 디버그에만 있던거였음? [2] ㅇㅇ(112.157) 06.06 114 0
82058 일반 -장식자랑 ㅋ [1] 지니러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79 1
82057 일반 나보다 장식 더 낮은 사람 있냐? [4] 아무거나하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198 0
82056 일반 building without materials 모드 적용 되나요? [1] ㅇㅇ(218.154) 06.06 71 0
82055 일반 큰일났네 [2] ㅇㅇ(211.106) 06.06 98 0
82054 일반 상추 들어가는 음식 주식삼기만큼 지랄이 또 없다 [9] 아이리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6 285 0
82053 일반 드럽치 얘들 왜 고장났냐 ㅋㅋㅋㅋㅋㅋ [1] ㅇㅇ(121.165) 06.05 20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