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순정남] 필요한 기능 같지만 사실 장식이었던 것 TOP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1.11 18:12:03
조회 5944 추천 13 댓글 24
※ [순정남]은 매주 이색적인 테마를 정하고, 이에 맞는 게임이나 캐릭터, 사건 등을 소개하는 코너입니다.

[게임메카=류종화 기자] 어렸을 때, 승용차 트렁크에 간혹 달려 있는 날개 같은 것의 정체가 궁금했다. 그 답은 레이싱 만화에서 얻을 수 있었다. 고속으로 주행 중인 상황에서는 자동차에 위로 뜨는 힘인 '양력'이 발생해 차체가 불안정해지는데, 날개 같이 생긴 '윙'이 아랫쪽으로 눌러 주는 '다운포스'를 내줘 차체를 붙잡아 준다는 것. 그래서 차량에 꼭 필요한 것이라 알고 있었다. 그러나 어른이 되고서야 진실을 알 수 있었다. 서킷을 뛰는 레이싱 차량이 아닌 이상 고속도로 같은 공도에서 윙은 거의 도움이 되지 않으며, 사실상 멋을 위한 부품이라는 것을.

이처럼 세상엔 꼭 필요한 것들로만 가득 차 있을 것 같지만, 사실은 굳이 필요하지도 않은데 '멋져 보이기 위해' 존재하는 것들이 더 많다. 게임에도 마찬가지다. 얼핏 보면 유용하고 필요해 보이는 기능 같지만, 사실은 기능 자체는 별 거 없고 멋으로 넣은 것들이 은근히 많다. 오늘은 그런 사례들을 한 곳에 모아 보았다.

TOP 5. MMORPG '점프'

게임에서 '점프'는 매우 흔한 기능이다. 적을 밟거나 뛰어넘고, 공격을 위해 도약하고, 지형지물을 오가는 데 있어 점프는 필수불가결하다. 플랫포머 게임에서는 사실상 메인 스킬이고, FPS나 TPS, 액션 등에서도 주요 전술로 쓰인다. MMORPG도 3인칭 백뷰 시점 게임이라면 십중팔구 스페이스 바를 통한 점프를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이 점프는 이동과 휴식, 전투 등에서 폭넓게 활용되며, 최근 게임은 점프를 넘어 비행이나 활공까지 가능해지고 있다.

다만, 많은 MMORPG에서 점프는 단순 장식에 불과한 경우가 많다. 맵이 평면적이고, 지형 높낮이가 거의 일정하거나, 점프를 통해 올라갈 수 있는 곳이 극히 적고, 전투가 타겟팅 형식으로 진행되는 게임들이 특히 그렇다. 이 경우 점프는 단순히 눌렀을 때 조금 재미있는 기능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효용성보다는 이동 중 재미를 담당하는 이모티콘 정도의 역할만 할 뿐이다. 다만, 게이머에게 있어서는 뭔가를 눌러 동작을 할 수 있다는 느낌과 반응을 직접적으로 전해주고, 지루함을 덜어주는 역할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다는 의견도 많다.

그래도 점프라도 누르고 있으면 안 지루하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그래도 점프라도 누르고 있으면 안 지루하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TOP 4. '힙'한 업데이트 공지

게임에 있어 업데이트라 함은 콘텐츠를 추가하거나 밸런스를 조절하는 것 뿐 아니라, 버그를 수정하고, 보안을 강화하고, 클라이언트 보수, 외부 호환 점검, 서버 점검 등 다양한 업무결과의 집합체다. 물론 일반 유저들이 관심있는 것은 앞에 설명한 콘텐츠나 밸런스 등이며, 나머지 기술적인 부분은 크게 궁금해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를 알리는 것 역시 게임사의 의무 중 하나이기에 대다수 게임은 이러저러한 기술적 업데이트를 진행했다고 간략하게나마 공지하곤 한다.

이러한 경향이 모바일 시대에 접어들며 유머러스하게 바뀌었다. 업데이트 내용에 "버그를 수정하고, 오후 반차를 썼습니다" 등 유머러스한 이야기를 담기 시작한 것이다. 유튜브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러한 재치 있는 업데이트 내용을 적으며 호평을 받자 말 그대로 '너도 나도' 이 같은 힙한 업데이트 내용을 적기 시작했는데, 간혹 그게 과해서 눈살을 찌푸리게 만든 경우도 적지 않다. 최소한의 정보도 없이 '우리 게임(앱)이 더 멋져졌습니다' 정도만으로 설명을 끝내는 등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그쯤 되면 사실상 효용성이 전혀 없는 공지가 되니, 최소한의 정보는 담도록 하자.

유튜브 앱이 유행처럼 퍼뜨린 유머러스한 업데이트 공지, 가끔 정도가 지나친 사례가 나오기도 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유튜브 앱이 유행처럼 퍼뜨린 유머러스한 업데이트 공지, 가끔 정도가 지나친 사례가 나오기도 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TOP 3. 가짜 로딩화면과 상태 바

로딩이란 게임 실행과 유지에 필요한 데이터를 읽어들이고 서버에 연결하고 리소스를 체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휴 시간을 말한다. 로딩이 길어질수록 게이머들은 지루하기 마련인데,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시간이니만큼 없애기도 어렵다. 이에 대다수 게임사들은 로딩 시간을 최대한 줄이려고 최적화에 힘쓰거나, 로딩 중에 각종 정보나 미니게임을 제공해 지루함을 없애기 위한 노력을 한다. 더불어, 로딩이 얼마나 진행됐는지를 나타내주는 상태 바를 노출해주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간혹 이런 로딩 화면과 상태 바를 '가짜로' 만드는 게임들이 존재한다. 사소하게는 상태 바의 움직임을 '버벅거리도록' 임의로 조작하는 경우부터, 실제 로딩이 짧은 시간 안에 끝남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마련해 둔 로딩 화면 영상과 가짜 상태창을 억지로 띄워주는 경우까지 있다. 이 같은 가짜 로딩을 만드는 이유는 다양하다. 너무 짧은 로딩이 신뢰도를 하락시킬 수 있기에 '뭔가 있어보이도록' 보이게끔 하는 이유도 있고, 그저 로딩 상태를 실시간으로 띄워주는 기능을 만들기 귀찮아서 대충 때우는 경우도 있다. 물론 중요한 장면을 앞두고 긴장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함도 있다. 분명한 것은 게이머 입장에서 가짜 로딩은 배신감을 불러일으키며, 몇몇 게임은 이 같은 행위를 들켜 망신살을 사기도 했다는 것이다.

일부 게임은 진짜 로딩과 관계 없이 미리 만들어둔 상태창 영상을 띄우기도 한다 (사진출처: 픽사베이)
🔼 일부 게임은 진짜 로딩과 관계 없이 미리 만들어둔 상태창 영상을 띄우기도 한다 (사진출처: 픽사베이)

TOP 2. 게임 실행 직후 뜨는 로고

대다수 게임은 실행하자마자 각종 로고가 표시된다. 보통은 제작사와 유통사 로고 정도지만, 게임엔진, 사운드, 물리엔진, 각종 라이선스 등이 차례대로 표시되기도 한다. 그중에선 유달리 긴 로고 영상을 매번 출력하는 게임도 있는데, 이것만으로도 10초가 훌쩍 넘는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옛날엔 ESC나 마우스 클릭 등으로 넘겨지는 경우도 있었는데, 요즘엔 그런 경우도 적다. 일각에서는 로고 표시가 실행 초기 로딩시간처럼 여겨지기도 한다.

물론 아니다. 로고 표시는 계약이나 필요에 따라 제작사와 관계사를 표시하는 용도일 뿐, 게임 실행과는 관계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게임 설치 폴더에서 일부 파일을 삭제하면 이런 로고들이 안 표시되고 넘어가는 게임도 있고, 로고 표시를 지워주는 유저 모드는 가장 흔하고 빨리 나오는 프로그램 중 하나다. 어쨌든, 관계사에 대한 경의를 빼고 나면 딱히 필요는 없는 부분이라는 건 확실하다.

수많은 게임사와 엔진, 기술지원 업체 로고들은 사실 게임 실행에 있어 필요한 부분이 아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수많은 게임사와 엔진, 기술지원 업체 로고들은 사실 게임 실행에 있어 필요한 부분은 아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TOP 1. http:// 의 '//'

게임에만 해당하는 내용은 아니지만, 워낙 독특한 사례라 소개한다. 온라인게임은 물론이고, 대부분의 게임들은 인터넷 공식 페이지를 열어놓고 있다. 그리고 99.9999%는 월드 와이드 웹, 줄여서 www로 시작하는 웹을 통해 웹사이트를 개설하거나, 이미 개설된 웹사이트에 별도 페이지를 여는 형태다.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하기에, 인터넷 주소 맨 앞에는 http:// 혹은 보안이 적용된 https://가 들어간다.

다만, 여기서 // 부분은 사/실 불필요한 문자다. 사이트 주소를 칠 때 https:주소 형식으로 쳐도 잘 들어가진다는 소리다. 당장 위의 게임메카 주소에서 //를 삭제해도 사이트 접속에는 아무 영향이 없다. 그렇다면 //는 왜 있는 것일까? 이에 대해 1989년 월드 와이드 웹을 고안한 '웹의 아버지' 팀 버너스리는 훗날 "그땐 그게 멋있어 보였다"라고 고백했는데, 이로 인해 불필요한 시간과 자원이 낭비된 것 같아 미안하다는 말까지 덧붙였다. 사실 //가 없는 주소를 보면 좀 덜 전문적(?)으로 보이기도 하니, 꼭 나쁘지만은 않을 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앞으로 //를 보면 '멋'으로 읽기로 하자.

멋져 보인다는 이유로 //를 넣었다고 고백한 '웹의 아버지' 팀 버너스리 (사진출처: inrupt 공식 홈페이지)
🔼 젊은 시절, 멋져 보인다는 이유로 //를 넣었다고 고백한 '웹의 아버지' 팀 버너스리 (사진출처: inrupt 공식 홈페이지)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13

고정닉 2

1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12190 리니지W, 전서버 참가하는 마스터 공성전 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95 0
12189 넵튠 2023년 영업이익 흑자 전환, 상장 이후 최초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24 0
12188 텐센트, 인게임 결제 포함된 '엘든 링 모바일' 제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204 0
12187 게임 심의 민간이양, 민영화 의미 아니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578 0
12186 위메이드 작년 최대 연매출, 영업손실도 최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76 0
12185 메이플랜드 새 사냥터 너프, 인플레 해소될까?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3757 0
12184 '되팔렘' 때문에 배포 중단됐던 피카츄 카드 귀환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690 0
12183 [오늘의 스팀] 철권 8 PC 유저, 전작 2배 이상 [33]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4987 7
12182 치지직, 스트리머 대상 50억 원 규모 지원 시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659 0
12181 스타필드가 PS5로? 필 스펜서 중대발표 예고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1613 0
12180 게임보다 귀엽다, ‘데이브’와 ‘반쵸’ 인형 등장 [10]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313 3
12179 1,000개 이상 게임 참가, 스팀 넥스트 페스트 시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747 1
12178 로지텍 코리아, 롤 프로게임단 브리온 후원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61 0
12177 한국어 포함, 로블록스 채팅 자동번역 추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435 0
12176 한국게임학회 "등급분류 권한 민간 이관 우려된다"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15 0
12175 고화질과 드롭스, 아프리카TV 게임에 힘 쏟는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016 0
12174 심즈 정신적 후속작 ‘라이프 바이 유’ 6월로 연기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571 0
12173 [오늘의 스팀] 그랑블루 판타지 리링크, 동접 11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2169 0
12172 민트로켓 신작 ‘웨이크러너’ 첫 공개 테스트 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149 0
12171 [겜ㅊㅊ] 스팀 평가 '매긍'인 무료 공포게임 5선 [18]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6 6135 14
12170 '수일배' 진승호 라인게임즈 퇴사, 신작 개발 중단 [7]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953 4
12169 가슴이 웅장해진다, 인슈라오디드 OST 발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526 0
12168 [롤짤] 괴도 표식의 '삼연바'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1671 0
12167 크툴루 호러 수사 RPG ‘인격해체’ 한국어 추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5 787 0
12166 엘든 링 DLC '황금 나무의 그림자' 디버깅 단계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4 4391 0
12165 닐 드럭만, 라오어 파트 3 출시 가능성 시사 [2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4 1971 2
12164 [포토] 모험가님, 또 뵙네용! 파판14 컬래버 카페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741 0
12163 용과 같이 8, 시리즈 중 가장 빨리 100만 장 돌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821 1
12162 [이구동성] 블자 없는 블자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995 0
12161 페르소나 3 리로드 출시, 스팀 평가 '매우 긍정적'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156 1
12160 종료까지 네 달, 러브라이브 스쿠페스 2 출시 [3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7178 21
12159 14일 홍대에 에픽세븐 메이드 카페 열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46 0
12158 ‘팰월드' 모바일 가짜 앱 성행, 주의 요망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481 0
12157 영혼의 힘 사용, 카스 온라인 나베리우스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19 0
12156 서든어택 커스텀 무기, 플리마켓에서 거래 가능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49 0
12155 [오늘의 스팀] 주술회전 격투게임, 평가 ‘복합적’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815 0
12154 네이버 치지직, 한 달 만에 월 이용자 130만 달성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7125 0
12153 프라시아 전기, 연내 대만·홍콩·마카오 출시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416 0
12152 원나블·귀칼 참전, 파오캐 풍 '점프 어셈블' 곧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294 0
12151 초보들이여, 지금이야말로 '철권 8' 입문할 때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9266 0
12150 메이플랜드, 루디브리엄과 3차 전직 최우선 개발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3900 0
12149 배그 e스포츠 일정 공개, 글로벌 시리즈 4회 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452 0
12148 네오위즈 힐링게임 ‘고양이와 스프’ 중국 판호 발급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274 0
12147 넵튠 방치형 모바일 RPG ‘우르르 키우기’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165 0
12146 ‘페이커’ 이상혁, LCK 통산 첫 600승 달성 [62]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6952 57
12145 스트리머 괴롭힘 대두, 검은사막 운영정책 강화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560 0
12144 [매장탐방] 철권 8보다 잘 나간 용과 같이 8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4684 0
12143 소닉·섀도우 하나씩, 제너레이션즈 합본팩 나온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649 0
12142 게임위, 4년 간 스팀에 ‘야겜’ 300건 차단 요청했다 [51]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4306 26
12141 그라나도 에스파다, 18주년 기념 이벤트 시작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31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