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마이너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반] 비공식 인터뷰 - 1

슝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0.07.21 16:12:51
조회 374 추천 5 댓글 2
														


그와 대화를 하기 전에 앞서, 이 흥미로운 주제의 이야기를 인터넷에 올려도 되겠냐고 묻자, 그는 자신의 이름을 무명으로 처리해달라고 요청했다. 그의 요청에 따라 질문자 본인의 대화명은 ##으로, 그는 %%으로 표기한다. 그리고 대화가 끝난 며칠 뒤, 문서화된 내용의 몇몇 이야기에 대해서 화자로써의 삭제권한을 안내받고 사용했다. 그는 대화를 마치며 자신의 이야기가 허무맹랑하거나, 논리적이지 못한 발언이라고 말하며 이 이야기를 읽는 이들에게 '충분히 촘촘한 필터'로 잘 걸러서 읽으라고 경고했다. 그는 '미친사람'이라는 소리를 들어도 상관없다고 했다. 대화 내내 분위기는 굉장히 밝았으며, 옆에서 듣고 있었다면 진지한 얘기라고 생각지 않았을 만큼 웃음이 많은 대화였다. 이 분위기를 전하고자, 녹음된 내용을 바탕으로 (웃음) 표시를 작성했다. // 추신: 이 대화의 놀라운 점 중 하나는, 그가 나보다 마흔 살이나 많다는 점이다.


(삭제됨)


##: 그럼, 어떤 제품 'A'를 생산할 때 기계가 인간보다 생산성이 뛰어나다고 할 수 있습니까?


%%: 'A'가 무엇이냐, 그러니까 어떤 제품이냐에 따라 제한적으로는 그렇습니다. 경영자들은 제품을 생산하기 전에... 경영자들은 시장의 상황을 관찰하고 생산할 제품을 정하려고 할 때, 진입해도 괜찮은지에 대한 지표를 현재의 시장상황만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수익이 날 지, 그러니까... 레드오션인지 블루오션인지를?


%%: 네, 간단히는 그렇습니다. 몇몇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시장지표가 더 있긴 합니다만. 결론적으로는 '수익이 날까, 아닐까'를 보는 거거든요. 아무튼 제품을 생산하기로 결정했다면 설비의 구조를 컨설팅받게 되는데, 이 때 경영자는 설비의 전문가가 아니지만 개입은 할 수가 있죠. 돈을 쥐고 있는 사람이니까요. 이 사람은 완벽하게 무인화할 수 있는 설비를 컨설팅 받았지만 초기 비용이 너무 부담되었다고 가정합시다. 이 때 30% 의 공정은 사람이 대신 일을 하게 일부 설비를 제외할 수 있는 겁니다. 회사를 운영할 때, 법적으로 아무도 고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그는 일자리를 창출했습니다. 왜일까요?


##: 먼저 말했듯이...


%%: 네, 인류애나 노동법의 문제가 아닙니다. 설비의 초기 비용과, 인력의 초기비용 차이를 무시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또, 시장이 언제까지나 안정적인 상황을 보여줄 지도 알 수가 없구요. 초기 설비의 투자금을 회수하는 시점을 몇 년 뒤로 예상했을 때, 물건이 그 때도 잘 팔린다는 보장이 있어야만 합니다만, 누가 물건이 잘 팔릴거라고 보장해주나요?


##: 누구도...


%%: 네, 누구도 못합니다. 세계 경제가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와중에, 운좋게 거대기업으로 성장한 케이스가 많이 있습니다. 이름만 대도 알 법한 그런 회사들이요. 그 회사들은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앞으로의 생산설비는 대부분 로봇을 쓰게 될 겁니다. 이전까지는 로봇이 꽤 멍청해서 자동화설비라는 이름을 붙이기도 애매한 것들이 많았습니다만, 근래들어 센서기술과 공기압으로 작동하는 자동화설비 기술이 많이 성장했습니다.


##: 메카트로닉스 기술들이요?


%%: 네, 메카트로닉스...얘기를 쉽게 풀어서 설명드리고 있었는데 꽤 잘 아시는 모양이네요.


##: (웃음) 계속 쉽게 얘기해 주세요.


(삭제됨)


%%: 말씀하신 기술은... 저는 어떤 기술의 극적인 발전은, 다른 기술의 발전에 기인한다고 봅니다. 마치 레고를 조립하는 데, 어떤 부속품이 없어서 만들지 못하는 구조처럼요. 그리고 시간이 흘러 해당 부속을 얻었을 때 마침내, 그 어떤 '구조물'을 완성하는 거라고 비유할 수 있겠네요. 상황을 아주 극단적으로 비틀어보자면, 인공지능 기술이 2000년대 초반에 현재에 해당하는 기술레벨에 도달했다고 가정해봅시다. 그 때 당시의 통신상황은 어땠습니까?


##: 지금에 비해서요?


%%: 


##: 아주...


%%: 열악했습니다.


##: 네.(웃음)


%%: 무선통신 기술도 지금에 비하면 급이 굉장히 낮았습니다. 유선통신망 상태도 정말 굉장했죠.


##: 그걸 도대체 어떻게 돈 줘가며 썼나 모를 정도로요. (웃음)


%%: (웃음) 네, 이 가정을 했을 때, 우리는 이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시킬 방법을 제대로 못찾았을겁니다. 통신기술이 다른 기술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격입니다. 현재의 배터리 기술이 다른 기술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것 처럼요. 저는 배터리기술의 물리적 한계가, 다른 기술에 기인해서 해결되야 된다고 봅니다. 바로 무선충전 말이죠. 전기차는 이대로라면 성공하지 못할겁니다. 충전소 인프라를 기업과 국가의 돈으로 때려박아서 난립해놓고 본다면, 그 것이 오히려 기술발전에 독이 될 겁니다. 무선충전기술은 달리는 자동차의 바닥쪽에서 지속적으로 전력을 공급해주는 형태가 될 겁니다. 이게 저는 가장 이상적이라고 봐요. 얘기가 조금 샌 거 같지만...


##: 아니에요. 적절했습니다. 하나의 기술은 다른 기술이 발전해서 무언가...융합될 만 한 동등한 레벨이 됐을 때 시너지가 발생한다는 말씀이시죠?


%%: 네, 정확합니다. 마치, 신께서 튀어나온 못을 '더 튀어나가지 못하게' 계속 두드리는 느낌이에요.


##: (웃음) 방향이 잘못된 게 아닌가요?


%%: (웃음) 그렇네요. 방금은 적절하지 못한 비유였네요.


##: 그럼 이제야 아까전의 이야기로 넘어갈 수 있겠군요.


%%: 제품을 생산하던 기업의 얘기를 하고 있었죠. 네. 배송얘기를 한 번 해볼까요? 이제 경영자는 포장과 상차, 배송까지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고 하죠. 어떤 트럭이 공장 안으로 들어옵니다. 운전자는 없습니다. 애초에 이 트럭은 운전석이 없습니다. 없...는건 아닐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이제 트럭 제조사들은 운전석을 비좁고 비효율적으로 만들게 될 겁니다. 인간이 별로 탈 일이 없어질테니까요. 고장을 대비한 예비좌석쯤으로 생각하시면 되겠네요. 이러한 디자인도 결국 완전히 변형되어 운전석은 사라지고 효율좋은 공기역학구조를 가진 '매끈한' 트럭들이 거리를 활보할겁니다.


##: (웃음) 네.


%%: (눈을 크게 뜨고 무언의 질문) //// 그의 표정이 아직도 기억에 남는다고 함 ////


##: (웃음) 아니요, 매끈한 트럭이라는 말씀이 좀 웃겼습니다. 알 수 없는 포인트...


%%: (웃음) 알 수 없는 포인트에서 왜 웃긴건지 모르겠는데 웃기는 그런 거요?


##: (웃음) 죄송해요 계속하시죠.


%%: 네, 음...어디까지 얘기했죠? 아, 그 트럭들은 주변 수백미터의 모든 차량들과 상호작용하며 도로를 내달립니다. 최적의 경로를 찾을거고, 신호등이 없어도 교차로의 다른 방향에서 오는 차량들과 스치듯 지나갈 겁니다. 모든 게 다 계산된 주행이거든요. 이전까지는 이러한 데이터를 처리할 만 한 여건이 되지 못했습니다만, 무선통신 기술의 발달이 이러한 아이디어를 가능케 하고 있습니다. 이게 아까전에 말씀드린 그 기술의 융합이구요. 이 기술은 과도기에 예상해볼 법 한 문제가 하나 있습니다만, 차량의 전체적인 속도가 빨라졌을거라고 생각하시겠지만, 그렇지가 않습니다. 도심지에서 이 차량들은 서행할겁니다.


##: 더 느려지는군요?


%%: 하지만, 신호를 기다리던 예전과는 비교도 못하게 빠른 시간 안에 목적지에 다다르게 됩니다.


##: 그렇군요. 그런데, 얘기가 조금 이상한 부분이 있네요.


%%: 어떤 부분이죠?


##: 사람이 없네요 얘기에.


%%: 네, 그렇습니다. 이 시기에는 인간이 오히려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됩니다. 마치 지퍼가 잘 맞춰져서 잠기고 있었는데 조그만 실밥이 중간에 끼어버리는 상황과 비슷하죠.


##: (웃음) 비유를 참 잘 하시네요.


%%: 도시의 계획과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이 있을테지만, 횡단보도는 이제 사회악이 됩니다. 사회악이라니 좀 극단적으로 말씀드린 것 같지만 차량이 됐던, 사람이 됐던 누군가는 교차로 위나 아래로 피해서 건너야할 겁니다. 사실 이런 과도기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현재도 많은 논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에서도 자율주행차량의 무사고 테스트가 연일 갱신되고 있구요. 갑자기 아까 하던 얘기에서 조금 멀리 돌아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웃음) 그렇네요. 결국 그 경영자분은 어떻게 됩니까?


%%: 부자가 되겠죠.


##: (웃음) 더 많은 로봇을 사겠군요?


%%: 그가 굉장히 큰 야망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을 해야겠군요. 결국 그는 기업을 설립한 지 몇년이 지나 생산부터 판매까지 전공정에 걸쳐 완벽한 자동화에 성공했고, 같은 설비규모에서 인력을 사용했을 때 보다 더 많은 돈을 벌게 될 겁니다. 그럼 이 많은 돈은 다 어디로 갈까요? 이 때가 되면 법인세가 꽤 상승할거라고 봅니다. 실업을 한 사람들에게 헌법에서 정의한 기본권을 보장해주려면 돈이 있어야 합니다. 이게 요즘 논의가 되고있는 기본소득제구요. 사실, 몇몇 국가나, 국가 안의 자치단체에서는 이미 시행을 하고 있습니다. 꽤 성공적인 모델이라고 평가를 받은 것도 사실이구요. 이제 이게 국가적인 차원에서 논의를 해야 한다는거죠. 그 시대로 다시 되돌아가서, 이 사람들은 기본소득제를 통해서 1인당 일정 금액을 지불받을 겁니다. 이러한 정책의 시행이 출산율 증가로까지 이어지지는 않을겁니다.


##: 아이들한테는 안주는군요?


%%: 꼭 그 것 때문이라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만, 산업기반이 거의 송두리째 변화를 맞이한 마당에선, 인구가 많은 게 그다지 좋은 상황은 아니거든요. 기본소득을 제공할 재원마련을 겨우 해놨는데 인구가 오히려 증가한다면 정부 입장에선 부담이 점점 커질수 밖에 없으니까요.


(삭제됨)


%%: 맞습니다. 사실 뉴스(NEWS)는 특정지역의 정기간행물로 시작했거든요. 북(North)동(East)서(West)남(South)의 앞글자를 따서, 새로운 소식, 새로운 것 이라는 (New's) 뜻이 중첩된, 주간 간행물이었습니다. 교통이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더 먼 곳의 이야기를, 이름모를 항해사로부터 듣는 게 아니라 더 자세하게 알고싶어 했습니다. 그런 니즈에 부합한 '정보'가 출현을 하게 된거구요. 새로운 정보매체, 새로운 미디어의 출현은 꽤 흥미로운 주제구요. 이 것이 지금은 @@가 훌륭히 수행해주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웃음) 하루의 마지막은 꼭 @@와 함께더라구요.


%%: (웃음) 네, 이런 개인방송매체는 규모가 굉장히 커질겁니다. 얼마나 커질 지 감히 상상을 못하겠습니다.



자동등록방지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자동등록방지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말머리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2868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870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36766 일반 특이점 오면 포경한것도 되돌릴수 있냐? [4] ㅇㅇ(116.42) 21.02.17 284 3
36765 일반 제발 지능 좀 높였으면 좋겠다 너무 답답해 미치겠노 [1] ㅇㅇ(175.119) 21.02.17 176 0
36764 일반 뇌지도로 agi 만든다는게 헛소리인 이유 ㅇㅇ(211.210) 21.02.17 250 7
36762 일반 페이코인글 왜삭제했냐 [6] ㅇㅇ(203.229) 21.02.17 200 1
36761 일반 도쿄대와 후지쯔연구소, 일본 슈퍼컴퓨터 ‘후가쿠’로 쓰나미침수 예측 AI [2] 로널드레이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7 183 3
36760 일반 튜링테스트ㅋㅋㅋ 여기 유진 구스트만을 기억하지 못하는건가? [1] ㅇㅇ(220.94) 21.02.17 160 4
36759 일반 ai로 일자리 잃지 않으려면 방법은 한 가지지 [1] ㅇㅇ(175.119) 21.02.17 165 0
36757 일반 특이점이오면 돈이 의미없어지지않을가 ㅇㅇ(118.235) 21.02.17 92 2
36756 정보/ 삼성전자, 세계 최초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개발 성공 [5] ㅇㅇ(211.253) 21.02.17 994 30
36754 일반 진짜 씨발ㅋㅋ수준 존나 떨어지네ㅋㅋ뇌지도 끝나면 바로 AGI? [9] ㅇㅇ(118.235) 21.02.17 486 12
36753 일반 AI가 유튜브 영상용 음악을 작곡해 줌 [5] ㅇㅇ(85.203) 21.02.17 220 10
36750 일반 기승전 주식갤 되어버렸네; ㅇㅇ(106.102) 21.02.17 73 3
36749 일반 아무리 생각해도 조선인 남자의 삶은 너무 비참하다 [7] PIYATE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7 310 6
36748 일반 상식적으로 갤주는 하사비스지 병신들아 [6] ㅇㅇ(122.35) 21.02.17 208 11
36747 일반 기득권인 척하는게 아니다 ㅇㅇ(122.35) 21.02.17 77 1
36745 일반 일론 머스크 vs 커즈와일 [8] Magu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7 221 0
36744 일반 뇌 지도 프로젝트 끝나면 강인공, 완몰가 나올 수 있는거 아님? [4] ㅇㅇ(112.170) 21.02.17 280 4
36743 일반 10년만 기다리면 되는거냐?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7 81 0
36742 일반 특이점 주식이니 뭐니 이딴소리좀 하지마라 [8] ㅇㅇ(119.192) 21.02.17 298 4
36741 일반 2030년 범용AI 등장 [6] ㅇㅇ(121.153) 21.02.17 395 4
36740 일반 삶이 지치고 힘들때마다 특갤온다 [11] 키164존못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7 251 10
36738 일반 119.192 < 얘 맨날 분탕치는데 차단좀 해주셈 [2] ㅇㅇ(182.219) 21.02.17 119 5
36736 일반 특이점 기술에 기여도로 치면 ㅇㅇ(119.192) 21.02.17 104 5
36735 일반 특붕이들의 미래 [1] ㅇㅇ(1.218) 21.02.17 90 3
36734 일반 일론 머스크까는 개븅신새끼들 모조리다 쳐죽었으면좋겠다 [1] ㅇㅇ(221.141) 21.02.17 95 2
36732 일반 건강염려증걸리니까 특이점 신봉자되가는중 ㅇㅇ(210.106) 21.02.17 99 1
36731 일반 30년 프리터로 버틴다 ㅇㅇ(122.35) 21.02.17 144 1
36730 일반 특이점이 생각보다 빨리 오는 이유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8] ㅇㅇ(124.59) 21.02.17 1155 36
36729 일반 ai와 로봇 ㅇㅇ(211.210) 21.02.17 80 2
36727 일반 하튼간 조선놈 새끼들은 뭐만하면 파벌만들고 분열함 [3] ㅇㅇ(175.198) 21.02.17 134 7
36724 일반 레이커즈와일이 진정한 특이점 갤주다 하면 추천 ㄱㄱ [6] ㅇㅇ(39.7) 21.02.17 495 28
36722 일반 레이 커즈와일 >>>>> 일론 머스크 [3] ㅇㅇ(119.192) 21.02.17 174 8
36720 일반 완몰가는 대략 2080년에 나올듯 [6] ㅇㅇ(112.159) 21.02.17 265 4
36719 일반 특이점이 만약 금세기 말에 온다면 그때의 특슬람들은 지금 니들을 [6] ㅇㅇ(118.235) 21.02.17 170 3
36716 일반 강인공 직업 대체사회. 기본소득제와 양극화 [10] ㅇㅇ(58.141) 21.02.17 728 19
36715 일반 어떤 생각없는 완장이 내글 삭제했냐? [9] ㅇㅇ(58.141) 21.02.17 280 9
36713 일반 완몰가는 사실상 '개인이 생각하는 완벽한 유토피아'지 ㅇㅇ(180.69) 21.02.17 137 0
36712 일반 sf소설 트랜드가 바뀌었다고? [2] ㅇㅇ(112.172) 21.02.17 222 6
36710 일반 커즈와일 선생한테 너무 그러지마라 [5] ㅇㅇ(49.143) 21.02.17 242 14
36709 일반 머스크 쉑 뭐하노 [1] ㅇㅇ(175.203) 21.02.17 215 7
36708 일반 누가 완몰가 싫댔냐? 그런 문제가 아님 [6] ㅇㅇ(112.159) 21.02.17 293 10
36707 일반 본인 고닉으로 진화함 ㅋㅋ [6] 가렌예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2.16 163 5
36706 일반 완몰가는 어차피 가짜고 현실을 대체할 수 없으며 [7] ㅇㅇ(59.187) 21.02.16 763 26
36705 일반 일론머스크가 회사 지맘대로 굴리는것도 아니고 [1] bt(221.158) 21.02.16 152 5
36702 일반 미래의 AI에 대한 전문가들의 두려움 정도를 정리한표 [13] ㅇㅇ(175.199) 21.02.16 948 20
36699 일반 레이 커즈와일은 딱히 특이점에 도움되는게 없다 [12] ㅇㅇ(1.240) 21.02.16 1080 42
36698 일반 몬가 원기옥이 점점 빠르게 모이는 듯한 느낌이 든다 ㅇㅇ(110.45) 21.02.16 220 9
36694 일반 일론 머스크 특징 [4] ㅇㅇ(119.192) 21.02.16 262 7
36692 일반 레이 커즈와일이 강인공지능 2029년 이라는데 [9] ㅇㅇ(119.192) 21.02.16 491 13
36691 일반 디스토피아가 걱정되면 뇌를 개조하면 될 듯 ㅇㅇ(121.140) 21.02.16 122 5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