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9일에 게시하려고 했으나 이놈의 두정역에서 이용한 14번 노선
(두정역 => 두정역입구)의 전표 매입이 오늘 처리됨에 따라 공유합니다.
세종시 거주하면 세종에서 테스트를 시작하면 되는데 환승을 단절시키고자
고의로 최대 3회 환승을 모두 이용한 상태로 충청권 통합환승체계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유구 ~ 아산간의 환승제도가 충청권 통합환승제에 연계되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거주지인 대전에서 5시 30~40분경에 출발했습니다.
공주시 <=> 아산시 간의 환승은 45분 이내 2회 환승 가능.
대전, 세종, 청주, 공주 간의 환승은 60분 이내 3회 환승 가능. (단, 대전은 배차 15분 미만 30분 이내)
1. 대전 B1 => 공주 500(501) => 공주 700 => 아산 120 (환승횟수 초과)
2. 대전 B1 => 세종 550(551) => 공주 700 => 아산 120 (환승횟수 초과)
3. 세종 550(551) => 공주 700 => 아산 120
4. 공주 300 => 공주 700 => 아산 120
대전-세종 간에 한정되어 있던 환승 제도가 지난 8월 26일부터 청주시와 공주시로 확대 됨에
따라 아산까지 연계되는 새로운 방식이 나올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출발지가 세종시가 아니면 크게 의미가 없습니다.
1번 방식은 다른 회원분이 테스트 해주셨고 2번 방식과 3번 방식은 기꺼이 거금과 시간을 투자해 제가 실험했습니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747111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747248
제가 직접 테스트한 2번 방식을 캐시비 고객센터에 질의했으나 아산시 버스는
단순히 충청권 통합환승요금체계에 포함되지 않아 환승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고 순수히 공주 버스를 이용해서만 환승이 가능하구나라고
생각했으나 가설로 세운 3번 방식으로 환승에 성공했습니다.
고로, 대전-세종-청주-공주 간의 환승체계는 상행 공주> 아산, 하행 천안 > 아산 > 공주까지 환승이 연계됨을 확인했습니다.
공주시의 환승제가 3회 환승으로 변경됨에 따라 수도권 1호선 > 천안 버스 > 아산 버스 > 공주 버스까지 3회 환승이 가능합니다.
(단, 유구읍에서 출발하는 공주시 노선까지는 환승 가능하나 이후 다른 노선으로
환승시 환승횟수 초과라는 문구와 함께 초승요금이 부과됩니다.)
+ 충청권 통합환승요금체계 유구 ~ 아산간 환승제 연계 실험 결과 +
상행 : 세종 550(551) > 공주 700 > 아산 120 > 천안 900(910) > 1호선은 천안 900(910)번 노선에서 환승횟수 초과로 초승 요금 부과
하행 : 수도권 1호선 > 천안 900(910) > 아산 120 > 공주 700 > 공주 300은 공주 300번 노선에서 환승횟수 초과로 초승 요금 부과
+ 충청권 통합환승요금체계와 충남권, 수도권 누적요금 합산 실험 결과 +
충청권 통합환승요금체계가 시행됨에 따라 대전-세종-청주-공주-계룡지역에서 이용한 후불교통카드의
누적금액은 공주 700 > 아산 120을 이용한 경우에만 아산시, 천안시와 함께 수도권까지 누적금액이 합산됩니다.
(단, 천안시 버스를 이용한 직후 세종 991등을 이용한다면 누적금액은 초기화 되며
아산 120 > 공주 700을 이용하여 대전, 세종, 청주 등으로 가시면 누적금액은 계속 연동됩니다.)
추가로, 대전시 버스를 이용한 직후 천안시에서 수도권 1호선을 이용한다면 누적금액은 가차 없이 리셋됩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