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중일 삼국지

ㅁㄴㅇㄹ 2006.12.06 16:20:13
조회 488 추천 0 댓글 6

JAPAN 유카와 히데키 (湯川秀樹, Yukawa Hideki) 1907∼1981. 일본의 물리학자.. 1949년 소립자 이론에 관한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1935년 질량이 전자와 양성자의 중간쯤 되는 일시적인 입자인 중간자의 존재를 정확히 예측한 핵력(核力) 이론을 세웠다. 1929년 교토제국대학을 졸업한 후 그곳에서 강사생활을 했으며, 1933년 오사카[大阪]제국대학으로 옮겼다. 1938년 오사카 제국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교토제국대학으로 다시 돌아와 1939∼50년 이론물리학 교수를 지냈으며, 미국 뉴저지 주 프린스턴에 있는 고등연구소와 컬럼비아대학교에서 선임연구원을 역임했다. 또한 1953∼70년 교토에서 기초물리학연구소 소장으로 재직했다. 도모나가 신이치로 (朝永振一郞, Tomonaga Shin'ichir) 1906∼1979. 일본의 물리학자. 양자전기역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과 완전히 부합되게 바꾼 공로로 1965년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P. 파인먼, 줄리안 S. 슈윙거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1929년 교토대학 이학부를 졸업했으며, 1932년 이화학연구소(理化學硏究所)의 니시나 요시오[仁科芳雄] 연구실에 들어가 니시나를 도우면서 후배들을 지도했다. 1937∼39년 독일 라이프치히대학에서 베르너 하이젠베르크 교수 밑에서 원자핵이론을 연구했다. 1956∼62년 도쿄교육대학의 총장을 맡았으며, 1963∼69년 일본학술회의 회장으로서 기초과학 육성에 기여했다. 일생 동안 핵무기 확산에 반대하는 운동을 했고 핵에너지를 평화적으로 사용할 것을 주장했다. 유명한 저서로는 〈양자역학 量子力學〉(1962)과 노벨상 수상 강연집인 〈양자전기역학의 발전:사적 회고〉(1966) 등이 있다. 도네가와 스스무 (利根川進)(Tonegawa Susumu) 1939∼ . 일본의 분자생물학자·면역학자. 인체의 항체생성에 관해 주요한 발견을 한 업적으로 1987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받았다. 1963년 교토대학[京都大學]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1969년 캘리포니아대학교(샌디에이고)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71∼81년 스위스의 바젤 면역학 연구소에서 연구활동을 했으며, 1981년부터는 미국의 매사추세츠공과대학에서 생물학을 강의했다. 그는 인체의 면역조직이 생체에 침입한 미생물이나 이물질(항원)들을 무력화시키는 데 필요한 다양한 항체들을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가를 밝혔다. 여러 항체들은 각각 특정한 항원, 즉 특정한 세균에 결합하여 공격한다. 그의 연구가 나오기 전에는 B 림프구(항체생성세포)가 어떻게 한정된 숫자의 유전자만으로 수많은 종류의 항원에 들어맞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 수백만 개의 항체를 생성할 수 있는지 모르고 있었다. 1970년대에 일련의 실험을 통해 B 림프구의 항체생성 부위에 있는 약 1,000여 개의 유전물질이 서로 다른 순서로 뒤섞이거나 재조합되며, 그 결과 각각 다른 항원에 작용할 수 있는 약 10억 종의 항체를 만들어낼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로써 면역체계의 기본적인 메커니즘이 밝혀지게 된 것이다. 에사키 레오나 (江崎玲於奈, Esaki Reiona) 1925∼ . 일본의 고체물리학자, 초전도 현상 연구가. 1973년 이바르 예이베르, 브라이언 조지프슨과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1947년 도쿄대학[東京大學] 물리학과를 졸업한 후, 고베공업회사[神戶工業會社]에 들어갔다. 1956년 소니사(社)의 수석 물리학자가 되었으며, 거기서 뒤에 노벨상을 받게 된 실험을 진행했다. 1959년 도쿄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소니에서 그가 맡은 분야는 양자역학이었으며, 터널링 현상에 관해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고전 역학적으로는 전자가 통과할 수 없는 장애물을, 터널링 현상에서는 물질의 파동과 같은 특성에 의해 전자가 장애물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는 반도체에 불순물을 첨가함으로써 고체상태 반도체의 특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고안해냈으며, 이를 통해 에사키 다이오드라고 불리는 이중 다이오드를 발명하게 되었다. 이 작업은 또한 197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의 계기가 되는 고체물질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1960년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하기 위해, 미국 국제사무기기회사(IBM)의 특별연구기금을 제공받아, 뉴욕 요크타운에 있는 IBM 실험실에서 연구활동을 했다. 그는 일본 국적을 그대로 유지했다. CHINA 리정다오 [李政道(이정도), Lee, Tsung-Dao, 1926.11.25~]   1926년 11월 25일 상하이에서 출생하였다. 후이저우[惠州]의 저장[浙江]대학을 나온 뒤, 1945년 시난[西南]연합대학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1946년 미국으로 이주하여 시카고대학교 연구원, 캘리포니아대학교 강사, 프린스턴고등연구소 연구원 등을 거쳐, 1953년 컬럼비아대학교로 옮겨가 1963년 이후 페르미석좌(碩座)교수로 있다. 연구분야는 소립자(素粒子)의 성질, 통계역학, 장(場)의 이론, 천체물리학 등 광범위하며, 특히 장의 이론의 결함에 대한 지적이 유명하다. 소립자론·통계역학에 관한 연구는 양전닝[楊振寧]과 공동으로 한 것이 많은데, 그 중 하나가 패리티(parity:偶奇性·反轉性) 비보존의 이론으로, 소립자론에서 획기적인 업적을 이룩했다. 이 업적으로 1957년 양전닝과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양전닝 [楊振寧(양진녕), Yang Zhenning, 1922.9.22~] 1922년 9월 22일 안후이성[安徽省] 허페이[合肥]에서 출생하였다. 베이징[北京]에서 자란 후 시난[西南]연합대학을 졸업하고, 1945년 미국에 유학, 시카고대학교에서 E.페르미에게 배웠다. 1948년 시카고대학교 강사, 1949년부터 프린스턴고등연구소 연구원이 되었고, 1955∼1966년 이 연구소 교수, 1966년 뉴욕주립대학교 교수가 되었다. 소립자론(素粒子論)·통계역학·물성론(物性論) 등 여러 분야에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2차원격자에 관한 통계역학 연구, 복합입자의 이론(페르미 양의 이론, 1949) 등에 독창성을 발휘했다. 1956년 리정다오[李政道]와 공동연구로 약한상호작용에 의한 패리티(parity:反轉性) 비보존(非保存)의 이론을 제창하였고, 얼마 후 우젠슝[吳健雄] 등의 그룹에 의해 이론이 실증되었다. 이 업적으로 1957년 리정다오와 공동으로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우젠슝 [吳健雄(오건웅), 1912.5.29~1997.2.16] 상하이[上海] 출생. 중국에서 대학을 나온 후, 중국과학원에서 근무했고, 1936년 미국으로 건너갔다. 핵물리학 연구가 활발하던 캘리포니아대학에 유학, 사이클로트론의 권위자인 E.O.로렌스 밑에서 핵실험에 종사했다. 1956년 리정다오[李政道]와 양전닝[楊振寧]이 약한 상호작용에서의 패리티[反轉性]비보존의 가능성을 지적, 그 검증을 위해 몇 가지 실험을 시사하자, 그 중 하나에 착수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이것이 극저온(極低溫)에서 스핀을 맞춘60Co의 β붕괴실험이다. 그 결과 그 때까지 믿어 오던 패리티보존의 법칙은 깨지고, 학계에 큰 화제가 되었다. 그 밖에 β붕괴 연구, μ중간자원자의 X선 연구 등,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구조 연구 등에 업적을 남겼다. 미국 과학아카데미 회원이며, 1957년 미국 물리학회 회장을 지냈다. + 또한 맨해튼 프로젝트에 참여한 유일한 아시아인. KOREA N/A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로스쿨 합격을 위한 반전, 논술에서 찾다! 사전예약▶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9553 3수 4수의 개념은? [4] hy 06.12.23 435 0
9551 성반은 서울공대 카이스트 의대합격한 애들이 수두룩하다 [5] 반도체학과 06.12.23 691 0
9549 결국 서울대-성균관대, 연세대-고려대의 싸움 [5] ㅇㅇㅇ 06.12.23 731 0
9546 서울대는 왜 옷을 못입는가. [9] ㅇㅇ 06.12.23 844 0
9544 여기서 사회교육과 다니는 횽 있어? [1] ㅇㅇ 06.12.23 182 0
9543 서울대 인류학과랑 철학과 [1] 막장고대생 06.12.23 706 0
9542 서울대 미대는여 [1] ehf 06.12.23 368 0
9541 s/u에 관한 질문 [5] 난공대생 06.12.23 225 0
9539 형들 부탁할께 조언좀해줘... [1] 06.12.23 108 0
9538 연말 스페셜 된장짓 기대해도 좋다. [7] Yahm 06.12.22 492 0
9535 저 이번에 서울대학교 들어갑니다.^^ ㅊㅋㅊㅋ [2] ^^ 06.12.22 566 0
9534 기항형들 좀 봐주세요 [2] gg 06.12.22 215 0
9533 전만한것들.. 유개념 06.12.22 78 0
9529 서울대 형들아 저 이번에 서울대랑 성반 붙었는데요 [19] 캐간지수험생 06.12.22 811 0
9528 정운찬은 빨리 정치해야된다 [4] 머병시나 06.12.22 406 0
9527 황라열의 유산 [1] 머병시나 06.12.22 343 0
9526 저기요 설대 근처에서 고시원 살만한 곳 있나요? 06.12.22 88 0
9525 우리나라 사회에서 [3] rhkdus 06.12.22 201 0
9523 제가 생각한 올해 서울대 예상컷!!(정시) 누굴까 06.12.22 299 0
9522 횽들 설대 인류지리에서 전과하는거... [6] ser 06.12.22 493 0
9521 개념없는 질문 하나 하께요.. [3] ㅁㄴ 06.12.22 154 0
9519 ㅠㅠ 대답점 [2] 6876+8736+87 06.12.22 134 0
9517 나를 소환했는가? [8] chaos 06.12.22 609 0
9513 아 이공계 장학금 짤렸네요 [10] 난공대생 06.12.22 588 0
9512 정운찬 그사람 대통령 나오긴 나오는거냐?? [5] ㅁㅇㄹ 06.12.22 367 0
9507 클레임 메일로 하면 안돼? [4] ㅁㅁ 06.12.22 180 0
9503 로지아형 ㅋㅋㅋ [3] ㅅF 06.12.22 136 0
9502 여기 진짜 재학생 있어요? [5] 겐지 06.12.22 584 0
9501 상대평가는 포기할 수 없는 고얌... [3] @ 06.12.22 214 0
9500 나중에 이력서 낼때 고등학교졸업도 포함해야하나요?? 최루탄 06.12.22 106 0
9499 횽들 고딩때 소문이 대학가서도 붙어? [6] ㅈㅈ 06.12.22 522 0
9498 서울대 님들께 질문좀할게요 ㅇ.ㅇ 06.12.22 89 0
9497 전기 전공하는 형들께... [8] m 06.12.22 417 0
9496 원서철에 때아닌(?) 진로적성 상담좀.... [1] 박모군 06.12.22 181 0
9495 서울대 깟던 김승기 근황 [5] ㅇㅇ 06.12.22 939 0
9494 내가 지균에 문제점에 대해 거들먹거리니까... [2] 서부연고 06.12.22 224 0
9493 서울대가고싶은데요ㅕ 양아치 06.12.22 89 0
9492 어떻게 학점이 지금까지 하나밖에 안뜨냐 ㅡㅡ; [3] Holiday 06.12.22 280 0
9491 서강경영 > 서울대 법대 [10] 철기스칸 06.12.22 921 0
9490 < Spotlight >“삼성 사심없는 지원 덕에 成大 발전” [13] 문화일보 06.12.22 392 0
9488 서울대 전자공 보다 성반이 더 높다는 게 사실이야? [2] 타대생 06.12.22 336 0
9487 그여학우대체누구냐..... [3] 11 06.12.22 633 0
9486 Yahm형Sage형~; 교환학생에 대해 잘 아세요?;;ㅠㅠ [4] ㅅF 06.12.22 548 0
9485 C8스런 학점..... [6] ㅈ ㅔㄴ 장... 06.12.22 548 0
9484 서울대 분들 하나 질문드릴께요 [1] ㅇㅇ 06.12.22 165 0
9483 외무고시 지방대 20% 할당제..이건 아니잖아? [6] 98.7x 06.12.22 586 0
9482 예비공대생들아... [2] ㅇㅇㅇ 06.12.22 326 0
9480 설대생도 알아야 한다 [5] 서성한? 06.12.22 540 0
9479 설법 역사상 빵구가 난적있냐? [12] 우우우우 06.12.22 762 0
9478 서울대 지망 선호도 [2] 입시분석 06.12.22 37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