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등산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하드쉘 썰전을 보면서 느낀것

ㅇㅇ(123.213) 2023.06.09 21:08:24
조회 545 추천 21 댓글 24
							

본인의 짧은 경험으로 세상만사를 단정짓는 오만한 태도와 

다른의견에 대한 이해와 존중이 결여된 사람이 좀 보이는 듯 함.


사계절을 한가지 의류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기에

의복이 발전하고 

인류의 야외 활동이 활발해지며 기능성 의류들이 발전했는데

여러 옵션 중 하나일뿐, 사용상의 절대적인 기능이 있는건 아님. 









7ee48573b08407f33ae9838a2efd6a374a7f095f1247dc96a60847c22784

1da8c432ecdc3fe67eb7d9bb13912d330561ca340de302654254997f44c8035970b24615df4fc60a6e821fc1367b3f3e88bf26d66234b9d4dca7008080ec8255fc96c8bb0ec384194dec9b1c36297fd94e5062420f5fcfe3306c67d4fc97582f7f


어느나라든지 빈도의 차이는 있지만 악천후가 이어지는 날은

365일 중 오래 이어지지는 않음. 

그래서 하드쉘 무용론이 나오는 것 같은데 

는 선택의 문제이지 맞다 아니다로 판가름 할 수 있는게 아니라고 생각한다. 










1. 우리나라 기후에선 하드쉘이 필요없다?


1e989d75e6816bf76befd4f813842569e1283fe896ff5fe4cc9a39d2328244c591ebb598f92834710f4ce102ecbdc0196e11313fa4f4

하드쉘하면 생각하는 대표적인 소재가 고어텍스이고 

우리나라 특전사에 고어텍스 도입이 됐는데  

그 계기가 민주지산 참사임.



(당시 기상상황은 영하 10도/ 폭설 30cm / 풍속 40m/s에 1000m 넘는 고지에서 숙영지를 편성하며 벌어진 사건임. 

훈련루트는 칠갑산-계룡산-속리산-대마산까지 가는 여정에 민주지산에서 일어난 사건임.)




누군가 우리나라 상황을 한정지어서 하드쉘이 필요없다고 하는데 

대한민국 남쪽의 지리산부터 북쪽의 태백산 혹은 더 위의 많은산들이 

악천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는 환경조건임. 

민주지산 참사는 그 단례임.






2. 판초 VS 하드쉘



18b1c434e4ed0baf6280f8b418de1b0fd49cad33697b8228d9c55eda5c3db78ba0d09860236acbc281e15288689e396683d295c263a998e09e2c42daa834bd57da


3abcc423f7c22aa961b99bb703c82d33fcebe424da0fe0d9dd9ec69db356184a5e0c264a36e2e74f44a243ac2e0f23

 

우중산행을 하다보면 자주볼 수 있는 아우터가 

판쵸와 레인자켓임. 보통 레인자켓을 하드쉘이라고 가정했을때 장단점이 있음. 


레인자켓의 편리함과 경량성 통풍능력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은 장점이지만 

많은 틈새를 노출하고 넓은 표면적으로 등산중에 손상이 자주 발생한다는점

제한된 수납 방수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점임. 


반면, 하드쉘은 피팅과 다양한 수납과 벤틸 상대적으로 뛰어난 방투습 기능이 장점인 반면

우의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훨씬 고가에 형성되어 있다는것임. 


소쉘 + 판쵸 vs 간단한 기능성의류 + 하드쉘이 주된 논쟁거리인 것 같은데 

이부분에 대해서는 철저히 취향이 갈리는 부분이라고 생각함. 


둘 다 가지고 있는 입장으로 말하자면

그냥 그날 꼴리는거 입고감. 









3. 도테템 하드쉘...




0a92e203a8e61d9e23ef84f84e817425838ce23cfb745af82f116e3af24604c49952af



합성섬유의 대표격인 폴리에스테르, 나일론같은 합성섬유는 많이 들어봤을거임. 

쿨맥스, 코듀라 등등 수많은 브랜드들이 자사기술력의 섬유들을 가지고 있음. 


이들 모두 천연섬유보다 저렴하고 견고한 원단을 개발했던 것을 시작으로 

지금에 와서는 신축성을 가미하고 더 가볍고 통풍이 잘되는 등의 기능을 첨부하며 

지금까지 계속 발전함. 


마찬가지로 하드쉘 역시도 발전할 것이라는게 내 전망임. 


7ded8076b58268f63cf1dca511f11a39a0e8ad5e05cd71c703


위 표를 보면 초창기의 발투습 능력에서 많이 발전한 것을 확인할 수 있음.

초창기에 고어텍스 발투습 능력은 거의 10000따리였음. 

특허가 풀리고 뒤따라 나온 여러브랜드 자사 원단들도 5000따리 같은 발투습 원단으로 40-50만원대 가격에 형성됐던 과거에 비하면

지금은 발투습의 원단 자체능력뿐만 아니라 실링과 라미네이팅 기법같은 것들이 발전해서 경량화까지도 준수한 편임. 


심지어 특정부분에서 고어텍스를 능가하는 원단들도 나왔지만 

마케팅 등의 부족으로 아직까지 고어텍스 인지도의 아성을 넘지는 못했음

덕분에 그 자사 원단들이 상대적으로 낮은가격에 형성되어 

이전보다 구매의 폭이 넓어지는 시장이 형성된 지금임. 


소쉘과 레이어링 기술의 발달로 개인의 기호에 맞는 등산이 가능해지면서 

하드쉘을 쓰지 않는 의견에는 상당부분 동의를 하지만


마찬가지로 하드쉘 역시도 기존의 문제점들을 보완하며 발전을 통해

더욱더 그 자리를 공고히 다지고 있음.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46b50939da1a562fdaeb5e2ea061e98601902b9a67236d311cf5376b8fe897efe3be4f069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46b50939da1a562fdaeb5e2ea061e9863196c8924c7496941f19a9718477a31051ffd14dd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46b50939da1a562fdaeb5e2ea061e986219c0571511810a98d340535aea582c3a238b2585


어떤 아웃도어 브랜드 카테고리를 가더라도 

의류에서 최고가는 하드쉘과 우모복임. 


즉, 돈이 되는 아이템을 토태시킬만한 등신들은 없다. 

































06bcdb27eae639aa658084e54482746b50939da1a562fdaeb5e2ea066fc2215e1765d9ec7c102e5dcfb88c2773



암튼 씨발럼들아 

싸우지들 말고 하던대로 등산이나 해라


추천 비추천

21

고정닉 1

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아이돌 그룹 보다 솔로 활동 후 더 잘 풀린 스타는? 운영자 23/09/25 - -
AD [조아라] 연휴결제▶최대 15000원받고 웹소 정주행! 운영자 23/09/28 - -
AD [브라운더스트2] 일러스트 콘테스트 (~11/12) 운영자 23/09/27 - -
공지 등산 갤러리 이용 안내 [75] 운영자 05.10.27 70324 28
170037 이래도 산에 안 가? 야 독하다 독해! ㅇㅇ(223.38) 16:48 18 0
170036 입산통제시간 질문 ㅇㅇ(118.36) 16:47 8 0
170035 등산 좆만이들이 새로운 갑질을 하네 [13] 등갤러(106.101) 16:44 42 5
170034 방금 수락산 다녀왔는데 [1] 김큰중(223.39) 16:30 25 1
170032 횽왓다, 추석연휴엔 이거지 [1] ㅇㅇ(210.113) 15:50 43 1
170030 조용히해라 큰집에서 버림받은것들이 말이많네? 등갤러(124.57) 15:40 26 1
170029 산에 올라가서 [8] 등갤러(172.226) 15:33 64 0
170028 계양산 40분완주 최초공개!!! 모든분야전문블랙(211.36) 15:32 27 0
170027 산이나 가라 1111(1.225) 15:08 34 0
170026 아울렛 등산복이나 보러 갈려고 했더니만 1111(1.225) 14:53 50 1
170025 샀다 [3] 산좀비(175.204) 14:42 69 2
170024 日 유명 등산스팟에서 한국인 곰에 습격당해 [3] ㅇㅇ(58.142) 14:38 65 0
170023 정상석 찍을때 눈치껏 비켜줘야지 [12] 등갤러(172.226) 14:19 113 0
170020 +러닝, 등산 둘 다 즐기시는분?+ [8] ㅈㅁ(121.171) 14:00 80 0
170019 이런 씨빠빠 개보대들아 [4] 유니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3 49 0
170018 파타고니아 토렌쉘 용도? [10] 1111(1.225) 13:40 66 0
170017 육모정 영봉 하루재 백운대 용암문 대동문 소귀천 코스 어떤가요 [3] 등갤러(118.235) 13:24 31 0
170016 등산에 매너가 어딨냐 빡대가리색이야 [3] 등갤러(118.235) 13:21 99 0
170015 월출산 등반완료 ㅇㅇ(223.39) 13:08 39 2
170014 서울에도 군부대 있는거 나만 지금 알았냐? [2] 등갤러(211.230) 13:07 40 0
170012 이거 등산할 때 지켜야하는 매너인가요 [9] 등갤러(106.102) 12:59 136 0
170011 트레일러닝화로 러닝, 등산 둘다 가능한가요? [4] ㅈㅁ(121.171) 12:42 58 0
170010 치악산 안개 많이 꼈노 [1] ㅇㅇ(106.102) 12:23 60 2
170009 다이소로 달려랏! [10] ㅇㅇ(223.38) 11:59 172 4
170008 [배틀 공지] 오색-대청 배틀 붙으실 부우운~ [1] ㅇㅇ(116.34) 11:56 39 2
170007 새 등산화 신고 등산왔다 [1] 등갤러(223.39) 11:54 68 2
170006 오늘 북한산 사람많아? [1] 등갤러(118.235) 11:39 65 0
170005 대놓고 털리는 룰루레몬 매장 [2] 등갤러2(180.83) 11:27 80 2
170003 차례 드린다고 애쓸 필요 없다. 산에나 가라. [2] 등갤러(219.240) 10:11 49 4
170002 배내봉-간월산-신출산-영축산 생초보 몇시간이나 걸릴까요?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8 35 0
170001 여기 평균 연령이 50대라던데 맞음? [4] ㅇㅇ(223.39) 09:57 74 0
169998 개 그지새끼들 왜사냐 [2] 유니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43 46 0
169997 아크테릭스 프로톤 신형 떴는데 가격 보소 ㅋㅋㅋ [6] ㅇㅇ(58.142) 09:42 160 3
169996 형냐들 등산할때 도시락으로 뭐 싸가? [5] 등갤러(211.183) 09:33 50 0
169995 허리가 너무아픈데 [2] 와싸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0 51 0
169994 머하지? [1] 1111(1.225) 09:08 26 0
169993 노부부 봉정암 가신다는데 내일 설악산 춥나요? [5] 등갤러(58.142) 09:01 66 0
169991 쥬지바위 [1] ㅇㅇ(223.39) 07:59 76 3
169985 밀레 k2 이런데 스틱은 별로임? 등갤러(220.124) 02:45 35 0
169983 아크 공홈에 23fw코막은 재고업고 ss는 있어 ㅇㅇ(175.119) 02:10 32 0
169981 갤럭시워치에서 쓸만한 등산 어플 있나요?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0:47 75 0
169980 북한산 가야지 오늘 [2] ㅇㅇ(106.101) 00:33 62 0
169979 틀딱 감별송 ㅇ¿(223.38) 00:26 34 0
169977 연휴 금요일 북한산 백운대코스 사람많으려나여 [5] 백운대(61.73) 00:07 85 0
169976 30l 이상 가방 이쁜거없음? [2] ㅇㅇ(123.213) 09.27 64 0
169974 utmb 보면 거의 다 호카 신는데 [2] ㅇㅇ(106.101) 09.27 66 1
169973 하글로프스 이거 어떰? [3] 등갤러(114.205) 09.27 96 0
169972 식전 공복 등산vs 식후 바로 등산 [5] 등갤러(182.221) 09.27 142 0
169971 가을 등산복 추천좀 [1] 등갤러(221.151) 09.27 5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

힛(HIT)NEW

그때 그 힛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