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라벨드링킹] 에스테르하지와 황금양모기사단

와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09 21:55:01
조회 8898 추천 24 댓글 60

[라벨드링킹] 에스테르하지와 황금양모기사단


7dec9e2cf5d518986abce89542857264d3e1


간만에 돌아온 [라벨드링킹]입니다. 이 시리즈는 ‘라벨’에 대한 썰일 뿐 와인자체를 추천하는 것은 아니고, 특히 이 에스토라스 브뤼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비엔나에 살 때 이 집의 스틸 화이트와 레드 상위퀴베들은 종종 맛있게 마셨어서 좋아하는 집인데… 국내에서 이 집 레드와 화이트 상위뀌베들 살 수 있는 곳 아시면 알려주세요 ^^;;;)


7def9e36ebd518986abce8954282766bca0331


에스테르하지 (에스터하지, Esterházy) 가문

와인 라벨과 와이너리에 대해 소개하기 전에 먼저 이 와이너리를 소유한 에스테르하지 가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에스테르하지 가문은 헝가리쪽 귀족가문이었는데 오스트리아/합스부르크 왕가에 충성을 다했던 가문입니다. 에스테르하지 가문이 합스부르크 왕가 편에 큰 공을 세운 것은 30년 전쟁 때였습니다. 헝가리 왕이자 트란실바니아 공작이자 오플레 대공이었던 베틀렌 가보르 (Bethlen Gabor, ‘대립왕’이라고도 불리며 지금 헝가리 2000포린트 지폐에 실린 헝가리의 영웅)가 30년 전쟁 초기인 1620년 오스트리아를 공격했을 때 Nikolaus Esterházy 백작이 Lackenbach에서 헝가리군을 물리쳤고, 그 공적으로 신성로마제국 황제 페르디난드 2세로부터 1622년 지금의 아이젠슈타트 (Eisenstadt)를 영지로 받게됩니다. 그 후로 아이젠슈타트는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중심이 되었죠. 1628년에는 합스부르크 왕조 최고 훈장인 “황금양모기사단”에 배속되고 18세기에는 Nikolaus Josef Esterházy가 오스트리아 왕위계승전쟁, 7년 전쟁 등에서 엄청난 전공을 세워 1770년에는 야전군 원수까지 승진했습니다. 에스테르하지 가문은 슬로바키아, 헝가리쪽 영지도 많아 합스부르크 제국에서 가장 넓은 영지를 보유하고 있었고, 한 때는 황제보다 수입이 더 많았다고 ㄷㄷㄷㄷ 1차 세계대전에서 패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역사에서 사라지고 66000 헥타르의 영지 중 일부만 오스트리아 공화국에 합병되고 아직도 55000헥타르는 에스테르하지 가문에 속해있다고 합니다…


7dee9e36ebd518986abce89542847065d083ed

역덕들 외에 에스테르하지 가문을 아는 분들은 클덕들일 것 같습니다. 요제프 하이든은 29살이던 1761년 에스테르하지 궁정악단의 부악장으로 들어가서 1766년부터 1790년까지 카펠마이스터로 지내면서 교향곡 85곡, 현악사중주 36곡, 피아노소나타 17곡, 미사 5곡, 오페라 15편 등을 작곡했고, 궁정악단이 해체되는 1790년에 연금을 거하게 받고 빈으로 이주하여 네임드 작곡가로 살아갔습니다.


7de99e2cf5d518986abce8954780776571

아… 달달이 좋아하시는 분들은 에스테르하지 토르테를 아시겠네요 ^^;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거점인 아이젠슈타트는 비엔나에서 1시간 정도 거리에 있는 노이지들러 호수 주변에 있는 인구 1만 5천명 정도의 작은 도시이지만 오스트리아 가장 동쪽에 있는 주인 Burgenland 주의 주도입니다;;; 와갤러들 중 오스트리아 와인 좀 드시는 분들은 부르겐란트 와인을 아실텐데 그 지역이고, 한국분들이 비엔나 여행 오시면 꼭 가시는 명품 아웃렛 판도르프가 근처에 있습니다. 와갤에 클덕분들이 좀 있는 것으로 아는데… 2022년 발매된 소콜로프의 하이든, 슈베르트 리사이틀 음반이 바로 에스테르하지 궁전에서 2018년 있었던 실황녹음입니다.


7de89e2cf5d518986abce8954386716ad536


저는 비엔나에 살 때 에스테르하지 궁전에서 좋은 연주회가 있을 때 공연도 볼 겸 바람도 쐴 겸 당일치기로 종종 다녀왔었는데요… 당시 찍은 사진들 몇 장 공유합니다. 


7deb9e2cf5d518986abce8954787706a62d66b


7dea9e2cf5d518986abce8954785706af2d893

한적한 Eisenstadt 거리


7de59e2cf5d518986abce8954483716f3fee91

7de49e2cf5d518986abce8954484756938c8cd

공원


7ced9e2cf5d518986abce8954780706ecc54ef

7cec9e2cf5d518986abce89547817364abba92

공연 전에 먹고 마셨던 슈니첼과 맥주


7cef9e2cf5d518986abce8954784776af7732c

7cee9e2cf5d518986abce8954483716bcbf8db

에스테르하지 궁전 외부와 중정


7ce99e2cf5d518986abce8954484756e854a4b

궁전에 있는 공연장


7ce89e2cf5d518986abce8954e85746a4653

7ceb9e2cf5d518986abce89547837d6965ee98

7cea9e2cf5d518986abce8954481776bb92a67

이 때는 2018년 르네 야콥스가 프라이부르크 바로크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모차르트 피가로의 결혼을 콘체르탄테형식으로 연주했을 때였네요. (임선혜씨도 출연!)


나름 이때 저에게 의미있었던 것이 당시 딸아이가 어려서 공연장에 들어갈 수 없어 티켓 하나만 사서 1부는 아내가 듣고 2부는 제가 들었는데… 1부 공연할 때 중정에서 기다리는데… 공연장의 소리가 중정에 울려퍼지더라고요… “아… 하이든 때 궁전에서 일하던 하인들도 이렇게 음악을 들었겠구나…” 하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ㅋㅋㅋㅋ



7ce49e36ebd518986abce8954784716d6352


에스테르하지 와이너리 (Weingut Esterházy)

에스테르하지 가문은 아이젠슈타트에 정작했던 17세기부터 그들의 영지에서 와인을 만들었는데 1758년에 부르고뉴 출신의 Monsieur LeBon이라는 사람이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셀러마스터로 일하게 되면서 공식적인 cellar books이 만들어졌기 때문에 1758년을 공식적인 와이너리의 시작으로 보는 것 같습니다. Monsieur LeBon은 부르고뉴에서 오스트리아로 올 때 피노누아를 가지고 와서 오스트리아에 피노누아가 처음 자라게 되었고, 이 때부터 품종별로 따로 양조를 하게 되었다네요. 18세기에 이미 에스테르하지 가문의 와인은 보헤미아, 모라비아, 폴란드쪽으로 수출될 정도로 유명했답니다. 지금은 90헥타르의 포도밭을 경작하고 있는데 레드가 2/3 화이트가 1/3정도이고 레드 중에서는 블라우프랭키쉬, 화이트 중에서는 샤르도네를 가장 많이 키우고, 연간 생산량은 약 75만병 정도라네요. 홈페이지에 나온 라인업은 다음과 같고 각 라인에 품종별로 여러 와인을 만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 글의 주인공인 ESTORAS는 가장 저렴한 레지오날 등급인 Gebietswein 등급으로 10~12유로 선에 현지에서 팝니다.

7fed9e36ebd518986abce89545837d6947bf

유럽은 로마자 알파벳을 사용하지만 각 나라에서만 쓰는 확장된 문자들도 많아서 같은 고유명사도 나라마다 표기가 종종 다른데, 와인 라벨에 사용된 Estoras는 Esterházy의 라틴어표현이라고합니다. (그러니까 Esterházy Estoras는 동어반복) 영어 위키 Esterházy에 보면 이렇게 나오는데… “The Latinised form of the family name, Estoras, in 2009 is used to label fine Esterházy wines.” Estoras는 가장 저렴한 엔트리급이기 때문에 fine을 the cheapest로 바꿔야;;;


음… 이제 와이너리 소유가문, 와이너리, 퀴베에 대해 알아보았으니 본격적으로 라벨을 들여다보겠습니다. 이 라벨이 뭘 의미하는 걸까요? 이 안에서 어떤 형상이 보이시나요?


7fec9e2cf5d518986abce895428572644571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돌려보겠습니다. 자 그럼 이제 오늘의 주제인 황금색 털을 가진 양이 보이시나요?


7fef9e2cf5d518986abce8954789746c3b1d80


7fee9e2cf5d518986abce89542847d647683


7fe99e2cf5d518986abce8954781706ec1cb

황금양모

황금양털 (금양모피라고 알고 계시는 분들은… 연식인증;;;)로도 불리는 황금양모 (Golden Fleece)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Chrysomallos라는 하늘을 나는 황금빛 털을 가진 양의 털가죽입니다. 이것은 콜키스 왕국의 보물이었는데 이아손이 이끄는 아르고호 원정대의 목표가 황금양모를 찾는 것이었죠. 하지만 이 라벨은 이아손이 훔친 Chrysomallos의 황금양모가 아니고 황금양모기사단의 훈장입니다.



황금양모기사단 (Order of the Golden Fleece)

기사수도회, 줄여서 기사단은 십자군 전쟁을 계기로 만들어진 특수한 (기사들로 이루어진) 카톨릭 수도회였습니다. 샴페인 랑송의 심볼인 8개의 꼭지점이 있는 빨간 십자가가 와갤러들에게 익숙할 것 같은데 그것이 그 유명한 구호기사단인 몰타 기사단의 상징이죠. 그러다가 중세가 저물고 르네상스 시대가 오면서 각국의 왕들이 기사수도회를 모델로 왕립기사단을 만들어 왕이 기사단장을 하고 귀족들이 기사단원이 되는 명예단체들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그런 왕립기사단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황금양모기사단 (Order of the Golden Fleece)입니다.


황금양모기사단은 부르고뉴 공작 선량공 필리프 3세와 포르투갈 공주 이사벨라의 결혼을 기념해 1430년 1월 10일 설립된 기사단입니다. 그래서 초대 단장은 필리프 3세였죠. 그러다가 부르고뉴 공작 가문의 딸 마리와 오스트리아 대공 막시밀리안이 결혼하면서 기사단장을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차지하게 되고, 그들의 손자 카를 5세 때부터 스페인계열의 합스부르크 가문에서 단장을 하다가 그 유전병의 대표적인 사례로 등장하는 카를로스 2세가 자녀 없이 사명하면서 스페인 계열의 합스부르크 왕조가 단절된 후 스페인 부르봉 왕가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서 서로 자기쪽이 적통이라고 주장하며 스페인과 오스트리아에서 독립적인 황금양모기사단이 아직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스페인 왕들과 오스트리아 황제들의 초상화와 문장을 보면 황금양모기사단의 훈장을 볼 수 있을 정도로 최고로 명예로운 훈장이었던 것 같습니다. 


7fe89e36ebd518986abce8954382736d106d

스페인과 오스트리아 황금양모기사단의 휘장 (insignia). 오스트리아의 것과 와인라벨에 있는 것이 동일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7feb9e36ebd518986abce8954582736b046ea2

황금양모기사단의 창시자 선량공 필리프 3세의 초상화에도,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의 의복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에 황금양모기사단의 휘장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에스테르하지 가문 이야기에도 나온 것처럼 에스테르하지 가문도 오스트리아 황금양모기사단의 단원이었고 그 훈장을 가문의 보물로 여기며 아직까지 간직해오고 있고, 그것을 자신들의 와이너리에서 만든 와인에 라벨로 사용하고 있는 것이죠. 에스테르하지 가문이 언제 황금양모기사단의 멤버가 되었는지는 자료마다 다른데 저는 1628년으로 생각하고 정리했습니다. 와이너리의 영문 홈페이지에도 1628년이라고 나오고 영어위키피디아 List of knights of the Golden Fleece에 단원명단과 훈장 받은 년도가 모두 기록되어있는데 Nicholas (Count Esterházy de Galántha)가 1628년에 멤버가 되었다고 나와서 그것을 믿기로 했습니다.


7fea9e2cf5d518986abce89543857465622b


참고로 황금양모기사단의 모토는 “Pretium laborum non vile”로 훈장에도 쓰여있는데, 영어로 번역하면 ‘no small price for labor’로 노동의 가치를 소중하게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구글번역은… ㅋㅋㅋㅋㅋ


7fe59e36ebd518986abce895408071691f




출처: 와인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24

고정닉 14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32254
썸네일
[걸갤] 직장인 블라인드 뉴진스 여론..jpg
[1070]
ㅇㅇ(106.101) 05.19 61441 765
232252
썸네일
[유갤] 강남 안과의사가 말하는 서울대 현실..jpg
[430]
유갤러(195.181) 05.19 55699 460
232250
썸네일
[야갤] 피식대학 사과문 ㄹㅇ...jpg
[1345]
슈화(착한대만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71855 543
232247
썸네일
[미갤] 범인을 꼭 알아내겠습니다.라는 약속을 16년 뒤 지켜낸 형사.jpg
[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1020 126
232245
썸네일
[야갤] [속보] 직구금지 철회
[1158]
루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74159 1029
232244
썸네일
[이갤] 영국 BBC 선정 가장 위대한 영국인..하 끝
[42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6016 93
23224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마인크래프트속 아르마딜로의 디테일....
[116]
minh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39275 235
232239
썸네일
[디갤] 시그마 30.4 + a6000, 도쿄
[38]
스무살겜안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3639 10
232237
썸네일
[미갤] 새벽에 사라진 언니.. 실종된 언니의 충격적인 사실.jpg
[42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40503 227
232235
썸네일
[유갤] 인간 에임핵이라고 평가받는 FPS 선수..gif
[629]
환송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45341 278
232234
썸네일
[디갤] 쇠제비갈매기의 교미
[124]
ㅇU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22240 135
232232
썸네일
[싱갤] 백인 유전자가 씹오지는 이유.jpg
[659]
올아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74770 285
232230
썸네일
[이갤] 서양에서 유행했던 소름 돋는 어플.jpg
[195]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49754 230
232229
썸네일
[카연] 전학생의 XXX를 먹고 싶어하는 여고생..! manhwa
[346]
니소라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9371 502
232227
썸네일
[메갤] 한국에 대한 선입견, 일본인 인터뷰
[426]
ㄴ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9730 338
232225
썸네일
[야갤] 이자 20% 아반떼 풀 할부남 근황...JPG
[623]
포흐애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55858 448
232222
썸네일
[미갤] 가난의 처절함을 보여주는 어느 남자 연예인.jpg
[5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52755 165
23222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혼란한 사이 선진국 별 투자이민 비용을 알아보자
[3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27531 150
232219
썸네일
[프갤] 다크소울3 거인 욤 피규어 출력 도색 해옴
[74]
도색하는망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12220 87
232217
썸네일
[중갤] 논란중인 유비소프트가 고용한 일본 역사 전문가의 실체...
[269]
rtO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0612 225
232215
썸네일
[카연] TRPG 자보레인져 2화
[53]
sgtHwa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12427 84
232214
썸네일
[미갤] 요즘 PC방 알바.jpg
[490/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70505 282
232212
썸네일
[기갤] 무한도전에서 춤추던 김윤의 작가.jpg
[2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45469 162
232210
썸네일
[대갤] 이탈리아 최대 만화축제에 자리 잡은 韓웹툰
[343]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0437 285
232209
썸네일
[싱갤] 김성모식 여자깡패
[490]
코브라카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59914 769
232207
썸네일
[이갤] 한번 실수하면 몇백억이 날라간다는 직업...jpg
[795]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64187 268
232204
썸네일
[유갤] 함허동천 야영장 2박 후기
[49]
댕댕이애호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12369 31
232202
썸네일
[새갤] 홍준표 "누굴 심판하겠단 건지.. 보수, 유연해야 살아남아"
[521]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25345 140
232200
썸네일
[카연] 바다거북 탐정을 만난 분홍이와 노랑이.manhwa
[302]
염승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14016 80
232199
썸네일
[대갤] 황당황당) 日도로 한가운데 위치한 공동묘지... 18년째 개통 못한 이유
[268]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24596 312
232197
썸네일
[코갤] AI 때문에 산업디자인 직종 개ㅈ된 상황.jpg
[504]
Carmicha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52656 425
232195
썸네일
[싱갤] 남자 성추행 피해자 고소후기 (3줄요약 있음)
[455]
ㅇㅇ(118.36) 05.18 52674 1061
232194
썸네일
[걸갤] 여초 맘카페 민희진 사태 여론 상황….jpg
[447]
ㅇㅇ(106.101) 05.18 56626 473
232192
썸네일
[미갤] 호불호 확실한 빠니보틀 구글맵 리뷰..jpg
[26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49104 378
232190
썸네일
[부갤] 저출산 원인 분석한 노벨상 교수와 한국언론 장난질.
[481]
라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4145 944
232189
썸네일
[기갤] 강형욱회사 직원이 잡플래닛에 폭로한거 봐
[1048]
ㅇㅇ(106.101) 05.18 71061 813
232185
썸네일
[대갤] 日, 건설회사에서 불법 아동노동 적발... 11세 소년에게 굴착기 운전
[569]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1361 358
23218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직구차단 이유 말안되는점
[1025]
명란젓코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46882 591
232182
썸네일
[카연] 마법소녀기담 ABC 83화 (신캐 등장)
[54]
존크라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12267 65
232180
썸네일
[미갤] 중국산 김치 팔다 들통나자 문신 보여주는 반찬가게 상인 ㄷㄷ .jpg
[51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41853 617
232179
썸네일
[야갤] 빠니보틀이 국내여행 컨텐츠를 찍지 않는 이유...JPG
[535]
포흐애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62754 1111
232177
썸네일
[군갤] 신나는 대만 의회 근황
[445]
LSP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7957 371
232175
썸네일
[디갤] [진짜] 에어로크롬
[19]
디붕이(72.43) 05.18 11901 18
232174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교통사고로 남편 잃은 사람
[51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34825 302
232172
썸네일
[이갤] 여초에서 바라본 키작남 인식
[1489]
이갤러(118.235) 05.18 55775 220
232170
썸네일
[미갤] '삼겹살 비계 논란' 있던 제주도 근황.jpg
[58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51808 564
232169
썸네일
[대갤] 日오사카공대, 청산가리 등 독극물 분실에 발칵! 160명 살해 가능한 양
[202]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23035 171
232167
썸네일
[카연] 용사파티만화 리메이크 2
[137]
칰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18349 254
232164
썸네일
[새갤] '누구누구 수사 언급 안됨' 장관이 한 말? 유재은 "그럴 수도"
[116]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8 16437 58
23216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직구를 금지합니다.” 발언인물
[1114]
ㅇㅇ(220.79) 05.18 54833 87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