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멸망해버린 국내 과학계 근황앱에서 작성

시시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3.04 16:30:01
조회 57152 추천 474 댓글 1,695

- 관련게시물 : 싱글벙글 R&D예산.jpg



- 관련게시물 : 윤석열 R&D 삭감 근황...jpg


7eef8576e0d66ea73be686e74fd26a2ad0dd0bc94a189ef8ba1557f6f002




"늦었어요. 망했습니다. 복구하는 데 20~30년은 걸릴 겁니다."

카이스트에서 물리천문학을 전공한 후 기초과학자로 일하고 있는 박찬(40) 연구원이 연신 고개를 가로저으며 말했다. 정부와 국회가 올해 R&D(연구개발) 예산을 전년 대비 4조 원 넘게 깎은 여파가 결코 가볍지 않을 것이라는 게 그의 전망이었다. 

'정부가 내년엔 삭감된 예산을 원상복구 시켜주겠다고 한다'는 기자의 말에도 "기초과학의 한 세대가 이미 포기하거나 해외로 나가거나 다른 길을 가고 있다. 중간 세대가 붕괴해 그다음 세대를 키울 사람이 없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박 연구원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원에서 중력파를 관측해 중성자 배열이나 블랙홀의 내부 구조 등을 추론·검증하는 연구를 해왔다. 10여 년을 과학자로 일하는 동안 국내 밖으로 눈을 돌린 적은 없었다.

그러나 그는 올 7월께부터 중국 국책기관에서 일하기로 했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의 'R&D 카르텔' 발언과 R&D 예산 삭감의 여파가 그에게도 들이닥쳤기 때문이다. 박 연구원은 다니던 곳에서 돌연 '계약이 어려울 것 같다'는 통보를 받고 지난해 12월 계약이 종료됐다. 국내엔 일자리가 없어 해외 100여 곳에 이력서를 낸 끝에 중국행을 결정했다.

박 연구원은 "찬밥 더운밥 가릴 처지가 안 되니까 가기로 한 것"이라며 "(정부가 해당 분야에) 관심이 없고, 어느 분야가 트렌드이고 대세인지 모르며, 키울 생각도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기초과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사람을 키우는 게 필요하다"며 "임금을 많이 달라는 게 아니다. 의지와 열정만 꺾지 말라"고 강조했다.

아래는 지난 2월 29일 그와 나눈 주요 일문일답이다.

"지난해 12월 계약 만료 통보...7월부터 중국 국책기관에서 일해"
     
- 물리천문학에서 주로 어떤 분야를 연구하나?

"물리천문학은 중력 법칙이나 뉴턴의 법칙 등을 적용해 천체 현상을 예측해 내는 학문이다. 물리에 방점을 둔 천문학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우주를 연구하는 분야를 크게 근거리 우주와 심우주로 구분하는데, 제가 하는 물리학은 심우주보다 더 먼 우주다. 블랙홀이라든가 중성자별 같은 것들을 연구하는데 이런 별들은 지구 근처에 있지 않다. 보통 달이나 지구 주변은 근거리, 심우주는 태양계 안에 있는 우주를 얘기한다. 저는 거리와 무관하게 매우 밀도가 높은 고중력 천체나 아주 무거운 별들을 다룬다."

- 그동안 어떤 공부를 해왔나?

"어렸을 때부터 과학 소년이었다. 과학잡지를 보고 과학 경시대회 나갔다. 카이스트에서 물리학을 공부하다가 대학원 때 세부 전공으로 우주론을 선택해 연구했다. 더 세분화하자면 우주론 중 수치 상대론 분야다.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을 적용해 천체를 연구하다 보니 컴퓨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한다. 수치 상대론 분야로 박사학위 받았고 주로 중력파와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다."

- 그동안 어디서 일해왔나?

"많은 기관을 돌아다녔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서울대학교 관련 기관, 국가수리과학연구소, 기초과학연구원에서 일했다. 지금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원에서 잠깐 일하고 있다. 모두 합하면 8년 가까이 된다."
     
- 왜 이렇게 옮겨 다니나?

"비정규직이기 때문이다. 정규직 자리가 없어서 '포닥'(postdoc, 박사 후 연구원, 대학이나 학술 전문 연구기관에서 박사 취득 후 특정한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으로 일하고 있다. 포닥은 다양한 연구 경험을 통해 전문성을 더욱 향상하기 위한 제도다. 하지만 연구 현장에서는 잡일 처리를 맡기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불확실한 미래에 직면해 있다. 주로 1년 또는 2년 계약, 2년+1년 계약이고 계약이 끝나면 다른 곳으로 옮겨 다닌다."

- 천체물리 분야를 기준으로 비정규직인 '포닥'으로 일하는 연구원은 얼마나 되나?

"천체물리학을 하는 사람은 우리나라에서 모두 30명 정도다. 이 중 절반 이상인 20명 정도가 비정규직(포닥)으로 일한다. 크게 기초과학과 응용과학기술 분야로 나눠 설명하면, 응용과학 기술 분야는 기업체 등 갈 곳이 상대적으로 많은데 기초과학 분야는 갈 곳이 거의 없다."
 
0002424275_002_20240304143701145.JPG?type=w647

 
- 최근 정부가 연구개발 예산을 전년 대비 14.7% 삭감해 논란이 일었다. 중장기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다고 보나?

"기초과학 분야에 한정해 말씀드리면 중장기를 생각할 필요도 없다. 당장 기초과학이 괴멸된다. 멸종된다."

- 왜 그런가?

"기초과학의 한 세대가 그냥 다 사라져 버리기 때문이다. 현 상황으로 설명드리자면, 예산삭감으로 일자리가 사라졌다. 지금 제 나이 때 기초과학을 하는 사람에게 두 가지 선택지가 있다. 하나는 이 분야를 포기하는 길이다. 다른 하나는 해외로 나가는 거다. 두 경우 모두 국내에는 기초과학을 하는 젊은 사람들은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이 일이 현재 벌어지고 있다.

몇 년 후 예산을 늘리면 되지 않냐고 하겠지만 지금 기초과학 분야를 떠나면 당장 다음 후배를 키울 사람들이 없게 된다. 몇 년 공백이 20~30년의 격차를 만들어낸다. 중장기가 아닌 당장 기초과학 분야 한 세대가 사라지게 되는 거다."

"돈 되는 분야만 지원하겠다는 식... 기초과학 안중에 없다"

- 박 연구원의 경우 예산 삭감에도 연구 활동을 계속하고 있지 않나.

"지난해 12월, 8개월 만에 계약이 종료됐다. 예년 같으면 연장계약을 했을 텐데 안 됐다. 실제 통보는 지난해 가을쯤 받았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6월 국가재정전략회의에서 R&D 카르텔을 언급했다. 그러자 작년 가을께 '연장 계약이 어려울 것 같다'는 사전 통보를 받았다. 이후 '안 된다'고 했고, 결국 계약이 종료됐다. 지금은 잠깐 단기 8개월짜리 일을 하고 있다."

- 다른 연구기관을 찾아봤는데 잘 안 된 건가?

"지난해 가을부터 다른 연구기관에 이력서를 냈다. 어차피 기초과학 연구 분야는 정부예산에 의존하다 보니 예산을 삭감하면 국내 대학이든 연구소든 할 것 없이 갈 곳이 없다. 결국 선택지는 다른 분야를 연구하거나, 이 일을 계속하려면 해외밖에 없다. 저는 국내 연구기관에서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 해외에 이력서를 냈다."

- 이력서는 몇 군데나 냈나?

"나라를 가리지 않고 미국, 유럽 등 전 세계에 이력서를 냈는데 100곳이 넘는다. 이 중 두 곳(호주, 중국)과 면접을 봤는데 다행히 지난 1월에 한 곳과 계약이 성사됐다. 중국이다. 어떤 장기적 계획을 세워 다른 나라로 가는 게 아니라 상황에 내몰려 할 수 없이 가게 되다 보니 다행이지만 좋아할 일도 아닌 상황이다."

- 일자리가 생기지 않아 마음고생이 심했을 것 같다.

"말로 표현할 수 없다"

- 다른 비정규직 동료 연구원들의 사정은 어떤가?

"다들 비슷하다. 돌아가는 상황이 모두 같으니, 답이 없지 않나."
     
- 중국 연구기관에는 언제부터 일하게 되나?

"정확하지는 않은데 7월쯤으로 보고 있다. 계약기간이 3년+3년으로 한국과 비교하면 파격적이다."

-중국에서는 어떤 연구를 제안받았나?

"중력파 연구를 제안받았다. 마침 중국에서 새로운 중력파 연구소가 설립될 예정이라 자리가 나온 거다. 물론 국립이다. 제가 알기론 중국은 중력파 연구에 대한 양적 팽창이 어마어마하게 커지고 있다. 사실 중국에서 사람을 뽑는다는 이야기는 약 5년 전부터 들었는데 그동안에는 갈 생각이 전혀 없었다. 하지만 지금은 찬밥 더운밥 가릴 처지가 안 되니까 가기로 했다."

- 중국은 공격적으로 연구 인력을 키우는데 우리 정부는 왜 거꾸로 가고 있다고 보나?

"중력파는 상대적으로 천문학의 새로운 연구 분야다. 그동안 빛을 이용한 천문학을 연구해왔고, 중력파를 이용한 천문학 연구를 한 지는 얼마 안 된다. 그렇지만 트렌드가 중력파로 바뀌고 있다. 국내만 늦다. 국내 중력파 연구자가 다 합쳐봤자 10명 남짓이다.

일단 관심이 없고 어느 분야가 트렌드이고 대세인지 모르며, 키울 생각도 없다. 그러니 거꾸로 갈 수밖에 없지 않겠나. 연구개발 분야 예산을 줄이면서 각 학회에 12대 국가전략기술에 맞추어 키워드를 제출하라고 했는데, 그러니까 돈 되는 분야만 지원하겠다는 식이 됐다. 기초과학 분야는 아예 안중에 없는 거다."

"국가가 기초과학자들 포기 안 한다는 믿음 줘야"
     
0002424275_003_20240304143701196.jpg?type=w647


 
- 기초과학 분야를 튼튼히 하려면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나?

"기초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많은 사람을 키우는 게 필요하다. 돈 되는 곳에만 투자하지 말고 골고루 사람을 키우는 일에 집중해야 한다. 이론 물리학을 놓고 얘기하자면 돈이 정말 안 들어간다. 실험을 안 하니 그냥 임금만 주면 된다. 가성비 좋은 학문 아닌가. 기초과학자가 연구를 하는 주된 동기는 돈이 아니고 재미고 열정이다. 이렇게만 해도 기초과학은 최소한의 현상 유지가 가능하다. 임금을 많이 달라는 게 아니다. 의지와 열정만 꺾지 말라는 얘기다."

- 지금이라도 관련 예산을 살리면 되지 않겠나. 정부도 내년엔 삭감된 예산을 원상복구 시켜주겠다고 한다.

"제가 봤을 때는 늦었다. 망했다. 이미 기초과학의 한 세대가 벌써 다른 길을 가고 있다. 포기하거나 해외로 나가거나. 중간 세대 붕괴하고 그다음 세대 키울 사람 없고, 예산 빠르게 살려 봤자 정상화하는 데 한 20~30년은 걸릴 거다.

저를 예로 들면, 일단 가족들과 해외에 나가면 3년 + 3년으로 6년은 있어야 한다. 한번 해외로 나가게 되면 자녀 교육 문제 등으로 또 돌아오는 게 문제가 될 거다. 들어온다고 국내에 갑자기 급격하게 자리가 생기는 것도 아니고 그런 보장도 없지 않겠나."

 -기초과학 분야에서 일해오면서 '계속 해야 하나' 회의하고 흔들릴 때는 없었나?

"계약 끝날 때마다 고민했다. 비정규직으로 어디나 평균 2년 계약이기 때문에 일 년 적응하고 일 년은 이직 준비하고 하다 보니 연속해 제대로 된 연구가 잘 안 된다. 연구소가 바뀔 때마다 연구 주제도 좀 바뀌고, 연구 외에 연구소의 다른 일도 해야 하고...

그러다 보니 어떤 계획을 하고 움직여본 적이 없다. 출근해서 낮에는 연구소 일하고 밤에 퇴근해 제 연구를 했던 적도 많다. 2년짜리 비정규직이지만 계약이 끝나더라도 국가가 기초과학자들을 포기하지 않고 책임져 준다는 믿음을 주기를 바랄 뿐이다."


이 분은 예산 삭감으로 잘리고  

전세계 100여군데 이력서 넣다  

3년+3년 계약 제안한 중국 국책기관에 들어가게 됐다고  


그리고 누리호 핵심은 일본 JAXA 들어가서 안 그래도 우리보다 앞선 일본 우주기술
더 발전시킬 예정



애국심으로 싸게 연구하던 과학자들 잘라서 외국 보내버렸으니...
다음에 기초과학연구 복구하려면 기존 예산 복구 수준으로는 어림도 없고
진짜 R&D 예산 파격적으로 늘려서 외국 과학자들도 돈보고 한국 올 정도는 되야 복구 가능할듯 ㅠㅠ

- dc official App



출처: 더불어민주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474

고정닉 105

1,18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2500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취두부 튀김 먹는 맛있는 녀석들.jpg
[186]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3938 95
225001
썸네일
[디갤]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62]
otoh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9219 38
225000
썸네일
[이갤] 중국이 중진국 함정 확정인 이유...jpg
[7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1888 464
224998
썸네일
[싱갤] 110년 전 남자들의 책임감과 기사도 정신...jpg
[532]
ㅇㅇ(115.92) 04.20 35108 115
224996
썸네일
[부갤] 한국은 이미 악순환이 시작됐다. 서울에 전부 다 있어서 출산율이 떨어지는
[810]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7143 220
224995
썸네일
[카연] 지방발령 히어로!!! 18
[20]
준한준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2269 50
224993
썸네일
[싱갤] 꼴릿꼴릿 본인작품을 리뷰하는 av배우 jpg
[202]
ㅇㅇ(211.235) 04.20 75580 141
224990
썸네일
[주갤] [블라] 국결하려는 알파남에게 발악하는 블줌마들.jpg
[800]
주갤러(211.220) 04.20 44855 1003
224988
썸네일
[유갤] 잘만든 아시아..MCU(마블)...슈퍼히어로....jpg
[154]
ㅇㅇ(175.119) 04.20 21749 53
224986
썸네일
[중갤] 총선결과 여소야대에 정신이 나가버린 전한길
[1008]
축리웹염탐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7445 1209
2249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본인 데뷔곡을 싫어했던 아이돌 밴드맨..jpg
[1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0991 34
224983
썸네일
[기갤] 미국인과 상성이 안 좋다는 핀란드인
[39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0681 378
224981
썸네일
[야갤] 허경영 성추행 사건 근황 ..jpg
[192]
야갤러(119.193) 04.20 44709 394
224980
썸네일
[도갤] 순천이 전봇대 수백 개를 뽑아버린 이유
[496]
ㅇㅇ(106.101) 04.20 36676 451
22497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곡성 아역배우 김환희 근황
[31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9067 151
224976
썸네일
[필갤] [나의여행지] -40 ℃
[1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7780 53
224975
썸네일
[무갤] 관세 피하는 '쪼개기 직구'에 중소기업은 '휘청
[798]
쌍쌍ba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8023 115
224971
썸네일
[싱갤] 내게 사기친 사기꾼 2년 6개월 선고받았네
[223]
ㅇㅇ(183.107) 04.20 60118 335
224970
썸네일
[알갤] 일론머스크도 한국여성 좋아하네
[8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51103 791
224968
썸네일
[주갤] "폰허브에 내 영상 돌아다니면 한국에서 호구 한남 못잡는단 말야"
[1340]
36살아기(122.202) 04.20 89904 1260
224967
썸네일
[카연] 전쟁 순애 감동 로맨스 만화
[125]
전기톱장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0967 346
224965
썸네일
[미갤] 일본 시골 여행중 한국인 쾌남을 만난 유튜버
[37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0182 361
224963
썸네일
[일갤] 에피폰의 창립 고향에 가보다 *스압
[36]
기상캐스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1766 29
224961
썸네일
[무갤] 중동 위기 최고조 '불안'...세계 경제 심각한 타격 예고
[132]
ㅇㅇ(118.43) 04.20 21703 47
224960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패륜이지만 존속 살해는 아니었던 사건
[386]
권유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1393 570
224958
썸네일
[해갤] ■이강인, 대한민국에서 받아온 대우...jpg■
[700]
ㅇㅇ(118.235) 04.20 46878 1255
224955
썸네일
[새갤] 정성글) 당신이 보는 건 진짜인가요? <가스등>
[5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8640 112
224953
썸네일
[싱갤] 신기신기 한국의 특급 주술사 해외로 진출
[766]
ㅇㅇ(210.91) 04.20 59485 697
224951
썸네일
[부갤] 국가 주도의 납치, 노예노동의 역사 서산개척단 ㄷㄷㄷ
[317]
부갤러(61.82) 04.20 22207 193
224950
썸네일
[싱갤] 키득키득 오세훈 성인페스티벌 해명 근황 (+댓글반응)
[1167]
사데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0021 865
224948
썸네일
[중갤] 유명한 책들의 첫 도입부.jpg
[261]
ㅇㅇ(110.12) 04.20 37103 85
22494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김희철이 여친이랑 헤어진이유.jpg
[776]
딸근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68132 678
224943
썸네일
[카연] 여자아이 봉득칠과 피씨방.manhwa
[84]
냐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8732 164
224941
썸네일
[스갤] 이세돌 kbs나왔다던데?
[592]
ㅇㅇ(211.36) 04.20 53936 374
22494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사실 시각장애인 80~90퍼센트는 앞이 보인다고 함
[319]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45152 224
224938
썸네일
[커갤] 대충격 북유럽 카페 서울지점 철수결정.
[404]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8992 293
224936
썸네일
[수갤] 해외 수인계 소식 - 퍼리 때문에 중학생들이 집단 시위한 사건
[164]
Furr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4464 120
224935
썸네일
[이갤] 텃세에 사기까지…귀농청년 울리는 농촌
[5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26770 440
224933
썸네일
[싱갤] 실망실망…인터넷에 부모님 조롱글 올린게 남편이었다
[846]
고추안서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6834 149
224931
썸네일
[디갤] 튤립, 스트릿 그리고 게이밍 왜가리 사진 (14장)
[35]
do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0391 27
224930
썸네일
[주갤] 유튭)오늘자 한녀 본심,스탑럴커
[1120]
주갤러(122.47) 04.20 51229 1249
224928
썸네일
[무갤] "역대급 미세먼지 올 수도"...심상치 않은 韓 하늘
[563]
ㅇㅇ(118.235) 04.20 34681 270
22492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요즘 여성들이 엄마에게 효도하는 방법
[518]
ㅇㅇ(211.235) 04.20 56023 667
224925
썸네일
[카연] 연재)당당한 남 17 김기석.1화.MANHWA
[47]
은성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3402 100
224923
썸네일
[야갤] 윤카 vs 윤두창 현황ㅋㅋㅋㅋㅋㅋㅋ
[507]
ㅇㅇ(119.197) 04.20 36171 556
224920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걸그룹 출신 BJ를 납치하고 감금한 매니저
[458]
캐논변주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58145 232
224918
썸네일
[F갤] 마누엘 노이어 유니폼 3장 올려봅니다
[77]
장원영이글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13667 43
224916
썸네일
[주갤] 여시) 계곡살인 이은혜 옹호하는 폐미들 jpg
[486]
주갤러(211.51) 04.20 29580 526
224915
썸네일
[야갤] 디시인들을 위한 러시아여자와 데이트할때 팁
[377]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9066 277
22491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베어그릴스 촬영팀
[116]
직무매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0 32485 20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