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보] 우크라이나의 독립에 대해 알아보자.namu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7.14 04:30:45
조회 612 추천 5 댓글 1
														


1. 개요

1991년 12월 1일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는 소련으로부터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결정지은 국민투표를 의미한다. 내부와 외부의 참관인들은 이 투표가 일반적인 민주적인 관행에 따라 실시됐다는 사실에 동의했다. 투표 결과 우크라이나 유권자 80%이상이 투표에 참여해 90%이상이 독립에 찬성했다. 투표결과가 독립을 확정할 것이라는 징후는 많았지만 그 한계에 대해 의구심이 있었기 때문에 많은 정치 분석가들은 무슨 결과가 기다리고 있을지 확신하지 못했었다. 90%라는 압도적인 결과는 정치 분석가와 독립을 가장 열렬하게 믿은 사람들 모두에게 상당히 놀라운 결과였다.[1][2] 투표 결과가 드러나기 전까진 옐친은 사실 고르바초프와 함께 반독립 캠페인을 벌였다.[3] 우크라이나 국민투표 전까지 옐친은 소련을 유지하려고 했으나 우크라이나 국민투표로 우크라이나 내 여론이 완전 독립으로 전환된 후에야 소련 해체로 목표를 전환했다.[4][5]


한국에선 친소주의세력이 허위정보를 퍼트려 선동하고 있다. 1991년 12일 독립 국민투표와 이전의 실제 옐친의 행동을 누락하고 약 9개월전에 실시한 3월의 소련 존속 투표만 가져와 사실관계를 왜곡하는 것이다.


2. 1991년 12월 1일 투표결과



7cf3c028e2f206a26d81f6e44e83706c2e


7ff3c028e2f206a26d81f6e64486746b4b


7ef3c028e2f206a26d81f6e74f83776948


79f3c028e2f206a26d81f6e64589726cb6






3. 전개


3.1. 1991년 8월 이전까지


고르바초프가 개방성과 건설적인 비판을 선언하자 그에 응답한 최초의 우크라인 그룹이 있었다. 그 그룹의 일부는 우크라니아 작가 연방으로 대표되는 우크라이나의 창조적인 지식인들이었다. 이 조직은 원래는 공산당의 지시를 따랐다. 그러나 1986년에 거의 1,100명에 달하는 회원이 참석한 회의를 개최고, 이후부터는 정책이 근본적으로 바뀌었다. 그 때부터 작가 연합은 우크라이나 문화와 언어의 재탄생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 추진은 자국어 사회의 창설을 장려함으로써, 스탈린과 브레즈네프 시대 이후에 억압되었던 작가들을 대 중들에게 환호를 받으며 복권했다. 그리고 수십 년동안 공개 토론이 금지되었던 역사적 사건들을 공개적으로 말한 새로운 작품을 출판함으로써 이루어졌다.[6]


새로운 조직 중 가장 크고 영향력 있는 조직은 개혁을 위한 우크라이나 대 중운동이었다. 개혁을 위한 우크라이나 대 중운동Narodniy Rukh Ukrainy za perebudovy은 흔히 루흐(운동)Rukh (the Movement)라고 부른다. 루흐는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 요구에 대한 응답으로 우크라이나에서 발생한 광범위한 기반의 풀뿌리 시민-정치 연합체였다.[7][8]


루흐는 작가인 이반 드라치, 미하일로 호린, 볼로디미르 라보리우스키가 이끌었다. 루흐는 1989년 2월 '우크라이나 네이션nation 민족의 재탄생과 포괄적 발전'이라는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정치적 개혁, 경제적 개혁, 환경적 개혁, 문화적 개혁 그리고 인권 보장을 제도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프로그램이었다. 루흐는 국가로서 우크라이나의 특성과 우크라이나 언어 보호에만 특별한 관심을 두지 않았다. 루흐는 소수 네이션national minorities[9]과 소수 종교의 권리도 옹호했다. 루흐는 '모든 형태의 반유대주의는 우크라이나에서 만들어지기를 바라는 자유민주주의 사회와 적대적인 것'이라고 비난했고, 전통적인 우크라이나-유대인 관계와 관련된 부정적인 고정 관념에 대응하기 위해 특별한 노력을 기울었다. 🔟 루흐의 의제에는 정치적인 문제와 모스크바와의 관계가 높은 비중을 했다. 그러나 루흐는 우크라이나의 독립은 요구하지 않았다. 오히려 소련이 진정한 주권 국가 연합으로 전환하기를 원했다. 모스크바에게 간섭 받지 않고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문제를 결정할 수 있는 진정한 주권을 우크라이나에게 보장해주는 주권 국가 연합 체제의 소련을 원했다.[11]


루흐의 동기가 무엇인지는 다음과 같은 호소문에서 알 수 있다. 루흐는 1989년 8월에 전국에 있는 우크라이나 SSR의 국민들people에게 4개 언어 ―우크라이나어, 이디시어, 러시아어, 폴란드어―로 호소문을 발행하면서 다가오는 의회에서 지지해달라고 호소했다.[12]


국제적인 정신을 지닌 루흐는 이 나라의 모든 언어와 문화의 부흥을 옹호하는 다문화 단체입니다. 루흐는 페레스트로이카를 위한 우크라이나의 모든 진보 세력의 통합을 지지합니다. 루흐는 네이션nations민족간의 진실한 우정과 네이션nations민족간의 깊은 이해를 위해 출마합니다.[13]


1989년 9월 8-10일,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에서 제1차 루흐 회의가 열렸다. 회의장에서 내셔널리티 평의회Council of Nationalities (Council)를 설립하는 결정이 승인됐다. 루흐의 프로그램에 따라 그 평의회의 목적은 더 많은 시민 참여와 개방 및 민주주의를 위해 우크라이나의 정치 생활을 재건하는 과정에 참여를 장려하면서 에스노-내셔널ethno-national종족민족문화와 언어를 되살리는 과정에서 100 종류가 넘는 네셔널 그룹과 에스닉 그룹 national and ethnic groups민족 그룹과 종족 그룹을 참여 시키는 것 이다. 이 평의회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에 기반을 두었으며 베르호브나 라다에서 적절한 법안과 에스노-내셔널ethno-national종족 민족적 이익을 지지하고 방어하는 법적 조치를 옹호했다.[14]루흐 초대 의장이었던 우크라이나 시인 이반 드라치는 다음과 같이 낙관적으로 발언했다. "유대인은 모스크바, 레닌그라드, 뉴욕, 텔아비브, 예수살렘보다 우크라이나에서 더 잘 살고 편안함으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러한 낙천적인 발언은 페레스트로이카의 마지막 몇년 동안과 우크라이나 초기 독립 기간동안 루흐가 실시할 모든 노력을 반영한다.[15]


1987에서 1991년 사이는 소련 그리고 결과적으로 루흐에게 극적이고 급격한 변화를 일으킨 시기였다. 1980년대 중반에 모스크바에서 정체된 체제를 되살리기 위한 고르바초프의 정책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에서는 1988-1989년까지 그 영향이 완전히 느껴지지 않았다. 우크라이나에서 글라스노스트와 페레스트로이카는 자유주의적 공산주의자, 반체제인사, 지식인, 그리고 브레즈네프 시대의 소멸 직전의 상태에 지친 대다수 주민들에게 지지를 받았다.[16]


그와 동시에 모스크바의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CPSU)과 우크라이나 공산당(CPU) 내의 보수주의자들은 이러한 개혁에 강력히 반대했고 고르바초프의 정책을 저지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했다. 루흐 설립에 대한 첫번째 부정적인 1989년 2월 16일 직후 시작됐다. 이 날은 루흐 프로그램이 발표된 직후였다. 1989년 2월 18일, 우크라이나 공산당CPU의 공식 기관지 라디안스카 우크라이나는 한 서한을 게시했다. 그 서한은 제안된 프로그램을 가혹하게 비판하는 내용이었으며 우크라이나 과학 아카데미 회원 6명이 서명했었다. 그 다음주인 1989년 2월 27일, 우크라이나 공산당CPU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이자 서기인 Yu.옐첸코는 우크라이나 공산당CPU 중앙위원회가 개최한 전체 회의―주제는 내셔널―에서 루흐의 프로그램을 비판했다. 1989년 5월 16일 우크라이나 공산당CPU 중앙 위원회의 일반 총회에서 제1서기 V.슈처비츠키는 루흐 프로그램을 극심하게 비난했다.[17]


이런 분위기에도 루흐는 후원자가 있었다. 키이우 폴리테크닉 대학교Kyiv Politechnic Institute의 총장은 루흐의 후원자였으며 1989년 9월 8-10일에 제1차 총회를 주최할 수 있게 대학 캠퍼스를 제공해주었다. 첫날 새벽에 대표단원들이 도착할 때 부터 마지막 저녁 늦게까지 지지자들이 캠퍼스를 가득 메우고 인도에 줄지어 서고 대표단이 지나가면 꽃을 건네고 격려를 외치며, 비탈길에서 손수 만든 팻말을 들고 노래를 부르며 행사에 열중했다. 280,000 명의 루흐 회원들을 대표하는 대표자들은 1109명이었고 그 중 85%는 우크라이나인이었고, 72%는 고등교육을 받았으며, 20%는 공산당원이었고, 11.6%는 과학박사candidates or doctors of science이었고 , 10%는 노동자였고, 2.5%는 집단농장의 노동자였다.[18]


당시 1109명의 에스노-내셔널ethno-national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우크라이나계(994); 러시아계(77); 유대인계(9); 폴란드인계(6); 벨라루스계(6); 아르메이나계(2); 한국계(고려인) (1), 그리스계(1), 헝가리계(1), 독일계(1), 에스토니아계(1), 크리미아 타타르인계(1)였다.[19]


78f3c028e2f206a26d81f6ed4382716c


같은 해 우크라이나 공산당CPU 중앙위원회 총회에서 선출된 대표자들의 에스노-내셔널ethno-national 구성과 비교하면 대조가 분명해진다. 루흐는 12개의 내셔널리티nationalities 대표를 포함했지만,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소련 최고 소비에트에 우크라이나를 대표하도록 선출한 250명명의 대표중 우크라이나계와 러시아계를 제외하면 5개의 내셔널리티nationalities를 대표하는 7명만 선출되었다:몰도바계 2명, 폴란드계 2명, 벨라루스계1명, 아르메이나계1명, 헝가리계1명, 우크라이나 공산당은 유대인을 한명도 선택하지 않았다.[20]


1차 대회가 있은 지 몇 달 후인 1990년 2월 11일에 작가 연합 건물에서 위원회가 공식적으로 설립되었다. 위원회는 26명으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를 선출했으며, 그중에서 11명으로 구성된 상임위원회를 선출했다. 13개의 내셔널 그리고 에스닉 그룹national and ethnic groups을 대표하는 위원회의 첫번째 자문 위원회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7bf3c028e2f206a26d81f6e44180726517


이후 3년동안 위원회는 사람들이 자국의 언어, 문화, 역사에 대해 학자로부터 배울 수 있는 공개 지역의 회의를 개최했다. 또한 소수 에스닉ethnic minorities에 대한 중요한 주제에 대해 전문가가 텔레비전에 출연해 연설하도록 주선하기, 에스닉 ethnic 문제에 대해 새로운 정당에 지시를 내리며, 소수 에스닉 내셔널 ethno-national을 옹호하고 외국인 혐오에 대항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우크라이나 정부에 내셔널nationa 소수자에 대한 교육 자료를 제공하도록 로비하고, 서로 다른 도시에 있는 에스닉ethnic 대표자들의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유지했다. 루흐의 설립자와 위원회는 개방성과 선의를 지향했다. 루흐 프로그램에는 "루흐의 주요 목표는 우크라이나에서 민주적이고 인도적인 사회를 발전시키는 겁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반유대주의에 대한 비판은 1989년 루흐 제1차 대회부터 루흐에서는 일관된 주제였다. 루흐의 호소문과 결의안에는 "우리는 반유대주의에 반대합니다"라는 제목의 결의안이 있는데 우크라이나 시민들에게 "모든 유형의 반유대주의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 자신의 내셔널적national 존엄성뿐만 아니라 유대인의 존엄성을 위해 일어서야 합니다"라고 호소했다.[21]


1989년말과 1990년 초에 소련 전역에 포그롬(학살)이 임박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이러한 소문의 물결은 우크라이나에도 있었다. 1990년 2월 8일 리테라투리나 우크라이나에선 "우크라이나에 유대인 포그롬이 있을까?"라는 제목의 기사를 발표하며 선동적인 반유대주의의 증가를 우려했다.[22] 공산주의 강경파가 반유대주의에 대한 공포와 긴장을 조성하려는 시도를 하자, 루흐는 반유대주의를 비판하는 강력한 성명을 발표했다. 루흐는 유대인과 합류하여 유대인을 보호할 것을 약속하고 우크라이나 정부에게 우크라이나 유대인에 대한 다음과 호소를 하며 그러한 도발을 즉시 중단하기 위해 효과적인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다: "유대인 자매, 형제 여러분! 루흐가 함께합니다! 루흐는 당신을 위한 것입니다! 당신들에 대한 어떠한 종류의 도발도 여러 내셔널리티nationalities의 우리 국민people에 대한 모욕입니다."[23]


위원회는 특히 반유대주의자들의 미끼에 대해 강경한 입장을 취했다. 1990년 2월 11일, 위원회가 완전히 설립된 날, "이 나라에 에스닉적ethnic 적대감이 발생하는 것에 반대하며" 긴장과 공포를 조성하려는 당의 노력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그것은 우크라이나의 유대인 공동체들 사이에서 빠르게 퍼졌고, 진정 효과를 가져왔다.[24]


베치르니 키이우는 1990년 2월 12일에 편지를 받고 그 편지에 대해 논평하는 기사를 출판했다: "오늘날 반유대주의 얼마나 강한가요? 편지를 읽은 후 답은 분명하다. 강력하고 매우 강력하다...반유대주의에 적극적인 지지자가 많다는 사실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 사회의 도덕적 건강이 어떤지를 진지하게 다시 생각하게 만든다. 사회의 모든 집단이 이 질병에 감염됐다. 무당 의원들, 공산주의자들도"[25]


1990년 2월 20일, 우익단체와 특정 공산당 관리의 미끼를 폭로하기 위해 두명의 상임위원인 Ye.바르다와 유대인 알렉산드르 부라코우스키Aleksandr Burakovskiy는 키이우에 당시에 있던 10월 혁명 광장(= 독립 광장)에 들어가 레닌 동상 앞 계단에 서서 메가폰을 들고 행인들에게 공포 조장을 강력하게 거부하며, 반유대주의와 포그롬의 위협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당시에 유대인들이 공포와 불신을 통해 정치적 불안정을 조장하는장기의 졸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처음에는 사람들이 그 둘을 피했지만 시간이 흐르자 수백명이 모여 듣고 지지했다. 시위도중 야유꾼들이 나타났는데 사람들은 야유꾼들에게 고함을 치며 쫒아냈다. 이러한 유형의 공개 집회는 자발적이면서도 계획적이었다. 곧 키이우의 광장에서 일반적이게 되어 시민 활동이 전통을 확립하게 된다. "1990년 가을의 학생 단식 투쟁, 우크라이나 독립 선언 이후의 대 중 집회, 그리고 더 최근에는 오렌지 혁명과 마이단의 대규모 집회"[26]


중요한 전환점은 1989년 9월에 찾아왔다. 고르바초프를 반대하는 브레즈네프 성향의 볼로디미르 슈처비츠키가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CPSU 중앙위원회와 우크라이나 공산당CPU 제1서기에서 해임되었다. 슈처비츠키의 몰락과 함께 소비에트 우크라이나에서 정치적 변화의 속도가 빨라졌다 같은 달에 루흐는 키이우에서 첫번째 전국 대회를 개최하며 거의 30만명의 회원에게 지원을 받으며 선거 준비를 시작했다. 그 선거는 1990년 3월로 예정된 베르호브나 라다(소비에트 우크라이나 최고 소비에트) 선거였다. 1989년 페레스트로이카에 의해 선거법이 변화하여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아닌 후보자가 출마할 수 있게되자, 루흐는 1990년 3월 선거를 위하 후보자 명단을 조직했다. 루흐가 이끄는 민주주의 블록은 베르호브나 라다에서 450석중 111석을 차지했다. 나중에 우크라이나 공산당에서 92명이 떠나자 111명은 이들과 연합을 구성했다. 민주주의 블록은 베르호브나 라다에서 1990년 7월 16일 "우크라이나 국가 주권 선언"을 채택하게 했다. [27][28]

1990년 10월 2일 키이우 중앙 광장에서 수백명의 학생들이 3주간 단식 투쟁을 했다. 민주주의 블록과 지역 주민들이 시위대를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단식투쟁 시위대는 천안문 광장 시위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말했다. 단식투쟁은 우크라이나 공산당 강경파인 비탈리 마솔의 총리직 사임, 기타 정치적 요구에 대해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동의하며 끝났다.[29]


이후 루흐는 조직 이름에서 "페레스트로이카를 위해"를 삭제하기로 결정했다. 국가 주권 선거에 기초하여, 우크라이나에 대한 완전히 독립을 위해 노력하기로한 목표는 공식적인 공약의 일부가 되었다. 두번째 임기로 재선된 루흐 의장 이반 드라치는 다음과 같이 연설했다: "객관적인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분석은 필연적으로 하나의 결론에 이르게 할 것 입니다. 우크라이나 국민people의 완전한 주권, 완전한 독립된 우크라이나 국가라는 결과만이 세계 문명의 현대적 발전에 해당된다는 겁니다."[30]


기존 우크라이나 의회는 공산주의자가 지배했고 모스크바에 대한 충성도가 높았다. 1991년, 우크라이나 의회는 주권 국가를 위한 법적 기반 시설과 행정적 기반 시설을 만드는 과정의 최전선에 있었다. 공산주의자들이 통합된 투표 블록을 중단하고, 일부 공산주의자들이 특정 문제를 지지하기 위해 야당에 합류하자 국회의 업무가 수월해졌다. 민주주의 블록은 라다에서―당시 베르호브나 라다에서 일반적으로 불렀듯이―공산주의자 내부의 '민주주의'파와 힘을 합쳤다. 민주주의 블록과 공산주의 내의 '민주주의'파는 1990년 7월 16일에 우크라이나를 주권 국가로 선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의회의 방향이 변할 수 있던 건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덕분이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국민들에게the people 민족주의자 성향의 분위기가 더욱 강해졌을 때 크라우추크는 그 분위기에 빠르게 적응한 공산주의자였다.[31]



3.2. 소련 쿠데타의 실패와 우크라이나 독립운동가들의 추진력



고르바초프 시대 대부분 우크라이나의 독립운동가들은 상대적으로 거의 진전을 이루지 못했다. 우크라이나의 도네츠크 유역과 체르보노흐라드의 광부들이 1989년 7월에 파업에 들어갔지만 고르바초프에게 반대하기보다는 함께 일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파업을 했다. 1990년 10월 키이우에서 학생들이 2주간의 시위를 벌였지만 우크라이나 총리가 교체되자마자 시위가 끝났다.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초반 소련의 다른 공화국과 비교하면 우크라이나는 전반전으로 "혼란의 바다에서 정말로 안정된 섬"이었다. 소비에트 정부가 1991년 3월에 연방 유지에 대한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소련에 전국적인 국민투표를 실시했다. 이 국민투표는 어떤 종류던 간에 소련에서 유일하게 대 중들에게 국민투표가 실시된 유일한 경우였다. 우크라이나의 대다수 유권자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새로운 연방으로 유지" 찬성에 투표했다.[32]


1991년 3월, 당시 우크라이나의 투표에는 두가지 질문이 있었다. 소련 전역에서도 받은 첫번째 질문: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을 평등한 주권 공화국을 재개하여 새로운 연방으로 보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믿으십니까? 그 안에서 모든 내셔널리티nationality는 개인의 권리와 자유가 완전히 보장됩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우크라이나 최고 소비에트의 주도로 특별히 제기된 두번째 질문: "우크라이나가 국가 주권 선언의 원칙에 따라 주권 국가 연방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십니까?” 우크라이나 유권자 70%이 첫번째 질문에 "찬성"을 골랐고, 두번째 질문에는 80% 이상이 "찬성"을 골랐다. 우크라이나 서부의 3개 주에서만 "찬성"투표가 상대적으로 낮았고 이중 한 곳(이바노-프란키우스크Ivano-Frankivs’k)에서는 두번째 질문이 여전히 다수결로 통과되었다. 우크라이나의 다른 모든 지역에서 두 질문에 투표는 "찬성"이 압도적이었다.[33] 이 목표가 달성되었다면 우크라이나는 독립운동 세력이 추구하는 지위에는 한참 못 미쳤을 것이다.[34]


고르바초프는 중앙 기관과 연방의 공화국 사이에 새로운 관계를 형성해서 소련을 함께 유리하려고 노력했다. 1990-1991년까지 이 목적을 위한 협상은 장기간동안 이루어졌고 난관에 봉착했었지만 결국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중앙-공화국의 관계를 재구성 했을 연방 조약이 예정된 서명 전날에 KGB, 군대, 군사복합체, 소련 공산당의 강경파들이 8월 19일 쿠데타를 일으키기로 결정하지 않았다면 회담을 성과를 거둘 수 있었을 것이다.[35]


공모자들은 연방 조약이 소련을 "혼돈과 무정부"로 몰아넣을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국가가 "비극적인 운명"을 맞지하는 것을 막기 위해 행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쿠데타는 갑자기 일어나지 않았다. 이미 다음같은 징조가 있었다. 1990년 12월 셰바르드나제의 갑작스러운 사임(그는 곧 임박한 강경파의 반발을 경고했다), 1991년 1월 리투아니아와 라트비아에서 발생한 폭력적인 탄압, 1991년 6월 "헌법 쿠데타" 시도, 그리고 7월에 다양한 소비에트 기관과 의회에서 매우 강경한 반 고르바초프 인물에 의해 발표된 선언문 "인민들에게 말한다."“Word to the People”(Slovo k narodu).[36] 고르바초프는 쿠데타를 거부했고, 쿠데타는 실패했다. 쿠데타의 실패는 4개월 후 소련의 붕괴를 예고했다. 실패한 쿠데타의 결과로 발생한 광범위한 결과는 소련에 종식을 가져오는 데 특히 중요했다. 그 특히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우크라이나의 결정적인 변화였다.[37]


쿠데타 실패 이후 우크라이나의 상황은 크게 바뀌었다. 공화국의 정치적 기회는 구조적으로 각계각층의 개인과 집단으로 확대됐다. 독립을 향한 열망을 거스를 수 없게 되었다. 우크라이나 의원들은 모스크바 쿠데타가 붕괴된 지 3일 후인 1991년 8월 24일에 독립 선언을 의회에서 압도적으로 채택하며 새로운 분위기에 빠르게 끼어들어갔다. 1991년 12월 1일에 우크라이나에서 공화국 전역에 국민투표가 실시되었을 때, 투표자 중 92%이상(유권자의 85% 이상)이 완전한 독립에 찬성했다. 러시아계가 주로 거주하는 우크라이나 지역, 특히 크리미아 반도와 돈바스에서도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지지하는 투표가 다수를 차지했다. 우크라이나의 이러한 결정적인 변화는 일주일 후 소련의 종말을 성문화한 벨로베즈스카야 푸쉬차Belovezhskaya Pushcha협정으로 이어졌다.[38]


3.3. 1991년 8월 24일 우크라이나 독립 선언


1991년 8월, 모스크바의 보수 정치 세력을 고르바초프 정부를 뒤엎기위해 쿠데타를 일으켰으나 실패했다. 소련과 우크라이나 간의 관계는 마침내 이 때 결정되었다. 크라우추크는 실패한 쿠데타에 대한 대응에 약간은 망설인 후 결정적인 행동을 실행했다. 1991년 8월 24일, 크라우추크는 우크라이나를 독립 국가로 선언하는 결의안을 주도했다. 선언문엔 1991년 12월 1일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독립에 관한 국민투표를 실시한다는 발표도 들어있었다. 같은 날, 대통령 선거도 실시하기로 했다.[39]


독립 선언DECLARATION OF INDEPENDENCE


우크라이나 독립 선언에 대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평의회 결의안Resolution of the Supreme Soviet of the Ukrainian SSR o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Ukraine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최고 회의에서 내린 결정:


1991년 9월 24일에 우크라이나를 독립된 민주주의 국가로 선언한다.


독립을 선언한 순간부터 오직 우크라이나 헌법, 그 법률, 정부의 결의 및 이 공화국의 기타 입법 행위만이 이 국가의 영토에서 유효하다.


1991년 12월 1일에 독립 선언서 확정에 대한 공화국의 국민투표를 실시한다.


L. 크라우추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최고 평의회 의장


1991년 8월 24일 키이우Kiev



우크라이나 독립 선언의 법률 Act of Ukraine's Independence Declaration



1991년 8월 19일 소련USSR 쿠데타로 발생한, 우크라이나를 위협한 치명적인 위험에 대한 조치:


- 우크라이나 국가 형성의 수백년 정통을 발전시키는 것;


- 유엔 헌장 및 기타 국제 법률 문서에 의해 구상된 자결권으로 조치하는 것;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최고 소비에트는 우크라이나의 국가 주권 선언에 따라 행동하여 다음과 같이 선언한다:


우크라이나 독립 그리고 우크라이나인의 주권 국가―우크라이나를 형성한다.


우크라이나의 영토는 필수적이며 침범할 수 없다.


이제부터는 오직 이 헌법과 법률만이 우크라이나 영토에 적용된다.


이 법률은 승인된 순간부터 시행한다.


우크라이나 최고 평의회The Supreme Soviet of Ukraine


1991년 8월 24일

SOURCE: News from Ukraine (Kiev), September 1991, p. I. [40]



3.4. 소련 체제를 유지시키기 위한 옐친-고르바초프 세력의 지속적인 방해


우크라이나 라다의 독립 선언 이후 국민투표를 실시할 때 까지 대 중의 마음을 얻기 위한 투쟁은 정말로 치열했다. 모스크바는 소련에서 우크라이나가 탈퇴해서 분리독립하려는 활동에 맞서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했다. 8월 24일(독립 선언)에서 12월 1일(독립에 관한 국민투표)사이의 기간동안 소련 최고 지도부(자유주의와 보수주의 모두)와 많은 러시아 공화주의 지도자들은 우크라이나의 독립을 반대하기 위해 매우 강력한 캠페인을 벌였다. 중앙 TV, 라디오, 인쇄 매체, 러시아 미디어는 우크라이나의 소수민족(특히 러시아인)문제와 핵무기 문제에 관련하여 우크라이나 당국의 의도를 왜곡한 잘못된 정보를 퍼트리며 악랄한 캠페인을 실시했다. 레오니드 크라우추크는 중앙TV가 이러한 허위 사실 캠페인을 계속한다면 지불을 보류하겠다고 위협했다.[41]


종이 공급을 줄이는 것과 동시에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인이 아주 많이 정착한 지역에 반우크라이나 내용과 소련의 보존을 촉구하는 내용이 담긴 전단을 대량으로 배포했다. 모스코프스키에 노보스티와 같은 신문에서는 우크라이나 독립으로 인해 러시아와의 국경이 수정되고 심지어 핵무기 교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소문을 널리 퍼트렸다. 소련 국방부도 이 투쟁에 뛰어들었다. 투표 전날 소련 국방부는 "우크라이나에 배치된 군대에 대한 전투 태세 점검하라"고 명령을 내렸다. 마지막 순간, 시위 덕분에 점검은 현장의 대규모 군사 기동 훈련 없이 수행됐다.[42]


국민투표에 반대하는 강력한 캠페인은 크리미아에서도 조직되었다. 그 조직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RSFSR 최고 소비에트의 대표를 포함한 다양한 러시인 집단과 독일의 일부 정치 단체까지 포함한 세력이었다. 반면 크리미아 타타르족은 독립과 승인된 선거 참여를 강력하게 지지하며, 사람들에게 비아체슬라우 초르노빌과 레우코 루키아넨코에게 투표하도록 지시했다.[43]


이러한 활동은 보수나 중도 강경파에 국한되지 않았다. 상트페테르부크 시장 A. 소브차크와 모스크바 시장인 G. 포포브도 각자의 방식으로 이 적대적인 캠페인에에 크게 기여했다..[44] 고르바초프는 조지 부시에게 '우크라이나를 인정하겠다고 약속한 것'에 대해 짜증을 내며 '국민 투표에서 표현된 우크라이나 시민들의 의지는 연방에서 탈퇴하는 행위로 간주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45] 옐친도 고르바초프와 함께 반독립 캠페인을 벌였다.[46] 1991년 8월 쿠데타가 실패로 끝났을 때만 해도 옐친은 여전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및 기타 중앙 아시아 공화국 연결하는 연방을 유지하기를 희망했었다. [47] 고르바초프와 옐친 모두 우크라이나가 독립 국가가 될 수 없다고 말하자 크라우추크가 비판했다. 옐친가 고르바초프가 실시한 반독립 캠페인은 내정에 대한 중대한 간섭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아마도 독립 찬성 세력에게 도움이 됐을 것이라 추측된다. [48]


이러한 국면은 우크라이나 당국, 루흐 활동가, 소수 내셔널 세력의 다양한 대표, 심지어 우크라이나 디아스포라에게 독립을 위해 노력하도록 자극했다. 우크라이나 라디오와 TV는 독립을 지지하는 체계적인 캠페인을 시작했다. 디아스포라에서 온 우크라이나 그룹은 컴퓨터 장비, 소형 인쇄기, 심지어 종이까지 가져와서 특히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 체계적인 캠페인을 시작했다.[49]


투표에는 다음과 같은 배경도 영향을 끼쳤다. 러시아의 경제 상황 특히 대도시의 식량 부족은, 우크라이나 주민들에게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 그런 고통에서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격리시킬 수 있다는 방법으로 강력하게 상기시킨 건 독립이었다. 또한 모든 후보들은 독립한 우크라이나만이 국민들의 삶을 보장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50]


3.5. 1991년 12월 1일 국민투표


1991년 12월 1일 국민투표가 실시됐다. 그 결과는 가장 열렬하게 독립을 믿은 사람들한테도 놀라웠다.[51]


1991년 12월 1일, 우크라이나 유권자들은 8월 24일 베르호브나 라다(최고 평의회)가 선언한 독립에 대한 의사표명과 최초의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해 투표소에 갔다. 많은 정치분석가들은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지 확신하지 못했다. 물론 국민투표가 독립 선언을 승인할 것이라는 징후는 많았었다. 그러나 남부-동부, 부코비나, 자카르파탸에서 소수 집단이 많았기 때문에 지지의 한계에 대해 의구심이 남아있었다. 투표 결과로 유권자들 90% 이상이 독립을 선택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모든 정치 분석가들은 상당히 놀라워했다.[52]


투표가 끝난지 하루지난 12월 2일, 베체르니 키이우는 다음과 같이 기사를 썼다.

"가장 큰 독립 지지자들은 키이우의 유대인들이다. 출구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93.6%가 법안에 찬성했다! 반면 우크라이나인은 87%에 불과하다."[53]


1991년 8월 24일은 20세기 동안 우크라이나 영토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해 6번째로 독립이 선언된 날이었다.(키이우, 1918; 리비우, 1918; 키이우, 1919; 후스트, 1939; 리비우, 1941) 그러나 이전의 사례들은 1991년 사례와 달랐다. 이전의 사례들은 독립에 대한 견해를 우크라이나 주민들과 일부분만 또는 전혀 상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1991년은 라다 의원들에 의한 독립 선언은 유권자의 80%가 참여한 국민투표를 통해 정당화되었다. 외부와 내부의 참관인들도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민주주의적인 관행에 따라 투표가 실시됐다는 사실에 동의했다.[54]


국민 투표 결과는 공개적이고 민주주의적 방식으로 이루어졌고, 우크라이나 전체 주민의 의지를 표현하여 러시아와 세계 지도자들에게 소비에트 체제의 오래된 구조가 더 이상 실행 가능하거나 유지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했다.[55]


3.6. 소련 붕괴의 결정적인 전환


1991년 12월 1일 국민 투표 운동과 투표 자체는 근본적인 정치 변화의 역학에서 내생적으로 주도된 파열을 구성했다. 1991년 8월 쿠데타가 실패로 끝났을 때만 해도 옐친은 처음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및 기타 중앙 아시아 공화국 연결하는 연방을 유지하기를 희망했다. 그러나 1991년 가을, 우크라이나 거주자가 12월 1일에 완전한 독립을 위해 투표할 것이라는 것이 분명해지자 옐친은 국민투표가 되돌릴 수 없는 결과가 될 것임을 깨달아 목표를 강제로 변경해야 했다. 공식 투표 집계를 보기도 전에 옐친은 독립적인 러시아 국가(지금까지 구 소련의 가장 크고 강력한 구성 요소)에서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고 새로 선출된 우크라이나 대통령인 레오니드 크라우추크와 벨라루스 의장이자 사실상 벨라루스 국가원수인 스타니슬라우 슈슈케비치와 합류하기로 결정했다.[56]

1985년 3월 이전에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날 것인지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조사했던 학자나 정부분석가는 소련이 엄청난 도전에 직면해 있음을 알았겠지만, 그들은 데이터에서 소련이 시스템을 위협하는 위기에 처했음을 시사하는 것도 어떤 것도 찾지 못했을 것이다.


1985년 3월 이전에는 어떤 신뢰할 만한 학자도 소련이 1991년말까지 존재가 소멸할 것이라고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소련 붕괴의 장기적인 전조 신호를 지적할 수 없다. 1985년 3월 현재 소련은 파국적인 분기점에 이르고 있지 않았다. 소련의 상황적 전환점은 고르바초프가 1991년까지 체제를 분열에 취약하게 만든 일련의 불안정한 쇼크를 시스템에 가했을 때 찾아왔다. 직접적인 전환점은 1991년 8월의 쿠데타와 우크라이나의 독립 국민투표와 함께 찾아왔다.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16


4. 국내 친소세력의 누락과 왜곡


국내 친소세력들이 국내에서 사실관계를 지속적으로 왜곡해서 선동하는 사건이다. 친소세력들은 3월에 있던 소련 존속에 관한 전연방 국민투표을 가져와서 '(우크라이나를 포함해) 소련 국민들은 반대했는데 옐친이 권력욕으로 소련을 해체했다'고 선동한다.


그러나 정작 옐친은 오히려 소련을 유지하려고 했다. 하지만 12월 1일에 실시한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에서 완전 독립 찬성에 90%라는 압도적인 결과가 나오게 되자 목표를 강제로 변경하고 소련 해체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고르바초프와 옐친이 우크라이가 독립 국가 될 수가 없다고 말하자 크라우추크가 비판했다.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7


옐친과 고르바초프에 의한 국민투표 전날의 반독립운동―내부 정치 문제에 대한 무례한 방해로 인식―또한 아마도 독립 찬성세력들에게 힘을 주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을까?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8-129


8월 독립 선언과 1991년 12월 대통령 선거와 독립 국민 투표 사이에 고르바초프와 옐친은 우크라이나를 구 소련 내에서 유지시키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국민 투표에서는 동부 우크라이나와 같이 러시아인이 많이 밀집한 지역에서조차 90%의 압도적인 찬성율로 독립에 찬성했다.

Taras Kuzio (1994) Ukrainian nationalism, Journal of Area Studies, 2:4, 91


1991년 12월 7-8일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러시아의 민스크 정상 회담에서 옐친은 고르바초프로부터 제안을 받아 마침내 우크라이나를 소련내에 유지하는 유일한 방법이 주권 국가 연방으로 전환하는 것이라는 점을 받아들였다. 이것은 8월 쿠데타 이전의 크라우추크에게는 호소력이 있을지 모르지만(그러나 민족주의자에게는 그렇지 않음) 독립 국민 투표 결과 90% 이후에는 시작할 수가 없는 계획이었다.

Taras Kuzio (1994) Ukrainian nationalism, Journal of Area Studies, 2:4, 92


8월 21일 이후 두 사람은 모스크바에 본부를 둔 연방을 유지하기를 희망했지만, 등장해야 할 단체에 대한 개념은 양립할 수 없었다. 12월 투표 결과에 반영된 바와 같이 완전한 독립을 지지하는 우크라이나의 완전한 여론 변화는 결국 옐친의 목표를 바꾸도록 강요했고 그리고 벨로베즈스카야 푸쉬차Belovezhskaya Pushcha협정과 알마-아타Alma-Ata 합의를 통해 소련의 종말을 촉진시켰다. 그러나 우크라이나의 상황이 그렇게 극적으로 바뀌자 않더라도 옐친과 고르바초프 둘 다를 만족시킬 수 있는 실행 가능한 구조가 고안될 수 있었을지는 의문이다.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6


그 마지막 위기에서 또 다른 티핑 포인트는 독립 국가로 귀결되는 결정적인 투표인 1991년 12월 1일 우크라이나 독립 국민투표와 함께 찾아왔다. 국민투표 캠페인과 투표 자체는 근본적인 정치 변화의 역학에 대한 게르슈프스키의 유형론에서 또 다른 내생적으로 주도된 파열(Type III Change) 을 구성했다. 1991년 8월 쿠데타가 실패로 끝난 후에도 옐친은 처음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카자흐스탄, 그리고 다른 중앙아시아 공화국들을 연결시키는 연방을 보존하기를 희망했었다. 그러나 1991년 가을 우크라이나 주민 대다수가 완전한 독립을 위하여 12월 1일에 투표할 것이라는 것이 명백해지자 옐친은 국민투표가 되돌아 갈 수 없는 포인트가 될 것을 깨달았다. 공식적인 투표 집계를 보기 전에 그는 독립 러시아 국가(구 소련에서 가장 크고 가장 강력한 구성 요소)에서 권력을 공고히하고, 그리고 새로 선출된 우크라이나 대통령 레오니드 크라우추크와 벨라루스 의장(사실상 국가 원수) 스타니슬라우 슈슈케비치와 그 연방을 끝내는데 함께하기로 결정했다—1991년 12월 8일 벨로베즈스카야 푸쉬차에서 과업을 완수했다.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14


출처


[1]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4

[2]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3-4, DOI: 10.1080/00085006.1991.11091956

[3]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7, 128-129

[4] Taras Kuzio (1994) Ukrainian nationalism, Journal of Area Studies, 2:4, 91-92

[5]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6, 214

[6] Paul R. Magocsi (1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0.

[7]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09, DOI: 10.1080/13501674.2015.990312

[8]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0.

[9] 한국에서 부르는 소수민족과 의미가 다름

🔟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0.

[11]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0-671

[12]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09-110

[13]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10

[14]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Affairs, 45:1, 110

[15]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10. 그러나 루흐가 제안했던 이 메세지는 반유대주의적 도발, 광범위한 경제 불안정, 미래 복지에 대한 호의, 루흐에 대한 공산당 조직들의 적극적인 허위정보, 정치적 불확실성과 혼란과 "the strong beckoning of aliyah"을 견딜 수 없었다. 게다가 1992년에 루흐는 다문화적 내셔널 우크라이나를 대표하는 야망을 가진 풀뿌리 연합에서 중도우 파 정당으로 탈바꿈한다. Ibid.

[16]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Affairs, 45:1, 112

[17]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12

[18]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12

[19]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12

[20]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12

[21]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19

[22]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19

[23]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19-120

[24]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20

[25]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20

[26]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20

[27]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0-672.

[28]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21

[29]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21

[30]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21

[31]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2.

[32]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3-204

[33]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4

[34]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4

[35]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1

[36]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2

[37]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2-203

[38]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4

[39]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3-674

[40]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3

[41]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4-125

[42]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6

[43]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7

[44]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6

[45]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6-127

[46]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6-127

[47]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14

[48]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8-129

[49]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8

[50]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8

[51]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4

[52]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23-4

[53] Aleksandr Burakovskiy (2015) In search of a liberal polity: the Rukh Council of Nationalities, the Jewish question, and Ukrainian independence, East European Jewish Affairs, 45:1, 125

[54] Paul R. Magocsi (1996), A history of Ukrain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Incorporated, 674

[55] Peter J. Potichnyj (1991) The Referendum and Presidential Elections in Ukraine, Canadian Slavonic Papers, 33:2, 132

[56] Mark Kramer (2022) The Dissolution of the Soviet Union: A Case Study of Discontinuous Change, Journal of Cold War Studies, 24 (1):206, 214


출처

https://namu.wiki/w/1991%EB%85%84%2012%EC%9B%94%201%EC%9D%BC%20%EC%9A%B0%ED%81%AC%EB%9D%BC%EC%9D%B4%EB%82%98%20%EB%8F%85%EB%A6%BD%20%EA%B5%AD%EB%AF%BC%ED%88%AC%ED%91%9C




7ce99e36ebd518986abce89541807c6993f8


우크라이나 초대 대통령 레오니드 크라우추크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4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58 설문 SNS로 싸우면 절대 안 질 것 같은 고집 있는 스타는? 운영자 24/05/06 - -
3716707 공지 다중계정 갱차자 식별코드 리스트 。° ૮₍°´ᯅ`°₎ა °。 제4제국순두부장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11.25 21448 118
3892722 공지 신고게 。° ૮₍°´ᯅ`°₎ა °。 [5] 제4제국순두부장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4.15 14994 13
3764489 공지 근데 임시금지 조항 레퍼 포함은 된다고 하니까 눈치껏 행동좀 [2] KC-46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01.06 2214 12
3545695 공지 공지 20240402 토오오오오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8.27 16809 191
3492862 공지 임시공지 ( AI 이미지 관련 ) CA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7 18404 226
3478731 공지 임시 금지 목록 토오오오오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7.20 13424 213
2923975 공지 군갤 고정글 모음 군갤공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9.26 20914 209
1860311 공지 천안함은 명백한 북괴 소행입니다 [59] SSM700KA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07 101184 2204
3921323 일반 야 우구나치 또왔다 KC-46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22 13 0
3921322 💥우크 벨고로드 아파트 붕괴는 러시아 군의 오폭 [1] KC-46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21 17 0
3921321 일반 하리코프는 며칠 지나야 누구 말이 맞는지 알 수 있을 듯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21 5 0
3921320 일반 저런 작전은 전광석화거나 소수로 가야 성공하더라 4321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20 8 0
3921319 일반 내일이 월요일이라도 너무 슬퍼하지마 린코마이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9 19 0
3921318 💥우크 자유 러시아 군단,하르키우 작전에 투입중인 러시아 군에 투항할것을 권고 KC-46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9 58 1
3921317 일반 F-4는 에프-포 [1] ㅇㅇ(121.179) 21:18 24 0
3921316 일반 내일 왜 월요일 [4] KC-46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7 23 0
3921315 일반 팬텀이 다시 하늘 날수 있는 방법 윤의철군단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6 27 0
3921314 일반 yak-130은 우러전에 투입된적없지? [1] 킹판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6 23 0
3921313 일반 피카테일 택틱컬 리볼버도 있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6 19 0
3921312 일반 21세기 진짜광기 갑.jpg [3] 웰치스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5 100 0
3921311 일반 F-5 퇴역하게 되면 무인 개조해서 재활용 할까?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5 40 0
3921310 일반 ㄱㅇㄱ) 회전익소리나 고정익소리들리면 하늘쳐다보는 습관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5 10 0
3921309 일반 국군무인기에 '팬텀' 이란 이름을 붙이면? 꼬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4 18 0
3921308 일반 러시아가 어느선 넘으면 나토가 공식적으로 개입할까 [2] ㅇㅇ(1.216) 21:13 60 0
3921307 📸직찍 오우야 군붕이 바지 오줌지릴뻔 함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3 51 1
3921306 일반 제육볶음 제해볶음 제공볶음 [2] Fir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3 26 0
3921305 일반 이제 패튼은 퇴역히면 완벽 [1] 차단무서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 19 0
3921304 일반 제해권 제공권이라는 말은 있는데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1 66 1
3921303 일반 크...고 아름다워... [1] 김치골뱅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 36 1
3921301 일반 가장 가까이서 본 군용기 [1] 쌉쌉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 72 0
3921300 일반 M2HB는 나온지 100년 넘었다지? 갓토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 28 1
3921299 일반 스파르타군에 대한 가장 큰 오해 [9] casal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 118 5
3921298 일반 화롄기지에서 F-CK-1 [2] d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7 106 2
3921297 일반 검과 도의 차이를 처음 알았음.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 89 1
3921296 일반 팬텀 고별비행 축하 겸 설문조사 : 패튼옹 퇴역 예상년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5 40 0
3921295 일반 맥심기관총은 지금도 쓸만한가보네 ㄷㄷ [4] 갓토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4 121 0
3921294 일반 ㄱㅇㄱ)한화오늘도 졌네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3 57 0
3921292 일반 팬텀 퇴역하면 미사일 시험 역할은 누가 하는거임? [2] 퍼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 64 1
3921291 일반 그럼 머한공군에 팬텀 도입힐때 북한 충격이 어마어마했겠는데? [2] 린코마이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 127 1
3921290 일반 대위는 그렇게 '있어보이는' 계급이라고 생각은 안 드는게 [2] ㅇㅇ(58.233) 21:01 74 0
3921289 일반 솔직히 이제 러시아가 이겨도 영미한테는 별 상관없지않냐? ㅇㅇ(222.103) 20:58 59 0
3921288 일반 팬텀도 퇴역하는데 패튼도 퇴역시켜줘요 같은 ㅍㅌ이잖아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8 54 0
3921287 일반 팬텀 고별비행에 KF-21이 함께했다는 의도는 무엇이냐 [1] 윤의철군단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7 122 0
3921286 일반 미국이 반드시 지켜야 하는 국가 3가지만 꼽자면 어디임? [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6 196 1
3921285 일반 팬텀 들어올땐 당시 최강기체라 공군이 엄청 뽕 차올랐나보다... [3] 린코마이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3 167 0
3921284 ✒️창 팬텀옹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2 408 10
3921283 일반 나중에 국산 비행기들 모아서 에어쇼하는거 보고싶다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52 39 0
3921282 일반 우크라이나 도미노 이론은 솔직히 갖다 붙인거 아님? [3] ㅇㅇ(59.11) 20:50 102 0
3921279 일반 KF-21과 부활호가 같이 있는걸 볼수 있는가 [3] SV-001/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8 147 2
3921278 일반 CIWS-2 AHEAD 달 가능성 있어보이는데 [6] 방사거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48 125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