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중3 대푯값] 대푯값이란 개념은 이런 이유에서 나온건가요? 모바일에서 작성

ㅇㅇ(223.39) 2023.12.08 23:03:27
조회 84 추천 0 댓글 3
														
파워포인트에서 도형 그림을 여러개 그려놓고 걔네의 위치를 바꿀려면 하나하나 클릭해서 드래그 해줘야 하잖아요?

근데 그룹 묶기를 해보리면, 하나하나씩 안 옮겨도 되고, 한번에 다 동일한 양상으로 이동하면서 옮겨진단 말이죠.

이런 것처럼, 내가 수집한 자료가 100개가 있는데, 나중에 다시 똑같이 수집해보니 값이 달라진 것들이 많아, 그런데 그걸 하나하나씩 얼마나 달라졌는지 언급하기는 너무 힘드니깐, 이전 데이터엔 대푯값이 얼마였는데, 지금은 얼마로 바뀌었다라고 말하는게 더 편하고 그 대푯값이 적절하다면, 그 대푯값의 변화 양상대로 수집된 자료를 이루는 개별적인 값들도 동일한 양상으로 변화했다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 아니냐...

그래서 대푯값이란 개념을 만든 것 같은데 맞게 이해했으려나요

물리학에선 질량중심이란 개념이 있거든요. 어떤 부피를 가진 물체가 있을 때, 그 물체의 질량이 실제로는 그 물체가 차지하는 부피와 모양대로 공간상에 퍼져있지만, 질량중심이라는 어느 한 점에 다 몰려있다고 봐도 되거든요.

원래라면 그 물체를 이루는 입자 하나하나의 움직임을 다 생각해주고 운동 방정식을 세워줘야 하는데, 질량중심이라는 지점에 그 물체의 모든 질량이 다 모여있다고 보게 되면, 그 질량중심에 대한 운동방정식 하나만 세우면 되고, 그 질량중심의 위치 변화 양상이 곧 그 물체를 이루는 모든 입자들의 위치 변화 양상과 같단 말입니다.

앞서 말했듯 파워포인트에서 여러 도형을 만들고 나서 그 도형 하나하나를 옮기는거랑 그룹 묶기로 그 움직임 그대로 한번에 옮기는거랑 같듯이.

더군더나 질량중심을 나타내는 벡터의 수식도 불연속적인 경우엔 R-> = 시그마 [mi * ri->]/M(그 물체의 전체 질량) 인데, 이거 가중치가 들어간 산술평균하고 식 모양이 완전 같고요...

그래서 이런 점들을 생각해볼 때, 수집된 변량 하나하나의 변화를 일일이 파악해야 하는 것을 어떤 하나의 값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으로 대체하고 싶으니깐, 대푯값이란게 도입된 것 아닌가 싶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공지 통계 갤 공지 [6] 빅데이터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0.02 1826 5
5530 컴공 주전공인데 데이터사이언스 복수전공하려는데 믹키고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54 25 0
5529 부트캠프 같은거 [1] 통갤러(211.234) 06.17 75 0
5528 실험계획 책 좀 추천해주세요 ㅠ [2] 통갤러(211.235) 06.17 71 0
5527 선대 책 [2] 통갤러(125.141) 06.17 86 1
5526 학부 수리통계에서 MVN을 안 배우는 학교가 있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57 1
5525 과이름이 근본 없는 곳은 안가는게 낫지 않나 [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7 158 0
5524 삼체문제 증명되었는데 통계도 거짓? [4] ㅇㅇ(223.131) 06.16 153 2
5523 신경망과 선형회귀 관련 질문있습니다. [2] 땔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6 124 1
5522 데이터사이언스 학과에 대해 질문이있습니다. [4] 통갤러(110.12) 06.16 232 0
5521 여론조사 질문 [6] ㅇㅇ(221.164) 06.16 133 1
5520 미적분 교재는 무조건 스튜어트가 더 좋음? [3] 통갤러(116.47) 06.16 123 0
5519 데싸 관련 읽어볼만한 책 있음?? 통갤러(211.33) 06.16 36 0
5518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진로 고민 ㅜㅜ 도와주세요 [10] 통갤러(112.156) 06.15 174 0
5517 통계대학원 [2] 통갤러(211.186) 06.15 169 1
5516 수리통계 이 두 교재 난이도 비교 부탁 [5] 통갤러(203.229) 06.15 165 2
5515 삼각함수 미분은 통계에서 안쓰죠?? [2] ㅇㅇ(116.47) 06.15 81 0
5513 데싸가 왜 컴공에 있냐고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5 96 0
5512 로스 확률모형 [2] ㅇㅁㅇ(175.210) 06.15 99 0
5511 적률에서 e^tx 가 나온 이유 [3] 통갤러(223.131) 06.15 170 0
5509 근데 다른분야 잘 알지도못하면서 오지랖들이 심한듯 [2] 통갤러(221.159) 06.15 118 0
5508 로지스티 회귀 질문 [4] 통갤러(121.128) 06.14 116 0
5507 대학원에서 배우는 내용이 실제 필드에서 [2] 통갤러(59.5) 06.14 204 0
5506 인자분석중에 질문이 있습니다.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78 0
5505 서울대 통계학과에서 쓰는 학부생 교재가 뭔가요? [2] 디시고닉전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4 200 0
5504 다음 학기에 3-2인 학부생인데 데이터 사이언스쪽 진로 가긴 글렀을까 통갤러(118.235) 06.14 81 0
5503 석사취업하고싶은데 [2] 통갤러(121.128) 06.13 168 0
5502 연대는 요새 거진 임상통계임? [4] ㅇㅇ(211.108) 06.13 203 0
5501 대학원 진학하면 무슨연구해요? [2] 통갤러(121.128) 06.13 153 0
5500 공부 좀 열심히 할걸 [5] 통갤러(114.70) 06.13 219 0
5499 8월 미박가는데 질문받음 [22] 통갤러(49.166) 06.13 361 0
5498 확률론, 확률과정론 전공하려면 [12] 통갤러(118.235) 06.13 328 0
5497 난 김충락보다 학교 수통이 더 어려웠다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158 0
5496 통계갤이 있구나 디시고닉전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2 93 0
5495 수통1 난이도 어떰? [5] 통갤러(211.33) 06.12 206 0
5493 김충락 수리통계학 석사과정인가요? [6] ㅇㅇ(112.153) 06.12 281 0
5492 학부수준에선 인과추론 수업 해주는 학교가 없나?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97 0
5491 데이터분석가 전망 [2] 통갤러(218.152) 06.11 269 0
5490 수학 그냥 그때그때 모르는거 생기면 찾아보는게 낫겠지? [2] 통갤러(49.173) 06.11 171 0
5489 선형대수 처음 공부하는데 [10] 통갤러(59.10) 06.11 265 0
5488 통계 대학원이 취업에 도움이 많이 안되는 것 같나요? [1] 통갤러(211.234) 06.11 229 1
5487 선형모형에서 이상치 질문 [6] 통갤러(143.248) 06.11 117 0
5486 게임 데이터분석 쪽으로 가고싶은데 [2] 통갤러(211.234) 06.11 167 0
5485 대학원 많이 힘든가요 [2] 통갤러(119.192) 06.11 210 0
5484 통계에서 이산수학필요한가요? [4] ㅇㅇ(116.47) 06.11 160 0
5483 형님들 입학시험 보는 통계대학원들이 대부분인가요? 통갤러(223.39) 06.10 116 0
5482 통게대학원 조언 부탁드립니다. ㅇㅇ(112.153) 06.09 110 0
5481 귀화해서 베트남 남성과 결혼한 여성이 현재 총 몇명이나 있는지 ㅇㅇ(110.10) 06.09 65 0
5480 데싸가 그래서 뭐하는거임? [4] 통갤러(223.38) 06.09 283 0
5479 t분포 내가 잘못 알고있는거냐 [3] ㅇㅇ(14.47) 06.09 193 0
5478 전공이 토목공학인데 통계나 데이터사이언스 대학원 가능? [1] 통갤러(39.7) 06.09 14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