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구조업계 수입이 똥망인 까닭 - 경쟁이 심해서앱에서 작성

건갤러(211.234) 2024.02.20 19:06:36
조회 582 추천 4 댓글 25

구조업계 수입이 똥망인 까닭 - 경쟁이 심해서


구조 업계는 수입이 영~ 안 좋다.  돈 되는 일이 별로 없으니, 돈 좀 된다 싶은 일이면 너도나도 달려들어서 단가가 뚝뚝 떨어지곤 한다.  그래서 그나마 수익성 좋던 일도 얼마 안 가서 손익분기점에 간당간당하게 된다.  이렇게 경쟁이 심한 건, 진입 장벽이 별로 안 높아서 그런 듯.  기술사 없이 실무 짬 좀 찼다고 개업하는 사람도 꽤 있고, 아예 구조 모르면서 직원 데리고 차리는 사람도 있다.  전문대 출신도 반년이면 업무의 90%는 할 수 있으니, 진입 장벽이 높을 수가 없다.  (나머지 10%를 채우는 게 어렵긴 한데, 고객들은 이런 거 모른다.  90% 만으로도 그럴듯 하니, 그냥 싼 곳에 주곤 한다.)

경쟁이나 진입장벽은 서론으로 다룬 거고, 이 글에서는 실제 단가가 얼마나 좆망인지 적어보려 한다.  


여러 비용 기준이나 지침이 있다.  보통은 대강 이대로 따르면, 적당히 벌고 먹고살 수 있는 정도로 정한다.  이런 게 몇 가지 있는데, 한결같이 여기서 한참 싼 값이 시세다.  

옛날에 건축구조기술사회에서 "구조업무 대가기준" 이란 걸 만든 적이 있다.  처음엔 100% 가격을 지키자고 다짐했지만, 뚝뚝 떨어지더니 어느새 50%까지 내려가더라.  그 다음엔 좆망이라 아무도 신경 안 썼고.  

안전진단이나 내진평가는 정부에서 만든 대가기준이 있다.  공공 적정가 입찰은 이 대가기준의 80~90% 사이에서 정해진다.  그러면 민간 시세는 이 기준의 몇 %일까?  놀랍게도, 5~10% (1/20~1/10) 정도다.   그리고 공공 적정가 입찰로 일을 땄는데, 여러 까닭으로 외주를 주는 경우가 많다.  (불법이다.)  이런 외주 시세는 보통 낙찰가의 30~60% 정도 된다.  실제 일하는 업체는 대가기준의 1/4~1/2 정도만 받고 일하는 거지.  

그렇다고, 이런 대가기준이 터무니없이 부풀린 값도 아니야.  보통은 고급기술자가 며칠이나 일해야 하는지를 바탕으로, 해당기간 일당에 간접비 150% 얹어주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내진평가에 고급기술자가 7일 일해야 한다고 잡히면,

용역비 = 고급기술자 일당 * 7일 * 2.5배(=1+1.5)

로 계산한다.  실제로 해 보면, 한 절반 정도 남는다.  즉, 공공입찰만 따면, 이익률 50%.  당연히 이런 꿀통은 모두가 달려든다.  따라서 입찰은 어쩌다 한번 걸리는 거고, 대부분은 (단가 씹창난) 민간 등 일을 하게된다.  

그런데 재하도급은 낙찰가의 60% 이하라고 했지?  여기에 필수 외주 비용 15% 정도 빼면, 재하도급은 이익이 거의 안 남는다.  이보다 훨씬 싼 민간은 말할 것도 없고.  민간은 그야말로 번개같이 쳐내도, 많이 남기 어렵다.  

(보통 필수 외주가 낙찰가의 15% 정도다.  즉, 낙찰사는 낙찰가 85%에 자기 업무를 수행한다.  그런데 60%에 재하도급 받으면, 재하도급 업체는 낙찰가 45%에 업무를 해야한다.)

이렇게 거의 안 남는 값에도 하겠다는 업체가 줄을 서니, 발주자는 값을 올릴 동기가 없다.  어차피 발주자는 싼 용역비로 시간 안에 물량 적게 가져오면, 안에 무슨 개판이 있던 신경 안 쓰는 경우가 많다.

- dc official App

추천 비추천

4

고정닉 2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아고다 호텔 8% 할인쿠폰 받기 !! 운영자 24/06/19 - -
35586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1동 해운정사 부근 항공 촬영. 정현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02 105 0
35585 더로드 101 1468(58.126) 04.01 92 1
35584 외국설계사무실 홈피 가서 구경해보면 건갤러(61.251) 04.01 267 3
35583 선배님들의 의견이 듣고 싶습니다. [9] 건갤러(220.92) 04.01 421 2
35582 에이팩 등록 건축사 [2] ㅇㅇ(121.162) 03.31 274 2
35581 개업 건축사 소득: 평균 4300, 상위1% 3.1억 [3] 건갤러(116.34) 03.30 618 4
35579 세무사 건축사 비슷 썰 [2] ㅇㅇㅇ(118.235) 03.30 458 2
35578 이런건물들은 층간소음이 있나요??? [6] ㅇㅇ(211.234) 03.30 352 11
35577 정림cm, 삼우cm 건축사사무소는 취업 어떠냐 [3] 건갤러(211.197) 03.29 617 3
35576 구조 모니터링 & 상세해석, 건축사에게 맡긴다고? [3] 건갤러(211.216) 03.29 334 2
35575 설계 a+ 받았는데 건축학과 탈건 현황 [10] 건갤러(118.39) 03.29 896 5
35574 2024 주요 건축사사무소 연봉테이블 [8] 건갤러(175.127) 03.28 688 7
35573 아트센트 1465(58.126) 03.28 102 1
35572 구조는 하고싶어 미치겠는 사람만 해라. [4] 건갤러(211.216) 03.28 637 3
35570 브라운핸즈 보수동 1465(58.126) 03.27 81 1
35569 관에 건축안전센터 구조기술사는 1년째 사람 못뽑노 [13] 봇001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7 380 5
35568 일본 맨션에 대해 잘아시는분 계심? [2] 건갤러(125.184) 03.27 241 0
35567 목조주택 방통 안할 경우 바닥 단열 어떻게 함? [1] 건갤러(121.135) 03.27 163 0
35566 멜로우 아웃(Mellow out) 1465(58.126) 03.26 110 1
35565 건축공학과도 소방쪽 많이 가냐? [6] ㅇㅇ(211.36) 03.26 394 0
35564 건축공학과 졸업하면 건설사 들어가는 게 정배인가요? [5] ㅇㅇ(175.114) 03.26 521 1
35562 단독주택 슬래브 40cm/기둥식/흡음재10cm 확정했습니다! [12] ㅇㅇ(211.234) 03.26 542 13
35561 설비 샵기사에 대해 잘아시는분 계신가요? [3] ㅇㅇ(125.184) 03.25 301 1
35560 구조기술사좀 많이 뽑자~ [2] 건갤러(220.86) 03.25 369 1
35559 단독주택 짓는데 층간두께 40cm에 기둥식 설계 가능할까요? [10] ㅇㅇ(211.234) 03.25 297 4
35558 언젠가는 시공사도 주5일 하는날이 올까 [2] ㅇㅇ(61.82) 03.24 379 1
35557 근데 건축하면 정신병 걸리기 쉬운건 맞는듯 ㅋㅋㅋ [2] 건갤러(115.139) 03.24 598 2
35556 지방 특수(야간) 대학원 학벌이 중요한지 의문이라고 질문 남깁니다. [4] 건갤러(175.202) 03.24 286 2
35555 2000년대 초 건축사 연봉 [4] 건갤러(58.237) 03.24 506 3
35553 건축기사 구조빼고는 다 기출딸임? [2] ㅇㅇ(211.36) 03.24 411 1
35552 꺄농 1464(58.126) 03.24 76 1
35551 휴학중인데 자격증 추천좀 [1] 건갤러(211.234) 03.24 261 0
35550 ... [2] Lilo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23 209 0
35549 BIM1 2급 준비할까하는데 1급은 실기가 면접인데? ㅇㅇ(118.235) 03.23 168 0
35548 건축기사 웃긴 점 [8] ㅇㅇ(183.96) 03.23 753 6
35547 단국대 구조대학원으로 회사에 코 꿰는 것 조심해라. [9] 건갤러(211.216) 03.23 444 4
35545 굿키 1464(58.126) 03.23 82 1
35544 유스타(넷플릭스 '살인자ㅇ난감' 촬영 장소) 1464(58.126) 03.22 156 1
35543 기술사 사회적 인식 처참하네. [11] 건갤러(211.234) 03.22 494 5
35542 야간 대학원 [16] 건갤러(118.235) 03.21 408 1
35539 폼보드 [1] 건갤러(223.39) 03.21 135 0
35537 sky 건축 가는건 별로임? [15] 건갤러(175.193) 03.20 771 0
35536 대학4학년 인데 건축기사 필기 붙고 [1] 건갤러(119.201) 03.20 455 0
35535 민다방 1464(58.126) 03.20 75 1
35534 카페왓는데 ㅋㅋㅋ 사기꾼새끼 ㅋㅋㅋㅋ 건갤러(223.38) 03.20 234 0
35532 님들 고등학교 건축 동아리 이름추천좀 [6] ㅇㅇ(218.50) 03.19 354 0
35531 1991년, 일본인의 2x4 목조주택 셀프빌드 건갤러(121.135) 03.19 165 2
35530 처음에 현상설계간 동기부러웠는데 1년차지나니 좀 바뀜  [8] ㅇㅇ(118.235) 03.19 461 4
35529 한솔 폴라리스 1464(58.126) 03.19 101 1
35528 건축설계로 해외취업 어려운 편인가요? [3] ㅇㅇ(118.235) 03.19 37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