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게이머 뒤통수 제대로 맞았던 2020년, 게임 10대 뉴스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12.29 18:33:13
조회 170 추천 1 댓글 0
														
[게임메카=김미희 기자] 2020년은 역대급 한 해였다. 전세계를 덮친 코로나19를 포함해 초유의 사태가 연이어 터지며, 기대를 품고 있던 게이머들의 뒤통수가 남아나지 않았다. 특히 대표적인 사건은 몇 년이 지나도 기억날 정도로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게이머들을 충격에 빠트렸던 수많은 이슈 중에서 임팩트가 컸던 종류로 엄선한 2020년 10대 뉴스를 살펴보자. 더불어 다가오는 2021년은 전염병 이슈가 사라지길 희망한다.

1. 오프라인 부스 없이, 온라인으로 열린 지스타

온라인으로 열렸던 지스타 2020 무대 현장 (사진: 게임메카 촬영)

[관련기사]

코로나19로 전세계 게임쇼는 차이나조이를 제외하면 대부분 취소되거나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지스타 역시 역대 처음으로 온라인으로 열렸다. 그러나 올해 지스타를 한 마디로 표현하면 ‘팥 없는 찐빵’이었다. 게임쇼 전체적으로 내실이 부족했고 관심도도 떨어졌다. 국내외 게임사 다수가 불참하며 콘텐츠 부족에 시달렸는데, 예능 프로그램을 동원해 빈틈을 메우려 했으나 역부족이었다.

가장 큰 원인은 준비 부족이다. 주최측이 온라인 전환을 발표한 시점은 개최를 불과 두 달 앞둔 9월이었다. 촉박한 준비 기간 탓에 출전업체 섭외 시간이 부족했고, 결국 게임쇼 전체에 구멍이 숭숭 났다. 여기에 방송 중 소리가 안 들리는 등 운영 이슈도 있었다. 내년도 온라인으로 개최해야만 한다면 철저히 준비해서 ‘온라인 지스타도 괜찮네’라는 이야기가 나오기를 바란다.

2. 오락실 줄폐업, 그리고 영업 직격타 맞은 PC방

6월 폐업한 '철권 성지' 노량진 정인오락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게임산업 중에서 코로나19에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분야는 대중에게 게임을 제공하는 게임제공업소, 그 중에서도 PC방과 오락실이다. 특히 오락실은 빈사상태에 놓였다. 철권과 스트리트 파이터, KOF 등 전국 격투게임 고수가 모였던 노량진 정인오락실은 6월 문을 닫았고, 리듬게임 성지로 자리했던 사당 모펀게임센터도 지난 10월에 셔터를 내렸다. 오락실 줄폐업은 갑자기 생긴 일은 아니다. 대전격투나 리듬게임 등의 주무대가 오락실에서 가정으로 차츰 이동하며 힘이 빠지는 중, 코로나19가 결정타를 날렸다. 2020 게임백서에 따르면 올해 아케이드 게임시장은 2019년보다 56.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PC방도 비상에 빠졌다. 지난 8월에는 청소년 이용자가 많다는 이유로 고위험시설로 지정되며 많은 매장이 집중된 수도권에서 한 달 동안 영업 자체가 중단됐다. 9월 중순이 되어서야 겨우 영업정지가 풀렸으나, PC방 매출을 책임지고 있는 먹거리 판매가 금지돼 허울 뿐인 영업 재개였다. 좌석마다 칸막이가 설치된 경우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조정된 것은 나중 일이다. 분명 방역은 중요하지만, PC방 산업에 대한 최소한의 이해 없이 산업 전체를 셧다운 시킨 정부의 몰이해가 아쉬운 부분으로 남았다.

3. 게임 싱의 간소화, 개발사가 직접 온라인으로

게임 연령등급 (사진출처: 게임위 공식 홈페이지)


지난 11월, 업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법이 국회를 통과했다. 게임사가 온라인으로 직접 게임을 심의하고 등급을 매길 수 있는 법이다. 현재는 게임위나 애플, 구글과 같은 자율심의 권한을 가진 오픈마켓 사업자만 등급분류가 가능하지만, 법이 시행되는 2021년 말부터 게임사가 개별로 심의를 진행할 수 있어져 심의 기간과 비용, 진입장벽이 단축된다. 다만, 청소년이용불가 게임은 지금처럼 게임위 심의를 받아야 한다.

심의 문턱이 낮아진다는 것은 업계 입장에서 청신호다. 다만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 게임사 스스로 엄격하게 연령등급을 매기지 않는다면 낮아진 심의 문턱이 다시 높아질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15년 만에 전면 개정되는 게임법에 대해 ‘규제 완화와 자율규제’를 주장하는 게임업계도 자유에 따른 책임을 한 번 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4. 중국, 4년 만에 한국 게임에 판호 발급

서머너즈 워 판호 발행 결과 (자료출처: 중국 광전총국 공식 홈페이지)


서머너즈 워가 중국 서비스를 위한 허가인 판호를 받았다는 소식은 국내 게임업계를 들썩이게 했다. 중국은 사드(THADD) 문제로 한한령을 내린 후 약 4년 간 국내 게임에 단 한 건도 판호를 내주지 않았다. 그러던 와중 서머너즈 워가 판호를 받으며 막혔던 수출길이 뚫리리라는 기대감이 생겼다. 다만, 서머너즈 워 하나로 판호 문제가 해소됐다고 보기는 어렵다. 리니지2 레볼루션, 검은사막 등 중국 진출을 예정한 국내 게임들이 연이어 판호를 받아야 비로소 ‘완전히 열렸다’라고 말할 수 있다. 내년에도 판호 발급 목록에 한국 게임이 꾸준히 포함되며 닫혔던 중국 시장이 활짝 개방되기를 바란다.

5. 국정감사까지 올라간 던파 슈퍼계정 논란


국내 게임 역사를 통틀어 최악의 운영 논란이 터졌다. 던전앤파이터 운영자가 개인 계정에 고가의 아이템을 넣고, 이를 외부에 판매해 부당이익을 거둔 일명 '궁댕이단 사건'이다. 여기에 라이브 서버에서 일반 유저처럼 행동하며 게이머를 기만했다는 사실도 드러났다. 이 사태에 대해 네오플은 직원 해고 및 형사고소, 강정호 디렉터를 포함한 관리직 정직 등의 조치를 하고, 직원 모니터링 강화 등 재발방지 대책을 밝혔다. 이 사건은 국정감사에서도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게임업계와 시장에 미친 파급력이 컸다.

6. 한복이 중국 옷이라니... 샤이닝니키


국내 게이머를 공분케 했던 초유의 사태도 있었다. 사건은 중국 게임사 페이퍼게임즈의 샤이닝니키에서 터졌다. 우리나라 전통 의상인 한복을 중국 옷이라 주장하는 현지 유저들의 의견을 반영해 국내 서버에서도 한복을 없애고, 이에 대한 국내 유저들의 항의가 이어지자 한국 서비스 자체를 접어버린 것이다. 국내 유저에 대해 ‘중국 모욕이 한계를 넘었다’고 쏘아붇이며 서비스 종료를 결정한 페이퍼게임즈의 행보는 큰 충격을 안겼다. 상반기에 귀멸의 칼날 표절 논란으로 6일 만에 문을 닫은 귀살의 검이 있었다면, 하반기 충격의 서비스 종료는 샤이닝니키가 차지했다.

7. 중국 꺾고 3년 만에 롤드컵 우승컵 차지


묵은 울분을 한 방에 날려줄 쾌거도 있었다. 담원 게이밍이 중국 대표팀 쑤닝을 잡아내며 한국이 3년 만에 롤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과거 한국은 매년 우승후보로 거론될 정도로 리그 오브 레전드 강국으로 통했다. 그러나 2018년에는 단 한 팀도 4강에 오르지 못했고, 2019년에도 결승 진출이 좌절되며 기세가 한풀 꺾였다. 그러던 중, 올해는 담원이 상하이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했던 중국을 잡아내며 롤드컵 왕좌 탈환에 성공했다. 담원은 12월에 열린 케스파컵에서도 결승에 오르며 강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8. PS5와 Xbox 시리즈 X, 9세대 콘솔 전쟁 개막

PS5(좌)와 Xbox 시리즈 X(우) 대표 이미지 (사진출처: 각 기기 공식 페이지)


지난 11월, 소니와 MS의 신형 콘솔 PS5와 Xbox 시리즈 X가 출시되며 9세대 콘솔 전쟁이 개막했다. PS5는 런칭 타이틀 데몬즈 소울 5를 비롯한 강력한 독점 라인업과 전보다 생생한 촉감을 전해주는 신형 컨트롤러 듀얼센스를 앞세웠다. Xbox 시리즈 X는 최신 게이밍 PC에 준하는 강력한 성능과 게임 구독 서비스 게임패스, 제니맥스 인수를 기반으로 한 풍부한 라인업으로 승부를 걸었다. 두 기기 모두 한국이 1차 출시국에 포함됐다는 점은 희소식이었으나,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PS4, Xbox One처럼 출시를 기다리며 매장 앞에 줄을 서던 진풍경이 없어지고 전면 온라인 판매를 악용한 되팔이까지 성행하며 기기를 구하는 것이 하늘에 별 따기처럼 어려워진 점은 아쉽다.

9. 조악한 만듦새, 사이버펑크 2077 콘솔판 환불 사태

사이버펑크 2077 환불 공지 (사진출처: 플레이스테이션 공식 홈페이지)


올해 최대 기대작으로 손꼽힌 사이버펑크 2077은 예상치 못한 파국으로 치달았다. 특히 콘솔판은 PC 버전보다 심각한 버그가 많고, 프레임과 그래픽 저하도 심하다는 평이다. 9세대 콘솔이 아닌 PS4와 Xbox One 출시를 목표로 한 게임임에도, 조악한 만듦새로 게임을 출시한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었다. 결국 CD프로젝트레드는 사이버펑크 2077 콘솔 버전 환불을 결정했다. 상반기에 있었던 워크래프트 3: 리포지드에 이어 충격적인 대작 게임의 환불 사태였다.

10. 사회현상으로까지 떠오른 모동숲 대란

모여봐요 동물의 숲 에디션 예약 판매 당시 용산 아이파크몰 대원샵 현장 (사진: 게임메카 촬영)

[관련기사]

3월에 출시된 모여봐요 동물의 숲은 게임을 넘어 사회현상으로까지 떠올랐다. 게임과 같은 날 출시된 모여봐요 동물의 숲 에디션을 구매하기 위해 70대 한정판매 현장에 수천 명이 몰릴 정도의 대란을 일으켰다. 여기에 출시 시기가 야외활동이 제한된 코로나19 1차 유행시기와 맞물리며 외출 불가로 인한 우울함을 달랠 대안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지난 11월에 문화체육관광부는 코로나19 발생 전후 일상생활 관련 SNS 게시물 1,400만 건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는데, 게임 최상위 연관어는 동숲(동물의 숲)이었고, 언급량은 코로나19 전보다 2,611% 증가했다고 한다.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뉴진스, 배틀그라운드로 데뷔 준비 완료! 운영자 24/06/21 - -
AD 현물 경품 획득 기회! 아키에이지 지역 점령전 업데이트 운영자 24/06/20 - -
공지 본 갤러리는 고전게임을 다루는 곳입니다 + 공지 (2019.1.18) [1] 베르나르베르베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1.18 976 5
공지 [가이드라인] 고전게임 질문 글을 올릴 때 (2019.1.18) [4] 베르나르베르베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3.17 2640 8
5486 오딘2보다 y702에 컨트롤러 물리는 게 낫지않음? [1] 버들가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2 19 0
5485 Rp4p 구입한사람은 tsp 안사도 되겠지?? [1] ㅇㅇ(118.235) 01:26 35 0
5484 Tsp no카드 vs rg35xxh 64 + 128g 카드 [13] 레갤러(49.1) 00:44 107 0
5482 너무 싸구려는 사기 싫어서 405v 사야겠다 [4] 버들가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78 0
5481 tsp 썸네일 안나오는거 어케하는거냐 [1] 스타시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35 0
5480 Tsp 사기치고 상품 삭제한 숫자샵 찾았다 [2] 레갤러(49.1) 06.21 87 3
5479 테트리스 얼른 하고싶다 [2] 레갤러(180.65) 06.21 74 0
5478 숫자샵은 다 사기야? [2] ㅇㅇ(118.223) 06.21 51 0
5477 밑글보고 r36s 공짜로 삼 ㅋㅋ [10] 레갤러(1.232) 06.21 180 0
5476 R36s 1만6천 ~ 1만9천 아직 물량 남아있네 [4] 레갤러(49.1) 06.21 144 0
5475 혹시 오딘2 베이스 모델 사용중인 사람 질문좀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9 0
5474 Rg35xxh 64기가 3만5천~7천 사이 [1] 레갤러(49.1) 06.21 81 0
5473 Tsp 64기가 포함 4만2천원 정도!! [10] 레갤러(49.1) 06.21 124 0
5472 r36s 두대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50 0
5471 Tsp 3만 7천원대 떳음 대신 no card [7] 레갤러(49.1) 06.21 109 0
5470 4인치 4:3이 레트로 돌리기에는 존나 좋긴해 [2] ㅇㅇ(222.116) 06.21 72 0
5469 tsp가 낭만이 잇긴 하더라 [7] 무한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30 1
5468 r36s 메모리카드 값이 더비싼데 이거맞음? [4] 레갤러(121.155) 06.21 83 0
5467 오늘 rg35xx 샀는데 [5] 레갤러(110.46) 06.21 78 0
5466 욕심 있으면 r36s보다 405v같네 [3] 레갤러(125.209) 06.21 97 0
5465 얘네들은 그냥 무지성 구매해도 됨 [4] 레갤러(175.200) 06.21 134 0
5464 RP4P, 스위치겜 돌려봄 2. [4] ㅇㅇ(117.20) 06.21 87 0
5463 RP4P 샀는데 레갤러(118.235) 06.21 55 0
5462 Rg405v 왤케비싸냐 [1] 우우(211.36) 06.21 90 0
5461 35xxh 이정도면 살만함? [4] 레갤러(211.36) 06.21 113 0
5460 아니 그래서 미유플립 언제나오냐고 [1] 레갤러(220.89) 06.21 31 0
5459 스위치예뮬이 스냅드래곤기준으로 개발된거라네 ㅇㅇ(222.116) 06.21 54 0
5458 나도 자주 여기 오는게 아닌데도 숫자샵애기는 몇번 봤는데 빡대리들임? [1] ㅇㅇ(222.116) 06.21 73 0
5457 tsp로 psp용 모두의 골프2 돌아감? [6] ㅇㅇ(1.251) 06.21 79 0
5456 숫자샵에서 산사람들 꽤잇을텐데 ㅋㅋㅋㅋㅋㅋㅋ [4] ㅇㅇ(39.122) 06.21 95 1
5455 rg35xx h 화면 크기 실화임? [10] 미플(222.101) 06.21 158 4
5454 rg351p 칼도트 체감됨? [1] ㅇㅇ(223.38) 06.21 66 0
5453 혹시 큐브에서 3ds 동키콩리턴즈 돌아감? [2] ㅇㅇ(221.149) 06.21 45 0
5451 숫자샵 사기당하신분들 참고하세요 [1] 레갤러(1.215) 06.21 212 7
5450 들어가봤는데 [2] 레갤러(1.232) 06.21 123 0
5449 35xx시리즈중 배터리타임 제일긴게 35xx플이랑 35xxsp인듯 ㅇㅇ(143.244) 06.21 53 0
5448 숫자샵 링크좀 [3] 레갤러(211.36) 06.21 104 0
5446 직구배송은 ㄹㅇ 한진이다 [2] ㅇㅇ(117.111) 06.21 82 0
5445 레트로이드포켓4프로, 스위치 구동영상 [18] ㅇㅇ(211.170) 06.21 242 2
5444 레포4프 랑 rg35xx plus스 샀는데 [4] ㅇㅇ(106.250) 06.21 137 0
5443 이 갤에서 '할만하다'는 믿지마라. [6] 레갤러(1.215) 06.21 253 4
5442 RGcube 이거 대체 왜 사는거? [14] 레갤러(1.215) 06.21 208 1
5441 포켓몬 명작 추천좀 해주라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91 0
5440 레트로이드포켓4프로, 스위치 겜도 잘돌아가네... [5] ㅇㅇ(223.62) 06.21 137 0
5439 r36s 성능어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174 0
5438 지름도 병이다 병.. [2] ㅇㅇ(119.199) 06.21 94 0
5437 레트로이드포켓4 인데게임넣고하는거 영상링크있나 [4] 치즈쿠키집사(211.235) 06.21 92 0
5436 rg556 역대가 ㅇㅈ? [9] 레갤러(175.197) 06.21 364 0
5435 알리 r36s 회이트는 비싸네 [5] 버들가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21 207 0
5434 지금 가성비 레트로게임기 1황 뭐임? [7] 레갤러(125.209) 06.21 30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