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2024 경주 답사 2부앱에서 작성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2.20 08:50:01
조회 6181 추천 34 댓글 41

둘째날부터는 크게 계획이 없었음. 정확히는 구상한 것과 크게 다르게 움직여서 계획이 무용지물이었다고 봐도 무방함.

첫 행선지는 봉길리의 대왕암. 당초에 일출을 보기 위해 첫 일정으로 계획한 곳이었지만 일기예보상 구름이 가득해 큰 기대는 없었음.

7fed8272b58068f751ef81e14280727300f12d64dcc1999217c76d74ec968e77

150번 첫차를 타면 7시 40분경 대왕암에 도착할 수 있음. 겨울철이라면 일출을 보는 것이 가능함. 하지만 부슬비까지 내리기 시작하는 날씨에 옷을 얇게 입고 와 빨리 감은사지로 이동했음.

7fed8272b58068f751ef8ee547847d7370aecc3886a743f071de964ad6ff9b42

황룡사의 대종이 잠겨 있을 대종천의 하구.

3fb8c32fffd711ab6fb8d38a4483746f33108f8de554324282bf6adf8581ca16b7ba8477842c7990ca3567706a

감은사지삼층석탑(과 그 위에 앉은 가마귀)

3fb8c32fffd711ab6fb8d38a4786766d8e7f5e54489a03c8b0fa59b771dc6d8bf68c737cccbf529e66a120667fb6

신라계 석탑의 문을 연 기념비적인 작품. 그 규모와 비례미, 그리고 위치선정까지, 모든 면에서 압도당하게 됨. 경주를 오는 것이 6번째이지만 한 번도 빼놓지 않고 방문하는 곳임.

7fed8272b58068f751ef8ee44e847d73f9f994525b1ad77507c9bd7da2bcf218

장중하지만 무겁지 않고, 경쾌하지만 가볍지 않은 이곳.

7fed8272b58068f751ef8ee443817373ccdab95d68eb652fd76a20d0f5da0c2b

금당지. 용이 된 문무왕이 금당 아래로 들어와 왔다갔다하라고 지면으로부터 띄운 것으로 알려져 있음.

7fed8272b58068f751ef8ee740817173d2a8d8d21a7f8882ea9673b50cc55adb

감은사지 방문을 즐겁게 하는 또 다른 요소는 이 감포가도임. 넓은 평야는 아니지만 무한히 뻗은 듯한 환상을 주는 이 길은 버스로 방문하는 자만이 경험할 수 있는 특권임.

7fed8272b58068f751ef8ee741847473481f9170f6e3539bafa6c393340f76b8

다시 숙소로 돌아와 짐을 챙겨 통일전에서 하차함.

7fed8272b58068f751ee86e6448273730481abc686725bb996c10ba953eff0f7

서출지. 여기 도착할 때만 해도 동남산, 북남산 쪽을 거쳐 배반동 들판을 지나 낭산과 보문들, 그리고 소금강까지 연계해서 갈 생각이었으나 갑작스런 변심으로 정 반대 방향인 칠불암으로 길을 잡았음.


서출지에는 잘 알려진 전설이 있음. 삼국유사 기이 사금갑(射琴匣)조에 실려 있는 내용으로, 서기 488년 비처마립간이 천천정으로 행차했을 때의 이야기임.

왕이 행차하자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까마귀를 쫓아가라 하였음. 괴이하게 여긴 왕이 신하를 시켜 까마귀를 쫓게 하였는데, 피촌(避村) 어느 못가에서 두 마리 돼지가 싸우고 있는 걸 보다가 정신이 팔려 까마귀를 놓치고 말았음. 어쩔 줄 몰라하던 신하에게 홀연히 못 안에서 나타난 노인이 봉투를 건네주었으니 신하는 이것을 왕에게 바쳤음.

그 편지의 겉에는 "이 편지를 열어보면 두 사람이 죽을 것이요, 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을 것"이라고 적혀 있었는데, 당연히 한 사람이 죽을 것을 택하려는 왕에게 일관이 "두 사람이란 서민을 뜻하지만 한 사람은 왕을 말하는 것"이라고 하자 편지를 열어보았음. 편지에는 사금갑(射琴匣), 즉 "거문고집을 쏘아라"라고 적혀 있었는데, 왕은 지체 없이 활로 쏘았음. 거문고집을 열어보니 그 안에는 왕실의 분향을 받드는 중과 궁주(왕비)가 통정을 하던 중이었는데, 그 중은 왕을 해치기 위해 숨어 있던 것이었음. 왕은 둘 모두를 처형하였음.
이후로 노인이 나와(出) 편지(書)를 준 이 연못을 서출지라 부르게 되었음.

이후 서출지에는 1664년 임적(任勣)이 이요당(二樂堂)이란 정자를 지었음. 못 주위에는 해묵은 고목들이 둘러싸고 있고, 여름에는 연꽃과 배롱나무꽃이 만개하는 장관을 볼 수 있음.

7fed8272b58068f751ee86e140817173b3e4c507289cad3ac5858e4ce62763aa

한편, 사금갑 설화의 본 무대는 서출지가 아니라 그 옆의 양피지란 주장이 있음. 앞서 살펴본 설화에서 피촌은 지금의 양피사촌(壤避寺村)으로 남산 동록에 있다고 쓰여 있는데, 바로 인접한 남산리 동서삼층석탑 터가 바로 양피사지로 추정되기 때문임.

7fed8272b58068f751ee86e1478071738b18395674bfd52f02c286cf5739161f

양피사지로 추정되는 남산동 동서삼층석탑. 일설에는 남산사(南山寺)라고도 전함.

7fed8272b58068f751ee86e1408373737bda76e682f9e07b76c1edd73739b3a3

전형적인 쌍탑이라고 생각할지 모르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석가탑과 다보탑에 준하는 차이를 느낄 수 있음.

3fb8c32fffd711ab6fb8d38a4781766d4f6542d0c3b011f302e02627e61e85ed6192732c751e814a3eac0b6c066b

서탑은 전형적인 통일신라의 석탑으로, 이중기단 위에 세워진 삼층의 탑임. 상층기단에는 팔부중상을 새긴 흔한 양식임.

3fb8c32fffd711ab6fb8d38a4780766db023d808ebb62b2808b784d1280e835bb323592d20b1a87dbc363055137c

반면 동탑은 모전석탑으로, 전탑(벽돌탑)을 모방한 탑임. 층급받침뿐 아니라 낙수면도 계단식으로 파내려갔음. 기단부는 단층으로 직육면체 모양 화강암 8덩이를 깎아 만들었음.

경주지역에는 여러 기의 모전석탑들이 산재하는데, 이곳 외에도 서악동 삼층석탑, 지곡3사지 삼층석탑 등이 있음. 모전석탑에는 분황사석탑과 같이 돌을 벽돌모양으로 잘게 잘라 전탑과 같이 세우는 양식이 있는가 하면 일반적인 석탑과 같이 하나의 큰 돌을 형태만 깎아 옥개석을 만드는 양식도 있는데, 분황사탑 외의 경주의 모전석탑들은 대체로 후자를 따르고 있음. 직육면체 블럭 형태로 깎은 기단 또한 공통적으로 나타남.

3fb8c32fffd711ab6fb8d38a4782766de7e29e4d9c274d57d1fb56d1ea25c396d896bff7de9034ae7a152e1874e9

좀 더 이동하면 염불사지 동서삼층석탑이 나옴. 두 탑은 불국사 삼층석탑의 비례에 따르되 상층기단 면석 수가 3개로 석가탑 이전 양식도 나타나서 8세기의 석탑으로 추정됨.

염불사는 본래 피리사라 불렸는데, 피리사에는 이상한 중이 살았음. 이 중이 외는 아미타불 소리가 성 안까지 들렸으며 낭랑하고 한결같아 모두 그를 공경하여 이름을 염불사라 고쳐 부르게 되었음.

3fb8c32fffd711ab6fb8d38a4785766db36e0acc3082df333e62dfe6c562acb5305c3209526bf97c98d9d8a7bc85

염불사지 동탑의 초층 옥개석은 신부재로 교체하였음을 알 수 있음. 여기에는 문화재에 대한 인식이 부족했던 우리 현대 역사를 되돌아볼 만한 사연이 있음.

불국사역 앞 로터리에는 오랜 세월 웬 삼층석탑 하나가 서 있었음. 구정동삼층석탑이라고 불리던 이 탑은 쓰러져 있던 염불사지 동탑 부재를 모아 1963년 박정희 대통령의 순시를 기념해 불국사역 광장에 세운 것이었음.

7fed8272b58068f751ee86e04182757323ba8d6685b45af2040772a109328947

그런데 문제는 초층 옥개석이 파손되어 쓸 수 없다는 점이었음. 애초에 불국사역 앞에 탑을 세운 것이 보여주기용의 목적이 컸기 때문에, 형태가 온전치 못한 탑은 의미가 없었음. 이 때 당국자들 눈에 들어온 것이 있었으니..

78ee8276b58468f23cef86e741817402445395bb12c7d82c82f5a8ea454b9d99

(불국사역 앞에 서 있던 구정동삼층석탑. 연합뉴스 사진)

도지동 이거사지에 위치한 이거사지삼층석탑의 부재였음. 이거사(移車寺)는 성덕왕릉 북쪽 동촌(東村)에 있던 사찰로, 태대각간 최유덕(崔有德)이 세웠다고 전해지며 이 때문에 유덕사라고도 불림.

결국 위와 같이 짬뽕 탑이 완성되었음. 하지만 오랜 시간 여론의 뭇매를 맞고, 1998년 염불사지의 발굴이 진행됨에 따라 2008년 원위치로 이건되고, 초층 옥개석은 신부재로 교체되었음.

7fed8272b58068f751ee86e04183707385e908b273e7b29f85003359d79a217d

하지만 이거사지삼층석탑의 옥개석은 원위치로 돌아가지 못하였음. 아직도 염불사탑과의 인연을 끊지 못하고 염불사지 한켠에 외롭게 남아있음. 이거사지는 현재 일부 정비가 진행되었으나 토지수용 등의 문제로 주민들과 마찰이 심해 복원까지는 시일이 걸릴 듯함. 그때가 되야 다시 고향으로 돌아갈 수 있을 듯함.

이와는 별개로 청와대 미남 석불좌상으로 흔히 불리는 보물 제1977호 경주 방형대좌 석불좌상의 원위치 또한 이거사지임. 조선총독을 위한 상납용으로 서울까지 올라가서 아직도 타향살이 중임. 참으로 기구한 운명의 절터가 아닌가 싶음.

참고로 "도지"동 이거사지라서 카카오맵 후기는 이모양임.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76d33550413f91d9f8c1a25da25bb03498a3c6a1da0780718503267b4bc00dda802d152da

어쨌든 다시 출발해서 칠불암으로 향했음. 칠불암 가는 길은 경사가 적고 바위도 없어 쉽게 오를 수 있음. 애당초 등산 계획도 없이 대충 후드에 면바지 입고 찾은 내가 1시간 좀 안 걸려서 도착했으니 계획하고 온다면 40분 정도면 올 수 있지 않을까 싶음.

7fed8272b58068f751ee84e545847273bbd8c3b8a5c8f61c5703ef4a3d3c43ce

칠불암 도착. 앞의 마애불상군과 저 멀리 위의 신선대가 보임.

7fed8272b58068f751ee84e5408172736bcbc8d39dba1d36a826e063e7c04b20

1시간만에 처음 만나는 탁 트인 경치. 협소한 공간이지만 있을 건 다 있음.

7fed8272b58068f751ee84e54f8574732e1a175d4e653bfb8cdf193b44830b28

칠불암 마애불상군은 암벽에 새긴 삼존불과 그 앞 바위에 새긴 사방불로 총 7구를 새겼음.

7fed8272b58068f751ee84e447837573ca3ec8c766edb9878a50be2e7e115a81

전국에는 국보로 지정된 마애불이 7기 있음. 그 중 6번째 만남을 갖게 되었음. 6곳 중 가장 놀라웠던 만남은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의 마애여래좌상이었지만, 칠불암의 마애불상군은 전성기 통일신라의 미학을 그대로 담고 있음.

3fb8c32fffd711ab6fb8d38a4482766d8d6a6a13882db46ba6d9473c9b4d9324aa05fc6f5478288dd05242fa1017

3fb8c32fffd711ab6fb8d38a4485766dcdcfa4f605b74d7a92d741e406ce13c1c039ba2718f0b991fc11fd383f12

특히 좌우협시보살은 석굴암의 십일면관음보살입상을 연상되는 은은한 미소와 유려한 조각이 인상적이었음. 물론 조각의 수준이 석굴암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통일신라의 미학을 느끼게 해주는 훌륭한 작품임.

3fb8c32fffd711ab6fb8d38a4487766d1329318a92ee5024e2010143b576568d91afb51a29f86f0d495b00ce07b5

이외에도 칠불암에는 많은 탑재가 있음. 원래부터 있던 것도 있고, 인근에서 옮겨온 것도 있는데 규모가 상당하고 하나는 아니었을 듯함.

7fed8272b58068f751ee84e643807073625d5255240c9dc174434b3c542fe1ad

칠불암 뒤로 빡센 산길을 오르면 곧 신선암에 도착함. 신선암의 경치는 용장사지, 연화대좌와 함께 남산을 대표한다고 할 만함.

7fed8272b58068f751ee84e644837d7325cb2706112d906321c67ef0cbe74943

신선암에서 내려다본 칠불암.

7fed8272b58068f751ee84e645837273b79427e4f9fd843c765fddad04c7dac5

깊은 생각에 잠긴 듯 지그시 눈을 감으며..

7fed8272b58068f751ee84e642857273036311b50441a80eddf24f3e48350708

신선암에서 바라본 경주 동쪽 평야.

7fed8272b58068f751ee84e14685777380997350027a7f05b31673156e45cf36

신선암마애보살반가상과 산하.

7fed8272b58068f751ee84e1428373731f76433518ccfe673b988fd6edba69b9

멀리 보이는 국사곡4사지 삼층석탑. 사실 복장도 등산용이 아니고 생수 한 병 챙겨오지 않았기에 돌아내려갈까 하는 생각도 컸지만 갔던 길은 다시 가지 않는 성격이라 계속 진행하기로 했음.

7fed8272b58068f751ee85e747857673e98d60d7df0cddd7f64d8f7c955abb01

이제 백운재까지 이동해서 용장골 방향으로 잠시 내려갔음. 남산에서 가장 깊은 곳인 이곳 고위봉 아래에는 산정호수가 있음.

3fb8c32fffd711ab6fb8d38a4284766dad2c5ade1f39a20749da7c69ebd5a54a7f9e92c931944819b4fcad94dd62

산정호수에서 이정표를 따라 이동하면 지곡3사지 삼층석탑이 있음. 남산리 동삼층석탑과 같이 모전석탑 계열로, 형태가 상당히 유사함.

7fed8272b58068f751ee85e44284777397aad9399f8c29258eea8d3dfe8de8e6

다시 백운재로 돌아갔음. 지도상으로는 고위봉을 무조건 거쳐서 틈수골로 내려가야 할 것 같지만, 백운재에서 백운암 방면으로 가면 고위봉까지 오르지 않아도 됨.

7fed8272b58068f751ee85e04481707310ecc35645bf3c70e8f7324c77ab210b

백운재까지는 임도가 나 있어 차량이 진입함. (일반차량은 진입불가)

3fb8c32fffd711ab6fb8d38a4587766dec41ed8e79cf0fffa94e8aa8f14623ed7b808ae11c2e6a8157a827314652

천룡사지 일대는 고지대에 위치한 분지지형임. 3부에서 소개할 사천왕사와 망덕사 일화의 주역인 악붕귀(樂鵬龜)는 이곳에 와보고 破此寺 則國亡無日矣, 이 절을 파괴하면 며칠 내 나라가 망할 것이라고 말하고 가기도 했음. 어쨌든 입지가 몹시 탁월한 사찰임.

7fed8272b58068f751ee82e54f81747380503bed116b210d8b187cac419346b3

참고로 이 천룡사지 옆에는 녹원정사란 식당이 있음. 산 중턱에 있는 식당이라 독특한데, 기회가 되면 여기서 식사해보기 바람.

3fb8c32fffd711ab6fb8d38a4588766d030128ab5d40e59b1ba7ba7f980d5080f1626f41059aead44f2f0a8adcb7

틈수골로 내려오면 와룡암이 나옴. 천룡사지 코스의 들머리인데 계곡이 꽤 볼만함. 데크길 설치해서 정비하면 나름 괜찮을듯.

3fb8c32fffd711ab6fb8d38a4281766d2873e2fac4ee4aa118dd206d912d22e849c70489599dfffffd53460a4929

천룡사지 입구 이정표. 반나절 동안 고생한 지팡이와 함께..

7fed8272b58068f751ee80e64f807d739af14340814106c496ae617485285075

웬 놈의 버스가 40분만에 와서 4시 다 돼서 시내에 돌아왔음. 알 사람들은 다 아는 경주 쫄면집에서 식사하고 숙소 주변을 산책을 겸해 잠시 둘러보고 왔음. 어제 오늘 하도 바쁘게 다니다 보니 경주에서의 첫 식사였음.

7fed8272b58068f751ee80e04e817073a9411eade1444c1097d5db0eb22e4ffb

동경관. 경주 객사로 좌익랑만 남았음. 경주교육삼락회란 곳을 통해 들어가야 하는데, 문이 닫혀 있어 담장 밖에서만 구경했음.

7fed8272b58068f751ee81e545827273abb8fa374ffca058259b38f0080de33a

동경관 옆에는 옛 야마구찌병원으로 쓰이던 화랑수련원 건물이 있음.

3fb8c32fffd711ab6fb8d38a4289766d50ec6780ea1f0cf1092c815e41e73657882e3b3669558816225ca9654315

좀 더 걸어가면 집경전지가 있음. 조선시대에는 진전을 두어 전국에 태조의 어진을 모신 공간을 두었는데, 서울 문소전, 전주 경기전, 영흥 준원전, 평양 영숭전, 개성 목청전, 경주 집경전이 바로 그곳이었음. 집경전의 태조어진은 임진왜란 중 청량산으로 옮겨 모셨다가, 난 이후 강릉에 임시로 집경전을 설치했음. 하지만 1631년 화재로 소실된 이후 복구되지 못했음.

하지만 경주에서는 지속적으로 집경전을 다시 설치할 것을 요구해 왔음. 따라서 정조는 1796년 이를 위로하는 마음으로 친필로 集慶殿舊基, 집경전의 옛 터임을 알리는 비를 세웠음.

7fed8272b58068f751ee81e44681717382ba0d0b44894db77985211f5ceaff09

그런데 정작 집경전지는 그 구조가 이상해서 대체 어떤 형태의 건물인지 종잡을 수가 없음. 긴 통로 형태의 석실인데, 양쪽으로 뚫려 있어 어디 어떻게 어진을 모신 것인지 알 수 없음.

7fed8272b58068f751ee81e44583737386e9c6d355c8f33e809db1502ac43a13

마지막으로 최근 복원된 경주읍성을 찾았음. 요즘 전국적으로 읍성 복원 열풍이 일고 있는데, 상당히 무의미해 보임. 차라리 잔존 성곽 주변만이라도 잘 정비해서 보존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옳을 듯함.

3fb8c32fffd711ab6fb8d38a4288766d99d8bcef4066e5940fa1c08151afef3b9f05ebbf4829bc09a88580ee34bf

치성. 복원 이전에는 이 치성 부분만 초록 철제휀스로 둘러싸여 있어 꽤나 볼썽사나운 모습이었음.

7fed8272b58068f751ee81e746807c7347da0563f633590c59c71a4a554e463e

새로 뽑아낸 듯한 희멀건 성문과 군데군데 노거수가 자라나는 오래된 성곽. 무엇이 더 울림을 주는 장소인지는 자명해 보임.

7fed8272b58068f751ee81e740837473aa231d4b3c30974dc1803bbc54224ea6

여하튼 즉흥적인 이동을 한 날이었지만, 남산의 보물 이상급 문화재를 클리어했다는 점에서 나름 의미 있는 날이었음. 큰 숙제 하나를 푼 느낌임.

- dc official App


출처: 도시 미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4

고정닉 6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2402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모닝지구촌 0417
[73]
모닝지구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13401 87
224023
썸네일
[부갤] 요즘 알리 직구가 ㅈㄴ게 느린이유.
[275]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41199 172
224021
썸네일
[미갤] 신입 남직원 퇴사하지 못하게 하는 여자 상사 ㄷㄷ.jpg
[23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37778 185
224020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성인 페스티벌 ㄹ황의 ㄹ황의 ㄹ황의 ㄹ황
[535]
ㅇㅇ(183.96) 04.17 35517 459
224018
썸네일
[중갤] 퐁글벙글 "그 폰지사기겜" 근황...jpg
[323]
중hah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44213 307
224017
썸네일
[이갤] 국내 첫 청각장애 아이돌 데뷔임박.. 핑계 안대려 반복 연습
[3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25474 73
22401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돈까스뷔페
[236]
이게뭐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31436 208
224013
썸네일
[유갤] IMF를 기다리는 공무원.jpg
[54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36993 420
224012
썸네일
[비갤] 백시) 초고도비만인 여시 있음..?보통 얼마나먹어
[528]
ㅇㅇ(175.223) 04.17 32895 179
224004
썸네일
[디갤] 후지가 그렇게 구졌냐?
[45]
MAJIK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9124 8
224002
썸네일
[일갤] 일렉기타 배우기 3
[59]
일붕이(111.118) 04.17 10091 86
224000
썸네일
[인갤] 인터뷰) <포탈> 개발자가 한국어로 게임을 만들었다고?
[109]
필로_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18628 199
22399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삼성이 한 큰 실수
[438]
ㅇㅇ(1.218) 04.17 51764 442
223996
썸네일
[필갤] [나의여행지] 빨리 발리
[17]
통율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3831 13
223994
썸네일
[우갤] 말붕이 어제 사츠키상 직관간 이야기 (말 사진 많음)
[31]
칸다묘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5993 26
223992
썸네일
[로갤] 최신 기함의 원가는 얼마일까.araboja
[122]
수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14821 34
223990
썸네일
[인갤] 흰피톨 후기 만화
[19]
ㅇㅇ(59.9) 04.17 8619 49
223988
썸네일
[유갤] <고스트 버스터즈>신작..근황......jpg
[126]
ㅇㅇ(175.119) 04.17 17488 53
22398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전쟁의 여신 아테나
[122]
ㅇㅇ(182.221) 04.17 45536 261
223983
썸네일
[오갤] [뉴욕] 수상하게 원물이 좋았던 미들급 - Tatsuda 오마카세
[52]
뉴욕오마카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10098 30
223980
썸네일
[유갤] 집에서 영화관 분위기를 내고 싶었던 영화배우 임원희
[117]
ㅇㅇ(5.252) 04.17 19421 58
22397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찜질방 요금이 10만원이나 나온 이유
[227]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39747 360
223976
썸네일
[디갤] the glow seoul 2024
[23]
김참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6829 4
223974
썸네일
[기갤] 영수증 출연해서 소비 말리지 말라는 배우
[218]
ㅇㅇ(106.101) 04.17 37717 274
22397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김희철 가짜논란 ㄷㄷ
[7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67820 893
223970
썸네일
[기갤] 진짜 앞으로 몬기에서 절대 뭐 다시 안살듯
[327]
AAAB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30958 386
223968
썸네일
[미갤] 어느 중소기업의 일주일 식단 ㄷㄷㄷ.jpg
[4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62561 180
223964
썸네일
[싱갤] 흥부네 가족)가난하면 다둥이 낳지 좀 말아라.jpg
[642]
ㅇㅇ(1.224) 04.17 40895 649
223961
썸네일
[인갤] [언리얼] 액션 로그라이크 [WhizzWhizz] 개발 일지 06
[21]
야돈까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10035 18
223959
썸네일
[이갤] 유튜버가 생각하는 비교하는 습관
[297]
산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42989 79
223957
썸네일
[둠갤] 존 카맥이 쏘아올린 작은 공 "팔머를 더 변호하지 못한걸 후회한다.."
[70]
ㅇㅇ(210.97) 04.17 16081 85
223955
썸네일
[싱갤] 후덜덜덜 흑인 엑소시스트
[86]
뮤리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7 37319 196
223952
썸네일
[러갤] 중고나라에서 절묘한 사기 피하는 꿀팁
[150]
런갤러(210.121) 04.17 38870 642
223941
썸네일
[스갤] 빵즈민국 농촌사회 현실...
[348]
ㅇㅇ(169.150) 04.16 31268 235
223939
썸네일
[야갤] 일본에 존재하는 최면어플 개발자...JPG
[195]
포흐애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40924 439
223933
썸네일
[카연] 팝송선배 18화 서부 힙합 vs 동부 힙합 2부
[24]
사가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9461 42
223931
썸네일
[야갤] 배수관에 갇힌 악어... 6개월만에 자유의 몸.jpg
[9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26173 113
223929
썸네일
[싱갤] 약혐)싱글벙글 벌레타입 포켓몬들의 원본 생물들2.jpg
[66]
sakur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25178 96
223924
썸네일
[유갤] 일본에서 귀화 요청까지 했던 세계 최고의 옻칠 장인
[192]
ㅇㅇ(45.84) 04.16 33101 172
223922
썸네일
[도갤] 또간집 대구편에 나온 대구사람들 특징
[267]
도갤러(108.160) 04.16 25604 58
223920
썸네일
[주갤] 의느님 논문 기반 피셜) 한국 남자 평균 크기 13.41cm
[460]
ㅇㅇ(39.7) 04.16 31579 339
223918
썸네일
[야갤] 다리 길이만 134cm…세계 1위 롱다리 소녀의 고민.jpg
[2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44213 68
22391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의외로 편견인 것
[23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33363 166
223914
썸네일
[디갤] 일본 3일차- 교토...jpg
[41]
피자구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7438 29
223912
썸네일
[부갤] 영화 한편에 10만원 태워야 하는 나라.jpg
[266]
부갤러(194.99) 04.16 38956 170
223908
썸네일
[기갤] 이홍기가 말하는 일본 락 시장
[58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30300 251
22390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싱붕이 엄카오톡 모음..talk
[38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45089 592
223902
썸네일
[주갤] 앞으로 2030한남은 모든 정치권에서 개같이 무시당할거다
[3297]
한녀킬러(222.239) 04.16 59199 1437
223900
썸네일
[이갤] 뉴트리아 쓸개가 웅담만큼 좋다고 소문나서 퇴치 전문 유튜버에게 제의옴
[155]
ㅇㅇ(45.128) 04.16 24855 136
223898
썸네일
[카연] 개꿈 고백질 manhwa
[35]
김밍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6 13821 9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