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황룡사 9층 목탑 창작 (stud.io, 미니피규어 스케일)

레고전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04 13:45:02
조회 5482 추천 100 댓글 73

어느 날 문득 스튜디오로 황룡사 9층 목탑을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든 건 1월이었음

나름 대한민국에서 가장 유명한 고건축이 아닌가 싶어 작례를 찾아봤는데 의외로 몇 건 정도밖에 확인이 안 되어서, 이참에 제대로 한 번 만들어보자는 생각이 들었음

그래서 콧바람도 쐴 겸 이세를 다 만들고 나서 경주도 한 번 다녀왔음


이번 창작의 목표는 크게 2가지였는데, 어차피 스튜디오는 부품이 무한이니 만드는 김에 미니피규어 스케일로 크게 만들기 였고, 또 하나는 구조적으로 정확하게 만들기였음

비록 가상의 모델이긴 하지만 이 정도 크기와 정확한 구조까지 구현한 건 본인이 처음이 아닌가 싶음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46ef0f6bb8c3c2103fcb9e29899a5579051dbfb0cffd0c4176e167aa97fcb

사진은 황룡사지 바로 옆에 있는 경주역사문화관에 전시된 황룡사 9층 목탑 최종 복원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계획안)임

경주시는 꽤 오래 전부터 황룡사의 복원을 추진해왔는데, 유네스코의 제동으로 한 번 엎어졌다가 특별법 제정으로 다시 추진하는 대신 일단 천천히 진행해나가는 듯함

본인은 이 복원안을 기준으로 모델링을 했음


7cf3c028e2f206a26d81f6e744807d698ac8

황룡사 9층 목탑은 645년 완공된 거탑으로, 주위 9개 나라를 이겨낸다는 의미에서 9층으로 지어졌다고 전해짐

동아시아에 존재했던 수많은 목탑 중 정확한 높이 기록이 남아있는 몇 안 되는 목탑인데, 사리기 내함에 새겨진 찰주본기에 따르면 그 높이가 225척이었음

다만 이 225척이라는 높이가 창건 당시의 고려척에 의하면 81m이고, 찰주본기가 만들어진 당시의 당척에 의하면 67m 정도라 정확한 높이를 알 순 없음


7ff3c028e2f206a26d81f6e742807265b320

다만 목탑 터의 크기를 고려한 비례관계와 기록의 맥락 등을 고려하였을 때 고려척을 기준으로 계산한 81m가 더 많은 지지를 얻고 있고, 제시된 복원안 역시 81m를 기준으로 삼고 있음

모델에선 미니피규어의 키가 대략 4cm고, 사람의 평균적인 키를 170cm 정도로 두어 약 1:42 스케일로 만들어 전체 높이는 대략 2m에 이름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46ef0f6bb8c3c2207f8b8ec9998a55790519d8ff917ae170dc1b1bcf1cd1b


7ef3c028e2f206a26d81f6e64383746f45c4

황룡사 9층 목탑보다 높았다고 주장되는 거탑으로는 대표적으로 일본 도다이지 목탑과 중국의 영녕사 목탑이 있는데, 도다이지 목탑의 경우 높이가 100m에 이르렀다고 주장되나 기단 한 변 길이가 15m 정도로 황룡사 9층 목탑보다 7m나 짧아 신빙성이 떨어짐

영녕사 목탑의 경우 높이가 130m가 넘었다고 추정되며 기단 역시 한 변이 38m에 이르렀지만 완전한 자립 목구조가 아니라, 안에 흙을 채워넣었다고 함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46ef0f6bb8c3c2207f8b8ec9998d40dd118aba3359a8a0cc6e224457e3973865f38


79f3c028e2f206a26d81f6e745827c6941d4

따라서 황룡사 9층 목탑은 당대 동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목탑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높음

다만 독보적인 1위라고 말하기는 어려움

터가 북한에 있어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고구려 청암리사지의 목탑 역시 높이가 80m 이상으로 추정되고, 통일신라 시기 남원 실상사에서 황룡사 9층 목탑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기단이 발견되었음


06bcdb27eae639aa658084e54485746ef0f6bb8c3c2102f8b9ec9c99a5579051d348d8caa6da35e24b0e49269b


7fec9e36ebd518986abce8954783776b2508d4

황룡사의 복원안은 주심포 양식을 채택했음

황룡사 9층 목탑이 백제 기술자의 도움을 받아 지어졌다는 기록이 있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이자 백제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지어진 일본 호류지 5중탑은 하앙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하앙 구조도 유력한 안으로 제시되었지만 어째서인지 기각된 모양임


78f3c028e2f206a26d81f6e74688716529f2

크기가 클수록 작업량은 많아지지만 만들기는 쉽기 때문에 만드는 과정 자체는 대체로 무난했지만, 선자연과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처마선을 만드는 게 가장 어려웠음


7bf3c028e2f206a26d81f6e4448276688d06

높이가 16m 정도에 이르렀던 상륜임

상륜은 겉보기엔 고층 건물의 첨탑과 그 위에 달린 피뢰침처럼 보이지만 실제론 전혀 아님

피뢰침 자체가 18세기에 이르러서야 서구에서 발명된 물건이라, 경주 시내 독보적인 높이의 건축물이었던 황룡사 9층 목탑은 서 있는 내내 낙뢰 피해를 입었음

낙뢰로 인한 수리는 여러 번 있었고, 고려 초에는 탑이 완전히 무너져 다시 지어야 했음

이는 전근대 모든 목탑의 한계이고, 목탑이 많이 남은 일본조차 대부분은 재건한 것들임

1300년을 견뎌온 호류지 목탑이 기적 같은 경우


7af3c028e2f206a26d81f6e74380746a352d

황룡사 9층 목탑은 고려 시대 몽골군의 침입으로 완전히 불타 사라짐

이때 황룡사 전체가 불타 완전한 폐사지가 되었는데, 제아무리 불교 국가인 고려라 해도 전란으로 온 국토가 쑥대밭이 된 와중에 개경에서 한참 떨어진 지방의 거찰을 복구할 여력은 없었음


75f3c028e2f206a26d81f6e7438676642b19

다만 고려가 근성으로 목탑을 다시 지었다 해도 고려를 뒤이은 조선은 강력한 숭유억불 정책을 펼쳤기 때문에 얼마 지나지 않아 낙뢰로 다시 무너지거나 유생들이 파괴했을 가능성이 높음

고려 말 해안가에서 극성이었던 왜구 역시 큰 위협이었을 것임

고려시대만 하더라도 한국엔 수많은 목탑이 세워져 있었지만 대부분 전란이나 숭유억불 정책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석탑 정도만이 남아있는 게 현실임


74f3c028e2f206a26d81f6e44389716c3a89

스튜디오 렌더링이 생각보다 색감이 좀 어둡게 나오는 거 같음


7ced9e36ebd518986abce89547827465b08dfe

황룡사 9층 목탑은 누각 형식이었기 때문에 이렇게 꼭대기 층으로 올라가 외부 발코니에서 밖을 내려다보는 게 가능했음


7cec9e36ebd518986abce89544837265e3505a

처음 만들 때는 1층이랑 2층 만들 땐 고생 좀 하고, 어차피 그 위는 아래층에서 만들어놨던 공포, 창살, 문, 처마, 지붕을 그대로 재활용하면 되니 얼마 안 걸릴 거라고 생각했는데 탑이 위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다보니 생각보다 바꿔야 할 게 많아 시간 절약이 크진 않았음


7cef9e36ebd518986abce8954783756fc92dbb


7cee9e36ebd518986abce8954481716acd202f

모델링하면서 서까래와 부연 끝에 금색 크롬 부품을 꽂아놨는데, 조선시대에나 유교의 영향으로 장식을 절제했던 거지 화려한 불교 문화가 꽃피운 신라에선 일일이 금동 장식을 꽂았음

이는 동궁과 월지 출토 유물에서 명확히 확인됐는데, 신라 시대 유적 실물 복원에 전혀 반영이 되지 않기 일쑤임

일본 건물 같다면서 고증상 맞는 주칠 단청이 아닌 천편일률적인 조선식 상록하단 단청을 칠하는 것과 함께 가장 큰 비판점임


7ce99e36ebd518986abce8954485706fdb60ea

구조적으로는 실물 복원했을 때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일단 사용 부품 수가 198752개에 이르고 실제로 구할 수 없는 색의 부품도 대량으로 사용했기에 실물 복원은 불가능함

본인도 처음엔 아무리 많아야 한 5만 개 쓰이겠지 했는데 내부 구조 다 만들고 하다 보니 부품 수가 말 그대로 치솟았음


7ce89e36ebd518986abce895478670687b0cc7

기단

기단 초석은 위에만 다듬었을뿐 옆면은 거친 그대로 썼다는 점을 반영해 초석 모양을 다 똑같게 만들지 않았음

다만 심주와 그 주위 16개 초석은 보이지 않는 부분이라 초석을 표현하지 않았음


7fed9e36ebd518986abce89547827c6cdc6d3f

모델링을 할 때에는 이렇게 한 층씩 나눠서 만든 다음, 최종적으로 합치는 방식을 사용했음


7ceb9e36ebd518986abce89544847d6ec63c0b

다만 일반적인 인식과 다르게 실제로 구조적인 한 층은 위 사진과 같음

황룡사 9층 목탑은 적층식 구조를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됨

일반적으로 1층의 기둥이 꼭대기까지 연결되어 있고, 가장 가운데 기둥인 심주가 가장 구조적으로 중요할 것이라 생각하기가 쉬움

하지만 한 층씩 끊어서 단단한 구조체를 만들고, 그것을 차곡차곡 쌓아올리는 것이 더 안정적이라고 함

또한 심주는 맨 꼭대기 상륜만을 지지할 뿐, 그 외의 구조적 역할은 하지 않음


7cea9e36ebd518986abce8954484716c1c554e

여기에 창살과 문, 기와와 부연 등을 제거하면 위와 같은 모습이 됨

저 빽빽한 격자 위에 납작한 격자판을 올리고, 그 위에 윗층 기둥을 꽂아넣음으로써 다음 층이 만들어지게 됨


7ce59e36ebd518986abce8954388746f3179b8

해체하면 위와 같음

층의 바닥은 생략함

가장 아래 격자판 위로 기둥이 서 있고, 그 기둥이 다시 2개 격자판으로 연결됨

그 위로 공포가 올라가고, 빽빽한 격자판이 다시 한 번 층을 단단히 결속함

옆으로 빼놓은 커다란 판은 요즘 건물의 천장 마감재라 할 수 있는 개판으로 공포 위에 올라가 격자 구조를 가림


7ce49e36ebd518986abce8954482706f16a02f

원래 계획은 이 9층 목탑을 시작으로 중금당, 동, 서금당, 강당, 회랑, 종루, 경루, 중문까지 해서 황룡사 메인 가람을 만들어보는 것이었음

그런데 이 스튜디오라는 게 참 할 말은 많은데 진짜 사람 열받게 한 적이 많아서 실제로 할진 모르겠음




출처: 레고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100

고정닉 23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24881
썸네일
[싱갤] 의외로 아직도 현역인 전차.........jpg
[3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52043 251
224880
썸네일
[이갤] 성인페스티벌 남녀차별 논란 오세훈 서울시장 해명영상 내용...jpg
[1586]
ㅇㅇ(211.223) 04.20 41045 859
22487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국의 시골 인심 수준
[556]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58453 773
224876
썸네일
[기갤] 성격이 너무 좋아서 시청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인 출연자
[334]
긷갤러(45.84) 04.20 49108 114
224875
썸네일
[월갤] 워쉽 7티어 씹사기 배 벨파스트 제작해봄
[50]
도색빌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9118 58
22487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특이점이 온 동물 피규어 지구촌..jpg
[153]
ㅇㅇ(61.82) 04.20 36954 380
224871
썸네일
[러갤] 트럼프를 위해 분신자살도 하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356]
러갤러(124.56) 04.20 35742 96
224870
썸네일
[세갤] 제주도 슈퍼루키세린이 성장기
[48]
팍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0338 25
224866
썸네일
[중갤] 폴아웃 드라마 알고 보면 재밌는 부분들..JPG
[231]
홍지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4566 149
22486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배트남전이 끝난 직후 미국에서 150만개나 팔린 애완돌
[131]
캐논변주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7667 96
224863
썸네일
[부갤] 요즘 조직폭력배 다구리 수준 ㄷㄷㄷ
[643]
ㅇㅇ(110.10) 04.20 49658 582
224861
썸네일
[미갤] 한국 중화식당에서 만두를 팔수 없는 이유
[36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6531 415
224859
썸네일
[야갤] 어머니가 사형당할때 자식들이 한 일
[340]
ㅇㅇ(106.101) 04.20 41122 242
224857
썸네일
[싱갤] 세계 주요 국가들의 슬로건
[159]
ㅇㅇ(110.70) 04.20 23248 53
224855
썸네일
[필갤] 드디어 닉값 안합니다
[31]
사진찍을시간없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2559 22
224853
썸네일
[이갤] 여행 온 김에 주한 이탈리아 대사와 만나 일 얘기하는 이탈리아 시장들
[49]
ㅇㅇ(91.207) 04.20 16418 75
224851
썸네일
[무갤] 자고 일어나면 '공포'...돌아돌아 찾아온 차주들
[192]
ㅇㅇ(118.235) 04.20 27377 41
224849
썸네일
[육갤] 탈영병 잡으러 다니는 DP
[163]
육갤러(45.67) 04.20 28612 154
22484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내부 대격변중이라는 마블
[32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4993 759
224843
썸네일
[싱갤] 노무현을 엄청 당황하게했던 판결.jpg
[1350]
수류탄이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68444 966
224842
썸네일
[고갤] 흔한 열도의 여중생
[634]
ㅇㅇ(185.114) 04.20 64857 470
224839
썸네일
[M갤] 이정후 현지에서 만족하는 이유.jpg
[240]
ㅇㅇ(124.58) 04.20 44196 256
22483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최근 전역한 씹존예 이스라엘 여군 누나..jpgif
[38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57997 262
224831
썸네일
[서갤] 나도 사진 자랑이나 해볼까
[67]
로미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8337 37
224826
썸네일
[그갤] 움짤있음) 4월 3주간 그림 정산
[42]
원딸라기브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5718 51
224824
썸네일
[야갤] 요즘 많이 과감해진 누나들 ㅗㅜㅑ
[757]
ㅇㅇ(211.36) 04.20 119116 944
224822
썸네일
[싱갤] 단톡방에서 하는 1:1 개인 리딩
[314]
ㅇㅇ(220.120) 04.20 45348 142
224819
썸네일
[야갤] 14층 창문 밖 위태로운 여성의 결말...JPG
[319]
포흐애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8824 463
224817
썸네일
[야갤] 일본남녀가 바람을 많이 피는 이유.jpg
[1221]
야갤러(223.39) 04.20 81911 648
224812
썸네일
[멍갤] 일주일동안 개사료만 먹은 유튜버
[233]
ㅇㅇ(45.128) 04.20 43131 426
224810
썸네일
[전갤] 관찰 예능 전성시대, 요즘 다시 주목 받는 추억의 ‘체험 예능‘
[170]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31888 258
22480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사진과 함께보는 한국의 합계출산율
[257]
일리아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3334 232
224803
썸네일
[이갤] 지역별 대표 국밥 서열
[498]
슈붕이(45.12) 04.19 32941 59
224801
썸네일
[중갤] 게임 업계에 최악의 선례를 만든 유비소프트 근황..JPG
[561]
홍지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54981 481
224799
썸네일
[기갤] 팬의 남자친구를 만난 연예인
[112]
ㅇㅇ(106.101) 04.19 32031 114
22479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개같은ㄴ.manhwa
[26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35795 501
224794
썸네일
[야갤] 안죽고 살아있는게 신기한 유튜버
[283]
ㅇㅇ(106.101) 04.19 46744 305
224792
썸네일
[이갤] 현아 용준형 연애 썰 기사 + 여초 반응
[146]
ㅇㅇ(146.70) 04.19 28186 54
224790
썸네일
[로갤] [일반] 후쿠오카~오사카 자전거 여행기 7.시마노 자전거박물관~오사카대학
[22]
비엠씨스프린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8382 19
224784
썸네일
[만갤] 스압) 유투버가 분석한 원피스 검은수염 정체.jpg
[378]
만갤러(89.40) 04.19 39194 292
224782
썸네일
[주갤] 남페미 위근우의 av 페스티벌에 대한 생각과 여시 아줌마들의 반응
[513]
ㅇㅇ(45.92) 04.19 28646 283
224780
썸네일
[싱갤] 중년맘 커뮤에서 생각하는 이대남
[750]
ㅇㅇ(1.225) 04.19 44482 274
224778
썸네일
[새갤] 순수 재미 GOAT 영국 보수 강경파 정치인 “제이콥 리스모그”
[139]
천하람의햄버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2609 199
224776
썸네일
[배갤] 내멋대로 몽골여행기 2
[25]
Kell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10469 21
224774
썸네일
[안갤] 안철수가 1월에 경고했던 부동산PF 위기론...jpg
[289]
사피엔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28804 283
224772
썸네일
[L갤] 자취 15년째라는 안재현.jpg
[151]
L갤러(146.70) 04.19 35453 145
22477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누나 귀신.manhwa
[166]
쪼꼼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33528 227
224764
썸네일
[일갤] 240414 후타츠보시4047
[18]
Reis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19 8828 11
224762
썸네일
[싱갤] 흥미로운 인류사의 건축 유적지들....jpg
[180]
ㅇㅇ(1.227) 04.19 26000 114
224760
썸네일
[무갤] '대학살'의 희생양...두들겨 맞는 한국
[259]
ㅇㅇ(118.235) 04.19 36225 13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