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공간장갑에 대하여 (2) 운동에너지탄 방호

그냥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6.16 19:07:38
조회 1243 추천 30 댓글 9
														

요즘 공간장갑과 운동에너지탄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정보들이 꽤 보이는데 이에 대해 좀 설명하려함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f3c2d8b67acd6534fbe931993fd610e16f8d46e2c819b39d48d220ba926fd41d432b079fa


공간장갑의 원조는 보통 쉬르첸으로 보는데 그냥 추가장갑인지 정말 공간장갑의 원리를 이해하고 쓴 물건인지는 잘 모르겠음






아무튼 운동에너지탄에 대한 공간장갑의 원리를 설명하자면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f3c2d8b67acd6534fbe9319fe93690512fed46d2d81b93793b2fa52f8f01a83e3557b0c


탄의 장갑판 관통 시 후면으로 빠져나올 때 장갑재와 후면 공간의 밀도 차이와 압력의 급격한 저하로 인해 관통자에 응력이 가해지고 탄도가 급격히 불안정해짐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f3c2d8b67acd6534fbe931993fd610e16f8d46e2c819b39d48b2259ac76f4118132aa67fa


이때 탄의 흔들림을 Yaw라고 함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f3c2d8b67acd6534fbe931993fd610e16f8d46e2c819b39d4db2e59f524f6458332aa67fa


탄도가 불안정해지니 공기에 따른 관통력의 저하가 심해지고 Yaw가 큰 상태라면 후면판에 저렇게 비스듬히 꽂히면서 관통력이 더욱 떨어지게 됨


아까 밀도차와 압력 변화로 인해 관통자에 가해진 응력도 관통력 저하의 요소 중 하나


이게 일반적인 운동에너지탄에 대한 공간장갑의 효과


이러한 효과의 효율은 절대적인 수치로 정해진게 아니라 탄의 크기, 장갑판 두께 등의 상대적인 비율에 따라 달라짐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f3c2d8b67acd6534fbe931993fd610e16f8d46e2c819b39d48a7e58f970f1448a32aa67fa

이때 밀도차로 인한 관통력 저하 효과는 운동에너지탄 뿐만 아니라 성형작약탄의 메탈제트에도 적용되는 효과임


다만 메탈제트에는 Yaw같은게 없어서 영향이 덜함


그리고 총탄 수준이면 몰라도 성형작약탄이나 포탄 체급에서는 밀도차 효과가 발휘되려면 장갑판이 일정 이상의 두께가 되어야 함




운동에너지탄에서 밀도차 효과의 경우 추가적으로 경사장갑과 연계되서 시너지 효과를 냄


우리가 아는 경사장갑의 효과는 그냥 전면판의 도탄 효과 정도지만


관통자가 경사장갑 관통 시 후면으로 빠져나올 때 경사로 인해 경사진 쪽의 밀도가 높고 반대쪽은 낮은 불균형인 상황으로 빠져나오면서 관통자에 비틀림 응력이 가해지게 됨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f3c2d8b67acd6534fbe931993fd610e16f8d46e2c819b39d48b2209ff71a0478632aa67fa


이런 비틀림 응력에 관통자가 후면으로 빠져나오면서 부러지는 경우도 있음





다만 이런 효과는 밀도가 가장 낮은 대기층이 사이에 있을때 가장 잘 일어나지만 다른 내장재를 쓰면 그 내장재 자체의 방호력이나 역류 효과 등 복합적인 이점들이 있기 때문에 아예 공간장갑만 있는 건 많지 않음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f3c2d8b67acd6534fbe931993fd610e16f8d46e2c819b39d4de280dfb77a744d732b079fa



소련의 경우 이러한 3층 장갑의 효율성과 재료에 대해 연구했고 티타늄, 알루미늄, 세라믹 등등 여러 재료를 사용해봤는데 결국 유리 Textolite가 종합적으로 따져봤을 때 가장 효율적이라는 결론이 나옴


그래서 T-64부터 소련제 전차 차체 전면 상부에 강철 - 유리 Textolite - 강철, 3층 장갑이 적용된 거




이후에도 두께, 비율 등등을 통해 방호력 개선들이 이루어졌는데 서방권에서 120mm APFSDS 도입한다는 소식 들리면서 새로 복합장갑 개발함


소련에 T-64/72/80 3종류의 주력 전차가 동시에 존재했다는 건 다들 알 거고 그거 만드는 설계국이 다 달랐음


근데 T-64/80 쪽은 장갑 개량하면서 강철 - 유리섬유 - 강철 - 유리섬유 - 강철, 5층 장갑으로 바꿨는데 T-72B는 차체에 유리 섬유를 빼버림





viewimage.php?id=3abcc2&no=24b0d769e1d32ca73dec8ffa11d02831046ced35d9c2bd23e7054f3c2d8b67acd6534fbe931993fd610e16f8d46e2c819b39d485225daf23fc438032aa67fa


그냥 고경도 강철 장갑판과 공기층을 겹겹이 쌓은 형태로 만듬


위에서 말한 밀도차 효과랑 경사장갑에 의한 비틀림 응력을 여러번 줘서 관통자를 무력화시키는 방식


이러한 효과로 APFSDS에 대한 보다 높은 효율을 낼 수 있게 되고 비싼 유리 Textolite의 사용을 줄임


다만 유리섬유보다는 성형작약탄에 대한 방어 효율이 상대적으로 떨어짐





이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운동에너지탄에 대한 공간장갑의 방호 원리임


그 외엔 복합장갑 쪽으로 넘어가야 하고 복잡한 원리가 여럿이라 내 머리 수준으론 설명하기 어려움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30

고정닉 1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1873566 일반 공간장갑의 한계 [3] 그냥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7 2371 19
1873346 ❗정보 슬랫아머 방호 원리 [3] 그냥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6 1348 27
❗정보 공간장갑에 대하여 (2) 운동에너지탄 방호 [9] 그냥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6 1243 30
1872973 일반 공간장갑의 성형작약탄 방호에 대해서 추가적으로 [10] 그냥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6 1646 14
1872825 ❗정보 공간장갑에 대하여 (1) 성형작약탄 방호 [18] 그냥인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16 2238 37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