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대학 소식] 한신대 이해영부총장 정기칼럼 - 서울신문모바일에서 작성

ㅇㅇ(223.38) 2021.05.09 17:14:07
조회 84 추천 1 댓글 0
														
이탈리아 사람 마키아벨리는 대략 조선 중종 때 사람이다. 500년 전쯤이니 참 오래전이다. 그가 쓴 ‘군주론’, ‘로마사논고’. ‘전술론’ 등은 지금도 고전이니 싫다손 모른 척 지나갈 수가 없다. 마키아벨리는 생전에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 군사 등을 담당하는 제2서기장, 대략 지금으로 치면 차관 정도를 지낸 덕분에 이 분야에 정통한 일급 전문가였다. 그는 각종 고금의 군제(軍制)와 관련해 자신의 주저 ‘군주론’에 이렇게 적고 있다. “원군(援軍)은 그 자체로서는 유능하고 효과적이지만, 원군에 의지하는 자에게는 거의 항상 유해한 결과를 가져다줍니다. 왜냐하면 그들이 패배하면 당신은 몰락할 것이고, 그들이 승리하면 당신은 그들의 처분에 맡겨지기 때문입니다.”(군주론 제13장) 여기서 ‘당신’은 해당 국가의 군주다.

이 비슷한 얘기는 마키아벨리의 또 다른 주저인 ‘로마사논고’에서도 반복된다. “그러므로 나는 다시 말하는바 모든 유형의 병사들 중에서 원군이 가장 해롭다. 왜냐하면 도움을 주러 온 원군을 이용하는 군주 또는 공화국은 그 원군에 대해 어떤 권한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다만 오직 원군을 보낸 군주만이 권한을 갖는다.”(로마사논고 제20장)

마키아벨리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간다. “만일 군주-또는 공화국-가 방어를 위해 전적으로 원군에만 의지해야 할 상황이라면 자신의 나라에 원군을 불러들이려고 애쓰기에 앞서 다른 모든 수단을 강구해야 한다. 왜냐하면 적과 맺을 수 있는 협정이나 조약이 아무리 불리한 것일지라도 그 군주에게는 그러한 것이 원군을 부르는 계획보다는 더 나을 것이기 때문이다.”(로마사논고)

원군을 부르느니 차라리 굴욕적인 강화조약을 맺으라는 말이다. 원군 아울러 각종 용병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강력한 거부와 비판에 대한 증인으로 소환된 이가 역사 이래 가장 위대한 역사가로 일컬어지는 티투스 리비우스다. 리비우스의 저 유명한 ‘로마사’는 비록 유럽 국가들과 견주어 대충 500년 정도 늦긴 했지만 최근 우리말로도 완역됐으니, 이젠 우리도 ‘리비우스 로마사’ ‘보유국’이다. 리비우스는 따져 보건대 예수 탄생 이전인 2000년 훨씬 이전 사람이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에서 ‘구약’에 등장하는 다윗의 예를 들어 말한다. 골리앗과 싸우고자 했을 때 이스라엘 왕 사울이 자신의 무기와 갑옷을 주었다. 다윗은 그 갑옷을 입어 본 후 사울의 친절한 제안을 사양하고 자신의 투석기와 단검으로 대결하겠다고 한다. 그래서 마키아벨리 왈 “타인의 무기와 갑옷은 당신의 힘을 떨어뜨리거나, 몸을 압박하거나, 아니면 움직임을 제약할 뿐”이라고 결론 내린다. 마키아벨리는 또 다른 흥미로운 사례를 든다. 프랑스 왕 샤를 7세는 자국 방어를 위해 기병과 보병을 창설한다. 하지만 그의 아들 루이 11세는 부왕이 만든 보병을 폐지하고 스위스 용병을 고용했다. 그 결과 루이 11세의 기병은 스위스 보병과 연합해 싸우는 데 익숙해져서 스위스군 없이는 전투에서의 승리를 확신하지 못하는 사태에 이르렀고, 그 결과 프랑스군은 스위스군보다 열등한 지위에 놓이게 됐으며, 스위스군이 없는 프랑스군의 모습은 적에게 허약한 군대로 보이게 됐다.

리비우스 ‘로마사’가 제시한 원군에 대한 로마공화국 사례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해석 혹은 500여년 전 사분오열돼 외세에 시달리던 이탈리아 역사에 대한 경험을 지금의 우리 상황에 직결하는 것은 여러모로 온당치 않을 수 있다. 허나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은 주한미군은 마키아벨리적 의미에서 이른바 ‘원군’이라는 점이다. 그 원군의 ‘위험성’에 대한 마키아벨리의 경고는 500년이 지난 지금에도 유효하다. 마키아벨리는 그 옛날 위기에 몰린 콘스탄티노플 황제가 1만명의 튀르크 이민족 군대를 불러들였는데 종전 후 이 군대가 귀환을 거부해 결국 그리스가 이민족 지배하에 들어갔음을 언급한다. 원군이란 게 볼일 끝나면 조용히 돌아가는 존재가 아니라는 말이 되겠다.

주한미군은 역사가 보여 주듯 ‘사실상 종전’됐음에도 과거 튀르크군처럼 귀국을 거부하고 있고, 루이 11세 시절 프랑스 기병이 그랬던 것처럼 대한민국 군대는 주한미군이 없이는 마키아벨리 말처럼 “승리를 확신하지 못하는 사태”에 이르렀다. 우리는 이제 주한미군에 ‘중독’이 됐다. 결국 마키아벨리의 메시지는 이렇다. ‘자신의 안전을 타인에게 의탁하는 것은 위험하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72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831 AD 로스쿨 합격, 하나로 잇다! 1타 유닛 패키지 운영자 24/05/29 - -
2835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17 공지 X키를 눌러 완장을 호출하세요 [1] Night_Suns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9.25 590 0
9 공지 글삭, 차단 기준 공지 Night_Suns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4 350 2
7 공지 한신대학교에 관련된 사진과 내용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Night_Suns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4 337 3
304 대학 YTN - 대통령실 신임대변인에 한신대 김수경 교수 임명 [1] ㅇㅇ(223.62) 23.12.21 193 0
303 대학 네이처리퍼블릭, 제28회 한신영상광고제 후원 및 시상식 성료 ㅇㅇ(223.62) 23.12.21 76 0
302 대학 매거진 한경 - 국제광고제 애드아시아 사무총장, 허태윤 한신대 교수 ㅇㅇ(223.62) 23.12.21 65 0
301 대학 중앙일보 - 한신대 임병식 교수 ㅇㅇ(223.62) 23.12.21 65 0
300 대학 한신대 이해영 교수 논설-민중의 소리 ㅇㅇ(223.62) 23.12.21 100 0
299 대학 프레시안 논설-크리스챤아카데미 이사장, 채수일 전한신대총장 ㅇㅇ(223.62) 23.12.21 72 0
298 대학 경향신문 -한신대 이일영 교수 정기칼럼 ㅇㅇ(223.62) 23.12.21 61 0
297 질문 한신대 갤이 두 개가 있었군요? [1] ㅇㅇ(211.181) 23.12.21 182 0
296 대학 한오섭 신임정무수석 -윤후보시절 메시지 조율 -한신대 철학 졸업 ㅇㅇ(223.38) 23.12.13 134 2
295 대학 인라이플, 한신대학교와 업무협약 체결 ㅇㅇ(223.38) 23.12.13 101 0
294 대학 논술고사 끝난 한신대 - 중부일보 ㅇㅇ(223.38) 23.12.13 143 0
293 대학 한신대 중앙도서관, '1일 독서캠프'시상식 개최 ㅇㅇ(223.38) 23.12.13 96 1
292 대학 한신대 서울캠퍼스-서울 강북구, 주민자치회 위촉식 ㅇㅇ(223.38) 23.12.13 104 0
291 대학 한신대 송선미 교수 - '청년1인가구대응 특별위원회'-경기일보 ㅇㅇ(223.38) 23.12.13 94 0
290 대학 박선화 한신대 교수 - 경향신문 칼럼 ㅇㅇ(223.38) 23.12.13 115 0
289 대학 송주명 한신대 교수 -경기도, '민주주의 학교'상임 대표 ㅇㅇ(223.38) 23.12.13 95 0
288 대학 허태윤 한신대 교수 칼럼 - 이코노미스트 ㅇㅇ(223.38) 23.12.13 99 1
287 대학 한신대 김준혁 교수 - 경인일보 ㅇㅇ(223.38) 23.12.13 87 0
286 대학 한신대-한국임업후계자협회 중앙회장 '3파전' ㅇㅇ(223.38) 23.12.13 132 0
285 대학 한신대, 지역중소기업 R&D산업인턴지원사업 수료식 진행 ㅇㅇ(223.38) 23.12.13 81 0
281 대학 한오섭 신임 대통령실 정무수석 -한신대 철학과 ㅇㅇ(223.38) 23.12.02 164 4
280 대학 한신대 김상욱 교수, 2023 경인히트상품 심사위원장 ㅇㅇ(223.38) 23.12.02 121 2
279 대학 김수경 한신대 사회복지학교수, 대통령실 대변인 유력 ㅇㅇ(223.38) 23.12.02 169 3
278 대학 한신대, 경기지역 학생대상 'e스포츠 과학챌린지 대회'개최 ㅇㅇ(223.38) 23.12.02 108 2
277 대학 '자유, 인권, 민주주의' 한신대 학술회의 -고려대 정치연구소와 공동주최 ㅇㅇ(223.38) 23.12.02 104 2
276 대학 한신대, 'XR 디바이스 콘텐츠 메이커톤'서 전자정보기술원장상 수상 ㅇㅇ(223.38) 23.12.02 120 2
275 대학 한신대 이미옥 교수, 2023 제21회 한국색채대상에서 레드상 수상 ㅇㅇ(223.38) 23.12.02 102 2
274 대학 한신대 '경기농협 평생교육 위탁과정'수료식 거행 ㅇㅇ(223.38) 23.12.02 97 1
273 대학 한신대, '한신-인터불고 아너스 장학금'시상식 진행 ㅇㅇ(223.38) 23.12.02 99 1
270 일반 너넨 결혼할 사람이 연애 몇명 거친게 좋음? [1] ㅇㅇ(106.101) 23.07.08 353 0
269 일반 한신대 학군단있나요 [2] ㅇㅇ(61.82) 23.07.07 471 0
268 일반 한신대 재학생 분들께 여쭤봅니다. [6] ㅇㅇ(125.132) 23.06.16 645 0
266 일반 내가 이럴 줄 알았어 Night_Sunse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6.01 320 1
264 일반 경축. 한신대 대단하네. [1] ㅇㅇ(223.62) 23.05.14 731 12
262 대학 한신대, 교육부 발표 첨단분야 AI시스템반도체학 32명 신설 ㅇㅇ(223.38) 23.05.06 306 9
261 일반 13학번이다 질문받는다 잇팁이(218.38) 23.04.26 268 0
259 일반 토익편입 해볼만 하겠지 ㅇㅇ(222.117) 23.03.31 190 0
256 일반 복학하니까 뭐 이리 많이 바뀌어있냐 [2] ㅇㅇ(106.102) 23.03.06 496 0
254 대학 한신대, 일학습병행 첨단산업 아카데미 운영기관 선정 ㅇㅇ(223.62) 22.12.28 165 1
253 대학 한신대, ‘e스포츠 과학 챌린지’ 대회 개최 ㅇㅇ(223.62) 22.12.28 209 1
252 대학 한신대 ‘한신 스타트 UP’ 프로그램 진행 ㅇㅇ(223.62) 22.12.28 156 1
251 대학 2022년 한신대-경기농협 평생교육 위탁과정 수료식 진행 ㅇㅇ(223.62) 22.12.28 167 1
250 대학 농심데이타시스템-한신대, 클라우드 인재 양성 위한 산학협력 체결 ㅇㅇ(223.62) 22.12.28 158 1
249 대학 한신대-솔트웨어 IT 관련 분야 인재 양성/산학 교류 협약식 체결 ㅇㅇ(223.62) 22.12.28 196 1
248 대학 김삼남 인터불고그룹 회장, 한신대에 장학금 2억 기부 약정 ㅇㅇ(223.62) 22.12.28 265 1
247 대학 한신대, IR 정보시스템 구축 및 고도화 사업 진행 ㅇㅇ(223.62) 22.12.28 169 1
246 대학 한신대생들 (사)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학술회 대상, 은상, 동상 휩쓸어 ㅇㅇ(223.62) 22.12.28 158 1
245 대학 한신대, ‘방학 중 SW·AI 교육 캠프 운영기관’ 선정 ㅇㅇ(223.62) 22.12.28 148 1
244 대학 한신대-PNP네트워크 '반도체 분야 인재양성' 협약 체결 ㅇㅇ(223.62) 22.12.28 135 1
243 대학 한신대 국제교류원, 외국인 유학생 위한 K-Creative Culture ㅇㅇ(223.62) 22.12.28 150 1
1234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