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구 뉴스] 이코노미스트) 새로운 거시경제의 시대가 온다

Frontpoint.P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0.15 10:08:22
조회 6540 추천 85 댓글 37
														

다음은 무엇인가?


7fed8274b48268fe5193f291468175734ad8d73508c55db651135efbef96fd


몇달동안 금융 시장의 혼란과 세계 경제에 균열이 가고 있다는 지속적인 증거가 나왔다. 이것을 약세장의 일반적인 신호와 경기 불황이 다가오고 있다고 이해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세계 2차대전 이후 케인즈주의의 발흥이나 1990년대의 자유 시장과 세계화만큼 중대한 세계 경제에서의 새로운 체제의 고통스러운 탄생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신시대는 선진국들이 2010년대의 저성장과 기후 변화나 고령화 등의 문제에서 빠져 나올 수 있다는 미래를 보여준다. 하지만 경제 위기나 망가진 중앙 은행, 통제를 벗어난 공공 지출 등 엄청난 위혐 역시 함께 찾아온다.


현재 시장에서의 혼란은 우리 세대가 지금까지 보지 못한 수준의 강도이다. 세계적 인플레이션은 40년 이내 최초로 두자리수에 도달했다. 지금까지 계속 대응이 늦었던 연준은 이제 1980년대 이래 가장 빠른 추세로 금리를 인상하고 있으며, 달러는 20년 고점을 달성해 미국 밖에서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만약 당신이 투자 포트폴리오나 연금을 가지고 있다면, 올해는 끔찍할 것이다. 달러 기준 전세계 자산은 25% 하락했으며, 이는 1980년대 이래 최악의 한 해이고, 국채는 1949년 이래 최악의 한 해로 가고 있다. 40조 달러(역자주: 한화 약 5경 8000조원)의 손실과 함께 세계화가 후퇴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에너지 시스템이 망가지면서 세계 질서가 거꾸로 가고 있다는 불안한 전망이 있다.


이 모든 것은 2010년대의 경제적 평화의 결정적인 종언을 가리킨다. 2007-09년의 세계경제위기 이후 부국들의 경제는 매우 연약한 패턴을 보였다. 리만 브라더스가 무너진 뒤의 10년동안 사기업들은 엄청난 이익을 보면서도 투자를 줄였고, 정부는 고삐를 늦추면서 전 세계에서 공적 자금을 구성하는 GDP의 비율은 낮아져만 갔다. 성장은 부진했고 인플레이션률은 낮았다. 정부와 기업들 모두 활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노력이 적어, 중앙 은행이 이를 위해 노력하는 유일한 카드가 되어 버렸다. 중앙은행들은 금리를 바닥 수준에서 유지하고 어떠한 위험의 징조라도 보이면 채권을 대량을 매입하면서, 경제에서 중앙은행의 영향력을 더 멀리 퍼뜨려 갔다. 판데믹 직전 당시에 북미, 유럽, 그리고 일본의 중앙은행들은 믿기 힘들 정도인 약 15조 달러(역자주: 한화 약 2경 1750조원)의 금융 자산을 보유하고 있었다.


일시적으로 왜곡된 소비자 수요, 봉쇄로 인한 공급망 붕괴 등의 판데믹이 가져온 전례 없는 수준의 변화는 정부의 경기 부양책과 구제금융등의 오늘날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한 특수한 대응들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을적 추세는 전 세계에서 사우디 아라비아와 함께 최대의 화석 연료 수출국중 하나인 러시아가 본인들을 서방 시장으로부터 분리시키면서 급가속됐다. 연준은 엄청난 인플레이션 문제와 맞닥뜨린 연준은 이미 금리를 0.25%에서 3.25%로 인상했고, 내년 초에 4.5%까지 인상할 거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도 정부 중앙은행들이 긴축적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면 도대체 이제는 무슨 일이 일어날 것인가? 바로 떠오르는 한가지 공포는 저금리에 익숙해졌던 금융 시스템이 대출 비용을 폭등시키면서 붕괴할 것이라는 공포다. 중규모 기관인 크레딧 스위스가 압력을 받고 있긴 하지만, (역자주: BIS 바젤 III 등에 의해) 과거보다 더 많은 준비 자산이 있는 은행들이 큰 문제가 될 가능성은 낮다. 대신 위험은 다른 곳에 있는데, 유동성 시장과 기술에 좀 더 의존하는 새로운 금융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좋은 소식은 당신의 예치금이 사라지진 않을 것이란 사실이다. 나쁜 소식은 현재의 체제는 소비자들과 금융 기업들에게 불투명하고 그들이 손실에 매우 민감하다는 것이다.


신용 시장에서 이 현상을 볼 수 있다. 기업들이 리스크가 적은 채무를 구매하면서, 주담대와 고위험 채권(정크본드)의 금리는 폭등하고 있다. 기업의 바이아웃(역자주: 기업의 통제권을 얻을 수 있는 만큼의 지분을 구매하는 행위)을 위한 “레버리지 대출” 시장은 멈추어 버렸다. 만약 일론 머스크가 트위터를 산다면, 그에 따라 발생하는 채무는 큰 위험이 될 수 있다. (역자주: 머스크는 트위터 취득을 위한 대출을 은행들로부터 연 초 현재보단 상대적으로 금리가 낮을때 받았음) 연기금을 포함한 투자 펀드들은, 포트폴리오에 그들이 운용하던 비유동화 자산의 손실이 늘어나고 있다. 순환(plumbing)의 몇 부분들이 멈출 수 있다. 채권 시장은 더 불규칙적으로 변했는데, 그동안 유럽의 에너지 기업들은 헷지에서 파멸적인 마진콜을 받았다. 영국의 채권 시장은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연기금들의 파생 베팅에 의해 혼란으로 던져졌다.


만약 시장이 부드럽게 돌아가지 않아 신용의 흐름을 막거나 연쇄 자본 하락의 위험이 나타나면, 이번에 영란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는 동시에 180도 돌아서서 채권을 다시 매입하는 사례처럼 중앙은행이 개입할 수 있다. 이것과 관련된 믿음인 ‘중앙은행이 그들의 강력한 발언을 이행할 결의가 없다’는 전세계가 폭주하는 인플레이션의 시대였던 1970년대로 돌아갈 수 있다는 엄청난 공포가 뒤에 숨어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것이 불필요한 걱정이고 도를 지나쳤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이 예측하길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2023년에 현재의 8%에서 4%로 연료비의 하락추세와 고금리가 작용하면서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아직 인플레이션이 20%로 갈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정부와 중앙은행이 2%로 되돌리는게 가능하기는 하냐는 모두가 궁금해하는 질문이 있다.


유동적인 목표

왜인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번잡스러움을 넘어 장기간의 펀더멘탈을 봐야 한다. 2010년대의 큰 변화가 이루어질 동안, 정부 지출과 투자의 구조적 인상이 진행중이었다. 노령화되는 시민들은 더 많은 의료 서비스가 필요할 것이다. 유럽과 일본은 러시아와 중국의 위협으로 더 많은 국방비를 쓸 것이다. 기후 변화와 ‘안보’란 목표는 재생 에너지 기반시설부터 천연가스 터미널까지 에너지 부문에 대한 공적 투자를 늘릴 것이다. 그리고 지정학적 긴장은 정부들이 산업 정책에 돈을 더 쓰게 만들고 있다. 그렇지만 투자가 많아짐에도 불구하고 부유한 경제보다 인구 구조가 더 중요해질 것이다. 사람들이 늙어가면서 저축 비중을 늘리면, 과도한 저축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실질금리에 하방 압력이 작용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2020년대와 2030년대의 근본적인 트렌드는 저금리와 큰 정부가 될 것이다. 이는 중앙은행들에게는 극심한 딜레마를 안겨줄 수 있다. 인플레이션을 그들의 목표인 약 2%로 끌어내리기 위해서는 경기 불황을 일으킬 만큼 긴축해야 한다. 이는 실업으로 인한 삶의 질 하락과 엄청난 정치적 반발을 불어일으킬 수 있다. 게다가, 만약 경제가 수축하고 2010년대의 저성장으로 돌아가게 된다면, 중앙은행들에게 다시 한번 경기 부양책이 부족해질수도 있다. 현재 중앙은행들은 최근 10년동안의 2% 인플레이션 목표를 버리고 예를 들자면 4%로 목표를 높이자는 유혹을 받고 있다. 그것은 연준이 2024년에 차후의 전략을 검토하면서 하나의 선택지가 될 것이다.


높은 정부 지출과 높은 인플레이션의 새로운 세상은 몇몇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경기 불황이 비교적 가볍게 지나가거나 아예 없을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중앙 은행이 침체기에 금리를 더 인하할 수 있을 것이며, 만약 어떤일이 생긴다 해도, 전세계에 더 큰 혼란을 일으킬 수 있는 구제금융과 채권 매입의 필요성이 줄어들 것이다.


그럼에도 이 새로운 세상은 큰 위험도 동반한다. 중앙 은행의 신뢰성이 훼손될 것이다. 만약 골대가 한번 움직인다면, 또 못할 것은 무엇인가? 2% 인플레이션의 약속 하에서 쓰여진 수백만개의 계약과 투자가 망가질 것이고, 높아진 인플레이션은 대출자에서 채무자로 부를 재분배할 것이다. 그동안, 적정한 크기의 큰 정부가 쉽게 통제를 벗어날 수 있는데, 만약 포퓰리스트 정치인이 신중하지 않은 지출 폭등을 감행하거나 에너지와 산업 정책에 대한 공적 투자가 형편없게 진행되거나 성취 불가능한 비대한 목표가 생산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회와 위협은 위압적이다. 하지만 이제 시민들과 기업들을 위한 영향을 평가해야 할 시간이다. 경제에 대해 저지를 수 있는 최악의 실수는 오늘날의 체제가 계속 유지될 것이라는 헛된 망상이다. 변화가 오고 있다. 준비하라.


오역 및 내용 지적 환영

내일 오전중으로 애플의 중국 공급망에 대한 기사 올릴 예정

추천 비추천

85

고정닉 19

4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3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857 AD [삼성선물] 제로데이옵션이 뭐임? 운영자 24/05/07 - -
2806 AD 이베스트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7041636 공지 주린이를 위한 정보글 (계좌 개설혜택 등) [2] 힘들지만이겨내보자(106.101) 24.05.19 2586 15
6973340 공지 주요 ETN ETF 리스트 [5] q1w2e3r4t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5.06 6946 28
6780803 공지 완장호출벨 [129] q1w2e3r4t5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03 4350 2
6776281 공지 [유사남] 뉴비들 위한 CPI PCE PPI 지표 읽는 방법 [4] 버클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02 5881 9
5703816 공지 미주갤 운영규칙 (23.05.08 수정) [22] 강현수차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8 27972 15
5680592 공지 금일 프장 열리는 17:00부터 닉언급 및 좆목 7일 차단 시작합니다. [40] 강현수차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5.04 17098 31
300875 공지 ★ 필 독 ★ [676] Tomorro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2.27 306540 857
1741508 공지 미국주식갤러리는 매수매도의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34] 태수토스테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29 27629 39
7103142 일반 델 그렇게 경고해줬는데 어닝들어간새끼들머지 벵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2 11 0
7103141 일반 1100층깨졌노ㅋㅋㅋㅋ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21 0
7103140 일반 델 하따 ㄱ? ㅇㅇ(106.101) 08:01 4 0
7103139 일반 나이먹으니까 1일1딸도 힘들더라 ㅇㅇ(175.114) 08:01 6 0
7103138 일반 속보)델 "다음분기 엔비디아 매출 넘길지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55 0
7103137 일반 ㄷㄷ 앤비 개운지했노 [2] JAM_0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1 55 0
7103136 일반 델 소액 하따쳤다 ㅇㅇ(98.42) 08:00 15 0
7103135 일반 어제 오후에 DELL 처음 언급한 새끼 ㅇㅇ(211.33) 08:00 65 0
7103134 일반 델에 물린 놈들은 지금당장 Ironbreak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9 44 0
7103133 일반 테크 기업은 빅테크만 사라 expense607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9 46 0
7103132 일반 ㅈㅏ살하고 다시 태어날까 싶다 다음생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9 33 0
7103131 일반 미주갤러 평균 성관계 횟수 [3] 일베출신도태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9 78 4
7103130 일반 한국 식료품 물가가 미국이나 유럽보다 비싼건 팩트인데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8 27 0
7103129 일반 엔비 1160이 어닝전 970층임? ㅇㅇ(175.196) 07:58 52 0
7103128 일반 머스크는 왜 자기기업들 지분교환안하는거? ㅇㅇ(175.215) 07:58 17 0
7103127 일반 특이점은 니들같은 도태냄져들은 절대못즐김 ㅇㅇ(222.117) 07:57 22 0
7103126 일반 델 하따쳤다ㅋ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7 81 0
7103125 일반 코스트코 물렸는데 델 보니까 상대적으로 안심이 되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7 69 0
7103124 일반 아침으로 김피탕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6 82 0
7103123 일반 델무현 ㅇㅇ(121.159) 07:56 12 0
7103122 일반 엔비디아는 언젠가 오르긴 할거임 사탄들린사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6 69 0
7103121 일반 애플 wwdc이후에 매수해야겠다 애플마소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6 14 0
7103120 일반 델 마22 머임?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6 72 0
7103119 일반 인류의 미래는 공산당임 ㅇㅇ ㅇㅇ(222.117) 07:55 19 0
7103118 일반 남친 한번이라도 사겨본 여자들 특징 ㅇㅇ(117.111) 07:55 66 0
7103117 일반 에너지란 항상 공급 되어야만하는것이다 Ironbreak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5 28 0
7103116 일반 북한은 한국보다 잘 산적이 없었음 [2] ㅇㅇ(220.85) 07:55 42 0
7103115 일반 몽골디비 7주석 ㅅㅂ ㅋㅋㅋ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5 35 0
7103114 일반 엔비 주식 환불 어캐하나요?? [2] ㅇㅇ(221.145) 07:54 65 0
7103113 일반 곧 우상향할 3종목 알려드림 [1] 주식초고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4 89 0
7103112 일반 로지스틱 임마는 뭐임..? [1] ㅇㅇ(222.104) 07:54 41 0
7103111 일반 중국이 민주화 될 일? 영원히 없음. [2] americ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3 49 1
7103110 일반 스페이스x 상장하면 살거임? [1] ㅇㅇ(175.215) 07:53 21 0
7103109 일반 엔비 평단 1165달런데 죽고싶다 [6] 미장하는미순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3 216 0
7103108 일반 8년다닌 회사 퇴사한다… [1] ㅇㅇ(211.168) 07:53 97 0
7103107 일반 형들 본장때 엔비 얼마까지 떨어질것같음? [1] ㅇㅇ(14.35) 07:52 64 0
7103106 일반 아니 자고 일어났는데 엔비 뭐임? [4] ㅇㅇ(211.244) 07:52 158 0
7103105 일반 맥날vs스벅 하나만 투자한다면? [3] ㅇㅇ(223.39) 07:51 36 0
7103104 일반 엔비디아가 있는데 델 이딴건 왜 사는거임?ㅋㅋ ㅇㅇ(223.39) 07:51 48 0
7103103 일반 코스트코 818에 물림 ㅡㅡ [7] ㅇㅇ(211.168) 07:51 58 0
7103102 일반 「PER 2만배」!! [1] 리츠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1 110 0
7103101 일반 이새끼들 마녀사냥 하는거 아님? [1] ㅇㅇ(211.235) 07:51 46 0
7103100 일반 싸게사고비싸게파는게 당연한거지 뭔 주가조작 ㅇㅇ(222.117) 07:51 21 0
7103099 일반 얘들아 사랑해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7:50 24 0
7103098 일반 근데 확실히 주가 조작 일부로 허는 거 같지 않음? [5] ㅇㅇ(119.193) 07:49 136 0
7103097 일반 오늘 잘하면 떡상각 나오겠네 [1] ㅇㅇ(121.140) 07:49 171 0
7103096 일반 델 어닝전에 1억 들어갔는데 씨발..... 어떡하냐 [1] ㅇㅇ(125.134) 07:49 179 2
7103095 일반 보일 들어갈까 못참겠어 ㅇㅇ(218.144) 07:49 23 0
7103094 일반 요즘 중소형주들 신저가 존나 찍히던데 [1] ㅇㅇ(211.108) 07:49 92 0
7103093 일반 코스트코는 실적 무난한데 ㅇㅇ(175.116) 07:48 6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