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뉴스의 맥] 일본, 완전고용이 소비 활성화 이끄는 선순환 접어들었나

ㅇㅇㅇ(14.37) 2017.08.16 14:49:32
조회 158 추천 0 댓글 1

일본의 2분기 GDP 1% 성장 어떻게 봐야 하나

일본 15개 민간경제연구소 모두 예측 못한 '깜짝 성장'
"전후(戰後) 최장 호황 '이자나기 경기' 넘을 것" 전망
"일시적" 반론 만만찮아…물가 오를지 초미의 관심

오춘호 선임기자·공학박사 ohchoon@hankyung.com


[ 오춘호 기자 ]0003810189_001_20170816022424054.jpg?type=w540일본 내각부가 올해 2분기(4~6월) 국내총생산(GDP)이 1분기 대비 1.0% 성장했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연율로 환산하면 연 4.0%의 성장이다. 일본의 전문 경제연구소조차 전혀 예측하지 못한 ‘깜짝 성장’이다. 이를 두고 일본에선 해석이 엇갈린다. 요미우리신문 등은 이 소식에 환호하지만 보수적 경제지인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크게 취급하지 않고 있다. 아베노믹스의 대대적 성공이라는 해석과 ‘근거 없는 기대’만 낳는다는 혹평이 동시에 나오고 있다. 장기적으로 지속될 것이라는 시각과 일시적일 것이라는 견해의 대립도 있다. 과연 일본의 2분기 경제성장률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일본의 15개 경제연구소는 올해 2분기(4월~6월) 성장률을 대부분 0.3~0.5%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가장 희망적인 수치를 내놓은 닛세이기초연구소도 0.9%, 연율로 3.6%의 전망치였다. 이들 연구소는 1분기 경제성장률 0.3%를 약간 웃도는 수준으로 전망했다.

0003810189_002_20170816022424079.jpg?type=w540
하지만 이번 일본 정부의 발표는 이 수치를 훨씬 뛰어넘었다. 비록 속보치라고 하지만 15개 경제연구소 모두를 무색하게 한 것이다. 연구소들은 일본 내각부가 속보치를 발표하자 곧바로 수정 전망치를 내는 등 한바탕 소동을 피우기도 했다. 그만큼 이번 속보치는 전문가들도 몰랐던 일본 경제의 이면을 드러냈다.

2분기 깜짝 성장의 주역은 내수였다. 그중에서도 민간소비의 증가였다. 이날 내각부가 발표한 일본 민간소비 증가율은 전분기 대비 0.9%나 됐다. 2014년 일본 정부가 소비세율을 8%로 인상하기에 앞서 1분기에 기록한 2.2%를 제외하면 2012년 이후 가장 높은 소비 증가세다. 그동안 침체의 늪을 벗어나지 못했던 일본 소비가 마침내 움직이기 시작한 것이다.

소비성장의 주체는

소비가 늘어난 것에 대해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다. 여름철 더운 날씨로 청량음료와 에어컨이 날개 돋친 듯 팔렸다는 분석도 있고, 중고 세탁기와 백색가전을 대체하는 수요가 많았다는 설명도 있다. 일본전기공업회 조사에서 지난 6월 백색가전의 국내 출하액은 2750억엔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월 대비 9.5% 증가한 것으로 6월 기준 가장 높은 출하액이다. 미용가전이나 전자레인지 판매도 호조였다고 한다. 최근 신차종이 많이 나와 자동차가 많이 팔렸다는 분석도 있다.

정작 소비주체에 대해선 의견이 갈린다. 1800조엔이나 되는 일본 금융자산의 60% 이상을 소유한 일본 노년층의 지갑이 열렸다는 분석도 있다. 주가 및 부동산 가격 상승과 함께 여기에 투자한 노년 세대의 수익이 늘어 씀씀이가 커졌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논리적 근거와 설득력은 약한 편이다.

오히려 완전고용 단계에 와 있는 일본 젊은이들의 씀씀이가 소비 증가세를 이끌었다는 분석이 와닿는다. 일본의 고용은 실업률이 6월 기준 2.8%에 달할 만큼 완전고용 수준에 이르고 있다. 젊은 층에서 실업자가 별로 없는 게 특히 주목된다. 이들 젊은 층이 소비를 늘리고 있다. 총무성 가계조사에서 소득 중 소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평균 소비성향이 대단히 높게 나오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소득 증가에 따라 소비 지출도 늘어난 것이다.

하지만 일부에선 임금문제의 비합리성을 지적한다. 고용은 늘어나지만 임금은 그다지 오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들은 임금이 올라 소비가 늘어나는 정상적인 과정을 밟고 있는데 의문을 가진다.

일본의 재정 확장도 한몫

일본 정부의 공공투자도 성장에 큰 보탬이 되고 있다. 이번 분기에서 증가세는 5.1%나 됐다. 무엇보다 지난해 일본 정부가 4조5000억엔(약 49조원) 규모의 보정예산(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한 게 보탬이 됐다. 당시 이 예산을 인프라 투자나 중소기업 대출 등을 위해 사용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번 공공투자는 이처럼 학교 내진설계나 지방 공공시설 확충 등 인프라 투자에 쓰였다. 이런 공공투자는 민간투자에도 힘을 불어넣어 2분기 기업의 민간 설비투자를 1분기 대비 2.4% 성장시켰다. 물론 산업 생산도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일본은 투자가 일어나고 생산이 증가해 고용이 창출되고 소득이 증가하면서 소비가 늘어나는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맞고 있다. 여기에 물가까지 오르면 완전경제의 선순환 사이클로 접어들게 된다.

하지만 일본 물가는 아직 감감무소식이다. 물가가 오르지 않는 이유에 대해 아마존 등 온라인 유통이 활발해지면서 전체 물가를 내리게 하는 효과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고, 생산성 혁신으로 상품 가격이 오르지 않는다는 분석도 있다. 임금이 오르지 않아 물가가 상승하지 않았다는 분석이 가장 설득력 있다. 이번 소비 증가에 힘입어 일본 물가가 오를지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물가는 언제 오르나

일본 경제연구소들은 2분기 속보치 발표 이후 올해 성장 전망치가 최소 1.8%에서 최대 3%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이전 2%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치를 대폭 수정한 것이다. 이들은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달러화가 강세로 접어들고 엔화가 약세로 전환하면서 수출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GDP 속보치가 일시적인 현상에 그칠 것이라는 시각도 많다. 지난해 풀었던 정부의 공공투자 지출이 이번 분기에 힘을 발휘한 것으로, 3분기 이후엔 2분기 고성장의 반동으로 성장률이 둔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선행지표인 기계 수주가 줄고 있어 설비투자도 줄어들 것이라는 관측이다.

경제성장 지속 가능한가

관건은 역시 소비와 물가다. 소비가 지속적으로 늘면 물가도 움직일 것으로 전망된다. 소비가 그렇게 줄어들 기미가 없다. 8월의 일본 연휴 기간 아시아로 출발하는 여객기가 전년 동기 대비 7%나 늘었다는 소식도 있다. 일부에선 2012년 12월부터 시작한 경기회복이 올해 9월까지 지속되면 1965년 11월에서 1970년 7월까지 전후 최장기 연속 성장을 기록한 ‘이자나기 경기’를 넘을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한다.

무엇보다 주목되는 것은 일본 경제 성장의 스펙트럼이 넓어졌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수출 증가나 실업률 감소 등에 머물던 일본 경제가 고용 증가와 맞물려 이제 소비까지 꿈틀거리기 시작한 것이다.

다케다 요코 미쓰비시(三菱)종합연구소 수석연구원은 “개인 소비가 늘고 있는 것은 고용 환경 개선보다 소비자심리가 개선되고 있기 때문”이라며 “개인 소비와 설비투자가 자율적으로 움직이기 시작해 현시점에선 추가적인 경제 대책이 불필요하다”고 밝혔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AD LS증권 해외선물 수수료 $2.49 할인 이벤트 운영자 24/01/01 - -
AD [삼성선물]제로데이옵션 무료이벤트 운영자 24/06/03 - -
1679303 방이=보급형 대치동 맞지 않냐? [6] ㅇㅇ(175.223) 17.10.23 348 0
1679302 천당아래 분당, 천당위에 봉천 [4] ㅇㅇ(185.31) 17.10.23 259 1
1679301 나는 짐승만도 못하다 [4] 재키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0.23 355 0
1679299 왜 문재인되고 설 아파트가 다락같이 올랐는지 아냐? ㅇㅇ(125.191) 17.10.23 276 0
1679298 나 21살이고 별로 못사는 집인데 내년까지 3천 모을 수 있거든? [10] ㅇㅇ(117.123) 17.10.23 405 0
1679297 살기힘들어지면 변하는게 민심아니냐? [4] ㅇㅇ(223.38) 17.10.23 228 6
1679296 부동산거래량줄면 세금줄지않냐? [1] ㅇㅇ(223.38) 17.10.23 77 0
1679294 조선달동네를 유럽마냥 어케만드나용ㅋㅋㅋㅋㅋㅋㅋㅋㅋ [4] Ass(125.129) 17.10.23 278 4
1679293 전국 단독주택 2가구 중 1가구는 지은지 30년 넘어 ㅇㅇ(175.223) 17.10.23 184 1
1679292 탈원전 지지율이 18%입니다...재앙이 지지율 = 18% [1] ㅠㅠㅠ(59.10) 17.10.23 179 6
1679290 위례 이마트타운 잘 올라가고있네 [2] ㅇㅇ(203.232) 17.10.23 720 3
1679289 "상위소득층 주상복합단지 등 거주" [1] ㅇㅇ(175.223) 17.10.23 283 0
1679287 김한정 의원 "지하철 4호선 진접선-8호선 별내선 연결사업 추진 탄력" ㅇㅇ(175.223) 17.10.23 552 2
1679286 서울시 도시재생, 달랑 40가구 짓는 '동네 집장사' [1] ㅇㅇ(175.223) 17.10.23 440 4
1679285 거래량 줄면 떡방 직원들 대량실직하겠군 ㅇㅇ(175.123) 17.10.23 202 1
1679284 (강력추천) 영화같은 사랑 해봤던 사람 있냐? (사진있다) [5] 10억사랑(210.117) 17.10.23 623 1
1679283 30~40대 지지율 90%가 말이 되냐? ㅇㅇ(58.148) 17.10.23 193 2
1679282 롯데건설, 한신4지구 재건축 금품 제공 혐의로 압수수색 ㅇㅇ(175.223) 17.10.23 310 0
1679281 거래량이 저렇게 줄어서 내수경기가 얼마나 활성화될지 모르겠네? ㅇㅇ(223.38) 17.10.23 75 0
1679280 과천지식정보타운 산업용지 공급계획 확정 ㅇㅇ(175.223) 17.10.23 614 0
1679279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당선작에 `빛과 함께 걷다(Lightwalk)` [1] ㅇㅇ(175.223) 17.10.23 306 0
1679278 강남.서초.송파구 각각 제일 막장동네가 어디냐??????? [9] ㅇㅇ(185.163) 17.10.23 546 0
1679277 인천3호선 예정 노선도 ㅇㅇ(110.70) 17.10.23 348 0
1679276 한강변 알짜 '서빙고 신동아' 추진위 설립 완료 [1] ㅇㅇ(175.223) 17.10.23 406 1
1679275 노량진 흑석 개발되면 동작구 [1] ㅇㅇ(223.62) 17.10.23 413 3
1679274 중도금 한도 5억으로 하향… 가계빚 주범 ‘집단대출’ 정조준 ㅇㅇ(175.223) 17.10.23 367 1
1679273 30대40대는 요즘 살기좋나? 왜이렇게 지지율이 높냐? [2] ㅇㅇ(223.38) 17.10.23 224 0
1679272 다산·하남 상가 분양가, 3.3㎡당 4000만원 넘어서 ㅇㅇ(175.223) 17.10.23 466 1
1679271 솔직히 거래량감소는 책임져야 되는거 아니냐? ㅇㅇ(223.38) 17.10.23 85 2
1679269 서울 뉴타운 해제지역 20곳, '맞춤형 도시재생' 시동 [1] ㅇㅇ(175.223) 17.10.23 281 1
1679268 20년전 3천만원으로 시작해 [5] 오류켄(112.169) 17.10.23 529 2
1679267 이젠 재개발이야 이사람들아 [2] 선대인(14.25) 17.10.23 429 2
1679266 제3의 사랑 본 사람 있냐? (강력 추천한다)오늘 케이블 영화채널 방영 [1] 강력추천영화(210.117) 17.10.23 308 1
1679265 우리집 포트폴리오 개씹창난건가요...? [1] 홍익영남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0.23 279 0
1679263 인천에서 나름 잘먹고 잘사는 동네.txt [3] ㅇㅇ(110.70) 17.10.23 854 0
1679262 마곡의 강서 순조롭게 폭등 중 [3] (223.62) 17.10.23 1008 4
1679261 내년에 금리인상,신 DTI, 재초환 부뢀,4월에 다주택 양도세중과 [2] ㅇㅇ(175.223) 17.10.23 522 2
1679260 쓰레기들이 몰카찍다 걸렸을 때 법정에서 할 수 있는 최고의 변론 소개한다 [2] ㅇㅇ(168.126) 17.10.23 326 3
1679259 느낌왔어 심장막 뛰고 두근거리는거보니 100% 하락장이다 [1] ㅇㅇ(218.39) 17.10.23 249 1
1679258 빚 없어서 다행이네 [4] ㅇㅇ(175.223) 17.10.23 472 0
1679257 동탄 1,7억정도 되면 여러개 주워야겠다 부담도 안되고 월세돌리기 딲? ㅇㅇ(218.39) 17.10.23 275 1
1679256 이거 사장 마음 뭐냐고 (220.119) 17.10.23 80 0
1679255 주담대 11% 찍으면 한강불꽃축제 구경대신 다이빙쇼 관람가능한부분? ㅇㅇㅇ(218.39) 17.10.23 95 0
1679254 수원에 재개발 들어갔는데 [3] ㅇㅇ(218.155) 17.10.23 501 1
1679253 5억짜리 재건축 아파트랑 3억짜리 일반 아파트가 있는데 ㅇㅇ(175.223) 17.10.23 101 0
1679250 주담대가 5%넘었다는데 빚내서 집사서 돈을 어떻게 버냐? [1] ㅇㅇ(223.38) 17.10.23 248 0
1679248 검사장들 혼테크해서 재산이 100억 가까이 되네 다들 ㅇㅇㅇ(116.34) 17.10.23 230 1
1679247 갤러리아팰리스 등기칠거다 [3] ㅇㅇ(175.208) 17.10.23 385 0
1679246 이명박 아들놈 타블로 처럼 학력위조 한놈 아니냐 [2] 위대한개츠비(211.45) 17.10.23 438 3
1679245 서울은 부동산거래 요즘 어떠냐? ㅇㅇ(203.249) 17.10.23 11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