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PC] 리뷰: 마이너리그 관리에 대한 비공식적 가이드

어쩌다 OOTP(125.177) 2020.12.06 18:22:45
조회 10638 추천 23 댓글 15
														




* 기존 글 수정 및 보완


===========================================================================


이 글은 아래와 같은 OOTP21 공식 포럼에 있는 내용을 부분적으로 리뷰해 본 것임.

https://forums.ootpdevelopments.com/showthread.php?t=316759


1. 개요


"메이저 감독으로서 마이너리그 로스터는 어떻게 관리하지?" 라는 생각에서 출발.

그러다가 디시 갤에 있는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시리즈 글에 영감을 받음.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otp&no=497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otp&no=1237


위 글의 요지는 OOTP21에서 밝힌 선수성장 요건을 토대로 아래와 같은 아이디어를 제시


- 리그 수준별로 레이팅(Rating Relative to:) 맞춤

- 해당 리그 수준에서 컨택(타자)/스텁(투수), 파워(타자)/무브먼트(투수), 볼 파악 능력(타자)/컨트롤(투수) 등의 3개 레이팅(타자의 경우 5개) 중 2개의 레이팅 합이 20-80 스케일을 기준으로 100이상인 선수들을 주전으로 배치

- 해당리그 시즌 스탯이 타자 OPS+ 130, 투수 ERA+ 130인 경우 승급 대상으로 고려

- 위와 같은 시즌 스탯과 레이팅 성장을 고려하여 아마추어 드래프트 이후와 확장 로스터 이후 승급

이는 레이팅과 스탯을 종합하여 승급의 판단기준을 제시한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함.


그런데 이 글에서 리뷰하고자 하는 공식 포럼 글은 선수 나이와 프로 출전 경험, 시즌 성적(스탯)에 입각한 마이너리그 관리 원칙을 제시한 또 다른 관점의 마이너리그 관리 방식임.


*주: 로스터 관리 관점은 다르지만 로스터 조정 결과는 디시 갤 글과 유사할 수 있음.



2. 부분 리뷰



An Un-Official Guide to Minor League Management for OOTP 21(OOTP21에서 마이너리그 관리에 대한 비공식적 가이드)

This post got a lot of views in the ootp 20 forum, so I'm posting it here since it also applies to 21. This was written with the intent of being in an online league, but it applies to solo games too. When I refer to exporting, know that it's an online function.

An Un-Official Guide to Minor League Management


Intro

Before I start with my guide to minor league management, I have to state the obvious. This is not a science and just because I do it this way, does not mean that it’s the best way. It’s just the philosophy that I use and is my opinion only. The easiest way to win at the ML level, is to ensure you’re winning at the minor league level. Winning breeds winning, so if your minor league players have success, they will have success when they get to the major league level. This doesn’t mean to place your players at a level that they will dominate in, but it’s really just having a systematic approach to your minor league management. To follow this approach, you must have all aspects controlled by you and you alone. Even lineups should be controlled by you. It seems overwhelming at first, and it can be, but this guide will help you manage that. => 자기가 제시하는 방법이 최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마이너리그에서 좀 더 쉽게 이길 수 있는 방법을 돕기 위한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는 내용. 그래서 비공식적 가이드라인이라고 제목 달음.

Chapter 1: Principles of Minor League Management(1장. 마이너리그 관리 원칙)


There are a few quick rules that I stand by, but of course there are exceptions. First, draftees will always start at the lowest age-appropriate level after they sign. I’ll get into this later, but it may be tempting to starting the high school kid in A+ but he’s got to get his feet wet first so be patient.

선수 나이에 맞게 최소 마이너리그 수준을 정할 것. 고교 출신선수를 A+ 리그에서 시작하게도 할 수 있지만 좀 더 인내심을 갖아라. (주: 고교출신 선수는 가급적 싱글 A 이하에서 프로를 시작하도록 하라는 얘기)

Next, don’t promote too soon. Players should, for the most part, spend an entire season at the level they were assigned to. Let them experience the high and lows of the long season. If you’re doing things right, players are not going to dominate their league anyway. If they are, they were likely not placed in the right league to begin the season. Also remember this, if you promote a 2B from A+ to AA in May, there is a cascading effect where you have to move up a 2B in every level below, many of which may not be ready. Patience is key, but of course, if a player is simply dominating to the effect that he’s not being challenged, it’s probably best to move him up. Also don’t promote just because of ratings. Ratings can be flawed and sometimes misinterpreted so you have to look at stats. Even if you're playing without scouts, ratings are still going to have some variance. Let the stats be your guide with ratings only serving as a tiebreaker.

승급을 너무 빠르게 하지 마라. 가급적 배치된 리그에서 전체 시즌을 보낼 수 있도록 하라. 전체 시즌 경험을 통해 단물과 쓴물을 모두 경험하게 해라. 예를 들어, 해당리그에서 5월에 2루수를 승급시킨다면, 이를 백업하기 위해 하부리그에서 아직 수준이 안되는 유사 포지션의 선수들을 줄줄이 승급시켜야 할 수도 있다. 해당 선수가 본 리그를 지배하고 있고, 더 이상의 도전상황이 없을 경우가 승급의 적기임(주: 디시 갤 글에서는 이를 해당 리그를 씹어 먹을 정도의 성적을 보여주는 선수로 묘사함).그리고 레이팅만 보고 승급하지 마라. 레이팅 보다는 스탯(성적)을 확인해라. 스카우터가 없다면(주: 변변한 스카우터를 확보하지 못했더라도) 더더욱 레이팅 보다는 스탯을 토대로 승급을 결정해라.

Players should never be demoted, skip levels, and very rarely should repeat levels. If you promote a player and he is struggling so hard that you think you should demote him, you might want to reevaluate the criteria in which it caused you to promote him in the first place. Players sometimes struggle. Most players will not be ML regulars. If a player was promoted on merit and is legitimately struggling at the next level, accept that he just doesn’t have what it takes. Don’t panic and send him back down after a few bad weeks. Let him ride out the season as minor league fodder and then reevaluate the next spring to see if he’s going to repeat the level or get cut. Remember though, if a player has to repeat a level, you are preventing a player down the line from being promoted, which will then prevent another player the next level down from getting promoted. For the most part, use an up or out philosophy. Also, avoid holding a player back just to limit service time. You risk ruining his development as he will not be challenged. The stunt in development can be more damaging to your organization than simply a year of control. You can always resign him in that case.
절대 강등은 고려하지 마라(주: Morale 문제때문에 그러나 봄. 그러나 개인적 체감으로는 강등시켜도 모랄이 안 떨어지는 선수도 있고, 모랄이 떨어졌어도 오히려 각성하고 스탯 뽑아내는 선수도 있음). 그리고 리그 수준을 한 단계 이상 건너뛰거나 같은 리그에서 한 시즌을 다시 보내게 하는 것은 지양하라. 위에 서술한 방식으로 승급한 선수가 해당 리그에서 좋은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면, 해당 리그에서 필요한 능력이 부재함을 의미한다. 몇 주 후에 다시 내보내라. 마이너리그로서 시즌을 완주한 다음 승급할 것인지 방출할 것인지(주: 또는 트레이드)를 판단하고, 같은 수준의 리그를 다시 보내도록 하지 말 것(주: 승급수준이 안되는데 로스터 공백때문에 승급 시킨 선수는 리그반복을 고려해 볼 필요, 이때의 판단 기준은 갤글이 참고가 될 수 있음). 이는 아래 수준에서 해당 수준의 리그로 승급하는 선수를 막게 되며, 결과적으로 구단 전체에 악영향을 미침. 그리고 메이저리그 서비스타임을 제한하기 위해 마이너리그에 묵혀두지 마라. 이는 해당 선수의 성장을 막게되어 서비스 타임 제한 효과보다 구단 전체의 성장가능성을 저해하는 부작용을 미침.

Don’t be afraid to cut players. I’ve seen it too often where GMs don’t want to release players for the fear that the player will magically turn good. Yes, there’s a small chance that can happen but it’s very unlikely. What ends up happening is that the GM is left with an unmanageable, bloated system that then becomes too much so the GM will have to set it to auto. KEEP TIDY ROSTERS! Your system will benefit as a whole.
선수 방출을 주저하지 마라. 부진했던 선수의 드라마틱한 성장을 희망적으로 기다릴 필요 없다(주: 유망주라도 성장이 더디거나 포텐이나 레이팅이 떨어지고 있다면 가급적 쳐내거나 트레이드를 모색, 유망주를 팔고 오히려 시즌 스탯이 좋은 베테랑을 데리고 와서 Win Now ㄱㄱ). 선수를 쳐내서 가급적 로스터를 깔끔하게 관리해라.(주: 이는 갤글에서도 드래프트 이후 숙청의 시간을 갖으라고 언급한 바 있으며, 숙청의 기준도 레이팅뿐 아니라 스탯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적정해 보임)

Don’t overreact to injuries. It can be an instinct to want to promote a player to replace an injured guy, but unless you have 3 or 4 batters injured at once, let the backups start. They got to that level for a reason so let them play. The team will not suffer if they don’t have a backup 3B for a week, or better yet, assign the backup 3B to some other player on the bench. The goal is consistency. You don’t want to be moving your players up, just to move him down two weeks later when the player recovers. Remember that “don’t demote” rule? Another method is to keep a few “taxi” players on hand. These are guys that will not ever help at the major league level but are around AA quality. What I do is keep them on my DFA list until I need them to fill in for an injury. Since I’m not concerned with their development, they will bounce around and fill in as backups on the depth chart when there’s various injuries throughout the system. When they are no longer needed, they go back on the DFA list. Be careful that you don’t let their DFA time expire.
선수 방출을 주저하지 마라. 부진했던 선수의 드라마틱한 성장을 희망적으로 기다릴 필요 없다(주: 믿음야구 하지 마라. 성장이 더디다면 가급적 쳐내거나 트레이드). 깜 안되는 선수는 쳐내서 가급적 로스터를 깔끔하게 관리해라.(주: 이는 디시 갤글에서도 드래프트 이후 숙청의 시간을 갖으라고 언급한 바 있으며, 구조조정의 기준도 레이팅과 스탯을 함께 고려한다고 언급)

Finally, players will need to follow a linear development path. It’s important to keep players in an age appropriate level. Younger players can go up, but older players should never go down. The next chapter will hopefully explain that linear path.
끝으로, 선수의 성장은 선형적 성장을 보여야 한다. 어린 선수들은 레이팅이 상승할 수 있지만 베테랑 선수들은 절대 레이팅이 하락하면 안된다. 다음 절에 선형적 성장을 유지하는 마이너 관리 체계를 설명한다.

Chapter 2: Where should my players play?(2장. 내 선수를 어디에서 뛰게 할 것인가?) => 신인 선수를 연령에 따라 어느 리그에서부터 시작하게 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

To begin, let’s talk about all levels of the minors and the type of player you would typically find there. DISCLAIMER: Not all MLB organizations have teams in every level. Some organizations only have complex rookie teams and short season A teams. Some have multiple complex teams and/or DSL teams. I wrote this with the assumption that my organization has a team at each level.
구단마다 운영하고 있는 마이너리그 수준이 다르다는 것을 감안하고, 본인은 각 수준별로 마이너리그가 있다고 가정하고 씀.

International Complex (IC): International players younger than 18. Once they turn 18, they need to play in a league. I’m a big believer that players are always better served playing in the minors than being left in the complex. However, a player must play, so if you promote a player younger than 18, make sure he can get playing time in the DSL.
국제 컴플렉스(IC): 포텐 및 레이팅이 괜찮은 18세 미만의 국제선수가 있다면 나이 차서 자동승급(20세) 할때까지 IC에 방치하지 말고 DSL리그로 승급시켜 경기출전 경험을 갖게 함.

Dominican Summer League (R): All international players should go here for their first league. Consider promoting them to a stateside league when they are 18-19.
도미니카 하계 리그(DSL): 18세-19세 국제선수 배치
*주1: 여기에서도 시즌 보내고 구조조정, 최대 인원을 정해 놓을 필요.
*주 2: 나는 도미니카, 베네수엘라, 쿠바, 브라질 등 남미 선수들은 여기(DSL)로 보내고 감독도 가급적 도미니컨 등 남미 감독으로 선임. 선수들과 스탭들과의 관계(Relation)가 좋아지며, GCL, AZL 선수단 인원 수를 쪼개서 출전시간 분배효과가 있음.

Complex Rookie (R) (GCL, AZL): 18-year-old players just drafted and players graduating from the DSL. Some holdovers from the previous draft that didn’t get playing time.
일반 루키(GCL, AZL): 18세 이제 막 드래프트 된 선수(주: 국적 불문), DSL을 마친 선수, 이전 시즌 드래프트 선수들 중 아직 출전경험이 없는 선수들 배치.
*주 1: 남미 선수들은 포텐이 가히 높은 선수를 제외하고는 가급적 DSL로 보내고 남미 감독 선임. 이때 이 리그들에는 기존 시즌 스탯이 없는 선수들이 많기에 갤글의 판단기준(레이팅 50이상이 두개 이상)이 유용하게 쓰임
*주 2: 개인적으로는 위 두개 리그의 전체 Strategy에서 교체빈도, 대수비, 대주자 빈도를 만땅으로 설정하며, 교체시기도 7회 이후부터(Close Game은 예외)로 하여 가급적 많은 선수가 출전 시간을 갖도록 함.
*주 3: 선수 개인별 설정에서 피로도 설정을 통해서도 골고루 출전하게 하는 로테이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음. 뎁스를 직접짤 수도 있으나 이는 커미셔너 모드를 켜야하기에 생략. 이도류 가능한 선수(two way player)는 가급적 해보게 함.

Rookie Advanced (R+) (APP, PIO): 2nd year players drafted out of high school that are not ready for full-season ball(A). Some advanced HS draftees can be placed here as well as 19-year-old JUCO draftees.
어드밴스드 루키(APP, PIO): 풀 시즌(싱글 A)을 치르기에는 이른 고교 출신 프로 2년차, 포텐/레이팅 높은 고교 신인, 19세 대학 신인(주: 주니어 대학 선수(JUCO) = 2년제 대졸 또는 4년재 대학 재학 중 드래프트된 선수) 배치.

Short Season A (A-) (NYP, NWL): College players just drafted and 3rd year high school draftees not ready for full-season ball.
쇼트 A: 풀 시즌(싱글 A)을 보내기에는 아직 이른 대학 신인, 고교 출신 프로 3년차

--------- 여기부터 풀 시즌 --------------------

Single A (A) (SAL, MID): College draftees in their first full season and either 2nd or 3rd seasoned high school draftees. Players should not repeat this level since there can be as many as 5 rookie league teams feeding into this league for some organizations.
Single A Advanced (A+) (FSL, CAL, CAR): Players having completed the prior season in Single A and one or two A+ repeats.
Double A (AA) (SL, EL, TEX): Players having completed the prior season in A+ and a handful of AA repeats.
Triple A (AAA) (PCL, IL): A mix of AA promotions and ML 40-man players. A player repeating AAA without being on the 40-man roster should either be used as a taxi squad player or released.

싱글 A: 쇼트 시즌을 보낸 대학 출신, 고교 출신 프로 2-3년차 선수. 이 리그는 일부 구단의 경우 5개의 루키리그가 참여하므로 이 리그를 두 번 경험하게 할 필요가 없음
(주: 싱글 A 수준에서는 루키리그도 참여하므로 싱글 A는 가급적 1시즌만 경험하도록 함).

Now let’s identify the 2 main types of players and their typical development path. The 2 most common are the 18-year-old high school draftee and the 21-year-old college draftee.

이하, 드래프트 선수 중 가장 일반적인 유형인 18세 고등학교 출신, 21세 대학교 출신 선수를 중심으로 설명.

(1) 고교 출신 선수 마이너리그 커리어 관리

* 주: 제목은 고교 출신이지만 국제 드래프트 출신 10대(15-19세) 선수들까지 포함시켜도 될듯

When a HSer is drafted, the first place he must go is to the rookie complex league. Very rarely will I begin a high school player in R+, unless he’s an advanced high draft pick or one of those annoying 19-year olds. A high school player’s typical development will look like this:
고교 출신 선수를 가장 먼저 배치할 곳은 일반 루키리그(Complex Rookie, R)
단, 저자는 고교 출신이지만 상위 픽 드래프트 선수나 19세(재수?, 1년 꿀음?) 선수를 제외하고는, 고교출신 선수를 R+등급에서 프로를 시작하게 한 적이 없다함.

<고교 출신 일반 선수의 승급 코스>
Year 1: (18) Drafted then placed in Rookie
1년차: (18세) R 에서 시작
Year 2: (19) Start at R+
2년차: (19세) R+에서 시작
Year 3: (20) Start at Single A
3년차: (20세) 싱글 A 시작
Year 4: (21) Start at Single A+
4년차: (21세) A+에서 시작
Year 5: (22) Start at Double A
5년차: (22세) 더블 A에서 시작
Year 6: (23) Start at Triple A with a cup of coffee
6년차: (23세) 트리플 A에서 커피 한잔과 함께 시작(주: 조크인가?)
Year 7: (24) Begin year in ML (24세)
7년차: 메이저리그에서 시작
* 주: 메이저리그 경험까지 총 7년

There are a few things you may have noticed. Where is Short Season A? Well, A- is the year one for college guys. I have moved guys from R+ to A- before because you have to remember that Single A is fed from 2 different levels (R+ and A-), not to mention any repeats. I say two levels because rarely will I move a player from a complex Rookie team to Single A. You may also think that 24 is old to start the first season in the majors, but it’s actually very appropriate if you look at historical numbers.

* 위에 한 얘기 부연 설명이므로 생략

However, some players do develop quicker and may only need a half season at a level. Those players will then get placed on a mid-season promotion cycle. As long as you keep it linear and don’t promote too fast or based just on ratings, you are doing fine. Here is a development path for a quick learner:

그러나 일부 성장이 빠른 선수는 해당 리그에서 반 시즌만 보내고 승급해도 됨(주: 디시 갤에서는 6월 드래프트 이후를 추천).
리그 점프 없이 순서대로 승급시키거나, 너무 빨리 승급시키지 않거나, 레이팅만 보고 승급시키지 않는다면 잘하고 있는 것임.(주: 디시 갤의 승급 판단 기준이 유용 할 듯, (능력) 2개 레이팅의 합이 100이상, (시즌 성적) 시즌 스탯 타자 OPS+ 130이상, 투수 ERA+ 130이상)

<고교 출신 엘리트 선수의 승급 코스>
Year 1: (18) Drafted then placed in Rookie, finished at R+
1년차: (18세) R 등급으로 시작 -> R+로 마감
Year 2: (19) Started in Single A, finished in A+
2년차: (19세) 싱글 A로 시작 -> A+로 마감
Year 3: (20) Started in A+, finished in AA
3년차: (20세) A+로 시작 -> AA로 마감
Year 4: (21) Started in AA, finished in ML
4년차: (21세) AA로 시작 -> 메이저로 마감(주: 커피 타임 없음)
Year 5: (22) Begin year in ML
5년차: (21세) 메이저로 시작
* 주: 메이저리그 첫 경험까지 총 4~5년(고교 일반선수에 7년에 비해 2년~3년 단축, 약 30~40% 단축 효율)

Sometimes hot prospects don’t really need AAA to develop in. The talent level in AAA is not so far off from the ML. If a player is ready for AAA, he might also be ready for ML. Don’t think that you have to give them time in AAA before an ML callup. If the stats and the ratings are there, call him up.
유망주의 경우 트리플 A 경험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음. 트리플 A 선수와 메이저리그 선수 수준은 크지 않음. 해당 선수가 트리플 A 수준에 다다랐다면 메이저리거도 가능하다고 봐도 됨. 트리플 A를 메이저리그 콜업 전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코스로 생각하지는 말 것. 적정한 스탯(주: 갤 기준 타자 OPS+120 이상, 투수 ERA+120 을 찍고 있고, 레이팅도 승급기준(50이상 2개/총 3개, 타자의 경우 Eye, avoid K 포함 5개 중 3~4개, 단, 대수비, 대주자 목적의 콜업은 예외 옵션)에 다다랐다면 메이저로 올려도 됨.

(2) 대학 출신 선수 마이너리그 커리어 관리
College players are mostly going to be either 21 or 22 and they will ALWAYS be placed in Short Season A, never lower. There is a perception that players need to be succeeding in order to develop so one might think that it’s appropriate to place a low round college player in rookie level. He will never develop quick enough to be of any use if he needs rookie ball. Place him in A- and see if the Single A team ever needs him. Since college players are more advanced, they can progress a little quicker so here is a typical path:

대학 출신 선수들의 나이는 대부분 21-22세이며, 항상 쇼트 A(A-)에 배치하고 그 이하로는 배치하지 말것. 21세 이상 선수의 성장폭은 그 아래 연령에 비해 크지 않기 때문에 그 이하 라운드는 고교선수, 20세 이하 대학 출신 선수 등으로 배치하는게 적절. 우선 21-22세 대학 출신 선수들은 A-에서 시작하도록 배치하고 싱글 A팀의 수요를 파악하여 배치를 조정할 것(주: 디시 갤에서는 수준 안 되는 선수 승급보다 마이너 FA를 추천).

<대학 출신 일반 선수의 승급 코스>
Year 1: (21) Drafted then placed in A-
1년차: (21세) A- 리에서 시작
Year 2: (22) Start at Single A+
2년차: (22세) 싱글 A나 A+ 에서 시작
Year 3: (23) Start at Double A
3년차: (23세) 더블 A에서 시작
Year 4: (24) Start at AAA with a cup of coffee
4년차: (24세) 트리플 A에서 커피 한잔하면서 시작(뭐지? 도대체)
Year 5: (25) Begin year in ML
5년차: (25세) 메이저리그 시작
* 주: 메이저리그 첫 경험까지 총 5년, 고등 출신보다는 1세 늦게 메이저 리그 첫 경험

Or

<대학 출신 엘리트 선수의 승급 코스>
Year 1: (21) Drafted then placed in A-
1년차: (21세) A- 등급으로 시작
Year 2: (22) Start at Single A, finish in A+
2년차: (22세) A로 시작 -> A+로 마감
Year 3: (23) Start at Single A+, finish at Double A
3년차: (23세) 싱글 A 또는 A+로 시작 -> 더블 A로 마감
Year 4: (24) Start at Double A, finish at AAA with a cup of coffee
4년차: (24세) 더블 A로 시작 -> 트리플 AAA로 커피 한잔하며 마감
(주: AAA는 커피 한잔 하며 메이저로 가기 위한 여유를 갖는 시간이라는 의미인듯)
Year 5: (25) Begin year in ML
5년차: (25세) 메이저리그 시작
주: 대학 출신 승급 코스는 일반 선수나 엘리트 선수나 모두 25세 메이저리그 첫 경험. 엘리트 효율 없음. 고교 출신 엘리트 선수에 비해 3세 늦게 메이저 첫 경험.

Again, that is typical. Your team needs and player evals will determine if you’re going to start a 2nd year college draftee at A or A+. Your more advanced college players might be ready much sooner. An accelerated path would go like this:
하지만 이는 일반적 유형이며 팀 수요와 선수 성적에 따라 승급이 빨라질 수 있음

<대학 출신 엘리트 선수의 승급 코스 - 속성 코스(Fast Track)>

Year 1: (21) Drafted then placed in A-, finish at A or A+ (Skipping A may be acceptable)
1년차: (21세) A- 등급에서 시작 -> A 또는 A+에서 마감(A는 생략 가능)
Year 2: (22) Start at Double A, possibly finish at Triple A
2년차: (22세) 더블 A에서 시작 -> 트리플 A에서 마감(주: 커피 마시라는 말은 없음)
Year 3: (23) Start at Triple A, finish at ML
3년차: (23세) 트리플 A에서 시작 -> 메이저리그에서 마감
Year 4: (24) Begin year in ML
4년차: (24세) 메이저리그에서 시작
(주: 엘리트 선수 기준 일반 코스에 비해 1년 단축, 고졸 일반 선수에 비해 약 0.5년 빠른 메이저 첫 경험 가능, 고등 엘리트에 비해서는 1.5세 가량 늦음)

If they are even more developed, they may skip AAA and reach the majors in year 2, but that is rare and should be reserved for players dominating AA with the ratings to back it up.
트리플 A를 건너 뛰어 2년 만에 메이저 첫 경험을 할 수 있는데, 이런 경우는 매우 드물며 AA에서 씹어 먹는 성적과 레이팅이 뒷받침될 경우에만 가능.

* 참고: 주요선수 메이저 코스웍

Mike Trout(고교 엘리트 코스), 프로 시작 3년차 중에 메이저 머리 올림
- 17세 고졸 후 프로 시작(1라운드 25번 픽)
- 17세(1년 차) R->A, 18세(2년 차) A-> A+, 19세(3년 차) AA->ML(AAA 스킵), 20세(4년 차) AAA->ML, 이후 ML

Juan Soto(인터네셔널 엘리트 코스), 프로 시작 3년차 중에 메이저 머리 올림
- 17세 인터네셔널 드래프트
- 17세(1년 차) R->A-, 18세(2년 차) R-> A, 19세(3년 차) A->A+->AA->ML(AAA 스킵), 이후 ML 풀 타임

Shane Biebier(대학 엘리트 코스), 프로시작 3년차 중에 메이저 머리 올림
- 21세 대졸 후 프로시작(4라운드)
- 21세(1년차) A-, 22세(2년차) A-> A+-> AA, 23세(3년 차) AAA-> ML, 이후 ML 풀타임

Walker Buehlr(대학 엘리트 코스), 프로 시작 2년차 중에 메이저 머리 올림
-18세 고졸 후 드래프트(14라운드), 거부 -> 대학진학
-21세 대졸 후 프로시작(1라운드)
-21세 R -> A
-22세 A+ -> A -> AAA -> ML
-23세 A+ -> AAA -> ML, 이후 ML 풀 타임

Justin Turner(대학 일반 코스), 4년 차 중에 머리는 올렸으나...
-20세 대재 중 드래프트(29라운드), 거부 -> 드래프트 재수
-21세 대졸 후 프로시작(7라운드)
-21세 R, 22세 A -> A+, 23세 A+ -> AA, 24세 AAA -> ML,
25세~27세 AAA~ML, 28세 R-> A- -> A+ ->AA -> ML -> A+, 29세 이후 ML 풀 타임


Chapter 3: How to Keep it Organized(3장. 구단 관리 방법) => 디시 갤과 내용 유사.

Now that we have talked about the most basic principles and have a better idea on where players should be playing, we can over how the hell to keep it all organized. The initial set-up can honestly take an hour, but once it’s set up, it begins to work like a well-oiled machine. The easiest way to go about it is to keep a schedule. A basic framework is this:

1. Start of Spring Training: Move all players that you want to call into camp to the ML ST roster and begin promoting the players that you know are moving up. Depending on how you manage your spring training, you can begin the next step early.
스프링 트레이닝 시작: 테스트하고 싶은 선수를 ML 선수명단에 넣고 테스트해 봐라.

2. End of Spring Training: Consider this day a national holiday. It’s the most time consuming, but also the most rewarding aspect of managing your system. It can take you up to an hour or more. SAVE OFTEN and don’t forge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23

고정닉 6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102345 공지 ⚾신작 주요 업데이트 내역 정리 [24] 장칼로스탠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3 3857 17
103181 공지 OOTP GO 25 출시 [10] 장칼로스탠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05 3034 9
18900 공지 [ OOTP 공략&정보글 ] [41] 장칼로스탠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25 118168 67
102162 공지 ❗뉴비필독❗ 뉴비질문 자동응답기 0.3 [1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21 3506 11
101557 공지 OOTP 25 출시 장칼로스탠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3.16 2271 0
85656 공지 신고&문의 [8] 장칼로스탠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1223 0
18327 공지 OOTP 갤러리 규칙 [6] 장칼로스탠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0.12 7026 42
29289 공지 오린이 이것만 따라하자 [2] 장칼로스탠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11 71078 24
6608 공지 OOTP 게임 내 모든 용어 번역&설명 (스압) [27] 장칼로스탠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11.26 69812 150
106378 PC 투혐 당했네 ㅇㅇ(61.254) 01:17 8 0
106377 모바일 이도류가 있긴 있구나 ㄷㄷ [1] ㅇㅇ(106.101) 05.30 66 0
106376 PC 모팁 크보 라이브스타트 갱신 언제 되는거? Pwrht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9 0
106375 질문 24) 임포트 익스포트 이거 기능 작동 안되는 거임? ㅇㅇ(211.204) 05.30 28 0
106374 PC 은퇴한 선수나 올해 등판 안 한 선수 게임로그 누르면 튕기는거 어캄? ㅇㅇ(39.124) 05.30 29 0
106373 PC ㅅㅂ 유저한테만 엄격한거 ㅈ같네 [3] ㅇㅇ(220.72) 05.30 134 0
106372 PC 닉 로프틴 얘 왜캐 좋음? [2] ㅇㅇ(121.189) 05.30 114 0
106371 퍼펙트 자랑 한 번 하자. 이런 날도 있네 [3] ㅇㅇ(58.232) 05.30 112 2
106370 PC 이 겜 설정만 따로 저장 못함? [2] ㅇㅇ(223.62) 05.30 69 0
106369 PC 똥클 세번째 시즌 ㅇㅇ(175.118) 05.30 43 0
106368 모바일 드랲 1라 누구 뽑을까 ?? [2] alene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26 0
106367 PC 이게 말이되냐 이은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48 0
106366 PC 사이영을 탔는데 신인왕을 못타네 투혐겜 [7] 밤피이글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68 1
106365 PC 이 새끼는 진짜 약빤건가 [2] 밤피이글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28 0
106364 PC 러치맨 이새끼 보트 왤케 자주타 시발 [2] ㅇㅇ(125.181) 05.30 60 0
106363 모바일 스쿠발 뭔짓했길래 성격에 지능 낮음 으로 되어있냐 [3] ㅇㅇ(118.235) 05.30 141 0
106362 PC 샌프 1년차 우승 성공!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6 0
106361 PC 개발센터 한글 텍스트 안나오는건 고쳐줄까? [6] ㅇㅇ(106.101) 05.30 104 0
106359 모바일 늅) 크보만 하다가 믈브 처음해봤는데 [1] ㅇㅇ(221.157) 05.30 106 0
106358 PC 리그 기록이 2개로 나뉘어 보이는데 이거 왜이럼? [4] ㅇㅇ(58.29) 05.30 96 0
106357 PC [OOTP 25] 이번작은 일본리그 저작권 훼손 못하게 막아버린듯 [3] ㅇㅇ(61.97) 05.30 210 0
106356 모바일 휴스턴 2년차 우승 성공!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65 0
106355 PC 드래프트 버그 나만있음? [4] faads(59.20) 05.30 89 0
106354 질문 뉴비 유망주 질문좀 [4] ㅇㅇ(58.29) 05.30 88 0
106353 모바일 이정후 어떻게 데려옴? [1] ㅇㅇ(175.115) 05.30 109 0
106352 PC 일찍 콜업하면 에이징커브가 빨리오나? [2] ㅇㅇ(115.145) 05.30 114 0
106351 모바일 베이스 충돌로 부상? 하6주 개망 매애엔(211.114) 05.30 36 0
106350 PC 콜로라도 하는데 왜 나만 계속 개막전 1주일식 일찍 하냐 ㅇㅇ(211.234) 05.30 56 0
106349 PC 이거 스몰마켓은 왕조건설 하려면 [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78 0
106348 PC 25퀵스 ㅇㅇ(119.206) 05.30 45 0
106346 PC 키움무브 보니까 지명권 틀드에 죄책감 안느껴도 될듯 [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71 1
106345 PC 소토 12년 3억5천인가 연장 계약했는데 버근가? [5] ㅇㅇ(223.39) 05.30 116 0
106344 모바일 배지배 크보폭격 ㄷㄷ [2] Wagy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231 1
106342 질문 모팁 크보 라이브스타트 어떻게함? [1]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80 0
106341 PC 이거 나중에 등번호 부족해질라나..? [5] 잉잉이(112.187) 05.30 158 0
106340 모바일 오리올스 2년차 우승 성공!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110 0
106339 모바일 오리올스 1년차 월시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53 0
106338 모바일 크보 투수들 너프 너무 심하게한거 아니냐 [3] ㅇㅇ(211.234) 05.30 273 0
106337 모바일 애틀란타 브레이브스 가볍게 1년차 우승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30 74 0
106336 PC 다들 한글판으로게임함? [12] ㅇㅇ(180.68) 05.30 156 0
106335 PC Chat gpt이용해서 겜하니까 뭔가 재밌네 ㅋㅋㅋ [4] ㅇㅇ(110.12) 05.30 240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