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교육 병신

ㅇㅇ(39.115) 2024.10.07 13:13:45
조회 173 추천 0 댓글 0

사교육 없이는 공교육만으로는 서울의 대학에 진학하기 어렵습니다. 고등학생들이 알고 있는 지식은 매우 제한적이며, 입시 제도 자체가 학생들에게 더 많은 학습과 지식을 제공하기보다는 난이도를 높여 우열을 가리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수시 9등급제 등은 이러한 문제를 잘 보여줍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며 공부하는 학생들에 비해, 부모나 주변의 도움을 받지 못하거나 가정 환경이 좋지 않은 학생들은 혼자서 많은 경쟁자들과 싸워야 합니다. 이는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모는 자녀에게 공부에 대한 지원 없이도 높은 성취를 기대하며, 성과가 부족할 경우 비난하기도 합니다.


공부에 대한 일체의 도움 없이 혼자서 모든 것을 해내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입시 제도에 대한 깊은 이해와 효율적인 공부 방법을 스스로 찾아야 하며, 전국의 경쟁자들과 경쟁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학생들과 경쟁하는 것은 더욱 어렵습니다.


고등학생들이 알고 있는 지식은 매우 제한적입니다. 대학원에서 석사나 박사 과정을 밟은 사람들조차도 "내가 아는 것이 별로 없었다"고 말합니다. 하물며, 고등학생들이 무엇을 제대로 알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입니다.


학교나 학원의 선생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지 않냐고 물을 수 있지만, 현실적으로 이는 어렵습니다. 학교 선생님들은 수업 외에도 수업 자료 준비, 시험 출제, 회의, 수행평가 등 많은 업무를 처리해야 하며, 개별 학생을 집중적으로 도와주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또한, 글쓰기 방법이나 맞춤법, 문법 등을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으면서도 수행평가를 실시하는 경우가 많아, 사교육 없이 높은 점수를 받기 어렵습니다.


수행평가에서도 점수는 차등적으로 부여되며, 모든 학생에게 만점을 줄 수 없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9등급제에서는 상위 4% 이상의 학생들이 만점을 받으면 1등급이 없어지므로, 시험은 더욱 어렵게 출제됩니다. 또한, 학교에서는 특정 문제에 대해 많은 학생들이 맞히거나 틀린 경우 그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결국, 학교라는 제도는 공부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도와주기보다는 우열을 가려 경쟁에서 밀려난 학생들에게 낮은 학벌의 학교를 다니게 하고, 이는 취업이나 연애 등에서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학원의 경우에도 좋은 학원을 찾아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면 학생의 성적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고학벌의 선생님이라고 해서 항상 좋은 결과를 보장하는 것도 아닙니다. 실제로 일부 학원에서는 EBS 강의를 그대로 활용하거나 비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부모나 주변 환경이 좋지 않다면, 고등학교 입시에서 성공하기는 더욱 어렵습니다. 불행한 가정 환경은 학생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학습 동기와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경쟁 속에서 학생들은 서로를 도와주기보다는 자신의 성적에만 집중하게 되며, 이는 협력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장애가 됩니다.

학생부에서는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고 어울려야 한다고 강조하지만, 현실에서는 경쟁과 스트레스 속에서 이를 실현하기 어렵습니다. 이런 제도 속에서 순진한 학생이 좋은 성적과 대인관계를 모두 유지하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만일 학생부에서 협력적이고 사교적인 모습을 요구한다면, 현실적인 조언은 공부를 포기하거나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결국, 흙수저인 학생들은 공부법을 스스로 찾아야 하지만, 이는 매우 어려운 일이며,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적이 나오지 않을 경우 학습된 무기력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는 학생들의 자존감과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재수를 통해 상황을 만회하려고 해도, 이는 시간과 금전적인 부담이 크며, 성공 가능성도 낮습니다. 특히, 정시의 위험성이 큰 상황에서 재수는 더욱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재수학원에 다니는 것도 경제적인 부담이 크며, 혼자 공부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대학 입시에서 수시의 비중이 늘어나면서, 한 번의 실수가 학생의 미래를 결정짓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이는 부모나 주변의 도움이 필요한 자기소개서 작성, 면접 준비 등을 혼자서 해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부모의 지원 없이 학생이 모든 것을 해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

고등학교에서 모든 과목에서 1등급을 받는 학생들은 어릴 때부터 효율적인 공부법을 터득하고, 전문가의 코칭을 받아온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부모의 경제적 지원과 환경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학벌의 차이는 결국 부모의 재산과 지위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학벌로 인한 차별은 결국 부모의 사회적 지위를 확인하는 것과 다름없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초등학생들이 집의 형태나 경제적 수준으로 서로를 차별하는 것과 유사한 현상입니다.

공부를 못하면 가망이 없다는 말에 저는 반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인들의 경쟁에 비하면 청소년들의 경쟁은 약과라고 생각하지만, 요즘 고등학교에서 좋은 성적을 받으려면 사교육이 필수처럼 되어가고 있습니다.

요즘 학교 교사들은 학생들을 개별적으로 도와주기 어렵습니다. 글쓰기 방법이나 수능 공부 방법 등을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으면서도 수행평가를 실시합니다. 이는 공교육만으로는 높은 성적을 받기 어렵게 만듭니다. 사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전문가에게 글쓰기나 공부 방법을 배워 성적이 잘 나오지만,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뒤처질 수밖에 없습니다.

고등학생들이 알고 있는 것은 매우 제한적이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학생들과 경쟁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경쟁에서 밀린 학생들은 낮은 대학에 진학하게 되고, 이는 사회에서 불이익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수능에서도 학교의 지원은 제한적이며, 사교육을 받는 학생들과의 격차를 좁히기 어렵습니다. 이런 제도는 학생들을 불행하게 만들며, 경쟁 속에서 서로를 도와주기보다는 개인의 성적에만 집중하게 만듭니다.

이런 상황에서 학생들은 학습된 무기력을 경험하게 되며, 노력에도 불구하고 성과가 나오지 않을 때 자존감이 낮아집니다. 이는 학생들의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사교육 없이는 좋은 대학에 가기 어려운 현실에서, 명문대는 수시의 비중을 늘리고 있습니다. 수시는 한 번의 실수가 미래를 결정짓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더 큰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실제로 금수저나 명문대를 가는 학생들은 어릴 때부터 전문가의 코칭을 받아왔으며, 이는 부모의 지원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흙수저인 학생들은 이런 기회를 갖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에서는 명문대를 가지 못한 학생들을 도태된 사람으로 취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도 성공하는 사례가 많으며, 실제로 실력과 경험이 더 중요한 시대가 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게이머 페이커는 대학에 가지 않고도 수십억 원을 벌었습니다. 학벌의 의미가 점차 약화되고 있으며, 능력과 아이디어로 성공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저는 이러한 현실에 반감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부당성을 알리고 싶습니다. 최근에는 유튜브 등에서 공부법을 알려주는 훌륭한 분들이 있어 그나마 다행이지만, 여전히 흙수저들에게는 어려운 현실입니다. 인간이 본능적으로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특성상, 결국 따라다니며 배우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을지도 모릅니다.

모든 교사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제 경험 중에는 시험과 관련 없는 것을 공부하는 저를 보고 다른 사람들에게 "너희들은 제처럼 시험에 안 나오는 것을 공부하지 말라"고 하신 역사 선생님도 계셨습니다. 이는 공교육이 시험 성적만을 중요시하는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생각합니다.

흙수저로 자라나면서 제한된 정보로 열심히 노력해도 "쓸데없는 짓"이라고 평가받는 경우를 보면 정말 분노가 치밉니다. 금수저들은 자신이 경험하지 않은 고통을 쉽게 무시하면서, 다른 사람들의 노력을 폄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역사적으로 억압받은 사람들이 저항했던 것을 무의미하다고 말하는 것과 다름없습니다. 일제강점기나 식민지배를 당했던 사람들이 억압에 저항했던 것을 헛된 일로 볼 수는 없을 것입니다.

교사는 학생들을 함부로 대하기보다는,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그 교사가 진정한 전문가들 앞에서 무시당한다면 어떤 기분일지 생각해봐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교육 제도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흙수저인 학생들에게는 더욱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불합리한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 전체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논란을 반복해서 진정성이 의심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5/12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AD [실물모의고사2종+가이드북2종+할인쿠폰] 모두 무료제공! 운영자 25/04/17 - -
2044673 정치적 신념에따라 MBTI가 갈리기도 하냐? ㅇㅇ(58.124) 01.23 66 0
2044672 04년생고민이다 [6] ㅇㅇ(1.254) 01.23 162 1
2044671 디스코하이테크코리아에서 포지션제안왔는대 [2] 취갤러(1.217) 01.23 237 0
2044670 Pt면접 자료 제출하라는데ㅠ ㅇㅇ(118.235) 01.23 86 0
2044669 공무원시험이 존나 웃긴 게 [1] ㅇㅇ(211.36) 01.23 322 0
2044668 정부24 서버 관리 누가 하는 거냐 ㅇㅇ(39.115) 01.23 85 0
2044667 대체 왜 ai는 희망적인 이야기만 하냐 [3] 취갤러(118.235) 01.23 205 0
2044663 원래 기업이 과거 지원이력 갖고 있어도 되나? ㅇㅇ(223.33) 01.23 70 0
2044662 씨발 취업 어려워서 3톤미만 지게차 면허증 따야될듯 ㅇㅇ게히(118.39) 01.23 84 0
2044661 공무원들 월급루팡 엄청 많네요 [3] 취갤러(59.28) 01.23 233 3
2044660 월급말할때 평달 기준으로 말하는거임? 아님 영끌/12 ? ㅇㅇ(39.7) 01.23 55 0
2044659 얼른 공무원해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118 0
2044658 요즘 공대 취업잘안되는거보면 [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278 1
2044657 컴공은 원래 뒤졌고 그나마 전자공이 살아남은 듯 [3] ㅇㅇ(125.251) 01.23 288 0
2044656 중소 4000으로 취업했는데 [1] 취갤러(61.254) 01.23 218 0
2044655 여성만 뽑는다고 한곳을 다시 가는게 맞을까 [1] 취갤러(59.28) 01.23 92 0
2044654 공무원 월급 드디어 정상화되네.. 2년후에 300으로 [7] ㅇㅇ(39.7) 01.23 311 1
2044651 두군데 붙었는데 고민된다 급하다 [4] ㅇㅇ(122.37) 01.23 300 0
2044650 현직인데 공무원 임용 난이도 대비 괜찮으니 많이들 하세요 취갤러(59.28) 01.23 144 0
2044647 중앙대 전자과에서 성대 전자과 [4] 취갤러(211.234) 01.23 170 0
2044646 연대보증인에 인감증명서까지 요구하는데 안가는게 맞지? ㅇㅇ(223.62) 01.23 153 0
2044645 요즘은 공고 맨날 보는게 의미가 없네 취갤러(1.229) 01.23 113 1
2044643 미국에서 회사 다녀봄 oo(121.166) 01.23 95 0
2044642 요즘같은 세상에 결혼해서 외벌이하는 남자 지리노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64 0
2044638 일본은 갈수록 취업 쉬워지는데 [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285 3
2044636 간호사들이 ㅇㅇ(110.46) 01.23 105 2
2044635 면접 8일뒤에 합격전화왔다 피말리네 [1] 취갤러(106.101) 01.23 158 0
2044634 네트워크 엔지니어 전망 안좋음?? [10] 취갤러(223.38) 01.23 399 0
2044633 무스펙 무자격증인데 아무곳이나 서류 넣어도 되겠지? ㄴㄷ(210.113) 01.23 150 0
2044632 ㅈ견 전산직 경력 스펙으로 안쳐줌? 중고신입넣을때 ㅇㅇ [1] 취갤러(119.195) 01.23 144 0
2044627 중소는 커녕 알바자리도 없는데 이거 맞음?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229 0
2044626 사무직이 체질에 안맞는사람 있냐? [3] ㅇㅇ(118.36) 01.23 194 0
2044625 진짜 엠생 마인드는 실업급여 빌드 타는거임 [2] 취갤러(118.235) 01.23 194 1
2044623 설날이후 취업난좀 풀릴거 같냐? [3] ㅇㅇ(118.33) 01.23 250 0
2044622 지게차 자격증 따려면 돈 백만원 들어가냐? 국비 지원 됨? ㅇㅇ게히(118.39) 01.23 121 0
2044619 월욜날 2차면접 봤는데 아직 연락 없으면 탈락이지? [12] 취갤러(211.234) 01.23 192 0
2044618 인턴 면접 보통 몇배수임? [1] 취갤러(58.76) 01.23 130 0
2044617 경력 1년이상 요구하는 회사들 개좆같다 [1] ㅇㅇ(118.33) 01.23 135 0
2044616 아니컴공 좆소도 취업안돼?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280 0
2044612 이마트알바하면 좆소보다나음? [1] 취갤러(175.209) 01.23 119 0
2044611 면까몰을 당하네 [1] 면붕(125.188) 01.23 188 0
2044610 오늘 뜬금없이 9급 연봉올려준다는 뉴스나옴 [5] ㅇㅇ(211.36) 01.23 313 1
2044609 국비 개발자 취업 안된다는거 그냥 겁주는거지? [3] 취갤러(223.38) 01.23 368 0
2044607 여기 세무사무실에 대해 아는 갤러 있나? [6] ㅇㅇ(61.98) 01.23 210 0
2044606 난 결혼 진짜 못 할 거 같음 취갤러(223.39) 01.23 119 0
2044605 아니 ㅅㅂ 내 유튜브 알고리즘 왜이럼 니키타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94 0
2044604 복전 or ipp 일병행학습 취갤러(223.39) 01.23 92 0
2044603 출퇴근 50분 차이나는데 먼데가 연봉 300더 높음 [2] 취갤러(211.209) 01.23 117 0
2044602 눈 존나 낮추면 무조건 써주는 곳있다 [1] ㅇㅇ(118.235) 01.23 167 1
2044601 지금 컴공 좆망임?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3 179 0
뉴스 ‘돌싱’ 이시영의 플렉스, ‘2천만원’ 들여 명품 구매…의외의 ‘심경’ 전했다 디시트렌드 05.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