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World] 남아공 446.8m vs 에티오피아 447.8m '1m 자

아프리카시대(116.41) 2013.11.15 22:06:26
조회 217 추천 0 댓글 0

남아공 최대 도시 검색하기" style="color: rgb(11, 9, 203);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6px; line-height: 24px;">요하네스버그의 중심부에 우뚝 솟아있는 '칼튼센터'는 40년간이나 '아프리카 대륙 최고층 빌딩'이란 타이틀을 유지해 오고 있다. 미국 건설회사가 1967년 착공해 1973년 개관한 이 건물의 높이는 지상 223m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인 검색하기" style="color: rgb(11, 9, 203);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6px; line-height: 24px;">아랍에미리트연합(UAE) 두바이의 부르즈 칼리파(높이 828m)의 4분의 1, 미국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높이 381m)의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 아프리카에도 초고층 빌딩이 앞다퉈 들어설 예정이다. 40년간 아프리카 최고 높은 빌딩의 자리를 지켜 온 남아공 요하네스버그의 칼튼센터.

↑ 2022년 완공 예정인 남아공 검색하기" style="color: rgb(11, 9, 203);">프리토리아의 심비오시티 콤플렉스 조감도. 가장 높은 건물의 높이는 446.8m에 이른다.

하지만 시내가 한 눈에 내려다 보여 관광명소로 매우 인기가 높은 칼튼센터도 수년 내 영광의 타이틀을 내려놓아야 할 처지다. 아프리카 각국들이 앞다퉈 초고층 건물을 짓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 외교전문지 검색하기" style="color: rgb(11, 9, 203);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6px; line-height: 24px;">포린폴리시(FP)는 "에티오피아의 수도 검색하기" style="color: rgb(11, 9, 203);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6px; line-height: 24px;">아디스아바바, 가나의 수도 아크라, 남아공 행정수도 프리토리아 등에 수십층에서 100층이 넘는 초고층 건물이 들어설 예정"이라며 "아프리카 국가들이 경제성장에 힘입어 높은 건물을 짓는데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고 보도했다.

남아공 프리토리아의 위성도시 센트리온에 들어설 예정의 '심비오시티 콤플렉스'는 사무실, 상가, 아파트, 회의시설 등을 갖춘 110층짜리 주상복합건물이다. 이 건물의 높이는 446.8m로 미국 엠파이어스테이트 빌딩을 넘어설 전망이다. 시 당국으로부터 건축 허가 등을 받는 절차를 거쳐 2022년 완공을 예상하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수도 아디스아바바에 2017년 완공을 목표로 99층 건물인 '멜레스 제나위 국제센터' 건축을 추진 중이다. 건물 이름은 91년부터 과도정부 대통령과 세 차례 총리를 지낸 뒤 지난해 타계한 멜레스 제나위 전 대통령의 이름에서 따왔다. 중국의 지원을 받고 있는 이 건물은 완공되면 높이가 447.8m로 남아공의 심비오시티 콤플렉스보다 1m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가나는 대통령까지 직접 나서며 초고층 건물 건축에 의욕을 불태우고 있다. 존 마하마 대통령은 올 3월 수도 아크라 교외에 100억달러(10조6,850억원)를 투자해 아프리카판 실리콘밸리를 목표로 하는 '호프시티 프로젝트'를 발족했다. 높이 270m인 75층 건물을 포함해 서로 다른 높이의 고층 건물 6개를 지어 구름다리로 연결할 계획이다. 하지만 개발업체가 돌연 건축 예정지를 변경하는 등 사업에 차질을 빚고 있다. 현지언론은 "업체가 부족 지도자들의 허락을 받지 않아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쳤다"고 보도했다.

FP는 "아프리카의 경제 발전과 동시에 현금이 두둑한 건축가들과 개발업자들이 앞다퉈 들어오면서 초고층 건물 건축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사실 아프리카는 최고층 인공건축물 타이틀을 가장 오랫동안 보유한 곳이기도 하다. 4,500년 전쯤 지어진 고대 이집트 왕국의 기자 피라미드(높이 45m)가 그 주인공으로, 1311년 영국의 링컨대성당이 지어질 때까지 약 4,000년간 세계 최고층 타이틀을 거머쥐고 있었다.

그렇다면 아프리카에 그 동안 고층 건물이 건축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FP는 문화적 요인을 꼽았다. 남아공에서는 팔기 어렵다는 이유로 도시 계획가들이 고층 건축물을 기피한다. 조상들과 가깝게 지내기 위해 땅과 접촉해야 하는 풍습과도 관련이 있다. 실제로 남아공은 다층 아파트는 예외지만, 정부가 짓는 저비용 주택은 1층짜리만 있다고 한다. 아프리카 유명 전통 건축물을 봐도 대체로 낮다. 세계에서 가장 큰 진흙벽돌 건물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말리의 '젠네 모스크'나 역시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짐바브웨 왕국의 도시 유적 '그레이트짐바브웨'가 그 예다. 또 2002년 개관 당시 독특한 외관으로 큰 주목을 받았던 이집트 검색하기" style="color: rgb(11, 9, 203); font-family: 굴림, gulim, sans-serif; font-size: 16px; line-height: 24px;">알렉산드리아 도서관도 요즘 초고층 건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첨탑 모형의 뾰족한 모양이 아니다.

건물 지을 땅이 풍부해 굳이 고층 건물을 지을 필요성도 느끼지 않는다. FP는 "저층 위주의 개발은 인근 지역으로 도심이 팽창할 수 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서비스가 분산되고, 대중 교통 접근도 어려워지며, 과도한 차량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오염 증가 등의 문제를 불러 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박민식기자 bemyself@hk.co.kr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공지 도시 갤러리 이용 안내 [246] 운영자 09.11.12 175539 154
2314318 갤s23u가 폰카여도 화질이 그렇게 좋음? ㅇㅇ(114.201) 18:05 2 0
2314317 대전권 ㅇㅇ(110.76) 18:05 10 1
2314316 정신병 어케낫냐 피자2021(58.235) 18:04 3 0
2314315 경상도 독립시 시나리오 [1] 117어흥펀치(117.111) 18:02 24 0
2314314 충남 부여 백제 캐릭터 발굴 ㅇㅇ(110.76) 18:01 8 0
2314313 여기 어디임? [4] 도갤러(180.71) 17:59 24 0
2314312 포항에서 대구, 부산 E(106.102) 17:58 22 0
2314311 광주(전라)사람들 만나보면 안타까운게 [3] ㅇㅇ(116.124) 17:57 59 4
2314310 경상도 독립 기원 영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56 44 0
2314309 전남(여순광) 과 부산쪽이 교통이 ㅄ이니 이동량이 없던거지 ㅇㅇ(112.160) 17:54 32 2
2314308 청주 광역전철 도심지하화 도갤러(106.101) 17:50 19 0
2314307 송도국제도시 센텀하이브 공사현장 위주 회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9 20 1
2314306 나 수급자 될수도 있었는데 [1] 피자2021(58.235) 17:47 14 1
2314305 세종에 백화점 들어올까…유치전 시동 ㅇㅇ(110.76) 17:45 23 2
2314304 대구-포항 /// 부산-진주 ㅇㅇ(110.76) 17:43 33 0
2314303 자꾸 새벽에 깨서 미치겠다 피자2021(58.235) 17:41 13 0
2314302 석유 빼고 포항-부산-전남 가까워지는건 팩트 [1] 꼴빠원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8 52 4
2314301 햄 요즘 신경 예민하다 피자2021(58.235) 17:37 7 0
2314300 그냥 경상도 독립 시켜라 ㅇㅇ(223.39) 17:35 30 3
2314299 햄 정병약 묵닌다 피자2021(58.235) 17:34 7 0
2314298 경북괴 새끼들 석유 망상 = 국힘 총선 승리 망상 [2] 파란창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31 56 8
2314297 백제인들의 신라에 대한 원한? ㅇㅇ(110.76) 17:31 34 3
2314296 요즘 이런 게 유행이던데 도갤러(155.230) 17:28 14 0
2314295 한국여자랑 결혼못할거같다 피자2021(58.235) 17:28 15 0
2314294 도시박사가 여순광은 부산 메가시티권에 들어간다던데 [9] 도갤러(211.221) 17:27 233 11
2314293 베트남 여자랑 결혼할거다 [1] 피자2021(58.235) 17:25 31 0
2314292 앞으로 포항-울산-부산-창원-전남 [17] 꼴빠원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8 243 16
2314291 범죄도시같은 b급영화는 대체 왜 보는거냐? [8] ㅇㅇ(114.201) 17:17 28 2
2314289 죽기전에 자위라도 많이 해두자 피자2021(58.235) 17:12 35 3
2314288 그냥 물어보면 됨 난 알려줄수 있음 너도 알걸?? 난 거짓말 안함 117어흥펀치(117.111) 17:11 25 2
2314287 경상주민 근황 [7] 도갤러(106.102) 17:11 125 6
2314286 햄 영화보러간다 피자2021(58.235) 17:10 19 0
2314285 지금 내 생각으론 대한민국에 뭔가 엄청난 부린일이 일어나고 있음 117어흥펀치(117.111) 17:09 22 0
2314284 117 어흥펀치 나잇대 피자2021(58.235) 17:07 37 2
2314283 천공,尹 발표 미리 알았나..올 1월에 "한국 산유국 돼"발언 재조명 ㅇㅇ(114.201) 17:07 41 2
2314281 부린내는 센스 단어가 아님 ㅋㅋㅋㅋㅋ 117어흥펀치(117.111) 17:04 29 2
2314280 반도체도 대구권 이미 확정 E(106.102) 16:59 52 2
2314279 시추도 전인데 시추해 성공해도 11조 기대한다는데요? 도갤러(106.102) 16:57 32 1
2314278 부린내라는 센스 구린 단어를 열심히 밀어본다만 피자2021(58.235) 16:56 29 0
2314277 구남로 봄베이 식당. [3] 정현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5 39 0
2314276 포항석유 1500조 팔아서 영남권 전역에 도시철도 건설 피자2021(58.235) 16:54 48 5
2314274 포항 석유는 포항, 울산 산업단지에만 싸게 공급해야 한다 피자2021(58.235) 16:52 36 5
2314273 햄 6/18 자격증결과 나오는데 피자2021(58.235) 16:51 18 1
2314272 3상 교류 상전압과 선간전압 피자2021(58.235) 16:48 22 0
2314271 애자련의 절연효율 피자2021(58.235) 16:47 23 0
2314270 만수르가 부럽지않은 대구경북 미치도록 부럽다 [7] 경상도최세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46 208 13
2314268 햄 시원하게 좆물 뺐다 피자2021(58.235) 16:44 46 2
2314267 117 어흥펀치의 고향 [4] 117어흥펀치(117.111) 16:43 74 1
2314263 경상주민♡뒤통수 도갤러(106.102) 16:34 25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