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모주의 시계 칼럼 #7 - 가성비? 마케팅? 크와드 이야기

모주에서부곡하와이한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2 13:10:02
조회 5879 추천 33 댓글 44


0. - 서문


저번 칼럼 #6 편에서는 가성비 와 관련해서 "그돈씨" (가심비) 가 특정 브랜드 에서 더 느껴지는 이유, 롤렉스와 오메가/JLC 등의 차이 등등을 얘기해봤음.


이번 #7 편에서는 가성비 주제의 후속편으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가성비" 와 가성비에 얘기할때 같이 자주나오는 마케팅 비용, 원가, 그리고 가성비를 최전방에 세운 브랜드 크리스토퍼 와드 (크와드) 를 엮어서 이야기 해보겠음.


다음 주제로는 좀 더 정보 글에 가까운 방수 관련 정보 총 집결 써보자 하는데 중간에 다른거 관심생기면 딴거 쓸거임! ㅋㅋ


1. - 가성비의 정의


본격적으로 들어가기 앞서 "가성비"의 정의 부터 내려야함.

특정 시계, 브랜드가 가성비가 좋냐 나쁘냐에 대한 논쟁이 있을때 자주 보이는 양상이 서로 가성비의 정의를 다르게 내리고 다투고 있음.


"가격 대비 성능" 한국어 표현은 사치제라는 특성이 큰 시계에 가성비를 짐작하기를 어렵게 만듬.

"성능" 은 대게 수치로 보여지는데 시계에서 나올수 있는 성능은 들어가 있는 기능 수, 스펙 (파워 리저브, 방수, 등) 정도를 제외하면 없기 때문.



2aaed829e6d969e864afd19528d52703698fb87989f7


2aaed829e6d96ae864afd19528d52703eb3e37cebdcb

(웹사이트에 나열된 $300 짜리 지샥 성능, 스펙. 가성비를 가격 대비 성능 으로만 보면 객관적으로 성능, 기능이 제일 많은 지샥이 최고다)


근데 보통 가성비 얘기를 할때는 성능 이상의 것을 얘기를 함. 특히 시계에서는.

그래서 나는 이 주제에서는 영어로 Price to Value Ratio, 가격 대비 가치, 가 적합하다고 봄.

가격 대비 가치를 논할때는 유형의 가치, 무형의 가치가 있음.


시계에서 유형의 가치는 "객관적인 마감 퀄리티" (마감이란 개인적 미적 기준에 따라 무형의 가치도 있지만, 어느정도 객관적으로 평가 가능하다고 봄), 성능, 스펙 이 있고, 무형의 가치에는 인지도, 헤리티지, 디자인, 심미성, 독점성 (? exclusivity), 유지 보수 등이 있겠지.




2aafd136ed9c32b6699fe8b115ef046cbd80c6bc


(너무 글만 많아서 읽기 편하려고 대충 내 생각한대로 시계 살때 고려되는 점들을 무형/유혁적 가치, 객/주관적 으로 배치해봄)

(다들 무형/유혁적 가치 와 객/주관적 중 어디에 더 무게를 주는지 다른데, 서로 다른 기준으로 보니 가성비 논쟁이 많이나지)


그래서 예를 들면 "태그 호이어 까레라는 가성비가 좋은 시계 인가?" 라는 글에, 어떤 옽붕이는 유형적 가치에 중점을 주면서 "400만원에 그 스펙 이면 가성비 망했다" 라고 할수도 있고, 거기다가 무형적 가치인 독점성을 더해 "400만원에 셀리타 넣는데 그건 100만원, 200만원에도 볼수 있으니 가성비 안좋다" 할수 있는거고.

다른 옽붕이는 무형의 가치에 더 중점을 둬서 "그 가격에 태그 라는 압도적인 인지도, 헤리티지, 디자인 을 누릴수 있는데 가성비 상타치지. 그 가격에 그정도 인지도, 헤리티지, 디자인 있음?" 이럴수 도 있는거지.


롤렉스도 마찬가지고. 롤렉스 도 유형의 가치 만 보면 $7,500 주고 방수 100미터, 파워 리저브 72시간, 논데이트 스틸 시계가 가성비가 안좋게 느낄수 있는거지.

그건 $1,000 티쏘 젠틀맨도 가능한 "성능" 이니까.

하지만 무형적 가치를 생각하는 순간 롤렉스라는 브랜드, 압도적인 헤리티지 를 생각해서 가성비가 괜찮다 생각할수도 있고.


참고로 이전 칼럼들에서도 알아봤듯, 동양권, 신흥국 쪽으로 갈수록 시계를 구매할때 "가성비" 보다는 "브랜드 이미지" 를 더 우선순위에 둠.


7ce49e2cf5d518986abce89542807d65ea


이 칼럼에서는 무형적 가치는 개인마다 느끼는게 어려우니, 유형적 가치를 기반으로한 "가성비" 를 중점으로 얘기해보겠음.


2. - 시계 가격과 원가, 가성비, 그리고 크리스토퍼 와드


이렇게 주관적이고 무형적인걸 많으니 가성비가 좋다고 객관적으로 주장하기 위해서 자주 쓰이는게 "원가" 임.

원가 대비 가격이 좋다 가 가장 객관적이고 유형적인 가치를 전달하기 좋으니.


그래서 옽갤에서 유동들이 어그로 끌려고 가끔 나오는 얘기가 "롤렉스 그 원가 ㅇㅇ만원 짜리 왜 천만원 주고 사냐?" 있음.


소비자들이 럭셔리 시계브랜드들이 원가 대비 가격을 비싸게 받는다 라고 불만을 가지자 나오게 된 브랜드가 크리스토퍼 와드.

크와드는 시작 부터 "우리는 마케팅같은데에 돈 안쓰고 좋은 품질을 시계를 가성비 좋은 가격에 공급하겠음!" 이라는 모토로 나온거임.


그래서 크와드가 본인 스스로 를 소개하는 글을 읽어보면....



2eaa8168efc23f8650bbd58b36837068d0b0


2eaa8268efc23f8650bbd58b3686736e72db

(크와드 웹사이트 브랜드 스토리 소개란)


크와드가 주장하는 바는 많은 스위스 브랜드 들이 다 비슷한 부품 쓰면서 "한 브랜드는 원가의 34배 까지 돈 받아 먹더라".

그러니 우리는 "the cheapest most expensive watches in the world" (세계에서 가장 싼 비싼 시계) 를 만들기로 했다.

그걸 위해서 우리는 1. 웹사이트를 통해서 고객들한태 직접 판매한다. 2. 최대 원가 3배만 받겠다. 3. 유명인 협찬, 광고를 안하겠다.

라고 함.


물론 이건 시계시장의 Pain Point 를 잘 노린 매우 똑똑한 비지느스 케이스며, 난 크와드 좋아함.

그런데 이 소개문에서 보면 "한 브랜드" 는 원가 34배까지 받는다고 했지, 스위스 산업 평균같은 얘기를 안함.

그러니 스위스 시계 산업 평균적으로는 자기들과 비슷한 3~4배를 받는지, 아니면 자기들 경쟁 가격대는 자기들과 같거나 낮은 비율로 받는지 알 방법이 없음.

저 34배가 하이엔드에 플레티넘에 다이아 박히고 전부 수제 마감에 한정판 한개로 만든 시계 라 원가 34배를 받고, 나머지는 더 낮게 받는지는 모르는거지.


그리고 크와드는 우리 소비자들, 옽붕이들이 하는 가장 큰 실수? 잘못된 통념? 을 매우 잘 겨냥하고 있음.

바로 "원가 대비 가격이 낮으면 가성비가 좋다" 라는 전제임. 이 전제는 매우 틀림.

가성비란 성능/품질 대비 가격이니 원가는 가성비에 영향을 안줌 (물론 "가심비" 면 몰라).

가성비가 좋다에 진짜 전제는 "같은 품질이면서 가격이 낮으면 가성비가 좋다" 임.


예를들어서 미국 식료품점에서는 바나나 한개당 23 센트 (약 300원) 을 받음.


2fbcde27ebd376ac7eb8f68b12d21a1d6f1c997895

하지만 한국에서는 2021 년 기준으로 바나나 한개당 880원이 넘음.

물론 이것도 3년전 기준이라 지금은 전년대비로도 몇십프로 올랐으니 개당 1000원을 넘는다고 볼수도 있음.


7eed8370b6ed6af63ae88e8a4388706bbd0ff13466a84ba09ab9b7f0b3475c


여기서 같은 "성능" (당도, 맛, 크기) 바나나중에 가격이 몇배는 싼 미국 바나나가 가성비가 더 높다고 할수 있음.

"원가 대비 가격"은 고려 대상이 전혀 아님.


실제로 미국 바나나가 원가 대비 가격 비율이 훨씬 높을수도 있음.


극단적인 가상의 예를 들자면, 미국 바나나는 가까운 남미에서 수십만평이 되는 커다란 플렌테이션에 세계적인 과일 회사가 공장식 농업으로 바나나 하나당 인건비, 운송비 포함해서 10원에 만들어서 "원가 대비 가격" 이 30배 일수도 있음.


근데 한국으로 오는 바나나는, 동남아의 비교적 소규모 영세 농업자들이 인력을 동원해서 수확하고, 먼 거리를 운송해서 오고, 구매하는 양도 중국, 미국등에 밀려 소규모 주문이기 때문에 원가가 500원 일수도 있음. 그래서 "원가 대비 가격" 은 2배.


여기서 "원가 대비 가격" 비율이 한국 바나나가 더 낮다고 한국 바나나 가성비가 더 높다고 할수 있을까?


크와드는 이 부분을 매우 똑똑하게 노린거임.


여기서 크와드가 정말 "가성비" 가 높은가라는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서는 한가지를 더 봐야함.


물건 수주하고 주문할때 주문량이 높을수록 객단가가 떨어지는건 상식임.


하지만, 크와드는 일년에 약 20,000~25,000 개의 시계만 생산하는걸로 보임.

(정확한 판매량 자료는 없지만 인터넷 여러군데 돌아다니면서 매출, 평균 가격 등을 보면 2020~2023년 은 연간 2만개 정도 시계를 판걸로 보임).


이거는 하이엔드인 오데마 피게 연간 판매량 약 50,000개 의 절반 수준임. 파텍필립 70,000개. 바세론 콘스탄틴도 35,000개.



19b2c06bb082759579b6c5a65be62529e4079442826cbf436ae22cb7ac91d4dbae513865f82f19e270da7b3cd5df6841d246f8d364d7945c6a0e5a3f1a486ec1754a8abcdf2a27f38b6ab8787bd5c0fc9712135f21357866e097fdeb51dd5ab2a53f67df3fbc8024

(옽붕이들이 좋아하는 그 표)


마이크로 브랜드 이긴 하지만 소량 재작해서 극소수한태 판다는 이미지가 있는 하이엔드 빅3 보다 적게 만들어서 파는거임.

그러면 과연 원가 객단가를 낮출수 있을 만큼 주문을 넣을수 있을까?


크와드가 깠던 스위스 시계 브랜드들은 어떨까? 크와드가 가격이 비슷한 스와치 그룹의 티해미, 세르티나를 합치면 연간 판매량이 3,517,000개임 (350만개).

(티쏘 3,100,000개. 해밀턴 138,000개. 미도 123,000개. 세르티나 155,000 개.)

크와드의 약 140배의 시계를 판매하는 거임.

거기다가, 부품같은 거는 공유 안해도 스틸, 글라스, 등등 원자제는 공요할 스와치 그룹들을 다 합치면 어마무시 한 차이임.

한마디로 스와치의 "부품 원가" 는 크와드의 "부품 원가" 보다 같은 부품을 쓰더라도 엄청난 수준으로 낮다는 거지.



2eb2dd36e4c031b561b198bf06d60403621560b5358d38003d

(경쟁 상품인 크와드의 트웰브와 티쏘의 PRX. 이 경우에는 크와드 트웰브가 약 두배가량 더 비싸다.)


무브만 봐도 크와드는 모든 시계에 똑같은 셀리타 무브만 쓴다고 해도 연간 무브 주문을 2만5천개 로 소규모 가격으로 넣으니 비싸게 받겠지만.

스와치는 자회사 인 ETA 에 파워매틱 무브를 100만개, 200만개, 300만개 주문을 넣는거임.

같은 수준의 무브라도 크와드는 훨씬 높은 가격을 주고 사겠지.


또 가상의 예를 들면 똑같은 품질, 성능의 100만원 짜리 시계를 만드는데 크와드는 적은 주문량, 규모의 경제를 만들지 못해서 무브 30만원, 브슬 10만원, 기타비용 10만원 해서 원가 50만원이 들었다고 치자.

근데 스와치의 티쏘는 규모의 경제를 통해 원가 10만원이 들었고.

여기서 크와드가 "다른 스위스 브랜드는 원가 대비 10배나 받는데, 우리는 2배 밖에 안받으니 우리는 가성비 좋은 세계에서 제일싼 비싼 시계를 만들어요!" 했을때 그게 어느정도 "사실" 일까?

여기서 티쏘가 크와드가 비판하는 것 처럼 "원가" 의 2배나 들여서 20만원주고 광고를 한다고 해도 원가 대비 가격 비율을 안좋은데, 소비자는 같은 수준의 시계를 받는데 말이야.


여기에 이런 유형적 가치를 제외하고 무형적 가치인, 브랜드 인지도, 헤리티지, 유지보수, 접근성 등등을 더하기 시작하면 무작정 원가 대비 가격이 낮다고 크와드의 가성비가 훨씬 좋다 라고 할수 없는거지.


(말하다 보니 크와드 내려치기 같아 보일수 있지만 난 크와드 애정함. 

가성비 얘기할때 원가 얘기가 많이 나오는데다가 크와드가 가성비 라는게 브랜드 정체성이라 이 주제에 엮어서 말하기 좋다 라고 생각한거임.

크와드가 똑똑한 점은 4. Return of Investment 참고 바람!)

내 개인적의견으로는 크와드가 가성비 좋은 브랜드는 아님. 가성비는 나쁘지 않고, 독창적이고 나름의 정체성을 잘 구현한 좋은 마이크로브랜드임.


하지만 크와드의 진짜 가성비는 시계가 아니라 바로 마케팅에 있음.


3. 마케팅, 스토리 텔링, 브랜드 헤리티지, 그리고 시계의 헤리티지



2eaa8368efc23f8650bbd58b368272657e7a

(크와드의 모토인 모두에게 접근 가능한 프리미엄 시계. 그중 주요 포인트로 "정직한 가격, 합당한 마진" 이 있다)


여기서 "크와드의 진짜 가성비는 시계가 아니라 바로 마케팅에 있음" 이라고 하면 고개를 갸우뚱 하는 사람들이 있을거임.

왜냐면 크와드는 마케팅 안하는 브랜드, 유명인이용 광고를 안하는 브랜드 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임.


근데 "마케팅 안하는 마케팅" 만큼 가성비 좋은 마케팅이 없음.

소셜미디어나 유튜버등을 통해서 유명인들은 고용하지 않지만 비교적 저가의 리뷰형식, SNS 개시글등으로 "마케팅 안하는 브랜드" 라는 훌륭한 마케팅을 가성비 좋게 이뤄낸거임.

시계 관심있는 사람들 중에 크와드 모르는 사람도 드물고, "가성비 좋은 마케팅 안하는 브랜드" 라는 이미지도 충분히 쌓았잖아?

그러므로 위에서 말한것처럼 실제로 가성비가 좋던 말던 가성비가 좋다는 스토리 텔링을 소비자들이 받아들인거임.

크와드는 이 최고의 가성비를 뽑아내는 투자를 정말 잘함 (4. Return of Investment 참고)


이건 내가 생각하는 시계 마케팅 중에 마케팅을 포기하고 스토리 텔링을 잘 한 대표 케이스라고 봄.


내가 보는 시계 마케팅은 마케팅 > 스토리 텔링 > 브랜드 헤리티지 > 시계의 헤리티지 라고 봄.


마케팅은 흔히 생각하는 유명인 모델로 광고, 스펙과 디자인 등을 앞세운 멋진 사진. 이런 단순한 마케팅임.

이건 모든 브랜드가 하고 있음.


"스토리 텔링" 을 잘 하느냐 마느냐 에 마브가 성공할수 있느냐 없느냐가 달려있음. 왜냐면 마브들은 이용할 헤리티지가 없으니.


여기서 스토리 텔링이란 크와드 처럼 "거품 가득한 프리미엄 시계 시장에서 가성비 좋은 프리미엄 시계를 팔겠다" 같은 회사의 Mission Statement 같은거임.


또 다른 예로 내가 싫어하는 헤리엇의 "대한민국을 다시 세계적인 워치메이커로!" 가 있음.




25bcc234ecdd2cf720b5c6b236ef203ec0148c345447fd


25bcc234ecdd2cf420b5c6b236ef203e0c3f6e43e69e90


해리엇의 스토리는 "대한민국은 한때 세계 3대 시계 제조국이 였지만, 추락했다. 한국 시계 산업을 다시 일으키고 헤리엇을 한국 대표 시계브랜드로 만들겠다" 임.

단순 마케팅을 넘어서 그 브랜드의 정채성, 수많은 많은 브랜드 중에서 이 브랜드를 사야할 명분 등등을 만드는거지.

그런 미션을 가지고 있지만 정작 브랜드 이름은 영문인 Harriot 에, 시계 디자인은 다니엘 웰링턴 수입해서 팔던때 경험을 살려 독일 북유럽식 디자인 시계에 의미부여만 잔득해서 한국풍 시계인냥 팔지만...

옽갤 와서 거의 처음으로 화나서 쓴글이 해리엇 까는 글 이였음: 해리엇 사장 들어와라. 해리엇 회생방안 알려준다. (긴글주의) - 오토마타 마이너 갤러리 (dcinside.com)


여튼 수많은 마브중에서 경쟁력 있게 잘 나아가고 있는 브랜드는 이런 스토리 텔링을 하는 브랜드들임.

해리엇 과 다르게, 그 스토리텔링과 미션이 브랜드의 실제 제품과 잘 맞아서 설득력을 가지게 되면 소비자들이 찾게되는거지.

그것의 스토리텔링과 브랜드 정체성, 제품이 잘 맞아 떨어진 예시가 발틱.



2fbcdc32ecd176ac7eb8f68b12d21a1d606ab2a86e8d

(발틱의 미션)


발틱의 미션을 읽어보면 본인 스스로를 애호가 (enthusiast) 의 아버지로 부터 영향을 받은 애호가 이며, 끈끈한 애호가 커뮤티티를 만나 성공한 브랜드라고 설명하고 있다.


발틱리뷰를 들어보면 "애호가들의 특별한 취향을 만족해주기 위하여 애호가가 만든 시계" 라는 평이 강하지.


다른 성공적인 예로는 로리에.


21b2c22fe0c069e864afd19528d52703c084f3a8e18e


21b2c22fe0c06ae864afd19528d527032ed767abde6699

브랜드 모토 자체가 빈티지 시계를 현대적인 만듬새로 만들어 주는 애호가 브랜드.

거기에 부합하는 빈티지 스러운 디자인에 좋은 호응을 받았지.



25bcc234ecdd2ce864afd19528d527030fecfb644091

(그에 반해 이 시게 둘중 어느 시계가 대한민국을 다시 세계 3대 시계 제조국으로 올릴 한국적 시계, 서해의 아름다움과 국내 토목시술 발전을 상징하고 충청남도 아산읍 내리의 당간지조 (보물537호)의 형상을 가진 "한국적 조형미를 물씬 풍기는 건축물"의 영향을 받은 한국적인 시계 "서해" 일까?)

(하나는 창립자가 시계를 수입하다가 발끈해서 혹은 이렇게 꿀빨면서 시계 장사 할수 있다니 라고 생각해서 국뽕 마케팅과 중소기업/창업 지원금을 노리고 해리엇을 만들었다는 다니엘 웰링턴임)



25bcc234ecdd2cf520b5c6b236ef203e0e7ff28117255f

(위의모든 말은 비꼬는게 아니라 실제로 한 말이다... 해리엇 말 나오니 발끈해서 말이 길어져서 또 각설하고..)


이런 마이크로 브랜드 말고도 많은 메이저 브랜드들이 이런 스토리 텔링을 하려고 하지.


가장큰 예로는 환경보호 같이, "이 스트랩은 폐플라스틱으로 만들어졌고..." "우리는 다이버 시계를 만드니 해양 생물을 위해...." 등등 같은 스토리 부여임.


그 다음이 아이코닉한 현행 시계가 적지만 브랜드 헤리티지가 커서 브랜드 헤리티지를 이용한 마케팅.

티쏘나 미도 같이 긴 역사를 이용한 브랜드 헤리티지위의 현대적 시계.


혹은 직접적인 연관과 디자인적 공통점은 없지만 브랜드에서 최초의 두개의 시간대를 측정할수 있는 시계를 만들었다는 헤리티지를 이용해 만든 줄루타임 같은것이 예임.


1db2c232e3dd34af61fffbb411d03e34e5802148cd0a511ae673e3f0c4c35443f83583c564e7bbf394780d6b23ef44ae3849edf32bd6e345d9c1fb93b74f284dbaf508c78cd4fedc42d03135a5b1646cc372a8f40e

37a8dc33abd828a14e81d2b628f1706f4b40120d


거기서 더 한단계 위가 시계 자체적 헤리티지가 있는 아이코닉들.

문워치, 모나코, GMT마스터 등등이 있지.


여기서 하고 싶었던 말은 마브는 헤리티지를 이용한 마케팅을 못하니 단순 마케팅, 스토리 텔링에 집중해야 하고, 거기서 크와드는 마케팅 안하는 가성비 라는 기가막힌 스토리 텔링으로 마케팅을 가성비 있게 했다는거.

또 마브가 성공하려면 스토리 텔링과 제품이 일치해야한다는거.


4. - Return of Investment

(쓰다보니 너무 길어져서 이건 짧고 사진 없이 간다.)

투자수익률, 투자대비 수익률을 얘기해보겠음. 왜냐면 크와드가 이걸 정말 가성비 있게 잘 하거든.


최근에 옽갤에서 "왜 시계 브랜드 들이 미세조정, 퀵체인지 같은거 많이 안하지?" 라는 류의 글을 본적이 있음.


미세조정이나 퀵체인지는 애호가들이 신경쓰는 요소지, 의외로 일반인들은 신경을 안쓰는 부분임.

왜냐면 애호가들은 시계줄을 교체할수 있다는것도 잘 모르는 부류가 많고, 줄질같은걸 안하고 달려있는 재치로 평생 쓰니까.


그래서 퀵체인지, 미세조정을 넣는 비용이 아무리 얼마 안된다 해도, 그게 비용만 오르고 매출은 오르지 않아서 수익률 떨어지면 할 이유가 없는거지.


자사무브도 같은 이유임. 시계를 소비하는 대다수인 일반인들은 자사무브 인지 범용인지 신경을 안씀.

근데 자사무브를 한다고 100만원 짜리 시계가 비용이 올라서 200만원이 되서 사람들이 비싸서 안사서 매출이 떨어질수도 있다?

확실한 리스크 이지.


근데 모든 요소들이 그런건 아니고 몇몇 요소들은 확실히 투자대비 좋은, 높은 수익을 보장해줌.


가장 큰 예가 디스플레이 케이스백. 케이스백에 유리 넣는게 비용증가가 크지 않거든.

그런데 대다수의 소비자들은 (물론 애호가들은 셀리타 뭐 볼게 있냐, 가려라 할수도 있겠지마) 시계 무브다 보이면 "고급시계" 라고 생각하는거 같음.

그래서 디스플레이 케이스백은 투자한만큼, 혹은 더 많이 수익이 보장됨.

그런 요소들을 크와드는 정말 잘 잡아내서 넣어줌.


어떻게 보면 어떻게 가장 적은 비용으로 수익을 극대화 하려는 것으로 볼수도 있지만, 나는 크와드에 미션에 맞춰서 최대한 적은가격으로 "프리미엄" 요소들을 소비자한태 전달하려는거 같음.


그래서 가장 가성비 좋게 프리미엄으로 느낄수 있게, 또 소비자들이 가성비 있다고 추가비용을 지불할만한, 디스플레이 케이스백, 아플리케 인덱스, 방수 성능, 날짜창 같은거는 추가하고, 비용대비 수요, 수익이 적은 브슬 퀄리티, 케이스 쉐입, 마감, 다이얼 마감 같은거는 기본으로 통일하는거지.


이게 가성비 브랜드라는 정체성에 맞아들어서 반응도 좋고.


크와드가 가장 대중적이고 가성비 좋은 요소를 넣는다면, 그 대척점에 있는 마브가 anOrdain.


애나멜 다이얼이라는 가성비 안나오고 수요도 적은 마니악한 요소를 중심에 잡아 그 가격을 주더라도 에나멜 다이얼을 경험해보겠다는 소수를 잡은 브랜드.



2cb3df34e1d331a83ff1dca511f11a39c598119fd2707fde

(홈페이지 들어가보면 바로 "우리는 에나멜 다이얼이 있는 기계식 시계를 만든다" 라고 적혀있음)


2cb3df34e1d331a83cf1dca511f11a39e6bf0e9fc15bcd3f

(anOrdain 의 정체성이 가장 잘 들어 났다고 느낀 Model 3)



마치며


긴 글 읽어 줘서 고맙고, 이번 글은 꽤 많은 주제들을 시계라는 틀에 엮어서 잘 읽히게 적었을까 걱정되네.

여튼 재밌었길 바라며 좋은 하루!


분명 시작할때는 다음글로 방수 총집합을 쓰고 싶었지만 해리엇 생각에 화나서 해리엇을 주제로 쓰고싶어졌다...



출처: 오토마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3

고정닉 17

4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240726
썸네일
[코갤] "한국 떠납니다" 부자들 '탈출 러시'…심각한 상황 터졌다
[1434]
ㅇㅇ(158.255) 06.19 45712 872
240724
썸네일
[싱갤] 말 안통하는 외국인이라 편파 당하고 묻혀버린 안타까운 사건
[148]
ㅇㅇ(222.108) 06.19 37030 314
240720
썸네일
[중갤] 전세계의 대형게임회사들이 주목하는 한국의 자동차 근황
[209]
ㅇㅇ(118.40) 06.19 29208 130
24071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청주 시내 그래피티 범인
[22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6384 288
240716
썸네일
[디갤] 오늘의 망원 +@ (29장)
[22]
백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8331 11
240714
썸네일
[기갤] 박세리 눈물 본 부친 입 열었다..."아빠니까 나설 수 있다 생각"
[278]
ㅇㅇ(106.101) 06.19 26610 98
240712
썸네일
[주갤] 블라)) 스킨십이 파혼 사유가 돼??
[459]
주갤러(121.160) 06.19 34421 370
24071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바키 기술 따라하는.manhwa
[105]
XII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5300 205
240708
썸네일
[야갤] 여시)전역하니 통장에 3200만원, 해외여행 준비하는 Z세대 장병들 반응
[914]
실시간기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6916 433
240706
썸네일
[이갤] 전사 출신 박군과 UDT 출신 덱스보다 군생활 힘들었다고 말하는 탁재훈
[24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3702 196
240704
썸네일
[싱갤] 어떤 만화가의 친누나 경험담.manga
[198]
ㅩㄺ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7972 272
240703
썸네일
[타갤] 윤석열 '인구 국가비상사태' 선언... "범국가적 총력 대응"
[1247]
ㅇㅇ(222.239) 06.19 26010 125
240702
썸네일
[야갤] 방망이로 집단 폭행에 후배 '고막 파열'... 경찰, 수사 착수
[174]
ㅇㅇ(106.101) 06.19 16081 85
240698
썸네일
[헤갤] [망한머리 구조대 미용실형] 히피펌 망한 머리 밖에 못 다님
[119]
미용실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5629 87
240697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방문을 나선 싱붕이.manhwa
[117]
어둠의만갤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0996 104
240695
썸네일
[중갤] 드디어 검사 조지기 시작한 민주당.jpg
[686]
k_win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8289 279
240694
썸네일
[주갤] 카페 테이블에서 5살 자녀 귀저기 간 맘충 ㄷㄷ
[317]
ㅇㅇ(37.120) 06.19 22484 84
240692
썸네일
[싱갤] 미국 강가 선착장에서 백인그룹 vs 흑인그룹 패싸움 ㄷㄷㄷ
[229]
ㅇㅇ(61.35) 06.19 27400 110
240691
썸네일
[미갤] 권도형-몬테네그로 총리 수상한 관계…"알고보니 초기 투자자"
[101]
ㅇㅇ(186.233) 06.19 16968 92
240689
썸네일
[전갤] '슈퍼엔저'에 가난해진 日...외국인들 당황케 한 특단조치..jpg
[557]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1206 127
240688
썸네일
[이갤] 승무원이 비행기에서 잠자는 사람 깨우는 법.jpg
[3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1139 86
240686
썸네일
[카연] 본인 초2때 담임선생님한테 억울하게 맞은 만화
[308]
ㅇㅇ(121.151) 06.19 23194 253
24068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전쟁 일으키는 놈들 특징.jpg
[1018/1]
ㅇㅇ(110.12) 06.19 42542 702
240682
썸네일
[즛갤] 스압) 겁나뒷북인 철면피 깐 지방러 즛붕이 토욜콘 후기
[46]
ミン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0650 32
240680
썸네일
[디갤] 디붕: '다 아는 곳이구만' (교토)
[34]
레이레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5138 20
240679
썸네일
[싱갤] 어질어질 배달비 무료 이후 자영업자들 상황
[984]
아카식레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9971 378
240677
썸네일
[야갤] 낳자마자 책임진다는 화천군의 육아지원.jpg
[379]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2520 127
240676
썸네일
[무갤] 12사단 훈련병 사망사건, 나거한 엔딩일 가능성 매우 유력
[962]
조선인의안락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7632 572
24067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걸그룹보다 예쁜 일반인 와이프..jpg
[48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62142 276
240673
썸네일
[부갤] 전세보증금 180억 꿀꺽
[290]
부갤러(185.182) 06.19 20660 178
240671
썸네일
[이갤] 아무리 운동해도 연예인 몸을 만들수없다는 유튜버...jpg
[577]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8251 400
240670
썸네일
[러갤] 삼체에서 유일하게 호평 받은 문화대혁명 장면
[376]
배터리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3366 162
240669
썸네일
[바갤] 똥테러당한 국립부경대
[407]
롯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7006 266
240666
썸네일
[중갤] 지금롤의 문제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273]
ㅇㅇ(118.40) 06.19 22323 117
240665
썸네일
[싱갤] 노력을 폄하하면 안되는 이유
[632]
ㅩㄺ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3744 651
240663
썸네일
[이갤] 경찰에게 붙잡힌 이륜차 운전자 그에게 없는 세가지는?
[165]
산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3600 80
240662
썸네일
[전갤] "너무 징그럽고 괴로워" 러브버그, 도대체 언제 사라질까?
[341]
몽쉘통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8295 85
240661
썸네일
[카연] 삶을 조리하는 법
[63]
ㅋ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3258 89
24065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오이 써는걸로 놀림당한 미국 연예인..jpgif
[310]
ㅇㅇ(122.42) 06.19 36001 199
240658
썸네일
[이갤] 여성의 최적 출산 연령
[1154]
Jac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7151 771
240657
썸네일
[주갤] 블라) 진통온 여동생 챙겨줬다고 실망했다는 한녀.jpg
[550]
주갤러(211.220) 06.19 30277 300
24065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의 잠수함 전력 증강이 못마땅한 중국 방송.jpg
[294]
ㅇㅇ(121.161) 06.19 18858 257
240654
썸네일
[스갤] 100명) 요즘 한국 2030 연봉과 모은돈 수준
[603]
ㅇㅇ(45.140) 06.19 38252 90
240651
썸네일
[디갤] 오늘자 다대포해수욕장 노을
[52]
사이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7829 39
240650
썸네일
[야갤] 드디어 시작된 무당 연프, '신들린 연애'.jpg
[26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1902 35
240649
썸네일
[싱갤] 분노분노 부산대 에타 근황
[100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2815 671
240647
썸네일
[기갤] 푸틴-김정은 정상회담 시작…환영식 이후 90분 회담 예정(상보)
[1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9601 29
240646
썸네일
[이갤] 역사학자 피셜 " 여러분은 조선시대로 가면 밥 못먹습니다 ".jpg
[62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9980 285
240645
썸네일
[기음] 피순대와 함께하는 무주 읍내 한바퀴.jpg
[105]
dd(182.213) 06.19 10795 97
240643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요즘 한국여성 암환자가 늘어나는 이유
[783]
이게뭐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4858 60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