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벵골기근이 영국 정부의 식량수탈과 원조거부가 원인이라고 보기 힘든 이유.

Primo(49.172) 2016.09.24 12:05:44
조회 278 추천 0 댓글 0
														

 

1.부정확한 통계.

viewimage.php?id=29bec72feedb&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f53d827e196c02265dddc0b1d6dfe3ea8405b33c533f773a1fe7f6865bf93

당시 벵골에는 특유의 조세 시스템때문에 거의 추정하다 시피 해야했고, 제대로된 통계는 실제로 나오기 힘들었어. 나중에 다시 확인 해보면 통계와 실제 현황이 최대 60프로가 오차가 나고 30-40프로 오차도 흔히 보이던 사태였으니까 말이야. 이런 부정확한 통계로 생산량이 4분의1이나 증가했다고 과장하였어. 그런데 당시 싸이클론이란 재해까지 덮쳐서 생산량이 6퍼센트나 감소해버렸어.

 

이걸로 완전히 잘못된 보고를 올려버리게 되지. 그에따라 당시 지방정부는 이에 대해 낙관하게 되고 기근을 일으키는 하나의 원인이 되버려. 게다가 얼마나 많은 사람이 식량을 공급 받아야 될지 조차 안나타났다고 해.(1)

 

2. "민주적"인 지방 정부의 문제

viewimage.php?id=29bec72feedb&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f53d827e196c02265dddc0b1d6dfe3ea8405b349036a9731b278d06a99204

보통 인도에 있던 영국 식민지 정부는 기근이 일어났을시 그 지역에 돈을 줘서 식량을 사게끔 하는걸로 대처하는게 전통적인 방식이었어. 그런데 이 때 일어난 기근의 경우 다른 기근과 달리 특정 지역에 한정되있는것이 아니라, 전국적이었지. 그래서 중앙정부는 1937년 인도 지역 선거로 뽑힌 이 민주적 정부들이 자기 지역의 보호를 위해 지역별 무역장벽을 요청하였을때 허용해주었어.

 

결국 민주제 하에서는 정치인들은 그 지역민들에게 잘 보여야되고 최우선으로 대우 해야하니, 그 지역민을 먼저 먹여살리는게 가장 급선무적인 문제였고, 정치인들은 뇌물을 받지 않는한 타 지역으로의 바다를 통한 곡물 운송을 잘 허용해주지 않았어. 이런게 겹치다보니 배로 가는 유통비는 급격히 증가했고, 오직 남은 길은 낙후되어 작동도 잘 안되는 철도 시스템뿐이었어.

 

그래서 당시 영국 정부는 실수를 깨닫고 이를 시정하려 했지만, 1935년에 제정된 지방정부로 대부분의 권력을 넘겨주는 법이 제정되었기에, 각 지방정부와의 협상을 하지않으면 이에 대해서  강요를 하기가 힘들었다는게 또 다른 난제였지. 하지만 이런 자유무역 원칙과 민주적 원칙에도 불구하고 식민지 정부는 벵갈에다 식량을 운송했어.(2)

 

3. 식량 부족과 힌두-이슬람 종교 문제

 

viewimage.php?id=29bec72feedb&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f53d827e196c02265dddc0b1d6dfe3ea8405b35ca34f7754a5b9e45d89771

(빨강색이 이슬람 지역)

 

글을 적은 녀석은 식량이 있음에도 수탈이나 하고 포기했다고 하는데, 간단히 말해 이는 사실이 아니야. 왜냐하면 이미 수탈을 하고 기근 기간에 풀어놓지 않고 축적을 했었다면, 기근 기간이 끝난후 식량이 있었어야 했는데 전혀 남아있는 비축분이 어디에도 존재하질 않았거든.(3)

그리고 앞서말했듯이, 각 인도의 지방정부들이 민주주의의 원칙에 의거해 선거를 통해서 집권하게 되었는데, 무슬림이 다수 지역인 벵골 지역에 인도의 다수인 힌두계 지역에서 종교의 차이와 반감을 이유로 벵골에의 곡물 수출 및 운송을 극렬히 거부했기에 기근은 더 악화되었어.(4)

 

4. 처칠에 의한 타국으로부터의 원조거부 의혹과 U 보트.

 

viewimage.php?id=29bec72feedb&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f53d827e196c02265dddc0b1d6dfe3ea8405b609265a924682a97067c2915

 

아쉽게도 이것도 사실이 아니야. 왜냐하면 호주로부터의 상당한 곡물이 벵갈로 수출되었거든.(5) 대서양에서의 전쟁에서 미국 배들도 수많이 독일의 유명한 잠수함 유보트에 의해 격침된건 알지? 1942년 중반부터 1943년 중반까지 시보트에 대해 파훼법이 이루어지기 전까진 당시 영국의 경우 고사직전에 이르고 있었어. 그렇기에 인도로 영국본토에 있는 곡물을 보내기엔 힘들었지. 처칠이 대서양전쟁에서의 패배는 곧 영국의 전쟁결과와 직결한다고 말했듯이 말이야(6)


즉 영국 처칠이 한건 타지역에서 가는 운송도 글쓴이가 논하였듯이 일부러 방해한건 아니야. 다만 영국에서의 식량을 인도로 보내기에 여유가 없었다는것, 그리고 그리스에서 일어나는 기근에 대해 더 우려했다는 점은 사실이지만 말이야.(7)

 

5. 일본의 미얀마 점령과 벵갈지역의 식량생산 급감

 

viewimage.php?id=29bec72feedb&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f53d827e196c02265dddc0b1d6dfe3ea8405b67cb61a772b4f686b0590754

(버마에서 일본군을 지휘하며 대한 독립에 힘쓴 무다구치 렌야 장군)

 

당시 인도의 15퍼센트에 달하는 쌀 소비가 미얀마로부터 왔는데, 이 미얀마가 일본군에 의해 점령당하면서 당연히 쌀을 수입해올수 없게 되었어. 이건 기근에 큰 타격을 주게 되는셈이였지.(8)


게다가 앞서말한 싸이클론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와 더불어 갈색 점 이라는 포자가 퍼졌는데, 이건 50퍼센트에서 90퍼센트에 달하는 쌀을 못먹게 만들어버렸어.(9) 결론적으로 이로 인해 평균의 120만-250만 톤의 생산량이 급감하게 되는 참사를 낳지.

 

6. 그렇다면 영국 식민지 정부는 방관하고 수탈에 열중? 

 

viewimage.php?id=29bec72feedb&no=29bcc427b28377a16fb3dab004c86b6f2ced7c20b333219e4f53d827e196c02265dddc0b1d6dfe3ea8405b32963fa872fb4b5e94023b1f

 

기근이 일어나는 기간동안, 26만4천 톤에 달하는 쌀, 25만 8천톤에 달하는 밀과 밀로 만들어진 식품류, 그리고 55000톤에 달하는 잡곡이 그외 지역의 인도 지방과 해외로부터 기근을 안정시키기 위해 원조가 되었어. 만약 처칠이 오는것을 방해하고 수탈만했다면 이럴수가 없었겠지.(10) 이 당시 식량 1톤은 보통 5.75명을 1년동안 먹일수 있었고, 8.2명의 긴박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부양할수 있다고 해.(11)


 

_______________

출처

 

1) Famine Inquiry Commission 1945a p7

2)Braund p12 (citing Government of India letter to all Provinces dated 13 February 1943.)

3) Bowbrick, 1986

4) Dutt, 1944; Ghosh, 1944; N. S. R. Rajan 1944; Mansergh vol III 1971; Mansergh vol IV, 1973 p 358; Famine Inquiry Commission 1945a p84

5) "Blame for India Famine". The Courier-Mail (Brisban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 October 1943. p

6) (Costello & Hughes, p.210.)

7) S Gopal, 'Churchill and the Indians' in Churchill: A Major New Assessment of His Life and Achievements by Wm. Roger Louis and Robert Blake (eds.)

8) Bayly and Harper (2004), p.284

9) Famine Inquiry Commission 1945a, 1945b. Knight 1954. Tauger (2006), (2009) 

10) Famine Inquiry Commission, Report on Bengal (1945), p.54-55

11) Andrew Fitzgerald (April 10, 2013). "10 Terrible Famines In History". Listverse.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373524 저기 NACI 나치라고 읽으면 돼 [2] ㅇㅇ(58.226) 16.09.24 100 0
373522 내가 친목하려는데 카톡이 안되어서 [3] 블랙가이(1.227) 16.09.24 87 0
373520 아 ㄹㅇ 취소선;; [4] Na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9.24 107 0
373518 취소선토론 골때리네 QBS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9.24 52 1
373516 짭류코는 어찌 보면 참 안스러움. [2] 화이트리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9.24 85 0
373515 boyager는 솔까 밉지는 않음 [4] 화이트리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9.24 128 0
373514 잘들 놀고 자빠졌다 ㅉㅉ [3] 화이트리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9.24 82 0
373513 디시위키 빠따충들은 제발 독립해서 나갔으면 좋겠다 ㅇㅇ(180.69) 16.09.24 78 1
373512 메갈 관련 뻘글 ㅇㅇ(223.131) 16.09.24 66 2
373510 joker 쟤는 왜 저러냐 ㅇㅇ(211.186) 16.09.24 63 0
373509 우유방 ㅇㅇ(203.226) 16.09.24 74 2
373508 한방 ㅇㅇ(203.226) 16.09.24 100 0
373507 우유방 두유방 녹차방 다 어디갔나요?ㅋㅋㅋ ㅇㅇ(203.226) 16.09.24 45 0
373506 남방 ㅇㅇ(203.226) 16.09.24 50 0
373505 나방 ㅇㅇ(203.226) 16.09.24 103 0
373504 직방 ㅇㅇ(203.226) 16.09.24 54 0
373503 노봉방 ㅇㅇ(203.226) 16.09.24 142 2
373498 NACL님 류코님의 차단을 풀어주시길 바랍니다. [73] 면접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9.24 610 17
벵골기근이 영국 정부의 식량수탈과 원조거부가 원인이라고 보기 힘든 이유. Primo(49.172) 16.09.24 278 0
373496 카티노르야 뭐하냐 [2] 화이트리스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09.24 106 0

게시물은 1만 개 단위로 검색됩니다.

갤러리 내부 검색
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