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보사노바를 통해 리듬에 입문해보자

암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5.11 20:55:47
조회 1207 추천 23 댓글 20


1



저번 시간에는 디미니쉬 코드를 소개했어


스핀오프로 러브다이브를 분석하기도 했지.


오늘은 리듬에 대해 배워보자





목차


1. 왜 하필 리듬부터 배우는가?

2. 리듬을 배울 시의 이점

3. 보사노바란?

4. 보사노바의 기본 리듬

5. 보사노바의 레퍼토리들

6. 마무리






1. 왜 하필 리듬부터 배우는가?



18 : 멜로디부터 배우면 안돼요?


뎃 : 사운드부터 해야지! 현대음악은 사운드가 중요하잖아.



중요도로 따지면 그게 맞을지도 몰라....


하지만!


듬은 입문이 쉽고, 조금만 배워도 곡이 고급스러워져



41 : 한 마디로, 학습 가성비가 좋아요.



그렇기 때문에 리듬부터 설명하려는 거야




2. 리듬을 배울 시의 이점



화성학만 배운 사람은 곡을 만들 때 아래와 같이 만들게 되는데...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a9919341400628f20b3eb8d8a6fe0698bd92e72fa321a58d51ac2141428d53ea5317a9f09f22b



이럼 재미를 주는 방식이 원패턴이라 40초만 들어도 금새 물려.


하지만 리듬을 보강한다면 어떨까?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a9919341400628f20b3eb8d8a6fe0698bd92e72fa321a58d51ac2111023d26cf6677c9f09f2df


그럭저럭 120초 정도는 들을만한 음악을 만들 수 있게 돼



물음표 : 다 잘하면 안되는 거야?



그럼 지나치게 난해한 음악이 돼.


음악을 만들 때는 대중의 수준보다 살짝 높게 만드는 편이 좋아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a9919351400c01d151316223c7ca1869ede31110d2beeccf4c5ce7660dc8a62d8ac451902d05d

겉으로 들었을 때는 쉬운 곡이지만, 깊게 들으면 여러가지 요소가 있는...


들으면 들을 수록 재밌는 노래가 이상적이지.



게임 디자이너들은 이걸 난이도(Level)를 디자인 한다고 해서 레벨 디자인이라고 불러.



명확한 컨셉과 신선한 아이디어가 그 곡의 매력을 형성한다면


훌륭한 레벨 디자인은 완성도를 끌어올리는 역할을 해


리듬과는 상관 없는 얘기니까 지금은 '그런가보다~' 정도로 기억해두고 넘어가자



기억


18 : 어라? 우리... 무슨 얘길 하고 있었죠?


5 : 리듬을 배워보자는 얘기를 하고 있었어요.



이론만으로 배우는 건 재미 없으니


보사노바를 통해 배워보자




3. 보사노바란?


보사노바란 삼바를 개량한 장르로서, 브라질에서 시작된 음악이야.



ㅇㅇ : B-POP 같은 건가?



맞아. 옛날에는 인기가 엄청났대



Joao Gilberto & Stan Getz 1963 Full Album - YouTube



전미에 보사노바 붐을 일으킨 앨범이야


한 번 들어보길 바라.



어때? 리듬이 꽤 복잡하지?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a9919351400c01d151316223c7ca1869ede31110d2beeccf4c5ce746587d860ddf04f1902d0b0

39 : 간단한 리듬부터 하는 게 낫지 않나요...?


11 : 그렇게 생각하기 쉽지만, 간단한 리듬이란 건 달리 말해 여백이 많다는 거에요.



여백을 억지로 채우면 허접한 곡이 되어버리고,


방치하면 지루한 곡이 되어버려



그러느니 처음부터 복잡한 리듬을 배우는 쪽이 낫지 않을까?



25 : 요약하자면, 따라하기만 해도 그럴싸한 곡이 나오는 장르니까 이것부터 하자는 뜻이에요.






4. 보사노바의 기본 리듬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a9919341400628f20b3eb8d8a6fe069e6b42f79f136dac269926b9ddeec761e192363939380872f


보사노바의 기본 리듬은 이렇게 생겼어


복잡하지?


차근차근 패턴을 찾아내면 어렵지 않아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a9919341400628f20b3eb8d8a6fe069e6b42f79f136dac269926b9d8ee8241d162668c2938099fe



먼저 이렇게 나누고... 분석해보면?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a9919341400628f20b3eb8d8a6fe0698bd92e72fa321a58d51ac213452b856ca337759f09f292

이렇다는 걸 알 수 있어.


A파트는 정박이 강조되는데


B파트는 뒷박이 강조되고 있어.


재밌지 않아?




이 리듬에 6-2-5-1 코드를 적용해서 곡을 만들면 아래와 같이 돼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a9919341400628f20b3eb8d8a6fe0698bd92e72fa321a58d51ac214137bd76cf1647c9f09f2ae



어때? 코드만 치는 것보단 그럴싸한 리듬을 붙이는 쪽이 훨씬 더 듣기 좋지?



14 : 이딴 건 보사노바가 아니야.


3 : 기, 기다리세요! 이건 리듬일 뿐이라구요!



장르에는 리듬 뿐만 아니라 사운드, 선율, 화성적 요소들도 포함되어 있어


즉, 장르마다 저마다의 문법... 레퍼토리들이 있는 거지





5. 보사노바의 레퍼토리들



보사노바의 베이스라인은 일반적으로 1551로 되어있어



viewimage.php?id=2eb2dd36eac13d&no=24b0d769e1d32ca73feb81fa11d0283124a00b15f7fe94afc8159a9919341400628f20b3eb8d8a6fe0698bd92e72fa321a58d51ac21a172bd068a6667a9f09f253



어때? 조금 더 보사노바 같아졌지?


'라르고 김주헌' 채널에 의하면 이 1551 베이스라인은


호레이스 실버라는 이름의 유명한 라틴 재즈 피아니스트가 애용해서 퍼진 거라고 해



15 : 원조가 아니라는 거야?



맞아. 원조는 아니야.


원조격인 '겟츠와 질베르토' 앨범에 적용된 리듬과 문법은


우리가 흔히 아는 보사노바와는 살짝 달라



40 : 유행은 흐르는 거니까...



원조 보사노바 느낌을 내고 싶다면


원조 보사노바에 쓰였던 레퍼토리들을 많이 차용하면 돼



악기를 비슷하게 쓰거나 <-- 사운드적 접근


거기에 쓰였던 코드 진행을 차용하거나 <-- 화성적 접근


리듬이나 선율을 비슷하게 해도 좋겠지.



다른 장르 느낌을 섞고 싶다면?


다른 장르에 쓰이는 레퍼토리들을 가져와서 섞으면 돼.


한 장르의 문법은 이러한 레퍼토리들이 모여서 이루어져 있어



오 : 그래서? 그런 레퍼토리들은 어디서 배울 수 있는데?


각청 : 거기서부터는 자력갱생이에요. 분석을 통해 배우거나, 돈 주고 가르침을 받거나... 아니면 검색으로 정보를 찾아내거나.



보사노바의 경우 오래된 장르라 그럭저럭 정보가 많은 편이야



(1) 보사노바를 고급스럽게 연주하는 3가지 방법 [ 튜토리얼 ] - YouTube



특히 그 중에서도 이 즉흥연주 튜토리얼은 정말 훌륭한 것 같아


3분도 안되는 영상 안에 초보들이 익혀야 할 필수 피아노 테크닉들을 다 보여주고 있어



영상 내 용어해설

*레이백 : 정박에 딱딱 치는 게 아니라 살짝 느긋하게... 즉 늦게 치는 걸 말함. (밀어서 친다고도 함)

*브레이크 : 음악을 갑작스레 끊는 것



이렇게 바로바로 영상이 나오는 장르는 그나마 배우기 쉽지만...


고아 트랜스 같은 마이너 장르는 한참을 찾아도 영어 영상 한 두개 밖에 안나와


그렇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분석력을 기르는 편이 유리해






6. 마무리



미안 : 그 동안 키배 뜬다고 갤을 더럽힌 점과, 쓰면 안될 말을 쓴 것에 대해서 사과드리고 싶네요...



이번 편에서는 리듬을 배워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해봤어.


모두 재미있게 읽었기를 바라.


다음편에서는 리듬에 대한 지식들을 본격적으로 다뤄보려고 해



2







추천 비추천

23

고정닉 4

9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243619 안녕하세요, 작곡 한번도 배운적 없는 작세포입니다. ㅠㅠ 조언 부탁드려요 [5] 무코(175.212) 22.06.05 1301 15
243601 나 음악 접는게 맞겠지? [40] 리라그제(1.230) 22.06.05 1940 10
243571 탑클래스 믹싱엔지니어한테 믹싱 맡겨본경험(uad 안씀) [6] ㅇㅇ(125.131) 22.06.04 2116 21
243526 마흔 네살 아재 곡 하나 써봤읍니다 [34] ㅇㅇ(222.112) 22.06.03 1338 20
243525 열다섯인데어떤가요 [7] (116.127) 22.06.03 973 10
242981 보컬 커버 믹싱 순서가 보통 어떻게 되나요? [28] ㅇㅇ(118.235) 22.05.27 4117 11
242966 좋은 사운드, 틀에서 벗어나는 음악을 하기 위해서는 [7] ㅇㅇ(124.50) 22.05.26 585 8
242945 안녕하세요 신곡 홍보하고 싶어 글 쓰게 되었습니다 [4] 사랑(58.234) 22.05.25 712 32
242926 자작곡 평가좀(일본노래 [57] ㅇㅇ(58.140) 22.05.25 1408 47
242879 암석이가 있을때는 형철이가 안왔었는데. [3] ㅇㅇ(125.131) 22.05.24 498 12
242674 내가 진작 알았으면 좋았던 플러그인들과 작곡 입문 가이드 txt. [34] ㅇㅇ(1.237) 22.05.22 8664 63
242666 암석아 돌아와줘 [5] ㅇㅇ(119.199) 22.05.21 588 31
242650 원더월 클래스 이 병신같은년들은 [5] ㅇㅇ(180.224) 22.05.21 1951 13
242640 자작곡 평가좀... 허접이긴한데 [5] oov(219.248) 22.05.20 535 5
242629 좋은 소리를 들어야한다 [12] ㅇㅇ(58.238) 22.05.20 1460 14
242572 뮤직 프로덕션 관련 영상 보던중 갑자기 김치 등판 ㅋㅋ [3] ㅇㅇ(14.47) 22.05.19 519 5
242504 미디레슨을 하면서 많이 받았던 질문들 [6] ㅇㅇ(210.91) 22.05.18 3141 17
242500 내가 왜 저렇게 신경질적으로 반응하냐면 [14] 암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8 1478 33
242497 아니 얘들아 암석이가 쓰는 글 [5] ㅇㅇ(211.36) 22.05.18 683 36
242482 리듬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35] 암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8 2147 28
242433 요새 극혐하는 곡 투탑 [7] ㅇㅇ(121.129) 22.05.17 838 10
242392 작곡할 수 있을때 열심히 하셈 [3] ㅇㅇ(183.98) 22.05.16 715 6
242374 오오이시 마사요시 - 어서와 자파리 파크에 분석 [9] ㅇㅇ(121.139) 22.05.15 578 13
242367 내 나름대로 요약한 리하모제이션 [3] ㅇㅇ(121.139) 22.05.15 1623 18
242362 리듬에 대한 기초를 쌓아보자 [20] 암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5 2363 27
242317 이론은 곡 편히 쓰려고 , 좋은곡 제대로 된 곡 쓰자고 있는게 아닐까. [12] qqq(219.241) 22.05.14 1082 11
242219 플러그인 싸게사는 방법 [11] ㅇㅇ(125.178) 22.05.12 2104 21
242212 작곡관련 정보 공유함니다 (블로그,유튜브,샘플사이트,가상악기,책,팁) [10] ㅇㅇ(121.139) 22.05.11 13397 68
보사노바를 통해 리듬에 입문해보자 [20] 암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11 1207 23
242188 KPOP의 문제점 [7] ㅇㅁ(222.238) 22.05.11 1298 14
242179 모달 인터체인지만 좀 정리해드리겠숩니다. [32] 박터틀(112.220) 22.05.11 1664 35
242168 암석이 분신 정리해준다 [16] ㅇㅇ(106.101) 22.05.11 515 6
242161 왜 강의 올리는 애 멍석말이 못 해서 안달이냐 [6] ㅇㅇ(211.246) 22.05.11 622 25
242158 걸러야 하는 작갤 두명 (개추줘서 개념에 박아놔라 피해없게) [8] ㅇㅇ(222.232) 22.05.10 644 31
242109 작곡가에게 믹싱 마스터링은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14] ㅇㅇ(223.38) 22.05.10 1171 9
242101 미국음악은 정직한 코드를 쓰고 어그멘트 안쓰고 뭐 그런 음악 아닙니다. [10] ㅇㅇ(183.96) 22.05.10 988 11
242095 암석님 님이 왜 욕먹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55] ㅇㅇ(223.38) 22.05.10 536 5
242093 암석이 대단한 새끼네 [7] ㅇㅇ(1.216) 22.05.10 738 13
242091 현재 암석이 상황.jpg [4] ㅇㅇ(221.151) 22.05.09 987 24
242090 모달 인터체인지란 용어가 구린 이유 [47] 암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9 2788 18
242078 암석아 우리가 웃음벨이 터지는 이유가 [5] ㅇㅇ(222.97) 22.05.09 656 18
242058 이래서 화성학 공부하고 나면 다 잊어버리라고 하는구나 [16] 이래서(219.241) 22.05.09 1538 19
242016 주말동안 갤 개역겹게 씹창났는데;; [2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8 579 15
241916 내 자작곡 들어줄 사람.. [21] ㅇㅇ(180.229) 22.05.07 845 14
241865 으 병신새끼ㅋㅋㅋㅋ [16] ㅇㅇ(221.151) 22.05.07 845 22
241862 221.151에 대한 반박의 반박의 반박글 [14] 암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7 804 8
241849 암석 LOVE DIVE 반박 [12] ㅇㅇ(221.151) 22.05.07 1448 39
241796 안녕하세요 암석님 작곡갤러리에 연재하시는 글 잘 보고 있습니다. [9] ㅇㅇ(125.136) 22.05.06 603 18
241777 화성학 진짜 쓸데없는거 왜 그렇게 열불임 [10] ㅇㅇ(119.205) 22.05.06 712 9
241775 221.151의 저격글에 대한 반박 [18] 암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5.06 841 2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